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402B1 -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402B1
KR100719402B1 KR1020050122343A KR20050122343A KR100719402B1 KR 100719402 B1 KR100719402 B1 KR 100719402B1 KR 1020050122343 A KR1020050122343 A KR 1020050122343A KR 20050122343 A KR20050122343 A KR 20050122343A KR 100719402 B1 KR100719402 B1 KR 10071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power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startup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892A (ko
Inventor
나오키 이와사
데루히코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밧데리 등의 휴대형 전원의 전력 소모에 의한 전원 차단에 의한 중단이 허용되지 않는 처리 시에, 확실하게 정보 처리 장치를 비휴대형의 전원에 접속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휴대형 전원(16)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정보기기(1)로서, 비휴대형 전원(20, 21)에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외부 전력 수급부(17)와, 상기 휴대형 전원(16) 또는 상기 외부 전력 수급부(17)에 접속된 비휴대형 전원(20, 21)으로부터의 전력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조작부(SW)와, 상기 전력 공급에 의해 상기 정보기기(1)의 기동이 이루어졌을 때, 그 기동이 상기 정보기기(1)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11, 19)와, 상기 기동이 상기 정보기기(1)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외부 전력 수급부(17)가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접속 검지부(l1, 18)와, 상기 기동이 상기 정보기기(1)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이라고 판정되어, 외부 전력 수급부(17)와 상기 비휴대형 전원(20, 21)이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검지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외부 전력 수급부(17)와 상기 비휴대형 전원(20, 21)의 접속을 재촉하는 통지부(13)를 구비한다.
외부 전력 수급부, 판정부, 접속 검지부, AC 어댑터 단자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도 1은 정보 처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AC 어댑터를 통하여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도록 재촉하는 메시지의 예.
도 3은 공장 출하 후, 최초로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를 기동한 후에 실행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4는 임계(critical) 처리 또는 장시간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프로그램의 플로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 처리 장치
11 : CPU
12 : 메모리
13 : 디스플레이
14 : 하드디스크 장치
15 : 제거 가능한(removable) 미디어 장치
16 : 배터리
17 : AC 어댑터 단자
18 :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checking register)
19 :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flag register)
21 : AC 어댑터
SW : 전원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형 전원으로 이용 가능한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 및 그러한 전자기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노트형 PC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장치 출하 후에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의 잔량이 적은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장치의 출하 시점에서 배터리는 어느 정도 충전되어 있다. 그러나, 출하 후 장치가 유저에게 납품되어 실제로 사용될 때까지의 기간에 조금씩 배터리 잔량이 저감해간다.
그러한 장치에서는, 유저가 장치 구입 후에 처음으로 장치를 기동하면, 먼저 유저는 시스템 환경을 구축(OS나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배터리의 잔량이 적은 상태에서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환경의 구축이 완료되기 전에 배터리가 떨어져 전원의 차단이 발생하여, 정확한 환경 구축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최초에 전원을 투입할 경우, 시스템의 OS나 애플리케이션의 셋업을 완료하는데 몇십분∼1시간 정도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셋업이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만큼 배터리에 의한 운용으로 장치가 동작 가능하면 문제없다. 그러나, 배터리가 도중에 소모해 버릴 경우에는 전원이 도중에 끊어져 셋업 작업이 중단된다. 그 때문에 정상적으로 셋업이 완료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PC 등의 장치 사용시, 배터리의 전력 소모에 따른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2 참조). 