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37B1 -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 Google Patents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837B1
KR100719837B1 KR1020060004585A KR20060004585A KR100719837B1 KR 100719837 B1 KR100719837 B1 KR 100719837B1 KR 1020060004585 A KR1020060004585 A KR 1020060004585A KR 20060004585 A KR20060004585 A KR 20060004585A KR 100719837 B1 KR100719837 B1 KR 10071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neumatic
valve
parti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이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규 filed Critical 이태규
Priority to KR102006000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25B9/02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without sliding or pivotal connections, e.g. tweezers, onepiece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공기를 실린더 내부로 교차 유입 및 배출시켜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피스톤을 연동시킴으로써 고점도 액상물을 무진동, 무소음으로 연속 흡입 및 토출시키며 특히 유압유니트를 공압유니트 일측에 일체로 형성하여 빠른 응답성으로 펌핑효과를 극대화 하며 외관상의 불편함도 일소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1)는 공압으로 피스톤(5)(5')을 구동하는 공압유니트(2)와, 상기 피스톤(5)(5') 및 이들과 연동되는 피스톤(5")의 구동에 의한 액상물의 유입 및 토출을 단속하는 유압유니트(3)를 좌우측이 관통된 플랜지(40)(40')와 장축의 볼트(41)와 너트(42)로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공압유니트(2)는 양측 격벽(7)(7')에 결합된 실린더(4)(4')(4")내부에 슬라이드 되도록 피스톤로드(6)를 결합하고, 상기 격벽(7) 양측으로 피스톤로드(6)에 결합한 피스톤(5)(5')내측으로 공압챔버(8)(8')를 형성하며, 맥동을 감쇄시키고 왕복운동 시 속도를 증대시키도록 피스톤(5)(5')의 바깥쪽에 배치한 스프링(10) 및 스프링(10)을 탄력 지지하도록 하며 이탈이 불가하도록 피스톤로드(6)에 고정수단(11)으로 고정한다.
상기 공압챔버(8)(8')상에는 에어 컴프레서의 압력에 따라 호환성을 갖도록 테이퍼형 스프링(10')을 개재하여 원판형 푸셔(12)(12')를 중앙부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탄력 설치하고, 상기 푸셔(12)(12')는 격벽(7)상에 설치되는 밸브로드 (13)(14)를 선택적으로 푸싱 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 밸브로드(13)(14)는 격벽(7)상에 횡으로 관통 형성된 밸브공(15)(16)의 지지홀더(20)에 좌우로 왕복하면서 밸브(13a)(14a)가 상호 역방향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하고, 상기 밸브공(15)(16)에는 에어공급관(18)과 에어배출관(19)이 각각 연결되고 오리피스(orifice;17)로 상호 연통된다.
상기 유압유니트(3)는 격벽(7') 외측으로 돌출된 피스톤로드(6)에 결합한 피스톤(5') 및 상기 실린더(4'') 내부에 피스톤(5")을 피스톤로드(6)의 단부에 고정 결합하여 격벽(7') 양측으로 유압챔버(9)(9')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7')에는 흡입관(32) 및 토출관(33)을 형성하여 액상물이 유입 및 토출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관(32)과 토출관(33) 상간에는 스프링(10a)이 내입된 체크밸브(34)(35)를 설치하여 각종 액상물을 소음 없이 큰 토출압력으로 연속 펌핑이 가능하며,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압으로 액상물 펌핑이 가능하여 고가의 수입 펌프를 대체할 수 있으며, 공압유니트(2)에 유압유니트(3)를 일체화하여 유압유니트(3)를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설치 후 외부에 연결관이 노출되지 않아 발길에 걸리거나 누수의 위험성을 일소하며 설치 및 수리, 교환 등이 용이한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공압유니트, 유압유니트, 실린더, 피스톤, 공압챔버, 유압챔버, 밸브로드

Description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Pneumatic self propelled piston pump}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펌프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의 공압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동 후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의 공압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작동 후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2: 공압유니트
