KR100721312B1 -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 Google Patents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312B1
KR100721312B1 KR1020060079137A KR20060079137A KR100721312B1 KR 100721312 B1 KR100721312 B1 KR 100721312B1 KR 1020060079137 A KR1020060079137 A KR 1020060079137A KR 20060079137 A KR20060079137 A KR 20060079137A KR 100721312 B1 KR100721312 B1 KR 100721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writing means
converte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관
Original Assignee
최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관 filed Critical 최진관
Priority to KR102006007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 접촉 시 잉크를 배출하고 위치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필기 수단, 상기 필기 수단에서 송출된 위치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신호 수신부,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의 변화를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문자열 또는 이미지 및 필기 내용 전송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된 필기 내용을 SMS, 그림 메시지 전송, 팩스 이미지 전송, 이메일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수신된 위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변환된 문자열 또는 이미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종이에 직접 수서한 필기 내용을 SMS, 그림 메시지, 팩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필기, 수서, 전자노트, 전송, 통신, SMS, 그림메시지.

Description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An Electronic Note Having Function of Writing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가 휴대 단말기에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노트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접속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노트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접속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필기 수단의 세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위치 신호 수신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변환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폰트 변환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2의 통신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필기 수단 20 : 베이스부
21 : 위치 신호 수신부 22 : 변환부
23 : 전원부 24 : 표시부
25 : 통신부 26 : 통신 제어부
27 : 저장부 28 : 프로세서
30 : 필기 용지 40 :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은 전자 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에 필기된 내용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 내용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 기술 및 서비스가 개발되어 SMS 서비스를 통한 문자 전송 외에 이미지 전송, 동영상 전송, 이메일 전송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은 휴대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나 문자 입력모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한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종이 등에 필기한 글이나 그림 등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나 장치에 대해서는 전혀 제안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휴대 인터넷 사용 환경 및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수서(手書)한 글이나 그림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종이에 직접 수서한 필기 내용을 SMS, 그림 메시지, 팩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 내용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서한 필기 내용을 SMS로 전송할 때 필기 내용과 유사한 글꼴 및 크기로 변환된 문자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한 사용자가 실제 수서한 내용과 유사한 형태의 문자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면 접촉 시 잉크를 배출하고 위치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필기 수단, 상기 필기 수단에서 송출된 위치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신호 수신부,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의 변화를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문자열 또는 이미지 및 필기 내용 전송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된 필기 내용을 SMS, 그림 메시지 전송, 팩스 이미지 전송, 이메일 전송 중 적어 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수신된 위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변환된 문자열 또는 이미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지면 접촉 시 잉크를 배출하고 위치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필기 수단, 상기 필기 수단에서 송출된 위치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신호 수신부, 상기 변환된 문자열 또는 이미지 및 필기 내용 전송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수신된 위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의 변화를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하며, 상기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된 필기 내용을 SMS, 이미지 전송, 팩스 이미지 전송, 이메일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변환된 문자열 또는 이미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필기 수단은 종이면에 접촉 시 잉크를 배출하는 팁부, 상기 팁부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센서부,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송신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 1 적외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적외 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 및 상기 초음파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제 1 및 제 2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외선 수신부, 제 1 초음파 수신부 및 제 2 초음파 수신부에서 수신된 적외선과 초음파의 도착시간 차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 수단의 거리 및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 변화를 분석하여 수서 문자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 및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의 변화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폰트 변환부는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수서 문자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문자코드 변환부, 상기 수서 문자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수서 문자의 글꼴을 결정하는 글꼴 결정부, 상기 수서 문자의 크기를 분석하여 상기 수서 문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크기 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SMS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폰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열 정보를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SMS 전송 모드 제어부, 이미지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그림 메시지 전송 모드 제어부, 팩스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팩스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팩스 전송 모드 제어부 및 이메일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지정된 이메일 어드레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이메일 전 송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가 휴대 단말기에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노트는 필기 용지(30) 상에 글씨 또는 그림을 필기하는 필기 수단(10)과 필기 수단(10)의 위치 변화를 산출하여 그에 상응하는 문자열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문자열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40)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베이스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20)는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기 용지(30)를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20)가 필기 용지(30) 하부에 위치하여 필기 용지(30)를 지지하는 받침대(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받침대(50)가 구비되지 않고 필기 용지(30)를 베이스부(20)에 끼운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부(20)는 케이블(60)을 통해 휴대 단말기(40)의 커넥터 단자로 연결되어 있다. 그 외에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부(20)와 휴대 단말기(40)간에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부(2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수서한 내용 및 메뉴들이 표시되는 표시 부(24)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는 표시부(24) 상에 5개의 가상 버튼 이미지로 표시되며,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필기 수단(10)으로 가상 버튼을 누르면 가상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 키가 활성화된다.