이들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확장 유닛에 접속되는 PC에 대해서 배터리로 PC를 사용했을 때에, AC 어댑터를 통해서 PC를 전원에 접속하도록 재촉하는 접속 경고음 또는 경고 메시지가 발생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 등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PC를 사용할 때마다, AC 어댑터를 통하여 PC를 전원에 접속하도록 재촉하기 때문에, PC의 조작성이 손상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평 04-01001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평 04-12311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의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배터리 등의 휴대형 전원의 전력 소모에 의한 전원 차단에 의한 처리 중단을 회피해야 할 처리 시에, 전자기기를 확실하게 비휴대형의 전원에 접속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방법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은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의 기동이 이루어졌을 때, 그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휴대형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있을 때,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가 공장 출하 후에 최초로 기동되어 휴대형 전원으로 구동되고 있다고 검지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한다. 따라서, 공장 출하 후 유저의 사용이 개시된 후에 최초로 이루어진 작업 시에, 비휴대형 전원을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것을 유저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어느 하나의 기능을 상기 전자기기에 실현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에 소정의 처리가 개시되었을 때에, 구동에 이용되고 있는 전원을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에 의해 상기 휴대형 전원으로 구동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 스텝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처리가 개시되어 휴대형 전원으로 구동하고 있다 고 검지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비휴대형 전원을 전자기기에 공급할 것을 확인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예라고 한다.)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실시예의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상당)를 설명한다. 도 1은 정보 처리 장치(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정보 처리 장치(1)는, 예를 들면 노트형 PC로서 실현된다. 도 1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1)는 CPU(11)와, CPU(11)의 내부 버스에 접속되는 메모리(12)와, 디스플레이(13)와, 하드디스크 장치(14)와, 제거 가능한 미디어 장치(15)와,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18)와,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와, 정보 처리 장치(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6)(본 발명의 휴대형 전원에 상당)와, 상용 전원 등 외부의 교류 전원(20)으로부터 AC 어댑터(21)(교류 전원(20)과 AC 어댑터(21)가 본 발명의 비휴대형 전원에 상당)를 통하여 정보 처리 장치(1)에 전력을 공급하는 AC 어댑터 단자(17)(본 발명의 외부 전력 수급부에 상당)와, 배터리(16) 및 AC 어댑터 단자(17) 각각에 병렬로 접속된 전력 배선을 차단 가능하게, 정보 처리 장치(1)의 각부에 접속하는 전원 스위치(SW)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는 디스플레이(13), 하드디스크 장치(14), 제거 가능한 미디어 장치(15)를 내부 버스에 접속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지만, 도 1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여기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란, 주변 장치를 내부 버스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인터페이스,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 ATA(AT Attachment) 인터페이스,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 인터페이스 등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는 네트워크상의 노드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지만, 도 1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CPU(11)는 메모리(12) 상에 전개되는 OS, 또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 처리 장치(1)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메모리(12)에는 하드디스크 장치(14) 또는 제거 가능한 미디어 장치(1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이 전개되어, CPU(11)에 의해 실행 가능한 형식으로 유지된다. 또한, 메모리(12)는 CPU(11)가 처리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디스플레이(13)는 CPU(11)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3)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다. 하드디스크 장치(14)는 OS,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CPU(11)가 처리하는 데이터, CPU(11)에 의한 처리 결과의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제거 가능한 미디어 장치(15)에는 착탈 가능한 매체, 예를 들면 CD, DVD 등이 장착되어, 이들 매체와 메모리(12) 사이, 또는 이들 매체와 하드디스크 장치(14) 사이에서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또한, 제거 가능한 미디어 장치(15)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flexible)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어댑터 등이어도 좋다. 또한, 제거 가능한 미디어 장치(15)는 도시하지 않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정보 처리 장치(1)에 외부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전원 스위치(SW)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16) 및 AC 어댑터 단자(17)의 각각에 병렬로 접속된 전력 배선을 정보 처리 장치(1)의 각부에 접속 또는 차단한다.
