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825B1 -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825B1
KR100716825B1 KR1020040063570A KR20040063570A KR100716825B1 KR 100716825 B1 KR100716825 B1 KR 100716825B1 KR 1020040063570 A KR1020040063570 A KR 1020040063570A KR 20040063570 A KR20040063570 A KR 20040063570A KR 100716825 B1 KR100716825 B1 KR 10071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hift lever
pawl
shaft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849A (ko
Inventor
이주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8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2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pawls or wheels
    • F16H63/3433Details of latch mechanisms, e.g. for keeping pawls out of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는,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파킹 샤프트와, 상기 파킹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어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으로 조작되면 파킹 기어에 걸어져 상기 파킹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킹 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변속레버의 파킹 조작력 전달경로가 짧아서 응답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변속레버의 파킹 조작력이 정확히 전달될 수 있다.
자동변속기, 파킹, 변속레버, 매뉴얼 컨트롤 레버, 파킹 기어, 파킹 폴

Description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Parking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파킹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파킹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파킹상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파킹해제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파킹해제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파킹해제상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파킹 샤프트 52 : 파킹 기어
54 : 파킹 폴 64,65 : 드라이브 스토퍼
70 : 디텐트 수단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의 파킹 조작력이 파킹 샤프트와 파킹 폴을 통해 파킹 기어에 전달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는, 운전자가 변속레버(2)를 파킹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변속레버(2)의 파킹 조작력이 전달되어 자동변속기(4)의 출력축에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된 파킹 기어(6)의 회전이 구속됨으로써 안정된 주차 상태가 유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변속레버(2)의 파킹 조작력 전달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변속레버(2)의 파킹 조작력이 변속 케이블(10)을 통해 매뉴얼 컨트롤 레버(12)에 전달되고, 상기 매뉴얼 컨트롤 레버(12)와 함께 컨트롤 샤프트(14), 디텐트 레버(16)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디텐트 레버(16)에 결합된 파킹 롤러 로드(18)가 상하로 회전되면서 파킹 스프래그(20)를 밀어 올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파킹 스프래드(20)가 상기 파킹 기어(6)에 물려 상기 파킹 기어(6)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텐트 레버(16)는 디텐트 롤러(16a)가 디텐트 스프링(16b)의 탄성력에 밀착되는데, 상기 변속레버(2)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디텐트 롤러(16a)와 마찰되는 부위에 상기 변속레버(2)의 각 조작상태와 대응될 수 있는 다수개의 디텐트 홈(16c)이 형성됨으로써 절도감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파킹 스프래그(20)에는, 상기 변속레버(2)의 파킹 조작력이 해제되면 신속하게 상기 파킹 기어(6)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파킹 해제방향으로 상기 파킹 스프래그(20)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22)이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는, 상기 변속레버(2)의 파킹 조작력이 상기 컨트롤 샤프트(14), 디텐트 레버(16), 파킹 롤러 로드(18), 파킹 스프래그(20) 순으로 상기 파킹 기어(6)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변속레버(2)의 파킹 조작력 전달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전달경로가 길어 응답성이 좋지 않고, 각 요소의 공차들로 인해 상기 변속레버(2)의 파킹 조작력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할 수 있어 성능이 낮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레버의 파킹 조작력이 간소한 구조를 통해 파킹 기어에 전달될 수 있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는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파킹 샤프트와; 상기 