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686B1 - 조립식 안치단 - Google Patents

조립식 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686B1
KR100718686B1 KR1020060015231A KR20060015231A KR100718686B1 KR 100718686 B1 KR100718686 B1 KR 100718686B1 KR 1020060015231 A KR1020060015231 A KR 1020060015231A KR 20060015231 A KR20060015231 A KR 20060015231A KR 100718686 B1 KR100718686 B1 KR 10071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ettling chamber
prefabricated
assembled
a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호메모리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호메모리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호메모리얼
Priority to KR102006001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함을 안치하는 안치단의 안치실을 격자형의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설치 및 조립성은 물론이고 외관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단열기능을 가지는 이중벽체로 형성하여 유골의 보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안치단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금속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격자형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적어도 2면 이상에 외향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가지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에 상하, 좌우로 조립되어 안치실의 사방 격벽을 형성하면서도 에어포켓을 가지는 이중구조의 패널과; 상기 안치실의 전면 패널에 별도의 사각조립체에 의해 종,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의해 안치실의 전면에 체결되어 내부를 밀폐토록 하는 투명도어:로 구성된다.
납골당, 안치단, 유골함, 안치실

Description

조립식 안치단{Fabricated enshrine a stag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구성도
도 3은 도2의 상태를 평면으로 보인 구성도
도 4는 도3에서 결합된 상태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안치실의 조립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패널의 조립구성도
도 7은 도6의 요부를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투명도어의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횡으로 설치되는 고정체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조립상태를 보인 구성도로서
(a)는 고정체를 종,횡방향으로 조립한 상태도.
(b)는 조립된 고정체에 투명도어를 조립한 상태도
(c)는 사각조립체를 최종적으로 조립한 마감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안치단 유니트 10:안치실
20:후면판 21:브라켓트
30:연결체 31:체결돌기
40:패널 41:에어포켓
50:고정체 51:사각조립체
52:보울트공 53:단면
54:리브 54a:조립홈
55:장식부재 56:체결홈
60:투명도어 61:힌지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조립식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함을 안치하는 안치단의 안치실을 격자형의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설치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이중벽체로 형성하여 단열기능 및 결로방지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유골함의 하중이 무거워지는 점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유골의 보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안치단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장묘문화는 전통적으로 매장방식을 선호하였으나 이는 묘지 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파괴 등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점도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장묘에 대한 인식이 매장에서 화장으로 많이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화장된 유골은 단지 또는 상자형태의 유골함에 넣어 납골당의 각 안치실 내에 안치하고 있다.
상기 납골당은 다수의 안치실을 가지는 건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가 제안되어 널리 시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납골당의 대체적인 구조는 그 내부에 유골함을 보관하기 위한 안치단을 형성하고, 이 안치단에는 일정한 크기의 안치실을 상·하, 좌·우로 연속되는 격자형태로 형성하며, 이의 전면은 투명도어 등으로 밀폐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도어로 개폐토록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공개특허공보 2003-69519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다수의 수직기둥들이 수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수직기둥에는 다수의 수평기둥(가로부재)들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골조가 형성되고, 이 골조에 의해 구획되는 사각형의 공간내에는 상하, 좌우 벽면에 금속판의 케이스가 용접에 의해 설치되어 납골함이 수납되는 안치실이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안치실의 전면에는 별도의 도어가 개폐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치단 구조는 조립식이 아니라 시설물로 이루어지는 것임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구조적 결함 등으로 인하여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방법도 어려운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삭제
종래의 구조적인 특성은 일반적인 건축물을 건축하는 것과 같이 수직기둥을 기립설치함과 아울러, 이의 수직기둥에 수평기둥들을 설치함으로써 시설하고자 하는 크기나 형태 등에 따른 골조를 먼저 형성하는 것이고, 이같이 골조를 형성한 다음에는 수직 및 수평기둥들로 인하여 구획되는 각 공간내에 금속판체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스포트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다수의 안치실을 형성하는 것임으로써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성은 물론 공사비용도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방법도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수직 및 수평의 기둥으로서 골조를 고정식으로 시공한 다음, 이의 골조에 각 안치실을 시공하는 구성임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고, 또한 각 안치실을 구획하는 격벽이 금속판의 얇은 케이스로 구성됨에 따라 안치실내의 단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납골함이 수납되는 안치실 내부에는 습기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각 안치실은 좌·우 벽면과 천정 및 바닥면이 단순히 금속재질의 얇은 판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으로 각 안치실 내부에는 습기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이 유골함내에 발생되는 습기는 실제로 유골의 부패를 초래하게 됨은 물론이고, 심한 악취와 더불어 각종 벌레가 서식하게 되는 등 보관상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고, 이에 따라 매년 여러 번에 걸쳐서 납골함 전체를 꺼내어 자연광으로 건조시키는 유지관리를 행하고 있는 것이며, 이는 안치단의 유지관리에 따른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서는 건물 자체에 냉,난방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나, 이러한 경우 시설비의 증가는 물론이고 유지관리비가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유지관리비를 점차 줄이려고 하는 현실적인 문제점과 배치될 뿐만 아니라 현재의 납골당은 묘지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설비적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추세이다.