배터리(16)는 전원 스위치(SW)를 통하여 정보 처리 장치(1)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16)는 AC 어댑터 단자(17)에 접속되는 AC 어댑터(21)를 통하여 교류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력을 축적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AC 어댑터 단자(17)는 교류 전원(20)으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16)에 공급함과 동시에, 전원 스위치(SW)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1)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AC 어댑터(21)를 통하여 교류 전원(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배터리(16)의 충전 상태에 상관없이 정보 처리 장치(1)에는 충분한 전력이 공급된다.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18)는 AC 어댑터 단자(17)의 상태에 따라, 1 또는 0의 값을 유지하여 CPU(11)에 판독시킨다. 예를 들면, AC 어댑터(21)로부터 직류 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경우에는,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18)는 온(ON)을 표시하는 값 1을 유지한다. 또한, AC 어댑터(21)로부터 직류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18)는 오프(OFF)를 나타내는 값 0을 유지한다. CPU(11)는 내부 버스를 통하여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18) 값을 판독하고, AC 어댑터(21)로부터 전력의 공급 상태를 검지한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CPU(11)와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18)가 본 발명의 접속 검지 부에 상당한다.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된다. 공장으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1)가 출하될 때에,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에는 첫회 기동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1)이 설정된다. 이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의 값을 판정하는 CPU(11)와,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가 본 발명의 판정부에 상당한다.
CPU(11)는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가 출하 후 최초의 기동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CPU(11)는 첫회 기동 후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셋업 처리 등을 완료하면,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를 소거(clear)한다.
이렇게 하여, CPU(11)는 첫회 기동 시에는 AC 어댑터(21)의 접속을 확인하고,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유저에게 AC 어댑터(21)를 통하여 교류 전원(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도록 재촉한다. 즉, CPU(11)는 디스플레이(13)에 소정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유저에 대하여 AC 어댑터(21)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를 교류 전원(20)에 접속하도록 재촉한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CPU(11)와 디스플레이(13)가 본 발명의 통지부에 상당한다.
도 2에 그 경우의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다. 즉, 이 메시지에서는 “처음으로 전원을 넣을 때에는, 반드시 AC 어댑터를 부착해 주십시오. AC 어댑터를 접속합니까, <F1>키를 누르면 계속합니다. AC 어댑터를 부착하고 있지 않으면, OS 셋업 중에 배터리 잔량이 없어져, OS 셋업에 실패할 경우가 있습니다.”라고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공장 출하 후의 정보 처리 장치(1)를 입수하고, 전원 스위치(SW)를 조작함으로써 처음으로 전원을 투입하여 시스템을 기동했을 때에, 반드시 AC 어댑터(21)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즉, AC 어댑터(21)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는 AC 어댑터(21)를 교류 전원(20)에 접속하고, 또한 AC 어댑터(21)를 AC 어댑터 단자(17)에 접속한다.
그 결과, 공장 출하 후, 최초에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를 기동한 후에 실행되는 셋업 처리에서, 확실하게 배터리(16) 이외의 외부 전원(도 1의 교류 전원(20) 등)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셋업 작업에서는, (1)라이센스 계약서의 확인 (2)OS에의 각종 정보의 등록 (3)컴퓨터명 등록 (4)유저명 등록 (5)선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 (6)도메인에의 참가 작업 (7)인터넷에의 접속 작업 (8)제조사 웹사이트에의 유저 등록 등이 배터리의 충전 부족에 의한 전원 차단 없이 실행되게 된다.
여기에서, OS에의 각종 정보의 등록이란,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서 OS의 업데이트를 자동적으로 갱신할 것인지의 여부의 설정에 의한 제어 파라미터의 등록이다. 자동 갱신을 설정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인터넷 상의 제조사의 웹사이트에 정기적으로 액세스하여, OS의 업데이트용 파일이 있을 경우에, 그 업데이트용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자기 장치의 OS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컴퓨터명은 LAN 상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인식되는 컴퓨터명(노드명(node name)이라고도 한다)이다. 유저명은 멀티 유저 환경을 서포트하는 0S에서 의 각각의 유저명이다.
선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란, 예를 들면 주변 장치에 의존하여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주변 장치에 의존하여 탑재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등이다. 이들은 유저의 확인을 취한 후, 인스톨되게 된다.
도메인에의 참가 작업이란, 네트워크상의 복수의 컴퓨터 모임으로서 정의되는 도메인에 정보 처리 장치(1)를 가입시키는 처리이다. 이 처리에서는 유저로부터의 도메인명, 유저명, 패스워드의 입력에 따라 처리가 실행된다.