3: 유압유니트 4,4',4": 실린더
5,5',5": 피스톤 6: 피스톤로드
6a: 이송관 7,7': 격벽
8,8': 공압챔버 9,9': 유압챔버
10,10': 스프링 10a: 스프링
11: 고정수단 12,12': 푸셔
13,14: 밸브로드 13a,14a: 밸브
13b,14b: 안내홈 13c,14c: 관통공
15,16: 밸브공 17: 오리피스
18: 에어공급관 19: 에어배출관
20: 지지홀더 21: 구멍
22: 멈춤핀 23: 스프링
32: 흡입관 33: 토출관
34,35: 체크밸브 40,40',40a,40a': 플랜지
41: 볼트 42: 너트
본 발명은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압축공기를 실린더 내부로 교차 유입 및 배출시켜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피스톤을 연동시킴으로써 고점도 액상물을 무진동, 무소음으로 연속 흡입 및 토출시키며 특히 유압유니트를 공압유니트 일측에 일체로 형성하여 빠른 응답성으로 펌핑효과를 극대화 하며 외관상의 불편함도 일소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종래 액상물을 공압식 펌프로 펌핑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미국 ARO사의 다이아후렘식 펌프와 독일의 공압식 드럼 펌프 등이 개발되어져 사용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펌프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고점도용 무맥동 공압펌프'를 개발 하여 출원(10-2005-0042119)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펌프들은 공압유니트와 유압유니트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유압유니트에 형성된 유입구와 배출구의 제어는 체크밸브 볼의 무게를 이용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 한 후 펌핑을 해야 하고 볼이 하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내려와 닫히기 때문에 그 응답속도가 매우 느린 문제점이 이었다.
또한, 공압유니트와 별개로 떨어져 있는 밸브유니트는 고무호스나 플렉시블 한 이음관 또는 금속관을 일정각으로 절곡하여 용접 연결해주어야 하는데 용접으로 이음관을 연결 시에는 그 공정이 상당히 번거로울 뿐 아니라 제조상 단가도 올라가 경쟁력이 떨어지며, 다른 플렉시블한 이음관에 큰 압력이 걸리거나 조임 장치가 느슨해지면 곧바로 누수가 생기는 등 압력 손실이 생기게 되어 펌핑효과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공압펌프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대형 기계류 등의 오일 교환 및 독성이 있는 저점도의 화학액상물은 물론 고점도의 액상물(벌꿀 등)과 고양정 펌핑 및 기체, 액체 혼용물질 등도 펌핑이 가능하며, 피스톤내의 고압 공기의 압력 차를 이용하여 맥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공압유니트와 유압유니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장치를 간편하게 하고 장치의 내구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위치를 이동치 않고도 고장이나 보수 시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염가제작이 가능한 등 다수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를 제공코자 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펌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 구성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의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1)는 에어 컴프레서(미도시)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공압으로 피스톤(5)(5')을 구동하는 공압유니트(2)와, 상기 피스톤(5)(5') 및 이들과 연동되는 피스톤(5")의 구동에 의한 액상물의 유입 및 토출을 단속하는 유압유니트(3)를 좌우측이 관통된 플랜지(40)(40')와 장축의 볼트(41)와 너트(42)로 결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압유니트(2)는 양측 격벽(7)(7')에 결합된 실린더(4)(4')(4")내부에 슬라이드 되도록 피스톤로드(6)를 결합하고, 상기 격벽(7) 양측으로 피스톤로드(6)에 결합한 피스톤(5)(5')내측으로 공압챔버(8)(8')를 형성한다.
맥동을 감쇄시키고 왕복운동 시 속도를 증대시키도록 피스톤(5)(5')의 바깥쪽에 배치한 스프링(10) 및 스프링(10)을 탄력 지지하도록 하며 이탈이 불가하도록 피스톤로드(6)에 고정수단(11)으로 고정한다.
상기 공압챔버(8)(8')상에는 에어 컴프레서의 압력에 따라 호환성을 갖도록 직경이 작은 쪽은 탄성계수가 크고 직경이 큰 쪽은 탄성계수가 작은 테이퍼형 스프링(10')을 개재하여 원판형 푸셔(12)(12')를 중앙부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탄력 설치한다.
