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122B1 -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122B1
KR100716122B1 KR1020050045198A KR20050045198A KR100716122B1 KR 100716122 B1 KR100716122 B1 KR 100716122B1 KR 1020050045198 A KR1020050045198 A KR 1020050045198A KR 20050045198 A KR20050045198 A KR 20050045198A KR 100716122 B1 KR100716122 B1 KR 100716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transa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039A (ko
Inventor
정재상
Original Assignee
정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상 filed Critical 정재상
Priority to KR102005004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1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거래상대자를 검색하여 해당 거래상대자에게 정보를 통보하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은,
구매자가 안내받고자 하는 지역명 및 품목 기타사항 및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혹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질의입력부(105);
상기 질의입력부에서 입력된 품목과 매칭되는 품목코드를 품목코드디비로 부터 검색하여 해당 품목코드로 변환하는 품목코드변환부(110);
품목명에 해당하는 품목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품목코드디비(115);
상기 지역명 및 품목코드를 가지고 취급하는 판매자를 검색하는 판매자검색부(120);
판매자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및 금액 정보를 등록하는 판매자등록부(130);
상기 판매자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판매자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정보를 저장하며 금액 정보 중 정산부를 통해 정산된 금액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자정보디비(125);
상기 판매자정보디비를 통해 금액 정보를 확인하여 금액이 서비스할 금액보 다 작으면 통보리스트작성에서 제외되고, 상기 금액이 서비스할 금액 이상이면 통보리스트에 등록하는 서비스점검부(135);
상기 서비스점검부를 통해 등록된 판매자들의 통보리스트를 작성하는 통보리스트작성부(140);
상기 통보리스트에 해당하는 판매자들에게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통보매체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하는 통보부(145);
상기 통보부를 통해 통보되면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거래가 성사된 판매자를 확인하여 해당 판매자의 금액을 정산하는 정산부(150);
구매자에게 구매자와 거래가 성사된 판매자를 확인하기 위한 거래성사확인부(155);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전자 거래시 정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콜센터를 경유한 등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콜센터등록여부확인단계(S300)와;
콜센터를 경유할 경우에 콜센터와 통화한 통화료를 총비용에 포함시키는 콜센터통화요금포함단계(S305)와;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통보 목록 중 업종지사의 유무를 확인하는 업종지사유무확인단계(S310)와;
각 업종지사에 각 회수의 정보사용료를 부과하는 업종지사정보사용료부과단 계(S315)와;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통보 목록 중 판매업체의 유무를 확인하는 판매업체유무확인단계(S320)와;
각 판매업체에 각 회수의 정보사용료를 부과하는 판매업체정보사용료부과단계(S325)와;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통보 목록 중 개인거래자(개인판매자)의 유무를 확인하는 개인거래자유무확인단계(S330)와;
각 개인거래자(개인판매자)에 각 회수의 정보사용료를 부과하는 개인거래자정보사용료부과단계(S335)와;
거래성사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해당 품목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해당거래품목여부확인단계(S340)와;
해당 거래품목에 해당할 경우에 거래성사확인 비용을 총 비용에 포함하는 거래성사확인통화요금포함단계(S345)와;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지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지의 의사를 구분하는 의사구분확인단계(S350)와;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통보된 상대 판매자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55)와;
상기 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55)에서 개인판매자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개인판매자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0)와;
상기 개인판매자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0)에서 개인과 거래가 성사되지 않 으면 업종지사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업종지사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5)와;
상기 업종지사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5)에서 업종지사와 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 해당 업종지사에 제비용을 부과하는 단계(S375)와;
상기 업종지사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5)에서 업종지사와 거래가 성사되지 않으면 판매업체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판매업체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70)와;
상기 판매업체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70)에서 판매업체와 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 해당 판매업체에 제비용을 부과하는 판매업체제비용부과단계(S380)와;
상기 통보된 상대 판매자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확인하는 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55)에서 통보된 상대 판매자의 누구와도 거래가 성사되지 않았을 경우와 상기 개인판매자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0)에서 개인 판매자와 거래가 성사된 경우총비용을 통보된 업종지사수와 통보된 업체수를 더한 수로 나누는 분배비용계산단계(S385)와;
상기 분배비용계산단계(S385)를 통해 계산된 분배비용을 각 업종지사와 업체에 부과하는 분배비용부과단계(S3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전자 거래시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보리스트작성부(140)를 통해 작성된 통보리스트 중 최상위에 위치한 받을 대상의 정보를 로딩하는 받을대상정보로딩단계(S705)와;
통보리스트작성부(140)를 통해 작성된 통보리스트 중 최상위에 위치한 보낼 대상의 정보를 로딩하는 보낼대상정보로딩단계(S710)와;
통보받을 대상이 음성수신기를 이용한 음성메세지를 이용할 것인지, 문자전송장치를 이용한 문자메세지를 이용할 것인지를 구분하는 이용매체확인단계(S715)와;
상기 이용매체확인단계(S715)에서 통보 대상 매체가 음성수신기일 경우에,
ARS 음성 메세지를 통보부(145)를 통해 작성하는 음성메세지작성단계(S720)와;
일반전화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전화걸기단계(S725)와;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가능여부확인단계(S730)와;
수신이 가능하면 음성 메세지를 전달하는 음성메세지전달단계(S735)와;
상기 이용매체확인단계(S715)에서 통보매체가 문자수신기일 경우에,
통보부(145)를 통해 작성하는 문자메세지작성단계(S720a)와;
문자전송장치로 문자메세지를 발송하는 문자발송단계(S725a)와;
상기 음성메세지전달단계(S735)와 문자발송단계(S725a)를 거쳐 통보가 성공되면 통보 성공 정보(통보 시간, 결과, 통보를 시도한 시간, 이용매체, 통보의 결과등)를 기록하는 통보성공정보등록단계(S7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공급자간의 경쟁을 유발시켜 수요자에 대한 공급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관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수익이 발생한 판매자에게 비용을 부담시킴으로서 구매자는 무료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전화번호안내, 통보리스트, 검색, 정산.

