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164B1 - 광전 스위치 - Google Patents

광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164B1
KR100715164B1 KR1020000031634A KR20000031634A KR100715164B1 KR 100715164 B1 KR100715164 B1 KR 100715164B1 KR 1020000031634 A KR1020000031634 A KR 1020000031634A KR 20000031634 A KR20000031634 A KR 20000031634A KR 100715164 B1 KR100715164 B1 KR 100715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sing
switch
display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151A (ko
Inventor
스기야마가즈토시
후쿠무라고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Publication of KR2001007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46Indirect determination of position data
    • G01S17/48Active triangulation systems, i.e. using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4813Hou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01V8/2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using refle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01Calibration techniques
    • H03K2217/94021Calibration techniques with human activation, e.g. processes requiring or being triggered by human intervention, user-input of digital word or analog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광 신호의 처리에 관한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광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전 스위치(1)의 케이싱 전방면부(14)에 투수광부(20)가 설치되고, 배면부(13)에 표시부(30) 및 푸시식 조정 스위치(50)가 설치된다. 케이싱(10)의 한쪽 단면부(11)에 푸시식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 및 표시등(60)이 설치된다. 케이싱의 배면부(13)와 다른쪽 단면부(12) 사이의 각부(角部)에 출력 케이블(70)이 접속된다.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는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 설정치의 판정 조작 및 설정치의 설정 조작에 이용된다. 조정 스위치(50)는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을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Description

광전 스위치{PHOTOELECTRIC SWITCH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를 한 방향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전 스위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광전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위치 정보 및 임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도 1의 광전 스위치에서의 표시부 및 표시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광전 스위치에서의 선택/판정/설정 스위치에 의한 설정 조작의 구체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도 1의 광전 스위치에서의 선택/판정/설정 스위치에 의한 설정 조작의 구체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도 1의 광전 스위치에서의 선택/판정/설정 스위치에 의한 설정 조작의 구체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9는 도 1의 광전 스위치의 측면부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광전 스위치의 단면부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광전 스위치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선택/판정/설정 스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3은 독립적으로 설치된 선택 스위치 및 판정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광전 스위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종래의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7은 PSD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이용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종래의 광전 스위치에서의 임계치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광전 스위치
10 : 케이싱
11, 12 : 단면부
13 : 배면부
14 : 전방면부
15, 16 : 측면부
18, 19 : 스위치 장착용 구멍
20 : 투수광부(投受光部)
21 : 투광 렌즈
22 : LED
23 : 수광 렌즈
24 : PSD
30 : 표시부
31 : LED
32 : 7 세그먼트 커버
33 : 7 세그먼트 유닛
35 : 창부
40, 40a, 40b, 40c, 40d, 40e : 선택/판정/설정 스위치
40A : 선택 스위치
40B : 판정/설정 스위치
41, 51 : 가압 부재
41a, 51a : 오링(O링)
50 : 조정 스위치
60 : 표시등
62a : 검출 표시용 LED
62b : 안정성 표시용 LED
70 : 출력 케이블
500 : 검출 대상물
본 발명은 소정의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장의 생산라인 등에서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광전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광전 스위치는 물체의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여, 물체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물체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전 스위치의 하나로서 삼각 측량의 원리를 응용한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가 개발되고 있다.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는 거리 설정형 광전 스위치라 부르고 있다.
도 16은 종래의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광전 스위치(800)는 발광 다이오드(801), 투광 렌즈(802), 수광 렌즈(803) 및 PSD(광위치 검출 소자: 804)를 구비한다. 발광 다이오드(801)로부터 출사된 광은 투광 렌즈(802)를 통해 검출 대상물(900)에 조사된다. 검출 대상물(900)로부터의 반사광은 수광 렌즈(803)를 통해 PSD(804)에 의해 수광된다. 이에 따라, PSD(804)의 수광면상에 광 스폿이 형성된다.
PSD(804)의 수광면상에서의 광 스폿의 위치는 광전 스위치(800)와 검출 대상물(9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된다. 검출 대상물(900)이 광전 스위치(800)에 근접하면, 광 스폿은 PSD(804)의 수광면의 일단부(e1)측에 형성되고, 검출 대상물(900)이 광전 스위치(800)로부터 멀어지면, 광 스폿은 PSD(804)의 수광면상의 타단부(e2)측에 형성된다.
PSD(804)는 수광면상에서의 광 스폿의 위치에 따른 2개의 수광 신호 N, F를 출력한다. 한쪽 수광 신호 N은 PSD(804)의 수광면의 일단부(e1)로부터 광 스폿까지의 거리에 거의 비례한 레벨(전류치)을 가지며, 다른쪽 수광 신호 F는 수광면의 타단부(e2)로부터 광 스폿까지의 거리에 거의 비례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2개의 수광 신호 N, F를 이용하여 광전 스위치(800)로부터 검출 대상물(900)까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801)로부터의 투사광의 광축상에서,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PSD(804)의 수광면상에 입사할 수 있는 범위가 검출 영역이 된다. 검출 영역내에 미리 설정 위치(ST)가 설정되고, 설정 위치(ST)에 대하여 광전 스위치(800)에 가까운 측이 검출 가능 범위가 되며, 설정 위치(ST)에 대하여 광전 스위치(800)로부터 멀어진 측이 비 검출 범위가 된다. 광전 스위치(800)는 검출 가능 범위로부터의 반사광을 PSD(804)가 수광한 경우에 검출 대상물(900)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도 17은 PSD(804)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 N, F를 이용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광 신호 N과 수광 신호 F의 차 (N-F)가 검출 영역내에서의 검출 대상물(900)의 위치에 대응한다. 실제의 처리에서는 수광 신호의 차 (N-F)를 전 수광량에 해당하는 (N+F)로 제산(除算)함으로써 정규화를 행하고, 위치 신호 {(N-F)/(N+F)}를 얻는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TH)보다 높은 경우에 검출 가능 범위내에 검출 대상물(900)이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TH)보다 낮은 경우에 검출 가능 범위내에 검출 대상물(90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이 임계치(TH)를 조정함으로써 검출 영역내의 설정 위치(ST)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8은 종래의 광전 스위치에서의 임계치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광전 스위치(800)에는 임계치 조정용 트리머 스위치(810),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검출 표시등(811) 및 검출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안정성 표시등(812)이 설치되어 있다.