상기 푸셔(12)(12')는 격벽(7)상에 설치되는 밸브로드(13)(14)를 선택적으로 푸싱 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 밸브로드(13)(14)는 격벽(7)상에 횡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밸브공(15)(16)상의 지지홀더(20)에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밸브공 (15)(16)을 좌우로 왕복하면서 밸브(13a)(14a)가 선택적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격벽(7)에 형성되는 복수의 밸브공(15)(16)은 에어공급관(18)과 에어배출관(19)이 각각 연결되고, 오리피스(orifice; 17)로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공(15)(16)상에 결합된 밸브로드(13)(14)의 밸브(13a,14a)는 상호 역방향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압유니트(3)는 격벽(7') 외측으로 돌출된 피스톤로드(6)에 결합한 피스톤(5') 및 상기 실린더(4'') 내부에 피스톤(5")을 고정 결합하여 격벽(7') 양측으로 유압챔버(9)(9')를 형성한다.
상기 격벽(7')에는 흡입관(32) 및 토출관(33)을 형성하여 액상물이 유입 및 토출되도록하며, 상기 흡입관(32)과 토출관(33) 상간에는 스프링(10a)이 내입된 체크밸브(34)(35)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내지 도 6과 같이 유압유니트(3)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압유니트(3)는 공압유니트(2)의 격벽(7) 양측 실린더(4)(4')에 피스톤(5)(5')이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5')과 격벽(7') 사이에 유압챔버(9)를 형성하며, 상기 피스톤(5)과 플랜지(40a) 사이에 유압챔버(9')를 형성하고, 실린더로드(6) 내측으로 형성된 이송공(6a)을 통해 연결되는 격벽(7')과 플렌지(40a') 사이에 유압챔버(9")를 형성한다.
또한, 도 7내지 도 8은 공압유니트(2)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로서, 밸브공(15)(16)상에 결합되는 양측에 밸브(13a)(14a)가 형성된 밸 브로드(13)(14)의 양단에 안내홈(13b)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로드(13)(14)를 지지하는 지지홀더(20)에 상하 관통되는 구멍(21)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21)에 밸브로드(13)(14)의 안내홈(13b)에 부합하는 멈춤핀(22)이 스프링(23)에 의해 탄지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1)는 에어 컴프레서에서 공압유니트(2)로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공압유니트(2)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유니트(3)를 통하여 액상물이 유입, 토출되어 저점도는 물론 고점도의 액상물 등을 맥동이 최소화된 상태로 연속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에 자중에 의한 볼밸브의 단속으로 인한 불편함을 일소하여 어느 방향으로 위치하더라도 간편하게 액상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압식 자동 피스톤펌프(1)를 펌핑코자 하는 특정 용기(드럼 등)에 수납된 액상물을 이송공급하기 위해서는 흡입관(31)을 통하여 액상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에어 컴프레서를 가동하게 되면, 에어가 에어공급관(18)을 통하여 격벽(7)상에 좌우로 분기된 밸브공(15)의 좌우 어느 한방향의 공압챔버(8)(8')로 에어가 유입된다.
먼저 좌측 공압챔버(8)상으로 에어가 유입되면 공압챔버(8)의 압력이 높아져서 푸셔(12)와 피스톤(5)이 좌측으로 밀리고, 고정수단(11)에 접하는 스프링(10)이 압축되며 피스톤로드(6)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격벽(7)의 우측에 위치한 공압챔버(8')의 압축된 공기는 밸브공(16)을 통해 에어배출관(19)으로 빠져나가면서, 푸셔(12')와 피스톤(5')이 고정수단(11)에 밀려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 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피스톤(5')의 우측에 위치한 유압챔버(9)는 공간이 커지면서 압력이 하강하여 흡입력이 발생됨으로 흡입관(32)를 통해 체크밸브(34)를 밀고 유체가 유입되며, 피스톤로드(6)의 우측 끝단에 고정 결합된 피스톤(5'') 역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유압챔버(9')의 공간은 작아지고 압력은 상승하게 되어 유체가 체크밸브(35)를 밀어내고 토출관(33)을 통해 토출 하게 된다.
