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184B1 -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서버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서버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184B1
KR100718184B1 KR1020050128378A KR20050128378A KR100718184B1 KR 100718184 B1 KR100718184 B1 KR 100718184B1 KR 1020050128378 A KR1020050128378 A KR 1020050128378A KR 20050128378 A KR20050128378 A KR 20050128378A KR 100718184 B1 KR100718184 B1 KR 100718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message
content
message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장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12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184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록된 음성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제공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열람한 사실을 인증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 증명 서버는 오프라인을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 대신, 통신 단말기를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내용 증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내용 증명에 따른 이견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1 통신 단말기로 통보함으로써, 내용 증명 서비스에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내용 증명, 핸드폰, 음성 메시지, SMS

Description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 {CONTENTS-CERTIFIED SERVER OF PROVIDING CONTENTS-CERTIFIED SER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R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통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를 열람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내용 증명 서버 510: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
52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530: 내용 증명 제공부
540: 이의 수집부
본 발명은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록된 음성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제공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열람한 사실을 인증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일반 우편물에 대한 내용 증명 서비스가 우체국 등의 공인된 기관을 통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 증명 서비스는 어떤 내용의 우편물을 언제 누가 누구에게 발송하였는가 하는 사실을 발송인이 작성한 등본에 의하여 우체국장이 공적인 입장에서 증명하는 서비스이다. 일례로, 발송인은 수취인에게 채권독촉, 권리주장, 주택임대차 통지, 민사소송 증거자료, 가압류, 가처분, 지급 명령, 및 소비자 파산 등과 관련된 우편물을 내용 증명 서비스를 통해 송부하고, 상기 발송인으로부터 상기 수취인으로의 상기 우편물의 송부를 우체국장이 증명한다. 이러한, 내용 증명 서비스를 통해 송부된 우편물은 법률상 각종의 최고, 승인, 또는 위임의 해제/취소 등에 대하여 당사자 간의 분쟁이 생겼을 때의 증거로서 소송이나 재판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내용 증명 서비스를 통한 우편물은 보통 3통을 작성하여 1통은 내용문서의 원본으로서 수취인에게 우송하고, 등본 2통은 우체국과 발송인이 각각 1통씩 보관한다. 상기 발송인은 내용증명 우편물을 발송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한하여 발송 우체국에서 재차 증명을 받거나 등본의 열람을 청구할 수 있으며, 상기 열람을 청구하기 위해서 발송인은 소정의 수령증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오프라인을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는 우편물의 보관에 따른 문제점, 내용 증명 서비스 절차에 따른 시간 소요, 및 상기 우편물의 검색 등에 따른 인력 낭비 등으로 인한 수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례로, 발송인은 우편물을 내용 증명서로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우체국을 직접 방문하거나 또는 상기 우체국으로 상기 우편물을 우편 송부해야 한다. 이러한 등록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적 낭비뿐만 아니라, 상기 등록된 우편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우체국 직원은 관리 단말기를 검색하는 등 인력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시간 및 인력의 낭비는 우체국뿐만 아니라, 내용 증명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고객, 및 국가 차원에서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편물을 송부한 발송인은 상기 우편물의 사본 또는 원본이 필요한 경우에, 우체국 등 공인된 기관으로부터 팩스, 우편, 또는 이미지 파일 등의 형태로 수집해야 한다.
일례로, 발송인은 상기 내용 증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상기 우편물의 사본 또는 원본을 우체국으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우체국으로부터 상기 우편물의 사본 또는 원본을 수집하기 위한 시간, 비용, 및 인력을 낭비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는 오프라인을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 대신, 통신 단말기를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내용 증명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내용 증명에 따른 이견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1 통신 단말기로 통보함으로써, 내용 증명 서비스에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응되는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기록하는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아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서 상기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소정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열람한 내역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내용 증명 서버는 하나 이상의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응되는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기록하는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아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서 상기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소정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내용 증명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열람한 내역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방법을 구현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통신 단말기(110)는 통신사 시스템(140)을 통해 내용 증명 서버(150)와 호 설정 요청한다. 상기 호 설정 요청을 위하여, 제1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내용 증명 서버(150)에 대응되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요청한다.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로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한 통신사 시스템(140)은 상기 전화번호가 내용 증명 서버(150)로의 호 설정임을 판단하고, 내용 증명 서버(150)로의 호 설정을 수행한다. 일례로, 060 또는 080 등의 국번으로 시작 하거나, 국번 앞에 * 또는 # 등의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전화번호인 경우에 통신사 시스템(140)은 상기 호 설정 요청이 내용 증명 서버(150)로의 호 설정 요청임을 판단한다.
