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195B1 -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 Google Patents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195B1
KR100715195B1 KR1020060103772A KR20060103772A KR100715195B1 KR 100715195 B1 KR100715195 B1 KR 100715195B1 KR 1020060103772 A KR1020060103772 A KR 1020060103772A KR 20060103772 A KR20060103772 A KR 20060103772A KR 100715195 B1 KR100715195 B1 KR 10071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rame
connecting rod
elastic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 태광기획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광기획공간 filed Critical (주) 태광기획공간
Priority to KR102006010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이 개시된다. 상기 테이블은 복수 개의 연결봉으로 각각 구성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연결되는 절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 연결봉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또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연결봉은 L 형태의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의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FOLDABLE MULTI-PURPOSE TABLE}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이중 링크 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상판 부재의 구성 및 그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링크 연결부 및 링크 수단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링크 연결부 및 이중 링크 연결 부재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이중 링크 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신축 부재가 연결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한 가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신축 부재 및 연결 부재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신축 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른 신축 부재의 결합 상태의 변화 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신축 부재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상측으로 최대로 잡아 당겨진 신축 부재가 연결 부재의 돌출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을 2개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는 한 가지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을 광고용 설치물로 사용하는 한 가지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10, 10a: 프레임
100: 제1 연결 부재
300: 상판 부재
400: 이중 링크 부재
600: 신축 부재
본 발명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을 수 있게 구성되 어 미사용시에는 공간을 절약하면서 보관할 수 있고, 선거용 기표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테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확장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 많은 선거가 이루어지고 있고 그러한 선거를 위해 수 많은 기표대가 선거장에 구비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선거용 기표대는 선거가 종료되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창고 등에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기표대는 적지 않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창고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도 많은 기표대를 한 번에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한편, 구청 등과 같은 관공서에서는, 민원인이 서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컴퓨터 책상을 구비하여 놓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 책상은 그 디자인이 천편일률적이고 또 컴퓨터 책상으로밖에 사용되지 못하며,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 등이 노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표대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창고 등에 보관하는 경우 적은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하여 많은 수의 테이블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거시에는 기표대로 사용되지만, 선거가 끝난 후에 는 컴퓨터 등을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를 갖는 절철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선거와 관련한 휘장 또는 광고 목적의 휘장 등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이 제공되는데, 상기 테이블은 복수 개의 연결봉으로 각각 구성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연결되는 절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 연결봉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또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연결봉은 L 형태의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의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결봉 중 각각의 프레임의 수직 연결봉 사이에 추가의 연결봉이 그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이중 링크 부재는 상기 추가의 연결봉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중 링크 부재는,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수단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 제2 링크 부재 및 링크 수단을 따라 이동 가능한 피벗 구속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 각각은 링크 부재 본체와, 이 링크 부재 본체의 양 단부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링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연결부를 통해 상기 링크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링크 수단은 그 중앙의 일부가 절취되어 상기 제1 링크 연결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대향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링크 연결부를 지지하는 링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링크 연결부의 적어도 일측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링크 연결부가 상기 체결홈을 매개로 상기 돌출부에 맞물림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L-형태의 연결 부재 중 상기 프레임의 상부 연결봉 및 수직 연결봉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에는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접고 펼 수 있는 신축 부재가 그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 부재는 그 부재가 장착되는 연결 부재 및 이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수직 연결봉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 부재가 장착되는 L-형태의 연결 부재 중 상기 프레임 전면의 수직 연결봉과 상부 수평 연결봉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는 그 일부가 프레임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는, 텔레스코프식으로 신축 가능하고, 각각 