Description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 { Trade Information Report System for Cost-Charge.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정산부를 통해 정산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판매자등록부를 통해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판매자등록부를 통해 개인판매자의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판매자검색부에서 해당지역에 위치한 판매자를 검색하지 못할 경우에 근접지역까지 판매자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통 보부에서 통보매체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품목코드번호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구매자
105 : 질의입력부
110 : 품목코드변환부
115 : 품목코드디비
120 : 판매자검색부
125 : 판매자정보디비
130 : 판매자등록부
135 : 서비스점검부
140 : 통보리스트작성부
145 : 통보부
150 : 정산부
200 : 판매자
본 발명은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거래상대자를 검색하여 해당 거래상대자에게 정보를 통보하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호를 지정하지 않고 업종으로 문의하는 114이용자에게 정해진 기준에 의해 가입업체와 전화번호를 우선적으로 알려주는 우선번호안내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공급자의 정보 및 전화번호를 안내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생활정보지는 수요자와 공급자의 정보를 기술한 종이를 특정 지역에 배포하는 광고서비스인 지면광고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요자와 공급자의 위치 및 전화번호등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우선번호안내서비스는 1회성 판매자의 등록이 불가하며, 사용료의 납부 또한 월을 기준으로 하는 월정액으로 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들의 형평성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자면, A업체는 100회/월의 안내를 받고 B업체는 10회/월의 안내를 받고 있어도 A업체 및 B업체는 월 같은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다. 따라서, 월정액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량제로의 변화가 요구된다. 또한, 안내의뢰 1건에 대해 1건의 정보만을 대응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어서 2건의 정보를 요구할 경우 이용자가 각각의 사용료를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한편, 상기 생활정보지는 '정보의 등록'에서 ' 매체활용의 효과'까지의 기간을 단축하기 어려우며, 지면의 활용 및 배포의 단계를 거치므로 자원의 손실이 막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서술한 상기 우선번호안내서비스와 상기 생활정보지 모두 공급자는 비교적 과중한 사용료를 부담해야 하며, 정보를 얻는 수요자도 각각의 공급자와 통화하여 목적물의 정보를 검색해야하므로 신빙성 있는 정보를 얻기까지의 과중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잠재적 거래자가 거래의 의사를 표출했을때 의사소통 매체인 인터넷 혹은 콜센터를 통하여 서비스 시행업체에 거래정보(예를들어, 거래구분, 목적물의 종류, 목적물의 가격, 목표지역등의 시행업체가 제공하는 양식)를 등록해두면 판매자검색부는 필요한 지역에서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다수의 거래상대자를 검색하고 통보리스트를 작성한다. 상기 작성된 통보리스트를 기준으로 통보부는 각각의 거래상대자에게 잠재적 거래자의 정보를 통보해주어 각 거래상대자로 하여금 잠재적 거래자와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부담 소지를 판단하고 정산부를 통하여 판매자에게 과금을 함으로써 수요자는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고 판매자간의 경쟁을 유발시켜 구매자에 대한 판매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관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구매자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구매자가 요청한 정보를 음성 메세지 수신기 혹은 문자 메세지 수신기를 통해 간단하고 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은,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전자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구매자가 안내받고자 하는 지역명 및 품목 기타사항 및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혹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질의입력부(105)와;
상기 질의입력부에서 입력된 품목과 매칭되는 품목코드를 품목코드디비로 부터 검색하여 해당 품목코드로 변환하는 품목코드변환부(110)와;
품목명에 해당하는 품목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품목코드디비(115)와;
상기 지역명 및 품목코드를 가지고 취급하는 판매자를 검색하는 판매자검색부(120)와;
판매자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및 금액 정보를 등록하는 판매자등록부(130)와;
상기 판매자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판매자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정보를 저장하며 금액 정보중 정산부를 통해 정산된 금액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자정보디비(125)와;
상기 판매자정보디비를 통해 금액 정보를 확인하여 금액이 서비스할 금액보 다 작으면 통보리스트 작성에서 제외되고, 상기 금액이 서비스할 금액이상이면 통보리스트에 등록하는 서비스점검부(135)와;
상기 서비스점검부를 통해 등록된 판매자들의 통보리스트를 작성하는 통보리스트작성부(140)와;
상기 통보리스트에 해당하는 판매자들에게 서비스받기를 원하는 통보매체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하는 통보부(145)와;
상기 통보부를 통해 통보되면 해당 판매자의 금액을 정산하는 정산부(150)와;
구매자에게 구매자와 거래가 성사된 판매자를 확인하기 위한 거래성사확인부(155)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판매자정보디비에 저장되는 필드는 통보매체, 판매자전화번호, 통보시각, 판매자명, 판매자주소, 판매자업종, 판매자유형, 잔액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판매자정보디비에 저장되는 필드의 판매자 유형 중 개인판매자인 경우에는 서비스 기간과 서비스 횟수 필드가 추가적으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래성사확인부(155)는,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판매자명에 대한 번호를 부여하여 ARS서비스를 수행하고, 거래성사가 이루어진 판매자를 구매자에게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자는,
업종지사, 판매업체, 개인판매자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자등록부(130)는,
판매자가 개인일 경우에 판매자와 구매자를 구분하여 판매자일 경우에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전자 거래시 정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콜센터를 경유한 등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콜센터등록여부확인단계(S300)와;