인터넷에의 접속 작업이란, 상기 정보 처리 장치(1)를 인터넷에 접속하는 작업이다. 이 설정을 하는 경우,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선택지(DSL, LAN, 아날로그 모뎀 등)로부터 사용하는 접속 형태를 선택하고, 선택한 접속 형태 고유 정보(예를 들면, 아날로그 모뎀이면 엑세스 포인트의 전화번호나 자기 단말의 주소 정보 등, LAN이면 IP어드레스 등) 및 각 접속 형태에 공통의 정보 입력, 설정을 행한다. 이 설정에 의해, 인터넷에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OS 제조사에 유저 등록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는 유저 조작에 따라 OS 제조사의 서버와 정보를 수수(授受)하면서 유저 정보의 입력, 설정을 행하게 된다.
도 3은 공장 출하 후, 최초에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를 기동한 후에 실행되는 정보 처리 장치(1)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1)의 하드디스크(14) 또는 도시하지 않은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CPU(11)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정보 처리 장치(1)의 전원 스위치(SW)가 온이 되면, 도 3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CPU(11)는 우선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를 참조하여, 첫회 기동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 첫회 기동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CPU(11)는 첫회 기동이 아니라고 판정하여 S4 처리로 제어를 진행한다.
한편, 첫회 기동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CPU(11)는 다음에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18)를 참조하여,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경우, CPU(11)는 S4 처리로 제어를 진행한다.
한편,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 CPU(11)는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를 표시한다(S3). 또한, CPU(11)는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를 소거한다(S4). 그 후, CPU(11)는 정보 처리 장치(1)를 기동한다. 그 후, 공장 출하 후의 셋업 처리 등이 실행된다.
이상에서 논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는 공장 출하 후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를 최초에 기동하려고 했을 때에,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 CPU(11)는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 결과, 배터리(16)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공장 출하 후 최초의 처리가 속행되어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에 실행되는 셋업 처리 도중에 있어서, 배터리(16)의 충전 부족에 의해 전원이 차단하여 정보 처리 장치(1)가 정지해버리는 위험성을 저감할 수 있다.
공장 출하 후의 셋업 처리에서는, (1)라이센스 계약서의 확인 (2)OS에의 각종 정보의 등록 (3)컴퓨터명 등록 (4)유저명 등록 (5)선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 (6)도메인에의 참가 작업 (7)인터넷에의 접속 작업 (8)제조사 웹사이트에의 유저 등록 등이 실행된다. 이 때문에, 이 처리 도중에 전원이 차단되면, 정보 처리 장치(1)의 재기동이 곤란해지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에 의하면, 그러한 문제를 회피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CPU(11)는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를 표시한 후, 첫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19)를 소거한다. 이 때문에, 이후의 정보 처리 장치(1)의 전원 투입에서는, 벌써 첫회 기동 플래그는 오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를 사용할 때마다, 또는 정보 처리 장치(1)를 기동할 때마다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가 표시되어, AC 어댑터(21)의 접속이 재촉되는 경우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AC 어댑터(21)의 접속을 확실히 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1)의 조작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의 공장 출하 후 첫회 기동 시에,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1)를 설명하였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처리에 의해, 공장 출하 후 유저가 최초로 정보 처리 장치(1)를 기동하고, 셋업 처리를 실행하는 도중에서의 배터리(16)의 충전 부족에 의한 전원 차단을 회피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 차단의 문제는 공장 출하 후의 셋업 처리중으로만 한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OS의 재인스톨시, 또는 OS의 버전업시 등, 시스템 구축 시에, 배터리(16)의 충전 부족에 의한 전원 차단이 발생하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를 사용할 때에, 정보 처리 장치(1)가 항상 AC 어댑터(21)의 접속을 재촉하므로,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장치(1)의 조작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의 처리 실행시(실행 전)에,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유저에게 접속을 재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처리는, 예를 들면 OS의 재인스톨 처리이다. 따라서, OS의 재인스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선두에 본 실시예의 처리를 편입시키면 좋다. 또한, 이러한 처리는 OS의 버전업 처리이다. 따라서, OS의 버전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선두에 본 실시예의 처리를 편입시키면 좋다. 또한, 그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CD, DVD 등의 제거 가능한 미디어)의 선두에 그러한 처리 스텝을 저장하면 좋다.