상측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의 상하 신축부와, 상기 하측 신축부의 상단에 제공되고 상기 상측 신축부의 하단부의 직경과 거의 대응되는 직경의 신축 체결부와, 스냅 체결 가능하게 구성된 대략 구형의 스냅 체결부 및 상기 스냅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신축 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 부재는 상기 상하 신축부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측 신축부의 하측 신축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 부재는 상기 수직 연결봉 내부를 따라 상향 이동하여 상기 스냅 체결부를 매개로 피벗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축 부재가 장착되는 수직 연결봉 내부에는, 상기 스냅 체결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 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탈 방지부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지지 부재가 장착될 수 있 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형태의 연결 부재의 측면에는 2개의 테이블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확장용 연결봉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선거용 기표대 또는 광고용 설치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특징은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A)의 전체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용도 테이블(A)은 크게 복수 개의 연결봉(11, 12, 13, 14; 11a, 12a, 13a, 14a)으로 각각 구성되는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10a)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10a)은 실질상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프레임(10)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제1 프레임(10), 제2 프레임(10a)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이중 링크 부재(400)의 세부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프레임의 구조를 살펴보면, 제1 프레임(10)은 크게 수직 방향의 제1 연결봉(11), 수평 방향의 제2 연결봉(12), 수직 방향의 제3 연결봉(13) 및 수평 방향의 제4 연결봉(14)으로 이루어진다. 제4 연결봉(14) 및 제1 연결봉(11)은 L-형태의 제1 연결 부재(10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4 연결봉(14) 및 제3 연결봉(13)은 L-형태의 제2 연결 부재(2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봉(11) 및 제2 연결봉(12)은 L-형태의 제3 연결 부재(11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2 연결봉(12) 및 제3 연결봉(13)은 L-형태의 제4 연결 부재(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들 중 제1 연결 부재(100) 및 제2 연결 부재(2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 프레임(10)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하는 이중 링크 부재(400)를 장착하기 위한 추가의 제5 및 제6 연결봉(15, 16)을 포함하며, 이들 추가의 연결봉은 제1 연결봉(11) 및 제3 연결봉(13)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4 연결봉(14)에는 제2 프레임(10a)에 장착된 상판 부재(300)를 회전시켜 안착시키기 위한 2개의 안착 부재(320a)가 설치되어 있다(도 2a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이중 링크 부재(400)가 제1 프레임(10)의 제5 및 제6 연결봉(15, 16) 및 제2 프레임의 제5 연결봉 및 제6 연결봉(도시 생략)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중 링크 부재(400)는, 각각 제1 및 제2 링크 부재 본체(420, 440)와 이 본체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링크 연결부(480)를 포함하는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 이들 제1 및 제2 링크 부재가 피벗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피벗 구속 부재(430), 상기 링크들을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링크 수단(460)을 포함하고 있다. 이중 링크 부재(40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은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사용할 때에는 피벗 구속 부재(430)를 링크 수단(460) 상으로 이동하여,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접히는 것을 제한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접어서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벗 구속 부재를 예컨대 제2 링크 부재 상으로 이동하여,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링크 수단(460)을 매개로 서로를 향해 피벗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판 부재(300)를 피벗시켜 제2 프레임(10a)에 밀착되도록 한 채, 피벗 구속 부재(430)를 제2 링크 부재 상으로 이동시키고(도 2a 참조),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10a) 양쪽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링크 수단(460)을 매개로 서로를 향해 피벗되고, 계속 힘을 가하면 본 발명의 테이블은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완전히 접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창고와 같은 소정의 장소에 보관할 때 테이블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다 많은 테이블을 한 장소에 보관할 수가 있게 된다.
상판 부재(300)의 구성 및 그 동작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판 부재(300)는 힌지 부재(320)를 매개로 하여 제2 프레임(10a)의 제4 연결봉(14a)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부재(300)는 힌지 부재(320)를 통해 대략 270°각도 범위에 걸쳐 피벗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상판 부재(300)는 제4 연결봉(14a)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1 프레임(10)을 향해 0~90°의 범위에서 피벗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 0~180°의 범위에서 피벗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사용할 때에는, 상판 부재(300)를 제1 프레임(10)을 향해 이동시켜 안착 부재(320a)에 안착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소정의 장소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판 부재(300)를 반대 방향으로 피벗시켜 제2 프레임(10a)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 부재(300)가 제1 및 제2 프레임(10, 10a)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 양태에 따라 힌지 부재(320)를 매개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피벗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중 링크 부재(400) 및 이 이중 링크 부재를 연결봉에 연결하기 위한 이중 링크 연결 부재(5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이중 링크 부재(4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링크 부재(400)는 크게 제1 링크 부재, 제2 링크 부 재,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링크 수단(460),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접히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피벗 구속 부재(430)를 포함하고,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 각각은 링크 부재 본체(420, 440)와, 이 본체의 각 개방 단부에 장착되어 링크 부재 본체(420, 440)를 링크 수단(460) 및 이중 링크 연결 부재(500)에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링크 연결부(480)를 포함한다.