내용 증명 서버(150)와 호 설정된 제1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내용 증명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절차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녹음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는 내용 증명을 요하는 정보로서, 내용 증명 서버(15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제1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설정된 호가 해제된 경우, 내용 증명 서버(150)는 제2 통신 단말기(120)로 상기 음성 메시지의 기록 사실을 통보한다. 상기 기록 사실의 통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fied Message Service)를 통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장문 메시지, 또는 통합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로써 통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사실의 통보를 위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내용 정보 서버에 기록된 음성 메시지의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110) 및 제2 통신 단말기(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 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상기 접속 정보는 일례로, 상기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의 콜백 번호(call-back number) 또는 콜백 유알엘(call-back URL)이며, 제2 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상기 콜백 번호 또는 상기 콜백 유알엘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내용 증명 서버(150)는 제2 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확인 사실을 내역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제1 통신 단말기로 상기 확인 사실을 통보한다. 상기 확인 사실의 통보는 상기 기록 사실의 통보와 마찬가지로,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fied Message Service)를 통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장문 메시지, 또는 통합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로써 통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150)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하여,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 증명 서버(150)는 제2 통신 단말기(120)의 식별정보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ARS 또는 IVR 시스템을 통해 제1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기록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상기 식별정보는 제2 통신 단말기(120)의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IVR 시스템의 경 우, 제2 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로부터 주민등록번호 또는 비밀 번호 등의 식별번호를 입력 받아 인증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150)는 추후 제1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기록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120)가 열람한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01)에서, 제1 통신 단말기는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소정의 번호로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로 호 설정 요청한다. 상기 소정의 번호는 상기 내용 증명 서버에 할당된 국번 또는 특수 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번호를 포함하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한 통신사 시스템은 상기 내용 증명 서버로 착신 호를 전송(단계(202))하며, 상기 내용 증명 서버는 상기 착신 호에 따라 Hook OFF함으로써,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내용 증명 서버가 호 설정 된다(단계(203)).
제1 통신 단말기는 단계(204)에서, 상기 내용 증명 서버에서 제공하는 절차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기록요청하고, 상기 내용 증명 서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아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단계(205)). 이 때, 상기 내용 증명 서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서 상기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음성 메시 지에 대응되는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기록하는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300)는 발신 전화번호 정보 필드, 착신 전화번호 정보 필드, 음성 메시지 필드, 및 내역 정보 필드를 유지한다.
상기 발신 전화번호 정보 필드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기록하는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착신 전화번호 정보 필드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메시지로써, 상기 음성 메시지 필드는 '메시지#1', '메시지#2', 및 '메시지#3' 등의 음성 메시지를 기록한다. 또한, 상기 내역 정보 필드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열람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내역 정보를 기록한다. 일례로, 상기 내역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가 추후 내용 증명을 요하는 경우에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역 정보는 우체국 또는 통신사 시스템 등의 공인된 기관에서 관리할 수도 있다.
도 3의 식별번호(310)를 참조하면, 발신 전화번호 정보 '010-111-2222', 착신 전화번호 정보 '010-333-4444', 및 음성 메시지 '메시지#1'이 상호 연관지어 기록되고, 상기 '메시지#1'은 상기 '010-333-4444'가 '열람'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도 2의 단계(206)에서, 상기 내용 증명 서버는 소정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의 기록 사실을 통보 메시지 로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통보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fied Message Service)를 통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장문 메시지, 또는 통합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또는 상기 내용 증명 서버의 전화번호를 콜백 유알엘 또는 콜백 넘버이며,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207)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내용 증명 서버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요청하고, 상기 내용 증명 서버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단계(208)). 또한, 상기 내용 증명 서버는 상기 음성 메시지의 제공과 더불어 상기 제공 사실을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내역 정보를 '열람' 상태로 갱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통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를 열람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통신 단말기(400)는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내용 증명 서버로부터 '010-111-2222'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메시지의 기록 사실을 통보 메시지로(410)로 수신한다.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상기 내용 증명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또는 상기 내용 증명 서버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통보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확인'에 대응되는 키패드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다(420). 내용 증명 서버에 접속한 제2 통신 단말기(400)의 사용자는 상기 내용 증명 서버가 재생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단말기(400)의 사용자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는 경우, '이의제기(430)'에 대응되는 키패드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내용 증명 서버로 제2 음성 메시지에 대하여 기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는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이의 메시지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기록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제2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이의 메시지로 제3 음성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의 메시지는 무한 루프에 대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정의 횟수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이의 제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내용 증명 서버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음성 메시지의 기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제2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거나,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CID(Caller IDentification) 서비스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내용 증명 서버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호 설정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500)는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5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0), 및 내용 증명 제공부(530)를 포함한다.
먼저,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510)는 하나 이상의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응되는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기록한다.