가상 버튼은 현재 동작 중인 모드를 SMS 모드, 그림 메시지 전송 모드, 팩스 전송 모드로 표시하는 모드 표시 버튼(210, 220, 250), 누를 때마다 모드 선택을 위한 커서가 이동되도록 하는 다음 버튼(230) 및 다음 버튼(230)에서 선택한 모드를 현재 모드로 설정하는 선택 버튼(24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노트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접속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휴대 단말기(40)의 내부 구성은 통상적인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노트의 베이스부(20)는 위치 신호 수신부(21), 변환부(22), 전원부(23), 표시부(24), 통신부(25), 통신 제어부(26), 저장부(27) 및 프로세서(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 신호 수신부(21)는 필기 수단(10)에서 송출되는 위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8)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 신호 수신부(21)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변환부(22)는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 변화를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 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부(23)는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고, 표시부(24)는 사용자가 수서한 내용 및 메뉴들이 표시되는 부분이다.
통신부(25)는 휴대 단말기(4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수서한 필기 내용 및 통신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기(40)의 제어부(49)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제어부(26)는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된 필기 내용을 SMS, 이미지 전송, 팩스 이미지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특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27)는 후술할 폰트 변환을 위해 필요한 폰트 데이터, 글꼴 데이터, 폰트 변환 프로그램,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 및 수서된 필기 내용들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프로세서(28)는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고 위치 신호 수신부(21)에서 수신된 위치 검출 신호를 분석하여 필기 수단(10)의 현재 위치 좌표를 계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노트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접속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변환부(22) 및 통신 제어부(26)의 구성이 프로세서(28)에 통합적으로 구현된 것으로서, 프로세서(28)는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 변화를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된 필기 내용을 SMS, 이미지 전송, 팩스 이미지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특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한다.
도 4는 필기 수단의 세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수단(10)은 필기 용지(30)에 접촉 시 잉크를 배출하는 팁부(11), 팁부(11)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센서부(13),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송신부(15),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송신부(17) 및 상기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팁부(11)는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와 필기 용지(30)와의 접촉 시에 잉크를 배출하는 잉크 배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부(13)는 팁부(11)가 지면에 접촉하면 팁부(51)의 압력 변화에 의해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적외선 송신부(15) 및 초음파 송신부(17)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팁부(11)의 지면 접촉에 의해 접점이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화되는 기계 스위치가 사용가능하다.
적외선 송신부(15) 및 초음파 송신부(17)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적외선 및 초음파를 방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0msec마다 적외선과 초음파를 방출하도록 하였다.