콜센터를 경유할 경우에 콜센터와 통화한 통화료를 총비용에 포함시키는 콜센터통화요금포함단계(S305)와;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통보 목록 중 업종지사의 유무를 확인하는 업종지사유무확인단계(S310)와;
각 업종지사에 각 회수의 정보사용료를 부과하는 업종지사정보사용료부과단계(S315)와;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통보 목록 중 판매업체의 유무를 확인하는 판매업체유무확인단계(S320)와;
각 판매업체에 각 회수의 정보사용료를 부과하는 판매업체정보사용료부과단계(S325)와;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통보 목록 중 개인거래자(개인판매자)의 유무를 확인 하는 개인거래자유무확인단계(S330)와;
각 개인거래자(개인판매자)에 각 회수의 정보사용료를 부과하는 개인거래자정보사용료부과단계(S335)와;
거래성사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해당 품목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해당거래품목여부확인단계(S340)와;
해당 거래품목에 해당할 경우에 거래성사확인 비용을 총 비용에 포함하는 거래성사확인통화요금포함단계(S345)와;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지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지의 의사를 구분하는 의사구분확인단계(S350)와;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통보된 상대 판매자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55)와;
상기 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55)에서 개인판매자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개인판매자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0)와;
상기 개인판매자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0)에서 개인과 거래가 성사되지 않으면 업종지사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업종지사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5)와;
상기 업종지사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5)에서 업종지사와 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 해당 업종지사에 제비용을 부과하는 단계(S375)와;
상기 업종지사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5)에서 업종지사와 거래가 성사되지 않으면 판매업체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판매업체거래성사여부확 인단계(S370)와;
상기 판매업체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70)에서 판매업체와 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 해당 판매업체에 제비용을 부과하는 판매업체제비용부과단계(S380)와;
상기 통보된 상대 판매자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확인하는 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55)에서 통보된 상대 판매자의 누구와도 거래가 성사되지 않았을 경우와 상기 개인판매자거래성사여부확인단계(S360)에서 개인 판매자와 거래가 성사된 경우총비용을 통보된 업종지사수와 통보된 업체수를 더한 수로 나누는 분배비용계산단계(S385)와;
상기 분배비용계산단계(S385)를 통해 계산된 분배비용을 각 업종지사와 업체에 부과하는 분배비용부과단계(S3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전자 거래시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보리스트작성부(140)를 통해 작성된 통보리스트중 최상위에 위치한 받을 대상의 정보를 로딩하는 받을대상정보로딩단계(S705)와;
통보리스트작성부(140)를 통해 작성된 통보리스트중 최상위에 위치한 보낼 대상의 정보를 로딩하는 보낼대상정보로딩단계(S710)와;
통보받을 대상이 음성수신기를 이용한 음성메세지를 이용할 것인지, 문자전송장치를 이용한 문자메세지를 이용할 것인지를 구분하는 이용매체확인단계(S715)와;
상기 이용매체확인단계(S715)에서 통보매체가 음성수신기일 경우에,
ARS 음성 메세지를 통보부(145)를 통해 작성하는 음성메세지작성단계(S720) 와;
일반전화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전화걸기단계(S725)와;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가능여부확인단계(S730)와;
수신이 가능하면 음성 메세지를 전달하는 음성메세지전달단계(S735)와;
상기 이용매체확인단계(S715)에서 통보매체가 문자수신기일 경우에,
통보부(145)를 통해 작성하는 문자메세지작성단계(S720a)와;
문자전송장치로 문자메세지를 발송하는 문자발송단계(S725a)와;
상기 음성메세지전달단계(S735)와 문자발송단계(S725a)를 거쳐 통보가 성공되면 통보 성공 정보(통보 시간, 결과, 통보를 시도한 시간, 이용매체, 통보의 결과등)를 기록하는 통보성공정보등록단계(S7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은,
구매자가 안내받고자 하는 지역명 및 품목 기타사항 및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혹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질의입력부(105);
상기 질의입력부에서 입력된 품목과 매칭되는 품목코드를 품목코드디비로 부터 검색하여 해당 품목코드로 변환하는 품목코드변환부(110);
품목명에 해당하는 품목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품목코드디비(115);
상기 지역명 및 품목코드를 가지고 취급하는 판매자를 검색하는 판매자검색부(120);
판매자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및 금액 정보를 등록하는 판매자등록부(130);
상기 판매자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판매자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정보를 저장하며 금액 정보중 정산부를 통해 정산된 금액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자정보디비(125);
상기 판매자정보디비를 통해 금액 정보를 확인하여 금액이 서비스할 금액보다 작으면 통보리스트작성에서 제외되고, 상기 금액이 서비스할 금액 이상이면 통보리스트에 등록하는 서비스점검부(135);
상기 서비스점검부를 통해 등록된 판매자들의 통보리스트를 작성하는 통보리스트작성부(140);
상기 통보리스트에 해당하는 판매자들에게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통보매체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하는 통보부(145);
상기 통보부를 통해 통보되면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거래가 성사된 판매자를 확인하여 해당 판매자의 금액을 정산하는 정산부(150);
구매자에게 구매자와 거래가 성사된 판매자를 확인하기 위한 거래성사확인부(155);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실시예로서 도2를 제시하였다.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일반 사용자(10)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일반 전화를 이용하여 콜센터에 접속하여 질의입력부(105)를 통해 이용자가 안내받고자 하는 지역명 및 품목명과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혹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에서 29인치 TV를 사고 싶습니다.'라고 콜센터에 전화를 한다면, 콜센터 직원에 의해 개인 전화번호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입력된 품목을 통해 매칭되는 품목코드를 품목코드디비로부터 검색하여 품목코드변환부(110)를 통해 해당 품목코드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지역명 및 품목코드를 가지고 판매자검색부(120)를 통해 취급하는 판매자를 검색하게 된다.