또한, 근자에는 유골을 안정되게 장기 보관한다는 측면에서 유골함을 목재 등의 재질에서 석재, 도자기 등의 재질로 바뀌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며, 이에 따라 유골함이 중량화되고 있음으로써 종래의 구조에서는 안치실의 바닥면이 쉽게 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외에도 각 안치실의 패널이 설치된 후에는 각 패널이 연결되는 용접부위나 연결핀들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이게 됨으로써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안치단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 및 조립성은 물론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면서도 외관을 좋게 하도록 하는 조립식 안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치단의 각 안치실을 이중벽체로 형성하여 단열기능 및 결로방지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토록 하여 유골함을 균질한 환경으로 안정되게 보존할 수 있는 조립식 안치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치단을 모두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치단은 규모에 따라 브라켓트로 연결조립될 수 있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격자형으로 다수 개가 고정되면서 사방향으로 체결돌기를 가지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를 이용하여 좌우, 상하로 조립되어 안치실을 형성하는 이중구조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전면에 상하, 좌우로 조립설치되면서 투명도어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체로 구성되어 안치단을 전부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정면도로 나타내고 있고, 도2 및 도3 에서는 안치단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4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요부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립식 안치단 유니트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의 안치단 유니트(100)는 유골함이 각각 안치되는 다수 개의 안치실(10)이 상·하, 좌·우 격자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안치실(10)은 유골함이 안치될 수 있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안치단의 규모에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또는 좌,우로 연속되게 조립식으로 설치되며, 후면판과 다수 개의 패널 등에 의해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치단 유니트(100)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브라켓트(21)에 의해 연결조립되는 후면판(20)과, 상기 후면판(20)에 격자형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사방향으로 체결돌기를 가지는 다수의 연결체(30)와, 상기 연결체(30)에 의해 조립되어 안치실(10)을 형성하면서도 에어포켓을 가지는 이중구조의 패널(40)과, 상기 안치실(10)의 전면에 종,횡방향으로 별도의 사각조립체(51)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투명도어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체(50)와, 상기 고정체(50)에 의해 안치실(10)의 전면에 체결되어 내부를 밀폐토록 하는 투명도어(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후면판(20)은 안치단 유니트(100)의 전체적인 후벽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는 금속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안치단의 전체적인 규모에 따라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판재를 별도의 브라켓트(21)를 이용하여 보울트, 스크류 등으로 상·하, 좌·우 연속되게 연결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면판(20)은 금속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다른 실시예로서 후술할 패널(40)과 같이 내부에 단열기능을 갖도록 에어포켓을 가지는 이중구조의 패널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포켓의 내부에 별도의 단열재를 충진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판(20)에는 각 안치실(10)의 골격을 유지토록 하는 연결체(30)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방향 이상으로 체결돌기(31)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패널(40)이 각 방향으로 체결조립된다.
이때, 상기 연결체(30)는 사방향으로 체결돌기(31)를 가지는 "+"자형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나 적어도 두 방향 이상으로 체결돌기(31)를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즉 전체적인 안치단 유니트(100)을 조립시 각 모서리에는 직각방향으로 체결돌기(31)를 가지는 직각형 연결체(30a)를 사용함은 물론 측면에는 삼방향으로 체결돌기(31)를 가지는 T자형 연결체(30b)를 사용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연결체(30)의 각 체결돌기(31)에는 에어포켓(41)을 가지는 이중구조의 패널(40)이 각각 조립체결된다.
상기 패널(40)은 도5 내지 도7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안치실(10)을 구획하는 사방의 격벽으로서 경량이면서도 견고한 알루미늄 합금이나 청동, 황동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하거나 표면을 코팅처리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40)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이중구조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단열기능을 위한 에어포켓(41)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 에어포켓(41)은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중공부로 형성됨으로써 단열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에어포켓(41)은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각 안치실(10)내에 조명등을 설치하는 경우 전선 등의 관련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활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포켓(41)에는 다른 실시예로서 별도의 단열재를 충진하여 단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의 단열재는 우레탄 등을 발포하여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치로폼, 스폰지 등 여러 가지 단열기능을 가지는 부재들을 충진하여 성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널(40)은 안치실(10)의 좌우 측면판은 물론이고 천정판 및 바닥판으로 각각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은 각각 동일한 형태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패널(40)의 전면에는 도8에서 보듯이 별도의 고정체(50)가 사각조립체(51)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교차되게 조립됨과 동시에 이들의 사이에는 안치실(10)를 밀폐토록 하는 투명도어(6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체(50)는 안치실(10)을 구성하는 패널(40)의 전단에서 종,횡 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면서 투명도어(60)를 고정하는 기능과 더불어 전면 프레임의 기능으로서 시각적인 장식기능도 가지게 된다.