상기 적외선 송신부(15) 및 초음파 송신부(17)는 필기 수단(10)의 각도에 따라 필기 수단(10)의 현재 위치가 틀려지지 않도록 팁부(11)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2의 위치 신호 수신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신호 수신부(21)는 초음파 송신부(17)에서 송신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제 1 및 제 2 초음파 수신부(21-1, 21-3), 적외선 송신부(15)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28)는 제 1 초음파 수신부(21-1) 및 적외선 수신부(21-5)에서 수신된 적외선과 초음파의 도착시간 차를 이용하여 필기 수단(10)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제 2 초음파 수신부(21-3)에서 수신한 초음파의 도착 시간을 포함시켜 삼각측량법에 의해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도 6은 도 2의 변환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는 프로세서(28)에 의해 산출된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의 변화를 분석하여 수서 문자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22-1) 및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의 변화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폰트 변환부(22-1)는 필기된 내용을 문자 또는 도형으로 판단하여 저장부(27)에 저장된 폰트 데이터들 중에서 수서 문자 또는 도형에 가장 유사한 폰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수서 문자 또는 도형을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세부적인 구성은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변환부(22-3)는 시간에 따른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의 변화를 저장부(27)에 저장하였다가 필기가 완료되면 필기 수단(10)의 이동 궤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
도 7은 도 6의 폰트 변환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 변환부는 문자 코드 변환부(101), 글꼴 변환부(103) 및 크기 변환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문자 코드 변환부(101)는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수서 문자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필기 수단(10)의 이동 궤적 패턴을 기 저장된 문자 또는 도형 패턴들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갖는 문자 또는 도형을 수서 문자 또는 도형으로 판단하여 수서 문자 또는 도형을 해당 문자코드로 변환한다.
수서 문자의 윤곽 패턴을 분석하여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것이 국내등록특허 제10-298547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글꼴 결정부(103)는 수서 문자의 패턴을 분석하여 수서 문자의 글꼴을 결정하는 부분으로서, 기 저장된 각 문자별 글꼴의 패턴값과 수서 문자의 윤곽선 패턴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글꼴을 수서 문자의 글꼴로 결정한다.
크기 변환부(105)는 수서 문자(도형)의 위치 좌표로부터 수서 문자(도형)의 크기를 계산하여 계산된 크기와 가장 유사한 폰트 크기값을 수서 문자(도형)의 크기로 결정한다.
도 8은 도 2의 통신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26)는 SMS 전송모드 제어부(26-1), 그림 메시지 전송모드 제어부(26-3), 팩스 메시지 전송모드 제어부(26-5) 및 이메일 전송모드 제어부(2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MS 전송모드 제어부(26-1)는 사용자에 의해 SMS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폰트 변환부(22-1)에서 변환된 문자열 데이터를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한다.
그림 메시지 전송모드 제어부(26-3)는 그림 메시지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이미지 변환부(22-3)에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한다.
팩스 메시지 전송모드 제어부(26-5)는 팩스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이미지 변환부(22-3)에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팩스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한다.
이메일 전송모드 제어부(26-7)는 이메일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폰트 변환부(22-1)에서 변환된 문자열 데이터 또는 이미지 변환부(22-3)에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지정된 이메일 어드레스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변환부(22) 및 통신 제어부(28)의 구성이 프로세서(28)로 통합 구현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변환부(22) 및 통신 제어부(28)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각 전송모드에서의 전자 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SMS 전송모드
사용자가 커서가 SMS 모드에 표시될 때까지 다음 버튼(230)을 클릭한 후 커서가 SMS 모드 상에 표시되면 선택 버튼(240)을 클릭하면, 표시부(20)에 "메시지 입력"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통신 제어부(26)는 휴대 단말기(40)가 문자 인식 모드에 있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필기 수단(10)으로 필기 용지(30) 상에 전송하고자 하는 내용을 필기하면, 프로세서(28)가 위치 신호 수신부(21)에서 수신된 초음파와 적외선의 도착 시간 차에 기초하여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게 되고, 폰트 변환부(22-1)는 필기 수단(10)의 궤적 패턴, 문자의 글꼴 및 크기를 분석하여 필기된 내용을 문자열로 변환하여 표시부(24) 상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필기 수단(10)의 팁부(11)로 선택 버튼(240)을 클릭하면 통신 제어부(26)는 휴대 단말기(40)가 수신번호 입력 대기 상태가 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하고, 표시부(24)에는 "수신번호 입력"이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40)의 입력부(41)를 통해 수신번호를 입력한 후 메시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변환된 문자열이 문자 메시지로 전송된다.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면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과 가장 유사한 글꼴과 크기로 변환된 문자열이 문자 메시지로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어 수신자는 송신자가 실제로 종이로 작성한 것을 수신한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림 메시지 전송모드