먼저, 링크 수단(460) 및 링크 연결부(480)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수단(460)은 중앙의 일부가 절취되어 링크 연결부(480)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대향하는 삽입홈(462)이 형성되어 있고, 링크 연결부(48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4개의 링크 지지부(460a, 460b, 460c, 460d)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링크 지지부에는 상기 삽입홈(462)과 연통하는 관통공(466)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면 상의 관통공(466)은 동축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볼트(20)가 링크 연결부(480)의 관통공(484)을 통과하여, 반대편 관통공에 삽입됨으로써, 링크 연결부(480)가 링크 지지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홈(462)에는 후술하는 링크 연결부(480)의 제2 삽입부(484)에 형성된 체결홈(484a)과 대응하여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46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링크 수단(46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링크 연결부(480)는 상기 링크 부재 본체의 일 개방 단부에 삽입 체결되는 대략 원형의 제1 삽입부(482)와 상기 링크 수단의 삽입홈(462)에 삽입되고 그 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평탄면을 갖는 제2 삽입부(484)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삽입부(482)에는 예컨대 링크 부재 본체(42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가이드부(426)(도 4 참조)에 끼워지는 가이드홈(482a)이 형성되어 있어, 제1 삽입부(482)는 상기 가이드홈(482a)을 따라 링크 부재 본체(4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한편, 제2 삽입부(484)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수단(460)의 삽입홈(462)의 일측벽에 형성된 돌출부(464)와 맞물리는 2개의 체결홈(48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홈은 대략 9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삽입부(484)를 삽입홈(462)에 삽입한 다음에 볼트(20)를 이용하여 고정 체결하면, 돌출부(464)와 체결홈(484a)이 맞물려 체결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링크 수단을 향해 완전히 피벗되면 다른 체결홈(484a) 역시 돌출부(464)에 맞물려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링크 수단(460)에 대해 어떤 소정의 공극 없이 꽉 맞물려 체결되어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두 체결홈(484a) 사이는 대략 아크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링크 연결부(480)를 링크 수단(460)에 결합하여도, 링크 연결부는 링크 수단의 삽입홈(484) 내에서 대략 90° 각도 범위에서 이동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제2 삽입부(484)의 평탄면에는 링크 지지부(예컨대, 460a, 460b)에 형성된 관통공(466)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484b)이 형성되어 있어서, 링크 연결부(480)를 링크 수단(460)에 삽입한 후, 볼트(20)를 상기 관통공(460a, 484b, 460b)을 통해 삽입하여, 그 두 부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중 링크 부재(400)는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피벗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피벗 구속 부재(430)를 포함한다(도 4 참조). 이 피벗 구속 부재는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 상에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도록 그 링크 부재에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피벗 구속 부재에는 그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중 링크 부재(400)의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에 도달하면, 링크 부재 본체(420)에 형성된 스토퍼(424)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방지된다(도 7 참조).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이중 링크 부재(400)를 제5 및 제6 연결봉(15, 16)에 연결하기 위한 이중 링크 연결 부재(500)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링크 연결 부재(500)는 연결봉에 연결되는 대략 원통형의 제1 연결부(520)와 링크 연결부(480)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5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부(520)는 연결봉(15 또는 1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되어 있으며, 연결봉의 외면에 형성된 오목부(도시 생략)와 맞물려 연결봉을 안내하 는 돌출 가이드부(522)가 그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540)는 전체적으로 상기한 링크 지지부(406a 내지 460d)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제2 연결부(540)는 그 중앙의 일부가 절취되어 링크 연결부(48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542)이 형성되어 있고, 링크 연결부(48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2개의 링크 지지부(540a, 540b)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542)에는 링크 연결부(480)의 삽입부(484)에 형성된 체결홈(484a)과 대응하여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5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링크 지지부(540a, 540b)에는 상기 삽입홈(542)과 연통하는 관통공(54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 수단(460)에서와 마찬가지로, 삽입홈(542)에 삽입된 다음에, 볼트(20)를 상기 관통공(546, 484b)를 통해 삽입하여 두 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면, 링크 연결부(480)는 제1 연결부(540) 내에서 대략 90°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가 있게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링크 연결부(480)를 매개로 한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의 링크 수단(460)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맨 위에 도시한 바와 같이(이는 도 1에 도시한 상태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사용할 때에는 피벗 구속 부재(430)를 스토퍼(424)에 걸릴 때까지 이중 링크 부재(400)의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피벗 구속 부재(430)로 인해,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 는 링크 연결부(480)를 매개로 링크 수단(460) 및 이중 링크 연결 부재(500)에 고정 유지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은 전체적으로 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다용도 테이블을 접어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 피벗 구속 부재(430)를 예컨대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링크 연결부(480)의 체결홈(484a)과 링크 수단(460)의 돌출부(464)가 맞물려 유지되기 때문에, 링크 부재(400)의 수평 형태가 갑자기 붕괴되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피벗 구속 부재(430)가 이동된 상태에서,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10a) 양측에서 힘을 가하면, 링크 연결부(480)가 링크 수단(46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완전히 접혀진다(도 2(b) 참조).