에어의 지속적인 공급 작용에 의해 격벽(7)의 우측 공압챔버(8') 내의 푸셔(12')가 피스톤(5')의 이동으로 테이퍼형 스프링(10')이 압축상태에서 순간적으로 팽창되면서 푸셔(12')를 탄발시키게 되어 격벽(7)상의 지지홀더(20)에 지지된 밸브로드(13)(14)의 우측단부를 푸싱하게 되면 밸브로드(13)(14)의 밸브(13a)(14a) 중 우측의 밸브(13a)는 개방시키고 또한 평행 설치된 밸브(14a)는 폐쇄하게 되며, 더불어 좌측의 밸브(13a)는 폐쇄시키고 또한 평행 설치된 밸브(14a)는 개방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에어의 공급 방향의 바뀌어 격벽(7)우측의 공압챔버(8')에 에어가 공급되어 피스톤(5')이 우측으로 밀려나고 상기 피스톤(5')우측의 유압챔버(9)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유체가 체크밸브(35)를 밀고 토출관(33)을 통해 빠져 나가며, 격벽(7') 우측의 피스톤(5'')이 우측으로 밀려나가면 격벽(7') 우측의 유압챔버(9')가 커지면서 유압이 낮아져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 흡입관(32)을 통해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밸브로드(13)(14)상의 좌우 밸브(13a)(14a)의 개방 및 폐쇄작동에 의해 에어는 격벽(7)의 좌우측 공압챔버(8)(8')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공압챔버 (8)(8')에 잔류하는 에어는 밸브공(16)과 에어배출관(19)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피스톤(5)(5')(5")을 연속적으로 좌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액상물을 흡입관(32) 및 토출관(33)으로 유입, 토출작동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액상물 펌핑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내지 도 6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좌측 공압챔버(8)상으로 에어가 유입되면 공압챔버(8)의 압력이 높아져서 푸셔(12)와 피스톤(5)이 좌측으로 밀리고, 고정수단(11)에 접하는 스프링(10)이 압축되며 피스톤로드(6)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격벽(7)의 우측에 위치한 공압챔버(8')의 압축된 공기는 밸브공(16)을 통해 에어배출관(19)으로 빠져나가고, 푸셔(12')와 피스톤(5')이 고정수단(11)에 밀려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피스톤(5')의 우측에 위치한 유압챔버(9)는 공간이 커지면서 압력이 하강하여 흡입력이 발생되어 흡입관(32)을 통해 체크밸브(34)를 밀고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피스톤(5) 좌측의 유압챔버(9')의 공간은 작아지고 압력은 상승하게 되어 유체가 피스톤로드(6)의 이송공(6a)을 유압챔버(9")를 통해 체크밸브(35)를 밀어내고 토출관(33)을 통해 토출 하게 된다.
에어의 지속적인 공급 작용에 의해 격벽(7)의 우측 공압챔버(8') 내의 푸셔(12')가 피스톤(5')의 이동으로 테이퍼형 스프링(10')이 압축상태에서 순간적으로 팽창되면서 푸셔(12')를 탄발시키게 되어 밸브로드(13)(14)의 우측단부를 푸싱하게 되면 밸브로드(13)(14)의 밸브(13a)(14a) 중 우측의 밸브(13a)는 개방시키고 또한 평행 설치된 밸브(14a)는 폐쇄하게 되며, 더불어 좌측의 밸브(13a)는 폐쇄시키고 또한 평행 설치된 밸브(14a)는 개방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에어의 공급 방향이 바뀌어 격벽(7)우측의 공압챔버(8')에 에어가 공급되어 피스톤(5')이 우측으로 밀려나고 상기 피스톤(5')우측의 유압챔버(9)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유체가 체크밸브(35)를 밀고 토출관(33)을 통해 빠져 나가며, 상기 피스톤(5)이 우측으로 밀려나가면 유압챔버(9')가 커지면서 유압이 낮아져 흡입력을 발생시켜 피스톤로드(6)의 이송관(6a)을 유압챔버(9")를 통해 흡입관(32)으로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밸브로드(13)(14)상의 좌우 밸브(13a)(14a)의 개방 및 폐쇄작동에 의해 에어는 격벽(7)의 좌우측 공압챔버(8)(8')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공압챔버(8)(8')에 잔류하는 에어는 밸브공(16)과 에어배출관(19)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피스톤(5)(5')을 연속적으로 좌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액상물이 유압챔버(9)(9')(9")을 흡입관(32) 및 토출관(33)으로 유입, 