사용자가 커서가 그림 메시지 모드에 표시될 때까지 다음 버튼(230)을 클릭한 후 커서가 그림 메시지 모드 상에 표시되면 선택 버튼(240)을 클릭하면, 표시부(20)에 "그림 메시지 입력"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통신 제어부(26)는 휴대 단말기(40)가 그림 메시지 전송 모드에 있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필기 수단(10)으로 필기 용지(30) 상에 전송하고자 하는 그림 메시지를 작성하면, 프로세서(28)가 위치 신호 수신부(21)에서 수신된 초음파와 적외선의 도착 시간 차에 기초하여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게 되고, 이미지 변환부(22-1)는 필기 수단(10)의 궤적 패턴을 분석하여 작성된 내용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표시부(24) 상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그림 메시지 작성이 완료된 후 필기 수단(10)의 팁부(11)로 선택 버튼(240)을 클릭하면, 통신 제어부(26)는 휴대 단말기(40)가 수신번호 입력 대기 상태가 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하고, 표시부(24)에는 "수신번호 입력"이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40)의 입력부(41)를 통해 수신번호를 입력한 후 메시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변환된 이미지가 그림 메시지로 전송된다.
팩스 이미지 전송모드
사용자가 커서가 팩스 모드에 표시될 때까지 다음 버튼(230)을 클릭한 후 커서가 팩스 모드 상에 표시되면 선택 버튼(240)을 클릭하면, 표시부(20)에 "팩스 이미지 입력"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통신 제어부(26)는 휴대 단말기(40)가 그림 메시지 전송 모드에 있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필기 수단(10)으로 필기 용지(30) 상에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이미지를 작성하면, 프로세서(28)가 위치 신호 수신부(21)에서 수신된 초음파와 적외선의 도착 시간 차에 기초하여 필기 수단(10)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게 되고, 이미지 변환부(22-1)는 필기 수단(10)의 궤적 패턴을 분석하여 작성된 내용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표시부(24) 상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팩스 이미지 작성이 완료된 후 필기 수단(10)의 팁부(11)로 선택 버튼(240)을 클릭하면, 통신 제어부(26)는 휴대 단말기(40)가 수신번호 입력 대기 상태가 되도록 휴대 단말기(40)를 제어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팩스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한다. 이 때, 표시부(24)에는 "수신번호 입력"이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40)의 입력부(41)를 통해 수신번호를 입력한 후 메시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변환된 팩스 이미지가 지정된 수신 팩시밀리로 전송된다.
이메일 전송모드
이메일 전송모드에서도 전자 노트는 상기 각 모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게 되며, 다만 사용자가 이메일로서 문자 메시지를 보낼 것인지 변환된 이미지를 보낼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상이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종이에 직접 수서한 필기 내용을 SMS, 그림 메시지, 팩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 내용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서한 필기 내용을 SMS로 전송할 때 필기 내용과 유사한 글꼴 및 크기로 변환된 문자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한 사용자가 실제 수서한 내용과 유사한 형태의 문자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7)

  1.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에 있어서,
    지면 접촉 시 잉크를 배출하고 위치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필기 수단;
    상기 필기 수단에서 송출된 위치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신호 수신부;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 변화를 분석하여 수서 문자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 및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의 변화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문자열 또는 이미지 및 필기 내용 전송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문자열 또는 이미지로 변환된 필기 내용을 SMS, 그림 메시지 전송, 팩스 이미지 전송, 이메일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수신된 위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변환된 문자열 또는 이미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폰트 변환부는 상기 필기 수단의 위치 좌표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수서 문자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문자코드 변환부, 상기 수서 문자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수서 문자의 글꼴을 결정하는 글꼴 결정부 및 상기 수서 문자의 크기를 분석하여 상기 수서 문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크기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수단은
    종이면에 접촉 시 잉크를 배출하는 팁부;
    상기 팁부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센서부;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송신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 1 적외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 및
    상기 초음파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제 1 및 제 2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외선 수신부, 제 1 초음파 수신부 및 제 2 초음파 수신부에서 수신된 적외선과 초음파의 도착시간 차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 수단의 거리 및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SMS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폰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열 정보를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SMS 전송 모드 제어부;
    이미지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그림 메시지 전송 모드 제어부;
    팩스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팩 스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지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팩스 전송 모드 제어부; 및