도 8 내지 도 13에는 연결 부재(100, 200; 100a, 200a)와 관련된 구성 및 그 동작 상태가 세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A)의 전방(도면의 앞쪽)에 장착되는 제1 연결 부재(100)에는 텔레스코프식으로(telescopically)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는 신축 부재(600)가 장착되어 있다. 이를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신축 부재(600)와 제1 연결 부재(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제1 연결 부재(100)는 제4 연결봉(14)에 연결되는 수평 연결부(110)와, 제1 연결봉(11)에 연결되는 수직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수평 연결부와 수직 연결부 사이는 그 일부가 절취되어 있어, 그 절취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130)이 장착된다. 뚜껑(130)에는 제1 체결부(132)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평 연결부(110)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 체결부(112)에 제1 체결부(132)를 체결함으로써, 뚜껑(130)이 제1 연결 부재(100)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수직 연결부(120) 내부에는 제1 연결봉(11)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1a)에 끼워지는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제1 연결봉(11)을 제1 연결 부재(100)에 연결할 때 제1 연결봉을 안내한다. 또한, 수직 연결부(120) 내부에는 단차부(121a)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지지 부재(66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한편, 제1 연결 부재(100) 내에 장착되는 신축 부재(600)는 텔레스코프식으로 신축 가능하고, 각각 상측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의 상하 신축부(610, 620),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하 신축부(610, 620)에 체결되어, 상측 신축부(6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구속부(630), 스냅 체결 가능하게 구성된 대략 구형(球形)의 스냅 체결부(640) 및 스냅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신축 부재(6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650)를 포함한다.
상측 신축부(610)는 하측 신축부(620) 내로 삽입될 수 있어, 신축 부재(600) 는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프식으로 확장 및 축소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하측 신축부(620)의 상부에는 상측 신축부(610)의 하단부의 직경과 거의 대응되는 직경의 신축 체결부(622)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따라서, 상측 신축부(610)를 하측 신축부(62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최대로 잡아 당기면 상측 신축부(610)의 하단부가 상기 신축 체결부(622)에 꽉 맞물리게 되고, 그 위에 다시 이동 구속부(630)를 끼워 고정하면 상측 신축부(610)가 하측 신축부(620) 내부로 다시 후퇴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축 부재(6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660)에 끼워져 피벗하게 되는데, 지지 부재(660)에는 제1 연결봉(11)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1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취부(660a)와, 스냅 체결부(640)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앙홀(66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냅 체결부(640)는 지지 부재(660)에 피벗 가능하게 끼워져 유지될 수 있다(도 11 참조). 또한, 이탈 방지부(650)의 일부에는 제1 연결봉(11)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1a)에 끼워지는 절취부(650a)가 형성되어 있어서, 신축 부재(600)는 그 절취부(650a)가 가이드부(11a)와 맞물리면서 제1 연결봉(1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절취부(650a)와 가이드부(11a)의 맞물림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축 부재(600)를 상측으로 최대로 잡아당기면 스냅 체결 부(640)가 지지 부재(660)의 중앙홀(660a)에 끼워진다(도 11 참조). 이때 스냅 체결부(640)는 중앙홀(660a)에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도 1에서 전방으로 피벗될 수가 있다(도 13 참조). 