도 4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프로그램의 플로 차트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장치(1)의 OS의 재인스톨시, 또는 OS의 버전업 등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개시 시의 처리에 상당한다. 또한, 예를 들면 규모가 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스톨, 하드디스크 장치(14)의 백업 파일로부터의 복구 등, 완료까지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선두에서, 도 4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처리에서, CPU(11)는 우선 AC 어댑터 접속 체크 레지스터(18)를 참조하여,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 CPU(11)는 처리 프로그램 본래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본래의 처리란, OS의 재인스톨시, OS의 버전업, 규모가 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스톨, 또는 하드디스크 장치(14)의 백업 파일로부터의 복구 등이다.
한편,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 CPU(11)는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를 표시한다(S3). 그 후, CPU(11)는 처리 프로그램 본래의 처리를 실행한다(S5).
이상에서 논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처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OS의 재인스톨시, OS의 버전 업과 같이 처리의 도중에 전원의 차단이 발생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처리(임계 처리), 또는 규모가 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스톨, 하드디스크 장치(14)의 백업 파일로부터의 복구 등, 완료까지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처리(장시간 처리)를 실행할 때에, 처리 그램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1)에서,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 CPU(11)는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 결과, 배터리(16)에서 구동되고 있는 상태로, 임계 처리 또는 장시간 처리가 속행되어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처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AC 어댑터(21)로부터 AC 어댑터 단자(1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임계 처리 또는 장시간 처리 등, 소정의 처리를 실현하는 처리 프로그램 중이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를 편입한 처리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의 실행에서는,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를 사용할 때마다 AC 어댑터 접속 메시지가 표시되어, AC 어댑터(21)의 접속이 재촉되는 경우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AC 어댑터(21)의 접속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1)의 조작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프로그램 부분을 제거 가능한 미디어의 선두에 저장해 두어도 좋다. 즉, 임계 처리 또는 장시간 처리를 포함하는 제거 가능한 미디어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도, 도 4의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컴퓨터 그외의 기계, 장치(이하, 컴퓨터 등)에 상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등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등에 이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 등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축적하고, 컴퓨터 등으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말한다. 이러한 기록 매체 중 컴퓨터 등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W, DVD, DAT, 8mm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등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나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다.
<기타>
이하에 본 발명을 부기한다.
(부기 1)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의 기동이 이루어졌을 때, 그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휴대형 전원에 의해 구동하고 있을 때,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부기 2)
상기 전자기기가 기동된 후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비휴대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수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전자기기.
(부기 3)
상기 휴대형 전원은 전지이며, 상기 비휴대형 전원은 외부 전원인 부기 1에 기재된 전자기기.
(부기 4)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에,
상기 전자기기의 기동이 이루어졌을 때, 그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휴대형 전원에 의해 구동하고 있을 때,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 스텝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부기 5)
상기 전자기기가 기동된 후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비휴대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수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스텝을 갖는 부기 4에 기재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부기 6)
상기 휴대형 전원은 전지이며, 상기 비휴대형 전원은 외부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부기 7)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에서의 통지 방법으 로서,
상기 전자기기의 기동이 이루어졌을 때, 그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휴대형 전원에 의해 구동하고 있을 때,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 스텝을 구비하는 통지 방법.
(부기 8)
상기 전자기기가 기동된 후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비휴대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수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스텝을 갖는 부기 7에 기재된 통지 방법.
(부기 9)
상기 휴대형 전원은 전지이며, 상기 비휴대형 전원은 외부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통지 방법.
(부기 10)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소정의 처리가 시작되었을 때에, 구동에 이용되고 있는 전원을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전원으로 구동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부기 11)
상기 휴대형 전원은 전지이며, 상기 비휴대형 전원은 외부 전원인 부기 10에 기재된 전자기기.