판매자정보디비(125)를 통해 가입한 판매 업체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정보와 금액 정보를 확인하여 서비스점검부(135)에서 잔액이 서비스할 금액보다 작으면 통보리스트 작성에서 제외되고, 상기 잔액이 서비스할 금액 이상이면 통보리스트작성부(140)를 통해 통보리스트에 등록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거친 후 통보부(145)에서 통보리스트에 해당하는 판매자들에게 서비스받기를 원하는 통보매체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에서 서술하고 있는 통보매체란 음성 메세지 혹은 문자 메세지 중 판매자들이 통보받기를 원하는 매체를 선택하는 것을 말하며, ARS를 이용한 음성 메세지 혹은 문자전송장치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를 보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판매자는 업종지사와 판매업체와 개인판매자로 구분되어져 있다. 왜냐하면, 판매자의 유형에 따라 정산되는 비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 서비스점검부(135)에서 확인하는 금액은 판매자가 판매업체인 경우에는 예치금 정보를 확인하고, 판매자가 업종지사인 경우에는 월 혹은 년 단위의 사용료 정보를 확인하고, 판매자가 개인 판매자인 경우에는 서비스 기간과 서비스 횟수와 사용료 등의 금액을 확인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정산부를 통해 정산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한 비용이란 정보사용료의 합계를 의미하며, 이 비용의 부담 소제를 구분하여 해당 판매자의 정보사용료에서 자동적으로 차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정보 사용료는 구매자가 아닌 거래성사를 발생시킨 판매자가 지불하게 된다. 이 부분이 특징적인 부분이 될 수 있게 되는데 즉, 일반적인 거래는 보통 판매자의 정보를 구매자에게 직접 안내하고 구매자 및 판매자 모두 혹은 구매자가 정보사용료에 대해 부담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의 정보를 다수의 판매자에게 통보하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킨 판매자에게 비용을 부담시킴으로써, 판매자간의 경쟁을 유발시키고 구매자에 대한 판매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관리를 유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구매자는 무료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다음은 도3에 도시한 정산부의 정산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3에 명시된 정보사용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관리하는 본사의 정보를 판매자에게 통보하는데 까지 사용되는 제비용과 소정의 수수료를 포함한 금액이라 정의하였다.
우선 콜 센터를 경유한 등록인지 여부를 확인(S300)하여 콜 센터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등록 했으면 등록 비용이 없으며, 콜 센터를 경유하였을 경우에는 콜 센터와 통화한 통화료(등록비용)를 총 비용에 포함(S305)시킨 후(이 때, 총 비용 = 총 비용 + 콜센터 통화료)에 통보부를 통해 통보한 통보리스트 목록 중 업종지사의 유무를 확인(S310)하여 판매자가 업종지사인 경우에는 각 업종지사에 1회의 정보를 통보했으므로 각 회수에 정보사용료를 부과(S315)하게 된다.
(이 때, 총 비용 = 총 비용 + (업종지사의 수 × 정보사용료)) 한편, 통보부를 통해 통보할 통보리스트 목록 중 판매자가 업체인 경우(S320)에는 각 업체에 1회의 정보를 통보했으므로 각 회수에 정보사용료를 부과(S325)한다.(이 때, 총 비용 = 총 비용 + (업체의 수 × 정보사용료)) 한편, 통보부를 통해 통보할 통보리스트 목록 중 판매자가 개인인 경우(S330)에는 각 개인판매자에게 1회의 정보를 통보했으므로 각 회수에 정보사용료를 부과(S335)한다.(이 때, 총 비용 = 총 비용 + (개인거래자 × 정보사용료))
상기와 같이, 판매자의 유형을 파악한 후에 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판매 자일 경우에 해당하는 거래 품목인지 여부를 확인(S340)하여 거래 성사 여부를 자동 ARS 서비스로 확인을 요하는 품목의 거래일 경우 비용(통화료)을 총 비용에 포함시키게 된다(S345). (이 때, 총 비용 = 총 비용 + 거래성사 확인 비용(통화료))
상기의 과정을 거친 후에 해당 거래자가 구매자 혹은 판매자인지를 구분(S350)하여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고객일 경우 등록시 납부한 일정금액의 정보사용료에서 정보에 사용된 제비용을 차감하게 되며, 구매를 목적으로 한 고객일 경우는 통보된 상대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확인(S355)하게 되는데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거래 성사여부를 확인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친 후 개인과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확인(S360)하여 통보된 상대와 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에 실행하되 개인과 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 제비용(총비용)은 통보된 업종지사수와 업체수를 더한 수로 나누어 분배비용을 계산하는 분배비용계산단계(S385)를 거쳐 통보된 업종지사와 업체가 나누어 부담하도록 하는 분배비용부과단계(S390)를 통해 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개인과 거래가 성사되지 않았을 경우에 즉, 업종지사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확인(S365)하여 제비용(총비용)은 거래가 성사된 업종지사가 부담하도록 하는 업종지사제비용부과단계(S375)를 통해 처리된다. 여기서도 거래성사여부는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확인하며, 업체와 거래가 성사되었는지 확인(S370)하여 제비용(총비용)은 해당 업체가 부담하도록 하는 판매업체제비용부과단계(S380)를 통해 처리된다.