토출작동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액상물 펌핑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내지 도 8과 같이 밸브로드(13)(14)의 양단에 안내홈(13b)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로드(13)(14)를 지지하는 지지홀더(20)에 상하 관통되는 구멍(21)을 형성하여, 공압챔버(8)(8')에 일정압력이 될 때까지 밸브로드가 안내홈(13b)(14b)에 멈춤핀(22)이 끼워져 밸브로드(13)(14)가 작동되지 않고 일정압력이 되면 이웃하는 안내홈(13b)(14b)에 멈춤핀(22)이 끼워지도록 밸브로드(13)(14)가 슬라이딩되어 반대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연속적으로 좌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압축된 공기의 압력손실을 막아 당밀, 그리스 등의 고점도 유체를 펌핑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9내지 도 10과 같이 상기 격벽(7)상의 밸브공(15)(16)과 지지홀더(20)에 결합되는 밸브로드(13)의 좌우에는 좌우 공압챔버(8)(8')와 밸브공(15)과 각각 연결된 관통공(13c)을 형성하고, 타측의 밸브로드(14)의 중간에는 밸브공(16)내측으로 상호 연결된 관통공(14c)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로드(13)(14)가 좌우 슬라이딩 작동하게 함으로 밸브공(15)(16)과 좌우 공압챔버(8)(8')가 서로 교호로 연결되도록 하여, 먼저 좌측으로 밸브로드(13)(14)가 좌측으로 이동 되었을 시에는 좌측의 관통공(13c)은 지지홀더(20)에 접하여 닫히고, 우측의 관통공(13c)은 밸브공(15)과 공압챔버(8')를 연결하여 에어공급관(18)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공압챔버(8')로 유입되어 피스톤(5')을 우측으로 이동 시키고, 타측의 밸브로드(14)는 우측의 관통공(14c)이 지지홀더(20)에 접하여 닫히고, 좌측의 관통공(14c)은 밸브공(16)과 공압챔버(8)를 연결하여 공압챔버(8)에 있던 고압의 공기가 에어배출관(19)을 통해 배출되어 피스톤(5)(5')(5")과 푸셔(12)(12')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푸셔(12')에 의해 밸브로드(13)(14)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반대 방향으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어 연속적으로 좌우 왕복 운동하여 압축된 공기의 압력손실을 막아 고점도 유체를 펌핑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1)는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실린더(4)(4') 내부의 좌우 공압챔버(8)(8')에 교대로 공급토록 하여 피스톤로드(6)의 양단에 설치된 피스톤 (5)(5')을 좌우로 왕복운동토록 하고, 상기 피스톤(5)(5')및 이들과 연동되는 피스톤(5")의 구동에 의한 액상물의 유입 및 토출을 단속하여 연속 펌핑토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각종 액상물(저점도 및 고점도의 액상물은 물론, 폭발성 액상물, 냉매와 같은 기체 및 액체의 혼용물, 겔 상태의 식품류 등)을 소음 없이 큰 토출압력으로 연속 펌핑이 가능하며,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압으로 액상물 펌핑이 가능하여 고가의 수입 펌프를 대체할 수 있으며, 공압유니트(2)에 유압유니트(3)를 일체화하여 유압유니트(3)를 방향에 맞게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설치 후 외부에 연결관이 노출되지 않아 발길에 걸리거나 누수의 위험성을 일소하며 설치 및 수리, 교환 등이 용이한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4)

  1.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1)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압으로 피스톤(5)(5')을 구동하는 공압유니트(2)와,
    상기 공압유니트(2)의 피스톤(5)(5') 및 이들과 연동되는 피스톤(5")의 구동에 의해 액상물의 유입 및 토출을 단속하는 유압유니트(3)로 구성되며,
    상기 공압유니트(2)는 양측 격벽(7)(7')에 결합된 실린더(4)(4')(4")내부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된 피스톤로드(6)와,
    상기 격벽(7) 양측으로 피스톤로드(6)에 결합한 피스톤(5)(5')에 의해 성형되는 공압챔버(8)(8')와,
    맥동을 감쇄시키고 왕복운동 시 속도를 증대시키도록 피스톤(5)(5')의 바깥쪽에 배치한 스프링(10) 및 스프링(10)을 탄력 지지하도록 피스톤로드(6)에 고정한 고정수단(11)과,