이는 도9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띠 형태를 이루면서 양측단을 포함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보울트공(52)을 가지는 단면(53)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외향 돌출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한 쌍의 리브(54)가 형성된다.
상기 단면(53)은 고정체(50)를 상호 종,횡방향으로 교차되게 조립시 이들을 교차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기능을 제공하게 되고, 또 상기 리브(54)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홈(54a)이 형성됨에 따라 이를 통하여 패널(40)의 전단면이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다.
또한 고정체(50)의 전면에는 안치단의 전체적인 장식을 위한 별도의 장식부재(55)가 체결된다.
상기 장식부재(55)는 고정체(50)와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것으로, 예컨데 고정체(50)가 황동일 경우에는 적동의 재질로 형성되어 장식효율이 배가됨과 동시에 고정체(50)의 전면에 형성되는 체결홈(56)을 통하여 조립체결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식부재(55)는 후면에 고정체(50)의 체결홈(56)내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턱을 갖추어 구성되면서도 전면에는 원형, 사각형 등 여러 가지 장식면을 갖추어 구성된다.
또, 사각조립체(51)는 고정체(50)를 종,횡 방향으로 교차되게 조립하는 부재로서, 즉 보울트에 의해 고정체(50)의 전단 보울트공(52)으로 나사조립됨에 따라 종,횡의 고정체(50)를 패널(40)에 일체로 조립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50)의 내부에는 투명도어(60)가 체결되어 안치실(10)을 밀폐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투명도어(60)는 도2 및 도8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종,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체(50)에 의해 안치실(10)의 전면에 체결고정된다.
이때, 상기 투명도어(60)는 고정체(5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일측의 상,하단부가 각각 힌지(61)와 축결합되고, 힌지(61)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체(50)의 단면(53)내에 설치된다.
즉,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체(50)의 단면(53)에는 통상에서와 같은 구조의 봉체형 힌지(61)가 브라켓트 및 사각조립체(51)에 의해 체결되고, 이의 힌지(61)의 상,하부에는 투명도어(60)의 상,하단부가 각각 결합되므로써 이를 지지점으로 투명도어(60)가 개폐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안치실(10)내를 개방할 경우 해당되는 안치실(10)의 각모서리 부분에 조립된 사각조립체(51)만을 분리하여 투명도어(60)를 간편하게 개폐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안치실(10)내에는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조명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경우 각 안치실(10)을 형성하는 패널(40)이 이중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안치실(10)내에 설치되는 LED램프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등을 에어포켓(41)을 통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2의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2는 투명도어(60)가 안치실(10)을 밀폐토록 하는데 사용되는 고무패킹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치단 유니트는 그 전체가 조립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설치장소나 규모 등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고 손쉽게 시공이 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안치단 유니트의 전체적인 설치규모에 맞게 일정크기를 가지는 후면판(20)을 브라켓트(21)로 연결하여 조립하고, 이 후면판(20)에는 격자형으로 연결체(30)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하, 좌우로 패널(40)를 조립하여 다수 개의 안치실(10)을 형성한다.
상기 패널(40)은 에어포켓(41)을 가지는 이중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체 (30)에는 체결돌기(31)가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패널(40)의 양끝단을 연결체(30)의 체결돌기(31)와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연결체(30)는 사방향으로 체결돌기(31)가 형성되는 것이나, 도5에서 더욱 상세히 보듯이 안치단의 각모서리부와 측면부분에 해당되는 연결체(30)는 직각형태의 연결체(30a)와 삼방향형태의 연결체(30b)를 각각 사용함으로써 구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후면판(20)상에 연결체(30)와 패널(40)를 조립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연결체(30)와 패널(40)을 먼저 조립한 후에 그 뒷면에서 후면판(20)을 조립설치할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같이 연결체(30)와 패널(40)을 이용하여 각 안치실(10)을 조립완료하면, 그 전면에서 고정체(50)를 도10(a)와 같이 수직 및 수평으로 교차되게 조립하되, 후면에 형성된 리브(54) 사이의 조립홈(54a)을 통하여 패널(40)의 전단면과 조립함과 동시에 이들의 단면(53)을 이용하여 상호 교차되게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수직고정체(50)의 단면(53)에는 도10(b)와 같이 투명도어(60)의 힌지(61)를 삽입체결함과 동시에 안치실(10)의 전면에 투명도어(60)를 조립하고, 그 전면에서 도10(c)와 같이 별도의 사각조립체(51)를 끼워맞춤한 후 보울트공(52)을 통해 보울트로서 연결체(30)와 조립한다.
삭제
삭제
따라서 상기 투명도어(60)는 고정체(50)의 장식부재(55)가 형성되는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체결턱을 통하여 긴밀히 밀착체결되는 것이며, 이때 안치실(10)의 기밀유지를 위하여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킹(62)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사각조립체(51)는 보울트공(52)을 통하여 별도의 보울트가 수직 및 수평 고정체(50)를 관통하여 연결체(30)의 전단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종,횡방향으로 조립되는 고정체(50)를 고정하는 기능과 더불어 투명도어(60)를 체결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사각조립체(51)는 도10(c)에서 보듯이 고정체(50)에 체결되는 투명도어(60)의 힌지(61)를 포함한 각 모서리부분을 전면에서 눌러주는 형태로 체결됨으로써 이를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는 안치단 유니트(100)는 통상에서와 같이 사용되는 것이며, 안치실(10)내에 유골함을 봉안하거나 또는 기타 필요에 의해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되는 위치의 사각조립체(51)만을 분리하면, 투명도어(60)는 힌지(61)를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됨에 따라 안전한 상태에서 다음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든 구조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 및 조립성은 물론 사용성을 향상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좋은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시설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치단의 각 안치실을 이중구조의 패널을 이용하여 조립식의 격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강도가 보강되어 구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안치실을 구획하는 벽면의 뛰어난 단열기능으로 습기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유골을 안전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삭제