통보된 상대의 누구와도 거래를 못했을 경우에는 제비용(총비용)은 통보된 업종지사와 업체가 나누어 부담하도록 하는 분배비용계산단계(S385)와 분배비용부 과단계(S390)를 통해 처리된다. 여기서, 정산부(150)는 개인판매자제비용부과, 업종지사제비용부과, 판매업체제비용부과, 분배비용계산, 분배비용부과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적으로 업종지사와 업체의 분할 부담은 제비용(총비용)을 통보된 업종지사와 업체의 수로 나누어 부담하며, 분할비용은 '제비용(총비용)/(통보된 업종지사 수 + 통보된 업체 수)'로 업종지사의 통보비용합계는 '통보비용합계 + 분할비용'로 업체의 정보사용료 잔액은 정보사용료 - 분할비용으로 처리한다. 제비용(총비용)의 계산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계산정보로써, 정보사용료는 200원(통보비용 + 수수료), 통보된 개인판매자 수는 1명, 통보된 업종지사 수는 3업체, 통보된 업체 수는 9업체, 콜 센터 경유 확인은 경유함(통화료:100원), 거래성사여부 확인은 통화료 100원이라면,
콜 센터 경유 통화료는 100원, 개인판매자에게 사용된 정보사용료는 '1 × 200 = 200원', 업종지사에게 사용된 정보사용료는 '3 × 200 = 600원', 업체에게 사용된 정보사용료는 '9 × 200 = 1800원', 거래성사 여부확인 통화료는 '100원'이므로 총 비용은 '100 + 200 + 600 + 1800 + 100 = 2800원'이 되고, 판매자가 업종지사로 거래 성사의 경우에는 거래 성사한 업종지사가 전액 부담하며, 판매자가 판매업체로 거래 성사한 경우에는 거래 성사한 업체가 전액 부담하게 되며, 개인판매자가 거래를 성사시켰거나 누구와도 거래하지 못한 경우에는 분할비용은 '제비용(총비용)/(업종지사 수 + 업체 수)'로써, 분할비용은 '234 = 2800 / 12'로 각 업종지사와 업체가 234원씩 부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거래성사확인부(155)는 통보부(145)를 통해 통보된 판매자명에 대한 번호를 부여하여 자동 ARS 서비스를 수행하여 거래성사가 이루어진 판매자를 구매자에게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통보리스트작성부(140)를 통해 작성된 통보리스트를 통보부(145)를 통해 해당 판매자에게 통보할 경우, 만약 해당하는 판매자가 A,B,C가 존재하며 각 판매자마다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즉, A는 전화 다이얼 번호중 1번, B는 전화 다이얼 번호중 2번을, C는 전화 다이얼 번호중 3번을 부여하여 구매자에게 ARS서버를 통해 음성메세지를 전달하는데 예를 들어, ' 안녕하십니까? 000고객님께서 2005년 0월 00일 부터 2005년 0월 00일까지 연락받으신 판매자중 구매를 하신 판매자를 선택하여 주세요. 해당하는 판매자가 A이면 1번을, 판매자가 B이면 2번을, 판매자가 C이면 3번을 누르신 후 * 혹은 # 버튼을 눌러주세요.'라는 음성메세지를 듣고 구매자가 해당하는 번호를 누르게 되면 상기 해당 판매자의 비용이 정산부(150)를 통해 정산되어 판매자정보디비(125)에 저장되어 진다. 상기의 예는 판매자가 통보매체를 ARS서비스를 선택할 경우에 해당되며, 문자단문메세지를 선택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의 과정을 거쳐 거래성사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결국 상기에서 제시한 실시예를 근거로 구매자의 전화번호가 '02-222-2222'라면, 해당하는 지역의 해당 판매자가 'A', 'B', 'C'로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후 상기 'A', 'B', 'C'의 판매자가 상기 구매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 되어 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을 제시하여 좀 더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의 과정을 통해 'A'라는 판매자가 구매자와 거래가 성사되면,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거래성사된 업체를 확인하고 정산부(150)를 통해 'A'라는 판매자의 잔액을 정산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B', 'C'의 판매자는 거래가 성사되지 않는 관계로 금액 정산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거래과정을 통해 이용자는 별도의 비용 처리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판매자등록부를 통해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정보의 작성(S410)은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의 이름,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의 사업자번호(업체정보 확인시 아이디로의 기능을 함),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 인증번호(업체정보 확인시 인증번호의 기능을 함),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의 우편번호,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의 주소, 구매자의 정보를 통보받을 휴대 전화번호, 구매자의 정보를 통보받을 일반 전화번호,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의 홈페이지 주소,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의 이용 기간등의 기본 정보를 작성하며,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가 취급하고 있는 품목을 본 시스템을 활용할 본사에서 제공한 상품리스트에서 선택하며, 업종지사 혹은 판매업체가 판매할 지역을 선택(S410)하게 된다. 상기의 기본 등록을 마치게 되면, 사업자등록번호의 오류, 비밀번호의 오류, 전화번호의 입력형식 오류, 기타 입력양식에 맞지 않는 오류를 검사(S420)하게 된다. 상기의 오류검사를 마치게 되면 기본정보 및 취급품목 및 판매지역을 판매자등록부(130)를 통해 등록(S430)하게 되며 등록된 정보를 판매자가 확인(S440)하여 오 기입 부분을 수정하게 된다. 그 후 이상이 없으면 결제시스템에 접근(S450)하여 결제 인증(S460)을 거쳐 상기 판매자정보디비(125)에 결제정보를 등록(S470)하고 통보준비금에 추가(S480)하여 서비스를 시작(S490)하게 된다.
통보준비금이 통보에 사용되는 제비용보다 적은 경우 통보리스트의 선정 조건에 누락되어 보충시까지 서비스가 정지된다.