    격벽(7)쪽 피스톤로드(6) 상에 개재한 테이퍼형 스프링(10') 및 밸브로드(13)(14)와 접하는 푸셔(12)(12')와,
    상기 격벽(7)상에는 에어공급관(18) 및 에어배출관(19)이 각각 연결되며 오리피스(orifice; 17)로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밸브공(15)(16)과,
    상기 밸브공(15)(16)에 결합되며 푸셔(12)(12')에 의해 교대로 작동하는 밸브(13a)(14a)가 형성된 밸브로드(13)(14)가 지지홀더(20)로 지지 구성되고,
    상기 유압유니트(3)는 격벽(7') 외측으로 돌출된 피스톤로드(6)에 결합되는 피스톤(5') 및 상기 실린더(4'') 내부에 고정 설치된 피스톤(5")에 의해 형성되는 격벽(7') 양측의 유압챔버(9)(9')와,
    상기 격벽(7')에 액상물이 유입 및 토출되도록 형성한 흡입관(32) 및 토출관(33)과,
    상기 흡입관(32)과 토출관(33) 상간에 설치한 스프링(10a)이 내입된 체크밸브(34)(35)로 구성되며,
    상기 격벽(7)(7')과 실린더(4)(4')(4")를 결합하도록 실린더(4)(4") 외측에 배치한 플랜지(40)와 이들을 조립하는 볼트(41) 및 너트(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2.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1)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압으로 피스톤(5)(5')을 구동하는 공압유니트(2)와,
    상기 공압유니트(2)의 피스톤(5)(5') 및 이들과 연동되는 피스톤(5")의 구동에 의해 액상물의 유입 및 토출을 단속하는 유압유니트(3)로 구성되며,
    상기 공압유니트(2)는 양측 격벽(7)(7')에 결합된 실린더(4)(4')(4")내부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된 피스톤로드(6)와,
    상기 격벽(7) 양측으로 피스톤로드(6)에 결합한 피스톤(5)(5')에 의해 성형되는 공압챔버(8)(8')와,
    맥동을 감쇄시키고 왕복운동 시 속도를 증대시키도록 피스톤(5)(5')의 바깥쪽에 배치한 스프링(10) 및 스프링(10)을 탄력 지지하도록 피스톤로드(6)에 고정한 고정수단(11)과,
    격벽(7)쪽 피스톤로드(6) 상에 개재한 테이퍼형 스프링(10') 및 밸브로드(13)(14)와 접하는 푸셔(12)(12')와,
    상기 격벽(7)상에는 에어공급관(18) 및 에어배출관(19)이 각각 연결되며 오리피스(orifice; 17)로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밸브공(15)(16)과,
    상기 밸브공(15)(16)에 결합되며 푸셔(12)(12')에 의해 교대로 작동하는 밸브(13a)(14a)가 형성된 밸브로드(13)(14)가 지지홀더(20)로 지지 구성되고,
    상기 유압유니트(3)는 공압유니트(2)의 격벽(7) 양측 실린더(4)(4')에 설치된 피스톤(5)(5')과,
    상기 피스톤(5')과 격벽(7') 사이에 형성되는 유압챔버(9)와,
    상기 피스톤(5)과 플랜지(40a) 사이에 형성된 유압챔버(9')와
    실린더로드(6) 내측으로 형성된 이송공(6a)을 통해 연결되는 격벽(7')과 플렌지(40a') 사이에 형성된 유압챔버(9")와,
    상기 격벽(7')에는 액상물이 유입 및 토출되도록 형성한 흡입관(32) 및 토출관(33)과,
    상기 흡입관(32)과 토출관(33) 상간에 설치한 스프링(10a)이 내입된 체크밸브(34)(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7)상의 밸브공(15)(16)과 지지홀더(20)에 결합되며, 양단에 안내홈(13b)을 형성하고, 밸브(13a)(14a)를 형성한 밸브로드(13)(14)와,
    상기 지지홀더(20)에 상하 관통되는 구멍(21)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21)에 밸브로드(13)(14)의 안내홈(13b)에 부합하는 멈춤핀(22)이 스프링(23)에 의해 탄지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7)상의 밸브공(15)(16)과 지지홀더(20)에 결합되는 밸브로드(13)(14)와,
    상기 밸브로드(13)는 좌우 공압챔버(8)(8')와 밸브공(15)과 각각 연결된 관통공(13c)과,
    상기 타측의 밸브로드(14)는 밸브공(16)내측으로 상호 연결된 관통공(14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KR1020060004585A 2006-01-16 2006-01-16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KR10071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585A KR100719837B1 (ko) 2006-01-16 2006-01-16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585A KR100719837B1 (ko) 2006-01-16 2006-01-16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837B1 true KR100719837B1 (ko) 2007-05-18