파킹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어,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으로 조작되면 파킹 기어에 걸어져 상기 파킹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킹 폴(Parking Pole)과; 상기 파킹 샤프트의 외측에 일체로 회전토록 끼워지고, 상기 파킹 폴에 형성된 홀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외벽에서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드라이브 스토퍼와, 상기 파킹 폴에 구비되어 상기 파킹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드라이브 스토퍼 중 어느 하나와 걸림되어 상기 파킹 폴이 회전되게 하는 드리븐 스토퍼로 형성된 파킹 폴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는,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파킹 샤프트(50)와, 상기 파킹 샤프트(50)와 파킹 폴 결합수단(60)을 통해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어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으로 조작되면 파킹 기어(52)에 걸어져 상기 파킹 기어(52)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킹 폴(Parking Pole)(54)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킹 샤프트(50)는 상기 파킹 폴(54)과 연결되지 않는 측인 일단에 상기 변속레버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매뉴얼 컨트롤 레버(51)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고, 상기 파킹 폴(54)이 상기 파킹 기어(52)의 기어 치(52') 사이로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상기 파킹 폴(54)을 상기 파킹 기어(52)의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파킹 샤프트(50)에는 상기 파킹 샤프트(50)를 파킹 해제방향(화살표 U)으로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56)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파킹 샤프트(50)가 파킹상태에서 파킹 해제방향(화살표 U)으로 회전되면, 상기 파킹 샤프 트(50)가 상기 리턴 스프링(56)에 의해 더욱 힘을 받아서 신속하게 파킹해제방향(화살표 U)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파킹 폴(54)은, 상기 파킹 기어(52)의 옆에서 상기 파킹 샤프트(50)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된 파킹 폴 슬리브(54a)와, 상기 파킹 폴 슬리브(54a)에서 상기 파킹 기어(52)를 향해 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 상태로 조작되면 상기 파킹 기어(52)의 기어 치(52') 사이로 끼어지는 파킹 폴 스토퍼(54b)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파킹 폴(54)은, 차체에 상기 파킹 샤프트(50)와 함께 회전은 되되, 그 위치가 유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리테이너(5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파킹 폴 결합수단(60)은, 상기 파킹 샤프트(50)의 타단 외측에 일체로 회전토록 끼워지고 상기 파킹 폴(54)의 슬리브(54a)에 형성된 홀(54a')에 회전 가능토록 삽입된 슬리브(62)와, 상기 슬리브(62)의 외벽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드라이브 스토퍼(64,65)와, 상기 파킹 폴(54)에 구비되어 상기 파킹 샤프트(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드라이브 스토퍼(64,65) 중 어느 하나와 걸림되어 상기 파킹 폴(54)이 회전되게 하는 드리븐 스토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드리븐 스토퍼는 파킹 폴(54)의 홀(54a')이 상기 한 쌍의 드라이브 스토퍼(64,65)를 중심으로 상기 슬리브(62)만 삽입될 수 있는 소경부(A)와, 상기 드라이브 스토퍼(64,65)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소경부(A)보다 확개된 대경부(B)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파킹 샤프트(50)가 파킹방향(화살표 P)으로 회전되면, 도면에서 보아 우측에 있는 드라이브 스토퍼(64)가 상기 파킹 폴(54)을 파킹 방향으로 밀고, 상기 파킹 샤프트(50)가 파킹해제방향(화살표 U)으 로 회전되면 좌측에 있는 드라이브 스토퍼(65)가 상기 파킹 폴(54)을 파킹해제방향으로 민다.
한편, 상기 파킹 폴(54)이,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상태로 회전될 때만 회전되는게 아니라 상기 변속레버가 주행, 중립, 후진 상태로 조작될 때에도 상기 변혹레버의 각 조작상태와 대응되게 회전되므로, 상기 파킹 폴(54)에는 상기 변속레버에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디텐트 수단(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수단(70)은, 상기 파킹 폴(54)의 슬리브(54a) 외벽에 상기 변속레버의 각 조작상태와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디텐트 홈(72)과, 상기 디텐트 홈(72)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디텐트 롤러(74)와, 상기 디텐트 롤러(74)가 상기 디텐트 홈(7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하는 디텐트 스프링(7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 상태로 조작되면, 상기 파킹 샤프트(50)가 파킹방향(화살표 P)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드라이브 스토퍼(64,65)가 상기 파킹 폴(54)을 상기 파킹 기어(52)를 향해 밀어서 상기 파킹 폴(54)의 파킹 폴 스토퍼(54b)가 상기 파킹 기어(52)의 기어치(52') 사이에 끼어진다.