상기의 결제는 일반적으로 결제 회사를 이용하며 결제회사에서 제공되는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를 실행하는데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 당업자에게는 널리 익숙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판매자등록부를 통해 개인판매자의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개인의 경우에는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고객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고객으로 구분하며 여기서는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의 개인판매자를 판매자등록부에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고객은 정보사용료를 부담하지 않으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할 경우 취급하는 판매자를 검색하여 검색된 판매자에게 고객의 간략한 정보를 통보하게 된다. 즉, 통보를 받을 판매자는 고객에게 거래제의를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구매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만약, 고객과 거래가 성사된다면 거래가 성사된 판매자가 제통보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정보의 작성(S510)은 개인판매자의 이름, 아이디, 판매자 인증번호(확인시 인증번호의 기능을 함), 개인판매자의 우편번호, 개 인판매자의 주소, 구매자의 정보를 통보받을 휴대 전화번호, 구매자의 정보를 통보받을 일반 전화번호, 개인판매자 이메일 주소, 해당 목적물의 마감일등의 기본 정보를 작성하며, 개인판매자가 취급하고 있는 품목을 본 시스템을 활용할 본사에서 제공한 상품리스트에서 선택하며, 개인판매자가 판매할 지역을 선택(S510)하게 된다. 상기의 기본 등록을 마치게 되면, 인증번호의 오류, 비밀번호의 오류, 전화번호의 입력형식 오류, 기타 입력양식에 맞지 않는 오류를 검사(S520)하게 된다. 상기의 오류검사를 마치게 되면 기본정보 및 취급품목 및 판매지역을 판매자등록부(130)를 통해 등록(S530)하게 되며 등록된 정보를 개인 판매자가 확인(S540)하여 오 기입 부분을 수정하게 된다. 개인 고객의 경우에는 구매자와 판매자를 구분(S550)하여 등록하여야 하므로 개인 고객이 판매자일 경우에는 결제시스템에 접근(S560)하여 결제 인증(S570)을 거쳐 상기 판매자정보디비(125)에 결제정보를 등록(S580)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판매자검색부에서 해당지역에 위치한 판매자를 검색하지 못할 경우에 근접지역까지 판매자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급업체검색부(120)는 지역명 및 품목코드를 가지고 취급업체를 검색하게 되는데 1차적으로 해당하는 지역을 검색하게 되고 2차적으로 해당하는 지역을 검색하게 되는 플로우를 일실시예로써 나타낸 것이며, 도6에 제시된 상품취급 업종지사 및 개인판매자 및 상품취급 업체는 본 발명의 판매자에 해당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체통보량(여기서, T라 정의한다.)의 비율은 (업종지사+개인판매자):광고업체 = 6:4이고, (업종지사+개인판매자)의 통보량(60%) = 전체통보량 × 0.6이며, 광고업체 통보량(40%) = 전체통보량 × 0.4라 한다면,
우선, 개인구매자가 등록한 목적물(상품)을 취급하는 업종지사를 검색(S105)을 하게 된다. 여기서, 업종지사의 취급품목은 업종지사의 계정등록 시 등록되는 것이고, 상품취급 업종지사는 각 지역에 희소성과 독점성을 고려하여 선정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업종지사가 검출되지 않는다.
상기 업종지사를 검색(S605)한 후 개인구매자가 등록한 목적물(상품)과 같은 목적물(상품)을 등록한 개인판매자를 검색하는데 기타 검색조건에 맞는 검색자료만을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개인구매자가 등록한 시점 이전에 등록된 개인판매자만 검색된다.
여기서, 상기 상품취급 업종지사 검색(1차 지역)을 'A'로, 개인판매자 검색(1차 지역)을 'B'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검색시 검색조건은 거래가능자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일치해야 할 조건을 의미하며, 검색 조건의 등록은 관리자가 코드등록 이후 코드관리 메뉴에서 검색조건(Match Field)을 등록한다.
예를 들어, 검색조건(Match Field)의 등록은 코드관리 >> 생활용품 >> 영상가전제품 >> TV : 소분류코드(00100010001)으로 하게 되며, 다음의 표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No 비교값 비교쿼리 필드명 필드정보
1 = info_code 분류코드가 같은 것
2 like add_location 광고지역이 같은 것
3 <> hp_number 자신의 휴대전화와 다른 것
4 <> tel_number 자신의 일반전화와 다른 것
5 <> sale_by_section 구매 및 판매의 의사가 다른 것
6 0.2 <= sale_by_cost 거래가격의 오차 범위 20%
7 1 = bank_yn 입금이 완료된 것
8 13 < now_join_cnt 최대 13명 까지
9 0 = happy_call_yn 거래가 종료되지 않은 것
또한, 검색조건을 이용한 Query문의 조건 절 생성은 where info_code=[제품코드] and add_location like [광고지역리스트] and hp_number<>[휴대전화번호] and tel_number<>[일반전화번호] and sale_by_section<>[판매의사] and sale_by_cost >=[거래가격]×(1-0.2) and sale_by_cost<=[거래가격]×(1+0.2) and bank_yn=1 and now_join_cnt<13 and happy_call_yn=0 이다.
상기 개인판매자 검색(S610)을 거친 후 검색된 개체의 수를 비교(S615)하게 된다. 이때, A+B의 합이 '업종지사+개인판매자'의 통보량(전체통보량의 60%)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경우 검색된 자료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우선순위에 준하여 해당되는 수만큼 자료를 검출해 낸 후 만약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업종지사 및 개인판매자의 검색을 완료한다. 또한, 미달되었을 경우 2차 지역(광범위)에서 개인판매자를 재 검색(2차지역)하게 되는데(S620), A+B의 검색 결과가 총 통보량의 60%에 미치지 못했을 경우 실행된다.