한편, 이탈 방지부(650)는 중앙홀(660a)보다 큰 직경의 치수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계속 신축 부재(600)를 상측으로 잡아당긴다 하더라도, 이탈 방지부(650)가 지지 부재(660)에 걸려, 신축 부재(600)는 더 이상 추가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사용자는 신축 부재의 최대 이동 지점을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탈 방지부(650)가 지지 부재(660)에 걸리게 되면, 즉 하측 신축부(620)가 최대로 잡아당겨진 다음에, 이동 구속부(6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측 신축부(610)를 하측 신축부(62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최대로 잡아 당겨낸 다음에, 다시 이동 구속부(630)를 신축 체결부(622)에 끼우면, 신축 부재(600)는 상측 방향으로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즉, 상측 신축부(610)의 하단부가 신부 체결부(622)에 꽉 끼워지고 다시 그 위에 이동 구속부(650)가 체결되므로, 상측 신축부(610)가 하측 신축부(620)의 내부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신축 부재(600)는 그 최대 연장 상태에서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측 신축부(610)의 단부에는 도 1에 도시한 현수막 등을 고정하기 위한 현수막 장착부(6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선거용 기표대로 사용하는 경우, 신축 부재(600)를 최대로 확장한 다음에 현수막 장 착부(612)에 비밀을 보장하기 위한 천 등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100)의 수직 연결부(120)의 일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신축 부재(600)를 외측으로 최대로 연장한 다음에, 스냅 체결부(640)를 매개로 신축 부재(600)를 피벗시켜(도 13 참조) 하측 신축부(620)를 상기 돌출부(122)에 안착하고 뚜껑(130)을 덮으면, 신축 부재(600)가 고정되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신축 부재(600)가 테이블의 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두고 기울어진 채 안정된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블을 선거용 기표대로 사용하는 경우, 현수막의 일부를 좀 더 전방을 향해 돌출시킨 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100)에 돌출 측벽(S)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측벽에는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상호 연결하여 확장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삽입 부재(140)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재(140)에는 삽입공(140a)이 형성되어 있어, 2개의 다용도 테이블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확장용 삽입봉(B)을 그 삽입공(140a)에 삽입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별도의 삽입 부재(140)를 제1 연결 부재(100)의 측벽(S)에 별도로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삽입 부재 없이 단순히 상기 측벽(S)에 삽입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태의 선거용 기표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선거용 기표대로만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그 테이블의 용도가 지나치게 제한적이다. 즉, 단순한 선거용 기표대는 선거가 종료된 후에는 더 이상 쓸모가 없어서 창고 등에 다음 선거까지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 부재의 측부에 추가의 삽입 부재(140)를 형성하여, 2개의 테이블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확장용 삽입봉(B)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봉(B)을 삽입공(140a)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2개의 다용도 테이블(100)을 상호 연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삽입봉(B) 상에 추가의 받침 부재(C)를 올려 놓으면, 컴퓨터 본체, 화분 등을 그 받침 부재(C) 상에 배치할 수 있는 구조가 얻어진다. 따라서, 선거가 종료된 후에는,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100)을 그대로 창고 등에 방치하는 대신에 신축 부재(600)를 연결 부재(100, 100a, 200, 200a) 내부에 모두 삽입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면서, 삽입봉(B)을 이용하여 2개의 테이블을 연결하면 공공 장소 등에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일종의 컴퓨터 책상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구청과 같은 관공서에서 민원인의 편의를 위한 별도의 책상 등을 구비할 필요 없이, 단지 본 발명의 다용도 테이블을 제공하기만 하면 되고, 이로 인해 부가적인 경비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200, 200a)에 삽입되어 있는 신축 부재(600)를 상측으로 최대로 연장한 상태에서, 삽입봉(B)을 연결 부재의 측벽(B)에 삽입하고 아울러, 상측 확장부(610)에도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하측 삽입봉(B)에 광고 현수막(D) 등을 걸어 놓음으로써, 본 발명의 테이블을 광고용 설치물로서도 이용할 수가 있다.