(부기 12)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에,
소정의 처리가 시작되었을 때에, 구동에 이용되고 있는 전원을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에 의해 상기 휴대형 전원으로 구동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 스텝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부기 13)
상기 휴대형 전원은 전지이며, 상기 비휴대형 전원은 외부 전원인 부기 12에 기재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부기 14)
휴대형 전원과 비전원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에서의 통지 방법으로서,
소정의 처리가 개시되었을 때에, 구동에 이용되고 있는 전원을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에 의해 상기 휴대형 전원으로 구동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 스텝을 구비하는 통지 방법.
(부기 15)
상기 휴대형 전원은 전지이며, 상기 비휴대형 전원은 외부 전원인 부기 14에 기재된 통지 방법.
전자기기의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배터리 등의 휴대형 전원의 전력 소모에 의한 전원 차단에 의한 중단을 회피해야 할 처리 시에, 전자기기를 상용 전원 등의 비휴대형 전원에 접속시키도록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공장 출하 후 첫 회 기동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셋업 처리 완료 후 소거되는 첫 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flag register)와, 상기 전자기기의 기동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첫 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의 값을 판정하여 상기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CPU를 포함하는 판정부와,
    상기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휴대형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있을 때,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기동된 후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비휴대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수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3.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에,
    상기 전자기기의 기동이 이루어졌을 때, 공장 출하 후 첫 회 기동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셋업 처리 완료 후 소거되는 첫 회 기동 플래그 레지스터의 값을 판정하여, 상기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기동이 상기 전자기기의 공장 출하 후 최초의 기동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휴대형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있을 때,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 스텝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기동된 후에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비휴대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수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스텝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휴대형 전원과 비휴대형 전원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기기에,
    OS의 재인스톨, OS의 버전업, 규모가 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스톨, 또는 하드디스크 장치의 백업 파일로부터의 복구 등과 같이 완료까지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처리가 시작되었을 때에, 구동에 이용되고 있는 전원을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에 의해 상기 휴대형 전원으로 구동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유저에게 상기 비휴대형 전원에 의한 구동을 재촉하는 통지 스텝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기동한 후에 OS의 재인스톨 처리, OS의 버전업 처리, 규모가 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스톨 처리, 또는 하드디스크 장치의 백업 파일로부터의 복구 처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비휴대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수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기동한 후에 OS의 재인스톨 처리, OS의 버전업 처리, 규모가 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스톨 처리, 또는 하드디스크 장치의 백업 파일로부터의 복구 처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비휴대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수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0050122343A 2005-08-31 2005-12-13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719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2144 2005-08-31
JP2005252144A JP2007066060A (ja) 2005-08-31 2005-08-31 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892A KR20070025892A (ko) 2007-03-08
KR100719402B1 true KR100719402B1 (ko) 2007-05-17

Family

ID=3776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343A KR100719402B1 (ko) 2005-08-31 2005-12-13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5886B2 (ko)
JP (1) JP2007066060A (ko)
KR (1) KR100719402B1 (ko)
CN (1) CN100480958C (ko)
DE (1) DE10200600203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0357A (ja) * 2008-05-29 2010-01-28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使用開始日記録方法
JP5939708B2 (ja) * 2012-04-27 2016-06-22 楽天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286167B2 (en) * 2012-08-09 2016-03-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f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em using communication device
JP6229744B2 (ja) * 2016-02-29 2017-11-15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11086371B2 (en) 2018-06-06 2021-08-10 Lenovo (Singapore) Pte. Ltd. Heat suppression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 an initial setting mode