    이메일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지정된 이메일 어드레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이메일 전송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KR1020060079137A 2006-08-22 2006-08-22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KR10072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137A KR100721312B1 (ko) 2006-08-22 2006-08-22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137A KR100721312B1 (ko) 2006-08-22 2006-08-22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312B1 true KR100721312B1 (ko) 2007-05-25

Family

ID=3827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137A KR100721312B1 (ko) 2006-08-22 2006-08-22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85B1 (ko) * 2012-06-11 2014-03-07 주식회사 피엔에프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129A (ko) * 1997-03-11 1998-11-25 가시오 가즈오 문자인식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송수신장치
WO2000000928A1 (en) 1998-06-26 2000-01-06 Lci/Smartpen, N.V. Apparatus and methods for imaging written information with a mobile telephone set
KR20010003630A (ko) * 1999-06-24 2001-01-15 김종태 음성통화와 동시에 노트패드를 이용한 수기메세지 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2007424A2 (de) 2000-07-14 2002-01-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gabevorrichtung zur handschriftenerkennung für ein elektronisches informations- und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r erfassung von eingabedaten
KR20040016539A (ko) * 2002-08-17 2004-02-25 에이스 캐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전화 펜식 입력장치
KR20040107245A (ko) * 2003-06-13 2004-12-20 이성무 문자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원격 교육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129A (ko) * 1997-03-11 1998-11-25 가시오 가즈오 문자인식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송수신장치
KR100308543B1 (ko) 1997-03-11 2001-11-30 가시오 가즈오 문자인식을기초로하는데이터송수신장치
WO2000000928A1 (en) 1998-06-26 2000-01-06 Lci/Smartpen, N.V. Apparatus and methods for imaging written information with a mobile telephone set
KR20010003630A (ko) * 1999-06-24 2001-01-15 김종태 음성통화와 동시에 노트패드를 이용한 수기메세지 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2007424A2 (de) 2000-07-14 2002-01-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gabevorrichtung zur handschriftenerkennung für ein elektronisches informations- und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r erfassung von eingabedaten
KR20040016539A (ko) * 2002-08-17 2004-02-25 에이스 캐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전화 펜식 입력장치
KR20040107245A (ko) * 2003-06-13 2004-12-20 이성무 문자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원격 교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85B1 (ko) * 2012-06-11 2014-03-07 주식회사 피엔에프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475B1 (ko) 전자펜을 이용한 정보의 입력 및 전송이 가능한 휴대기기및 전자펜을 이용한 정보의 입력 및 전송방법
KR100663437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원격 입력 방법
US81603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r drawings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virtual screen
US20070082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ch-processing of commands through pattern recognition of panel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6106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60061557A1 (en) Method for using a pointing device
EP1835386A2 (en) Touchpad-based inpu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JP2004213269A (ja) 文字入力装置
JPH08307954A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WO2007084078A1 (en)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H08234911A (ja) 情報転送方法
JP2002091692A (ja) ポインティングシステム
JPH0628237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電子ペン
KR10114777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40203411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2511456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단말
CA2385542A1 (en) A miniature keyboard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n integrated web browsing and data input device
CN111651068B (zh) 文字语言类型的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721312B1 (ko) 필기 내용 전송기능을 갖는 전자 노트
JP4871226B2 (ja) 認識装置および認識方法
KR20090049153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JP2002062980A (ja) 入力装置および電子ボード装置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721668B1 (ko) 근거리 무선 전송 기능을 가지는 필기 장치와 이 필기장치와 연동하여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
US2013014771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storage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