제1 통신 단말기는 내용 증명 서버(500)와 호 설정 후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고,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510)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발신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할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착신 전화번호 정보로 기록한다. 또한,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510)는 상기 음성 메시지의 내역 정보로서, 상기 음성 메시지의 열람 여부를 기록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분쟁에 대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0)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아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510)에 기록한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서 상기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520)에 기록한다.
내용 증명 제공부(530)는 소정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510)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통보 메시지는 소정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내용 증명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콜백 번호(call-back Number) 또는 콜백 유알엘(call-back URL)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500)는 암호화된 접속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500)는 이의 수집부(540)를 더 포함한다.
이의 수집부(540)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받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이의 메시지로서 제2 음성 메시지의 기록 요청을 수신한다. 즉,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하여 이견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의 수집부(540)로 제2 음성 메시지의 기록 요청을 전송하고 제2 음성 메시지를 기록한다.
이에,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0)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제2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510)에 기록한다. 또한, 내용 증명 제공부(63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제2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610)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서버(500)는 통해 오프라인을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 대신, 통신 단말기를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내용 증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내용 증명에 따른 이견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1 통신 단말기로 통보함으로써, 내용 증명 서비스에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 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6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620)과 롬(ROM: Read Only Memory)(6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6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6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620) 및 롬(6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6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6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6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6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6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 증명 서버는 오프라인을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 대신, 통신 단말기를 통한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내용 증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내용 증명에 따른 이견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1 통신 단말기로 통보함으로써, 내용 증명 서비스에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지능망에서 음성 메시지를 기록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응되는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기록하는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아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서 상기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소정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열람한 내역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을 통한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음성 메시지의 기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제2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을 통한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열람한 경우에 상기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열람 확인 메시지를 상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을 통한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 증명 서버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을 통한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내용 증명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콜백 번호(call-back Number) 또는 콜백 유알엘(call-back UR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을 통한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을 통한 내용 증명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지능망에서 음성 메시지를 기록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응되는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기록하는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아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서 상기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소정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내용 증명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열람한 내역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용 증명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받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이의 메시지로서 제2 음성 메시지의 기록 요청을 수신하는 이의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1)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제2 음성 메시지와 연관지어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2)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열람한 내역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내용 증명 제공부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로 상기 제2 음성 메시지가 기록된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 증명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증명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내용 증명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콜백 번호(call-back Number) 또는 콜백 유알엘(call-back UR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 증명 서버.
KR1020050128378A 2005-12-23 2005-12-23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서버의 동작 방법 KR100718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378A KR100718184B1 (ko) 2005-12-23 2005-12-23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서버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378A KR100718184B1 (ko) 2005-12-23 2005-12-23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서버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184B1 true KR100718184B1 (ko) 2007-05-15

Family

ID=3827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378A KR100718184B1 (ko) 2005-12-23 2005-12-23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서버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1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745A (ko) * 2004-01-14 2005-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7468A (ko) * 2004-04-29 2005-08-02 주식회사 키프라이즈 음성정보를 이용한 세탁물 영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745A (ko) * 2004-01-14 2005-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7468A (ko) * 2004-04-29 2005-08-02 주식회사 키프라이즈 음성정보를 이용한 세탁물 영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16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e electronic document storage, retrieval and use with electronic user identity verification
TW508929B (en) User authenticatio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5622689B2 (ja) メッセージベースの経費アプリケーション
WO2014201647A1 (zh) 一种数据和消息处理的方法及装置
JP2011521359A (ja) 移動機を介した金銭振替承認
US8280418B2 (en) System for supporting video message service and method thereof
CN100414935C (zh) 提醒接收电子邮件的方法
US200201078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recording a verbal transaction
JP2003233659A (ja) 配達予告方法、配達予告システム、中央装置、及びサーバコンピュータ
US81406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to-email communic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US202302143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ata Sent by a Mobile Device
KR100946410B1 (ko) 타인의 동의에 의한 휴대폰 결제 방법 및 시스템
WO2024067161A1 (zh) 一种通过5g消息实现无app化移动办公的方法
CN116319653A (zh) 电子邮件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2002230203A (ja) 音声記録システム及び音声記録サービス方法
JP2009070020A (ja) オンライ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個人端末、管理サーバ、オンラインサービスの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18184B1 (ko)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 증명 서버 및 상기서버의 동작 방법
KR100606238B1 (ko) 단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70013562A (ko) 온라인 망을 이용한 내용증명 서비스 시스템
JP4847519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US20060167799A1 (en) Client-server-type security system, such as a security system for use with computer network consumer transactions
JP2009122730A (ja) メッセージ受領サーバ、およびメッセージ送受信システム
JP2018036790A (ja) 認証装置、本人性確認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37521B1 (ko) 무선메시지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