JP6644989B2 (ja) * 2018-06-06 2020-02-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929A (ko) * 1992-01-31 1993-08-30 이헌조 배터리 잔량 시간 음성 경고장치
KR940003137A (ko) * 1992-07-23 1994-02-19 강진구 배터리잔량에 따른 시스템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5067A (ko) * 1997-09-10 1999-04-06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상태 표시 방법
KR20020014361A (ko) * 2000-08-17 2002-02-25 윤종용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에 적합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전원 공급 장치
US20020052706A1 (en) * 2000-01-17 2002-05-02 Shigefumi Odaohhar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computer,power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KR20020041615A (ko) * 2000-11-28 2002-06-03 구자홍 휴대용 기기의 절전방법
KR20030071345A (ko) * 2002-02-28 2003-09-03 알파 지이테크(주) 경보 기능을 가진 타이머
KR20050012403A (ko) * 2003-07-25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017A (ja) * 1990-04-27 1992-01-14 Toshiba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H04123119A (ja) 1990-09-13 1992-04-23 Toshiba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H11249971A (ja) * 1998-02-27 1999-09-17 Canon Inc 内部電源を有する機器のデータ書き換え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1071576A (ja) * 1999-09-06 2001-03-21 Canon Inc 走査装置
JP2001306193A (ja) * 2000-04-25 2001-11-0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1331327A (ja) * 2000-05-24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CN1229708C (zh) 2000-11-28 2005-11-30 Lg电子株式会社 一种基于电池剩余容量控制盘写入操作的方法
JP4114035B2 (ja) * 2000-12-06 2008-07-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CN2599596Y (zh) 2002-12-30 2004-01-1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在电池耗尽前预先检测及处理的装置
JP4355849B2 (ja) * 2003-06-06 2009-11-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装置の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25027A (ja) * 2003-07-04 2005-01-27 Make Softwear:Kk 写真自動販売機および写真自動販売機におけるポーズ誘導方法
JP4128542B2 (ja) * 2004-04-16 2008-07-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バッテリー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929A (ko) * 1992-01-31 1993-08-30 이헌조 배터리 잔량 시간 음성 경고장치
KR940003137A (ko) * 1992-07-23 1994-02-19 강진구 배터리잔량에 따른 시스템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5067A (ko) * 1997-09-10 1999-04-06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상태 표시 방법
US20020052706A1 (en) * 2000-01-17 2002-05-02 Shigefumi Odaohhar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computer,power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KR20020014361A (ko) * 2000-08-17 2002-02-25 윤종용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에 적합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전원 공급 장치
KR20020041615A (ko) * 2000-11-28 2002-06-03 구자홍 휴대용 기기의 절전방법
KR20030071345A (ko) * 2002-02-28 2003-09-03 알파 지이테크(주) 경보 기능을 가진 타이머
KR20050012403A (ko) * 2003-07-25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0958C (zh) 2009-04-22
DE102006002033A1 (de) 2007-03-15
US7615886B2 (en) 2009-11-10
US20070046104A1 (en) 2007-03-01
JP2007066060A (ja) 2007-03-15
CN1924760A (zh) 2007-03-07
DE102006002033B4 (de) 2011-07-07
KR20070025892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39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irmware of removable media device
KR100719402B1 (ko)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7929706B2 (en) Encryption key restor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encryption key restoring program
EP2192516A1 (en) Method for upgrading antivirus software and terminal and system thereof
CN105917306B (zh) 用于配置系统固件配置数据的系统和方法
CN108304282B (zh) 一种双bios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05094927A (zh) 一种设备固件升级方法和装置
CN112612524A (zh) Linux系统启动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6155713B (zh) 启动信息管理方法及装置
CN105824649A (zh) 确定驱动应用程序安装是否成功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TW202131170A (zh) 韌體損壞恢復技術
CN100410893C (zh) 自行修复嵌入式设备的主控应用程序的方法及设备
KR20110005991A (ko)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5167883A (zh) 一种操作系统安装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201015296A (en) Method for auto-testing environment variable setting
CN112083964B (zh) 作业系统布署方法
CN211427090U (zh) 微控制单元设备
CN106484474A (zh) 固件升级方法、装置及计算机
CN1797337B (zh) 计算机软件自动安装的方法
CN102681862A (zh) 新型应用软件便捷安装方法
CN117093238A (zh) 基于输入输出系统bios的升级方法和终端设备
CN115686582A (zh) 一种电子设备的系统升级方法及装置
CN116149741A (zh) 显卡驱动的配置方法、主机、显卡、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224672A (zh) 电子元器件的保护方法及控制电路
CN113778496A (zh) 固件升级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