Claims (8)

  1. 금속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전면을 향해 직각방향으로 다수 개가 고정설치되고 적어도 2면 이상에 외향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가지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체결돌기를 통하여 상하, 좌우로 조립되어 안치실의 사방 격벽을 형성하면서도 에어포켓을 가지는 이중구조의 패널과;
    상기 안치실의 전면 패널에 별도의 사각조립체에 의해 종,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의해 안치실의 전면에 체결되어 내부를 밀폐토록 하는 투명도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치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40)은 에어포켓(41)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치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50)는 후면에 한 쌍의 리브(54)에 의해 패널(40)이 체결되는 조립홈(54a)이 구성되고, 전면에는 별도의 장식부재(55)가 체결되는 체결홈(56)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치단.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60015231A 2006-02-16 2006-02-16 조립식 안치단 KR10071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31A KR100718686B1 (ko) 2006-02-16 2006-02-16 조립식 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31A KR100718686B1 (ko) 2006-02-16 2006-02-16 조립식 안치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39U Division KR200415863Y1 (ko) 2006-02-20 2006-02-20 조립식 안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686B1 true KR100718686B1 (ko) 2007-05-18

Family

ID=3827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231A KR100718686B1 (ko) 2006-02-16 2006-02-16 조립식 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18B1 (ko) * 2010-08-27 2012-12-07 (주) 금성산업 납골안치단
KR101670234B1 (ko) 2016-08-09 2016-10-28 차재진 단열부재를 이용한 습기 및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봉안단
KR102120020B1 (ko) * 2019-12-30 2020-06-05 김영묵 조립식 납골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19A (ko) * 2002-02-21 2003-08-27 장윤현 납골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19A (ko) * 2002-02-21 2003-08-27 장윤현 납골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18B1 (ko) * 2010-08-27 2012-12-07 (주) 금성산업 납골안치단
KR101670234B1 (ko) 2016-08-09 2016-10-28 차재진 단열부재를 이용한 습기 및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봉안단
KR102120020B1 (ko) * 2019-12-30 2020-06-05 김영묵 조립식 납골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664A (en) Interlocking skylight and roof panel assembly
KR200415863Y1 (ko) 조립식 안치단
KR100420292B1 (ko) 다면형 조립 구조물 및 그 구축 방법
KR100718686B1 (ko) 조립식 안치단
KR102040634B1 (ko) 단열구조가 보강된 커튼월
AU2017351956B2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KR20180005986A (ko) 기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돔 하우스
JP2004183244A (ja) 壁構造体
JP6865032B2 (ja) 建物
JP2000144982A (ja) パーティション及びその取付構造
JP6038732B2 (ja) 屋外設置物の留付方法
CN203795671U (zh) 一种墙体
KR20160129348A (ko)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 커튼 월 시공용 복합 외장 패널 조립체 유닛
JPH0813827A (ja) 建築物
KR102092608B1 (ko) 스마트 모듈러
JP2004346527A (ja) 壁式構造の建物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KR200278491Y1 (ko) 납골안치단
JP6037865B2 (ja) 展示用住宅建築物
JP6992971B2 (ja) 着脱可能な増設部屋
KR200393985Y1 (ko) 납골당의 안치실 조명장치
JP4648437B2 (ja) 耐力壁及びその取付構造
JP7463901B2 (ja) 建物構造
KR100928054B1 (ko) 단위공간 조합형 조립식 주택
JP6865033B2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