그러면, 상기 파킹 기어(62)의 회전이 상기 파킹 폴(54)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안정적으로 파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해제상태로 조작되면, 상기 파킹 샤프트(50)가 파킹해제방향(화살표 U)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드라이브 스토퍼(64,65)가 상기 파킹 폴(54)을 상기 파킹 기어(5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파킹 폴(54)의 파킹 폴 스토퍼(54b)가 상기 파킹 기어(52)의 기어치(52')로부터 빠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파킹 기어(52)의 회전이 다시 자유로워지고, 파킹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상기 변속레버가 주행, 중립, 후진 상태로 조작될 때마다 상기 파킹 샤프트(50)와 함께 파킹 폴(54) 또한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상태와 대응되게 회전되는데, 이 때 상기 디텐트 롤러(74)가 디텐트 홈(72)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변속레버에 절도감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는,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파킹 샤프트와, 상기 파킹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어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으로 조작되면 파킹 기어에 걸어져 상기 파킹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킹 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변속레버의 파킹 조작력 전달경로가 짧아서 응답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변속레버의 파킹 조작력이 정확히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파킹 샤프트(50)와;
    상기 파킹 샤프트(50)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어, 상기 변속레버가 파킹으로 조작되면 파킹 기어(52)에 걸어져 상기 파킹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킹 폴(Parking Pole, 54))과;
    상기 파킹 샤프트(50)의 외측에 일체로 회전토록 끼워지고, 상기 파킹 폴(54)에 형성된 홀(54a')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된 슬리브(62)와, 상기 슬리브(62)의 외벽에서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62)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드라이브 스토퍼(64,65)와, 상기 파킹 폴에 구비되어 상기 파킹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드라이브 스토퍼(64,65) 중 어느 하나와 걸림되어 상기 파킹 폴(54)이 회전되게 하는 드리븐 스토퍼로 형성된 파킹 폴 결합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븐 스토퍼는, 상기 파킹 폴(54)의 홀이 상기 한 쌍의 드라이브 스토퍼(64,65)를 중심으로 상기 슬리브(62)만 삽입될 수 있는 소경부(A)와 상기 드라이브 스토퍼(64,65)까지 삽입될 수 있는 대경부(B)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샤프트(50)에는, 상기 파킹 샤프트(50)가 파킹상태에서 파킹 해제방향(U)으로 회전될 때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56)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폴(54)에는, 상기 변속레버에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는 디텐트 수단(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수단(70)은, 상기 파킹 폴(54)의 외벽에 상기 변속레버의 각 조작상태와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디텐트 홈(72)과; 상기 디텐트 홈(7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디텐트 롤러(74)와; 상기 디텐트 롤러가 상기 디텐트 홈(7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하는 디텐트 스프링(7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폴(54)은, 상기 파킹 샤프트(50)와 일체로 회전되되,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차체에 결합된 리테이너(5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KR1020040063570A 2004-08-12 2004-08-12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KR10071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570A KR100716825B1 (ko) 2004-08-12 2004-08-12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570A KR100716825B1 (ko) 2004-08-12 2004-08-12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849A KR20060014849A (ko) 2006-02-16
KR100716825B1 true KR100716825B1 (ko) 2007-05-09

Family

ID=3712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570A KR100716825B1 (ko) 2004-08-12 2004-08-12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388B1 (ko) * 2005-07-13 2006-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0737023B1 (ko) * 2006-03-23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기용 디텐트레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7571A (ja) 1982-05-28 1983-12-03 Aisin Warner Ltd 自動変速機パ−キング機構
JPH07132741A (ja) * 1993-11-11 1995-05-23 Nissan Motor Co Ltd トランスアクスルのパークロック装置
KR19990034999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파킹포울장치
KR100414011B1 (ko) 2002-01-14 2004-01-07 에이디텍스(주) 자동변속기용 파킹시스템
KR20050047266A (ko) * 2003-11-17 2005-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파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7571A (ja) 1982-05-28 1983-12-03 Aisin Warner Ltd 自動変速機パ−キング機構
JPH07132741A (ja) * 1993-11-11 1995-05-23 Nissan Motor Co Ltd トランスアクスルのパークロック装置
KR19990034999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파킹포울장치
KR100414011B1 (ko) 2002-01-14 2004-01-07 에이디텍스(주) 자동변속기용 파킹시스템
KR20050047266A (ko) * 2003-11-17 2005-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파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849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1123B2 (ja) 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操作要素をロックするための装置、このような装置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JP6371382B2 (ja) 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操作要素をパーキングポジションへ変位させるための装置、このような装置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CN108692003B (zh) 变速装置及系统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US8001864B2 (en)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and straddle-type vehicle
KR101672650B1 (ko)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원웨이 클러치
EP2447103A2 (en) Driving force distribution device
KR100716825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파킹장치
US9341256B2 (en) Speed change apparatus of vehicle
KR20070052409A (ko) 자동변속기 주차 장치
KR100528039B1 (ko) 수동 변속기용 콘트롤 기구의 인터록 장치
CN113490807B (zh) 一种非摩擦硬性传动无级变速器技术
KR20180115016A (ko) 전자식 파킹 시스템
JPS633488Y2 (ko)
JP5759326B2 (ja) 四輪駆動車用駆動力配分装置
JP5888918B2 (ja)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KR102481148B1 (ko) 안정되고 신뢰성 있는 변속이 가능한 감속기
CN110637171A (zh) 传动装置输出端设备
CN214661967U (zh) 变速器用的锁止板、车辆用的变速器及车辆
KR102440594B1 (ko) 중립 유지 잠금/해제 장치를 구비하는 변속기 파킹 시스템
KR101959015B1 (ko) 차량용 파킹 시스템 및 그것의 파킹로드 조립체
JP2008223813A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自動変速機
KR101428368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블 원웨이 클러치
KR0159226B1 (ko) 기어시프트캠 회전구동장치
KR100559436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파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