한편, 제2 연결 부재(200)는 제1 연결 부재(100)와 달리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연결 부재(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에 따르면, 미사용시에는 최소한의 면적을 갖도록 축소될 수 있어,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면서 보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을 선거시에는 기표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테이블을 상호 연결하여 그 용도를 더욱 확대할 수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광고용 현수막을 장착할 수 있는 설치물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

Claims (15)

  1.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로서,
    복수 개의 연결봉으로 각각 구성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연결되는 절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 연결봉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또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판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연결봉은 L 형태의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의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결봉 중 각각의 프레임의 수직 연결봉 사이에 추가의 연결봉이 그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이중 링크 부재는 상기 추가의 연결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중 링크 부재는,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가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수단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 제2 링크 부재 및 링크 수단을 따라 이동 가능한 피벗 구속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 각각은 링크 부재 본체와, 이 링크 부재 본체의 양 단부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링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연결부를 통해 상기 링크 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 수단은 그 중앙의 일부가 절취되어 상기 제1 링크 연결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대향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링크 연결부를 지지하는 링크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일측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링크 연결부의 적어도 일측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링크 연결부가 상기 체결홈을 매개로 상기 돌출부에 맞물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L-형태의 연결 부재 중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상부 연결봉 및 수직 연결봉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에는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접고 펼 수 있는 신축 부재가 그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는 그 부재가 장착되는 연결 부재 및 이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수직 연결봉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인 절철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가 장착되는 L-형태의 연결 부재 중 상기 프레임 전면의 수직 연결봉과 상부 수평 연결봉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는 그 일부가 프레임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는,
    텔레스코프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상측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의 상하 신축부와,
    상기 하측 신축부의 상단에 제공되고 상기 상측 신축부의 하단부의 직경과 거의 대응되는 직경의 신축 체결부와,
    스냅 체결 가능하게 구성된 대략 구형의 스냅 체결부 및
    상기 스냅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신축 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하 신축부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측 신축부의 하측 신축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는 상기 수직 연결봉 내부를 따라 상향 이동하여 상기 스냅 체결부를 매개로 피벗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가 장착되는 수직 연결봉 내부에는, 상기 스냅 체결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 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탈 방지부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지지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L-형태의 연결 부재의 측면에는 2개의 테이블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확장용 연결봉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선거용 기표대 또는 광고용 설치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KR1020060103772A 2006-10-25 2006-10-25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KR10071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772A KR100715195B1 (ko) 2006-10-25 2006-10-25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772A KR100715195B1 (ko) 2006-10-25 2006-10-25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195B1 true KR100715195B1 (ko) 2007-05-04

Family

ID=3826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772A KR100715195B1 (ko) 2006-10-25 2006-10-25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026B1 (ko) * 2015-09-11 2017-07-28 주식회사 엑시옴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KR20240000620U (ko) 2022-10-05 2024-04-12 이현규 절첩식 테이블 박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101U (ko) 1974-09-24 1976-03-29
US4522130A (en) 1983-04-01 1985-06-11 Roy Worthington Collapsible tea cart
JP2000106953A (ja) 1998-10-07 2000-04-18 Qiademei Enterprise Co Ltd 折り畳み式多用途テーブルのフレーム
JP2003000350A (ja) 2001-06-25 2003-01-07 Yazaki Ind Chem Co Ltd 折畳み式テーブル
JP2003061755A (ja) 2001-08-22 2003-03-04 Yusei Kosaikai 折りたたみ式テーブル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101U (ko) 1974-09-24 1976-03-29
US4522130A (en) 1983-04-01 1985-06-11 Roy Worthington Collapsible tea cart
JP2000106953A (ja) 1998-10-07 2000-04-18 Qiademei Enterprise Co Ltd 折り畳み式多用途テーブルのフレーム
JP2003000350A (ja) 2001-06-25 2003-01-07 Yazaki Ind Chem Co Ltd 折畳み式テーブル
JP2003061755A (ja) 2001-08-22 2003-03-04 Yusei Kosaikai 折りたたみ式テーブル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026B1 (ko) * 2015-09-11 2017-07-28 주식회사 엑시옴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KR20240000620U (ko) 2022-10-05 2024-04-12 이현규 절첩식 테이블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565B2 (en) Hub assembly for a foldable tent
US11499334B2 (en) Pole frame structure of foldable tent
US20190368220A1 (en) Structurally reinforced tent frame and central reinforcing structure thereof
KR100715195B1 (ko) 절첩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CN108798202A (zh) 一种帐篷支架
KR20150054374A (ko) 슬라이딩 방식의 확장형 테이블
US20200275770A1 (en) Folding company
US6729243B2 (en) Table with self-storing leaf
US8464448B2 (en) Mobil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442592Y1 (ko) 접이식 pop스탠드
GB2481229A (en) Expandable table having hinged leaves which are pivoted through 180 degrees to expand the table surface
KR101425756B1 (ko) 높이 조정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KR101410678B1 (ko) 접철식 테이블
JP4526464B2 (ja) コンセント
US4559878A (en) Foldable table suited to outdoor use as well as to interior use
KR101285130B1 (ko) 유격 없이 견고한 대형 캐노피
CN213487590U (zh) 卷轴式床上用桌
EP2663972B1 (en) Expanding devices
KR102072104B1 (ko) 접이식 테이블
CN104799566B (zh) 一种多功能侧架及使用其的折叠桌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CN112386044B (zh) 床架
KR102172282B1 (ko) 접이식 의자를 구비한 기둥조립체
CN216970339U (zh) 一种折叠箱
CN111685481B (zh) 一种伸缩折叠式桌凳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