검색조건은 상기의 검색조건과 같다. (단, 지역은 2차 지역에서 검색한다)
상기 과정을 거친 후 검색된 개체의 수 비교(S625)를 하게 되는데 이는 A+B+C의 합이 (업종지사+개인판매자)의 통보량(전체통보량의 60%)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경우 검색된 자료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우선순위에 준하여 해당되는 수만큼 자료를 검출해 낸다. 만약 초과하였을 경우 업종지사 및 개인판매자의 검색을 완료하게 되며, 미달되었을 경우 2차 지역(광범위)에서 상품취급 업종지사를 재 검색(2차지역)하게 되는데(S630), A+B+C의 검색 결과가 총 통보량의 60%에 미치지 못했을 경우 실행되며 검색조건은 상기의 검색조건과 같다. (단, 지역은 2차 지역에서 검색한다)
상기 과정을 거친 후 검색된 개체의 수 비교(S635)를 하게 되는데 이는 A+B+C+D의 합이 (업종지사+개인판매자)의 통보량(전체통보량의 60%)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경우 검색된 자료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우선순위에 준하여 해당되는 수만큼 자료를 검출해 내는데 초과여부에 관계없이 업종지사 및 개인판매자 검색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판매자 검색(2차 지역)을 'C'로, 상품취급 업종지사 검색(2차 지역)을 'D'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과정을 거친 후 상품취급 업체 검색(1차지역)하게 되는데(S640), 개인구매자가 등록한 목적물(상품)을 취급하는 업체를 검색한다. (단, 업체의 취급품목은 업체의 계정등록 시 등록된다.) 상기에서 검색된 개체의 수를 비교(S645)하게 되는데 상품취급 업체 검색(1차지역)의 결과가 광고업체 통보량(전체통보량의 40%)을 초과하는지 비교를 하여 초과하였을 경우 검색된 자료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우선순위에 준하여 해당되는 수만큼 자료를 검출하게 되는데 만약, 초과하였을 경우 상품취급 업체의 검색을 완료하며, 미달되었을 경우 2차 지역(광범위)에서 상품취급 업체를 재 검색한다. 상기 상품취급 업체 검색(2차지역)은 상품취급 업체 검색(1차지역)의 결과가 전체통보량의 40%에 미치지 못했을 경우 실행된다(S650). 이때, 검색 조건은 상기의 검색조건과 같다. (단, 지역은 2차 지역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취급 업체 검색(1차 지역)을 'E'로, 상품취급 업체 검색(2차 지역)을 'F'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친 후 검색된 개체의 수 비교(S655)를 하게 되는데, 상기 상품취급 업체 검색(1차지역)과 상품취급 업체 검색(2차지역)의 합계 결과가 광고업체 통보량(전체통보량의 40%)을 초과하는지 비교하는데 만약, 초과하였을 경우 검색된 자료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우선순위에 준하여 해당되는 수만큼 자료를 검출하여 초과여부에 관계없이 상품취급 업체의 검색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거친 후 A, B, C, D, E, F에서 검색된 결과를 통보자료 테이블에 등록(S660)하며, 상기 통보자료는 순서에 따라 통보 프로그램이 자동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통보 후 등록된 목적물의 업종에 해당하는 마감일이 경과했는지 확인(S665)한다.
이는 마감일이 경과한 자료는 마감일 이후 모든 광고의 의미를 상실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한 것이다.
상기 마감일이란 등록하는 시점의 시간에 거래가 이루어지기 위해 대기하는 기간을 더한 시점을 의미한다.
각 업종마다 각기 다른 대기시간을 요구하게 되는데 예를 들자면, TV의 경우 약 5일 가량이면 거래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지만, 부동산의 경우 15~30일 가량의 거래기간에도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업종에 따른 대기기간은 업종등록 이후 관리자가 업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등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과정을 거친 후 A+B+C+D+E+F의 결과가 전체통보량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검색된 개체의 수를 비교(S670)하게 된다. 여기서, 검색된 개체의 수가 전체 통보량(T)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는 예정된 통보량에 맞게 통보된 경우이므로 마감일에 마감처리하게 되며, 작은 경우에는 통보할 잔량이 남아있는 경우이며 이 잔량이 소진될 때까지 피동적 검색에 대기하게 된다.
피동적 검색이 되면 마감일 경과 여부를 확인하여 마감일 전까지 반복 실행하게 된다. 상기의 피동적 검색은 등록하는 거래자의 등록 시점보다 이전에 등록한 거래자를 검색하는 것을 말하며 현재 등록하는 거래자가 거래가능자의 수(전체통보량)를 검색하지 못했을 경우 미래의 등록자가 현재의 거래자를 검색하게 되는데 이를 피동적 검색이라 하며, 이 대기 상태를 피동검색 대기상태라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통보부에서 통보매체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보부에서 통보매체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과정은 우선 최상위 받을 대상의 정보를 로딩(S705)한다. 이는 거래가능자의 정보를 전송할 대상을 선택하여 통보 테이블(Database : outcall)에서 최상위 라인의 통보 받을 대상의 코드를 검출하고 관련 테이블에서 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로딩하게 된 다. 이후에 최상위 보낼 대상의 정보를 로딩(S710)한다. 이는 통보 받을 대상에게 전송할 거래가능자의 정보와 통보 테이블(Database : outcall)에서 최상위 라인의 거래가능자 코드 검출하여 관련 테이블에서 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로딩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거친 후 통보받을 대상의 이용매체 확인(S715)을 하게 되는데 이는 ARS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를 이용할 것인지, 문자전송장치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할 것인지 구분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이용자의 통보 매체가 음성수신기일 경우 ARS 음성 메시지를 이용하는데 이용자의 요구에 따른 ARS 음성 메시지를 작성(S720)하여 전화를 걸어(S725)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S730)를 확인하여 수신이 가능한 경우음성 메시지를 전달(S735)하게 된다. 여기서, 고객이 전화를 받지 않을 경우에 통보의 실패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으므로 통보의 실패가 초래되면 통보 실패 정보를 저장하고 실패회수를 증가시키고 통보테이블의 마지막 라인으로 정보를 이동시키고 처음부터 다시 반복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 후에 실패회수가 최대 실패회수에 도달하면 정보를 삭제하고 최종 통보의 실패로 처리하게 된다.
한편, 이용자의 통보 매체가 문자수신기일 경우 문자 메세지를 작성(S720a)하고 문자전송장치를 이용하여 문자 메세지를 발송(S725a)하게 된다.
상기의 메시지의 작성은 예를 들면, ' [(주)스피드인] 디지털 29 인치 TV 거래자 012 - 345 - 6789 '라는 메시지를 작성한다.