Family

ID=3827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585A KR100719837B1 (ko) 2006-01-16 2006-01-16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001B1 (ko) 2012-02-14 2013-12-16 이시옥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720A (ja) * 1994-12-21 1996-07-12 Ahresty Corp 送液用ポンプ
KR19980014226U (ko) * 1996-08-08 1998-06-05 허남종 점액성 액체이송용 왕복펌프
JP2000199475A (ja) * 1998-12-25 2000-07-18 Aisin Kiko Kk ポンプ
KR20010047749A (ko) * 1999-11-23 2001-06-15 권순호 에어구동펌프
KR200278456Y1 (ko) * 2002-03-12 2002-06-14 동명기전(주) 공압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식 유압펌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720A (ja) * 1994-12-21 1996-07-12 Ahresty Corp 送液用ポンプ
KR19980014226U (ko) * 1996-08-08 1998-06-05 허남종 점액성 액체이송용 왕복펌프
JP2000199475A (ja) * 1998-12-25 2000-07-18 Aisin Kiko Kk ポンプ
KR20010047749A (ko) * 1999-11-23 2001-06-15 권순호 에어구동펌프
KR200278456Y1 (ko) * 2002-03-12 2002-06-14 동명기전(주) 공압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식 유압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001B1 (ko) 2012-02-14 2013-12-16 이시옥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5808B2 (en) Positive displacement pum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5988987A (en) Method for merging and/or ratio blending aliquant
KR100210224B1 (ko) 다이어프램 펌프
KR101422807B1 (ko) 피스톤 없는 압축기
KR100649331B1 (ko) 고점도용 무맥동 공압펌프
CN101600883B (zh) 正排量泵设备
KR100719837B1 (ko) 공압식 자동 피스톤 펌프
JP2020002949A (ja) 流体ポンプ、これ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156537A (en) Multiphase fluid mass transfer pump
KR20130013399A (ko) 펌프
KR100549098B1 (ko) 유체 자동 흡, 토출장치
US11519403B1 (en) Compressor for pumping fluid having check valves aligned with fluid ports
RU22827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нетания газов и газожидкостных смесей
CN115288968B (zh) 一种用于输送高含固介质的往复泵及系统
RU2600212C1 (ru) Ступень поршневой гибридной машины
US737499A (en) Pump.
KR101188224B1 (ko) 저맥동 다이어프램 펌프
RU215191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агнетания газожидкостной смеси
KR101059063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KR200363861Y1 (ko) 공압식 자동펌프의 구동장치
RU2306454C2 (ru) Способ сжатия газа или газожидкостной смеси с помощью проточного жидкостного поршн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SU1416765A1 (ru) Поршневой инерционный насос
KR100955331B1 (ko) 유체작동 펌프 및 이 펌프를 구비하는 펌핑시스템
WO1999015791A1 (fr) Installation de pompage servant a faire monter un fluide hors d'un puits de forage, pompe et procede de pompage d'un milieu fluide
RU21456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нетания газожидкостной смес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