결국 상기의 과정을 통해 통보된 정보를 통보결과 테이블 (Database : outcall_time)에 저장(S740)하는데 기록 내용은 통보를 시도한 시간, 이용매체, 통보의 결과(성공/실패)등이다.
상기의 통보 중 문자 메시지 경우에는 실패의 확률이 없으므로 발송 후 통보가 성공한 것으로 가정해도 무방하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의 품목코드번호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지역위치 및 품목을 상기 질의입력부(105)를 통해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를 품목코드변환부(110)에서 품목코드디비(115)로부터 전송받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해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부담 소지를 판단하여 공급자에게 과금을 함으로써 수요자는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공급자간의 경쟁을 유발시켜 수요자에 대한 공급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관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수요자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공급자간의 경쟁을 유발시켜 수요자에 대한 공급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관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수익이 발생한 판매자에게 비용을 부담시킴으로서 구매자는 무료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구매자가 안내받고자 하는 지역명 및 품목 기타사항 및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혹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질의입력부(105);
    상기 질의입력부에서 입력된 품목과 매칭되는 품목코드를 품목코드디비로 부터 검색하여 해당 품목코드로 변환하는 품목코드변환부(110);
    품목명에 해당하는 품목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품목코드디비(115);
    상기 지역명 및 품목코드를 가지고 취급하는 판매자를 검색하는 판매자검색부(120);
    판매자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및 금액 정보를 등록하는 판매자등록부(130);
    상기 판매자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판매자가 소재한 지역명과 품목코드명 정보를 저장하며 금액 정보 중 정산부를 통해 정산된 금액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자정보디비(125);
    상기 판매자정보디비를 통해 금액 정보를 확인하여 금액이 서비스할 금액보다 작으면 통보리스트작성에서 제외되고, 상기 금액이 서비스할 금액 이상이면 통보리스트에 등록하는 서비스점검부(135);
    상기 서비스점검부를 통해 등록된 판매자들의 통보리스트를 작성하는 통보리스트작성부(140);
    상기 통보리스트에 해당하는 판매자들에게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통보매체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하는 통보부(145);
    상기 통보부를 통해 통보되면 거래성사확인부(155)를 통해 거래가 성사된 판매자를 확인하여 해당 판매자의 금액을 정산하는 정산부(150);
    구매자에게 구매자와 거래가 성사된 판매자를 확인하기 위한 거래성사확인부(155);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정보디비에 저장되는 필드는 통보매체, 판매자전화번호, 통보시각, 판매자명, 판매자주소, 판매자업종, 판매자유형, 잔액으로 이루어지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의 판매자유형 중 개인판매자인 경우에 서비스 기간과 서비스 횟수 필드가 추가적으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성사확인부(155)는,
    통보부를 통해 통보된 판매자명에 대한 번호를 부여하여 ARS서비스를 수행하고, 거래성사가 이루어진 판매자를 구매자에게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는,
    업종지사, 판매업체, 개인판매자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등록부(130)는,
    판매자가 개인일 경우에 판매자와 구매자를 구분하여 판매자일 경우에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부(150)는,
    개인판매자제비용부과, 업종지사제비용부과, 판매업체제비용부과, 분배비용계산, 분배비용부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050045198A 2005-05-27 2005-05-27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6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198A KR100716122B1 (ko) 2005-05-27 2005-05-27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198A KR100716122B1 (ko) 2005-05-27 2005-05-27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039A KR20050059039A (ko) 2005-06-17
KR100716122B1 true KR100716122B1 (ko) 2007-05-10

Family

ID=3725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198A KR100716122B1 (ko) 2005-05-27 2005-05-27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46A (ko) * 2006-08-01 2008-02-11 주식회사 쇼테크 답변형 민원/게시물 처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352301B1 (en) * 2012-04-11 2013-01-08 01Click, L.L.C. Sales opportunity no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513A (ko) * 2003-06-17 2004-12-24 도윤찬 양방향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최적 판매자 또는 중개자에대한 구매자 실시간 연결 및 과금 방법
KR20050106183A (ko) * 2004-05-04 2005-11-09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513A (ko) * 2003-06-17 2004-12-24 도윤찬 양방향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최적 판매자 또는 중개자에대한 구매자 실시간 연결 및 과금 방법
KR20050106183A (ko) * 2004-05-04 2005-11-09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039A (ko)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896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erce
US93365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through a network portal
US65104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eterring the submission of similar offers in a commerce system
US20010056395A1 (en) Internet bargaining system
US20020004760A1 (en) Online settlement system,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070288329A1 (en) Publicly Accessible Deferred Purchasing System With Vendor Review Access To Deferred Purchase Requests
TWI460670B (zh) 伺服器裝置
US7996275B2 (en) Method for selecting a merchant for a trial mode of a service
AU2001266597A1 (en) Internet bargaining system
TW202134982A (zh) 用於促成物品的遞送之方法、裝置與製成品
JPH10508708A (ja) インターネットを介して電子的に転送することにより情報製品を購入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支払いシステム
US20060195382A1 (en) Method for providing auction service via the internet and a system thereof
US78182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ross-benefits via a central authority
US7680698B2 (en) Method for selecting a merchant for a trial mode of a referral service
US7529679B1 (en) Automated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KR20000053907A (ko) 통신망을 이용한 물류 운송서비스 방법
JP4769001B2 (ja) オークションへの入札(落札)若しくは出品を支援するシステム及び支援する方法
KR100716122B1 (ko) 수익자 비용부담 거래정보통보시스템 및 그 방법.
JP4022914B2 (ja) 物品貸出管理システム
KR101653629B1 (ko) 실시간 역경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4935A (ko) 음성 옐로우페이지 기반 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2002007788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リサイクル品の情報提供方法及び入札・決済・配送方法
US20020120556A1 (en) Auction system using network and auction program as well as storage medium on which program is stored
JP3923951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
US20040078291A1 (en) Method of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