우선,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대상물(900)을 광전 스위치(800) 전방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검출 표시등(811)이 점등할 때까지 트리머 스위치(810)를 우측으로 돌린다.
다음에,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대상물(900)을 제거하고, 배경 물체(901)에 광이 투사되는 상태로 검출 표시등(811)이 점등할 때까지 트리머 스위치(810)를 더욱 우측으로 돌린다. 배경 물체(901)가 없는 경우에는 트리머 스위치(810)를 최대 위치로 설정한다.
또한,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머 스위치(810)를 좌측으로 되돌려, 도 18의 (a)의 위치와 도 18의 (b)의 위치의 중간 위치로 설정한다. 이것에 따라, 검출 대상물(900)의 위치와 배경 물체(901)의 위치의 중간에 설정 위치(ST)가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검출 대상물(900)이 존재하는 경우에 검출 표시등(811) 및 안정성 표시등(812)이 점등하고, 검출 대상물(90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검출 표시등(811)이 소등하며, 안정성 표시등(812)이 점등하는 것을 확인한다. 안정성 표시등(812)이 점등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 위치(ST)와 검출 대상물(900)의 위치 사이 또는 설정 위치(ST)와 배경 물체(901) 사이의 여유도가 작기 때문에 재조정을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광전 스위치(800)에 있어서는, 검출 표시등(811) 및 안정성 표시등(812)을 보면서 트리머 스위치(810)를 돌림으로써 설정 위치(ST)를 설정 및 조정하기 때문에, 설정된 설정 위치(ST)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설정 위치(ST)를 미세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검출 대상물(900)과 설정 위치(ST) 사이의 여유도 및 설정 위치(ST)와 배경 물체(901) 사이의 여유도를 파악하는 것도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광 신호의 처리에 관한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광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제1 발명
제1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로서,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수단을 적어도 내장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면을 갖는 케이싱과, 수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된 값을 처리 수단에서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과 다른 제2 외면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 중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에서는 수광 수단에 의해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가 출력되고, 처리 수단에 의해 수광 신호가 처리된다. 또한,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이 표시 수단으로 전환하여 표시된다.
사용자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처리 수단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 중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동시에,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처리 수단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수단과 선택 수단이 케이싱의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수단 및 선택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보면서 그 값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광 신호의 처리에 관한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2) 제2 발명
제2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로서,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수단을 적어도 내장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면을 갖는 케이싱과, 수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계되는 동시에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값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과 다른 제2 외면에 설치되고,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 값을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값으로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에서는 수광 수단에 의해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가 출력되고, 처리 수단에 의해 수광 신호가 처리된다. 또한,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계되는 동시에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값이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값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판정 수단을 이용하여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 값을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값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수단과 판정 수단이 케이싱의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수단 및 판정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보면서 그 값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광 신호의 처리에 관한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3) 제3 발명
제3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2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표시 수단은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을 표시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4) 제4 발명
제4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로서,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수단을 적어도 내장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면을 갖는 케이싱과, 수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2 외면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처리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동시에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값을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값으로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조정 가능한 값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2 외면과 다른 제1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처리 수단에서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에서는 수광 수단에 의해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가 출력되고, 처리 수단에 의해 수광 신호가 처리된다.
사용자는 처리 수단의 처리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동시에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값을 설정 수단을 이용하여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조정 가능한 값은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수단과 설정 수단이 케이싱의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수단 및 설정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보면서 그 값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광 신호의 처리에 관한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5) 제5 발명
제5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4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표시 수단은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을 표시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6) 제6 발명
제6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표시 수단은 케이싱의 제1 외면에 설치되고,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되는 값을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표시 수단이 케이싱의 조정 수단과 같은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수단에 숫자로 표시되는 값을 보면서 조정 수단에 의해 그 값을 더욱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더욱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7) 제7 발명
제7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6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은 처리 수단을 내장하고, 처리 수단은 수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처리를 행하여, 검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선을 통해 출력하며, 출력선은 케이싱의 제2 외면과 다른 부분으로부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 경우, 처리 수단에서 수광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처리가 행해지고, 검출 상태에 관한 정보가 출력선을 통해 출력된다. 특히, 케이싱의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또는 설정 수단이 설치된 제2 외면과 다른 부분으로부터 출력선이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또는 설정 수단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출력선이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또는 설정 수단의 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8) 제8 발명
제8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7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출력선은 케이싱의 제2 외면에 대향하는 외면과 제1 외면 사이의 각부로부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 경우, 출력선이 제1 외면의 조정 수단 및 제2 외면의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또는 설정 수단의 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9) 제9 발명
제9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7 또는 제8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의 제2 외면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검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표시부가 케이싱의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또는 설정 수단과 동일한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에 표시되는 검출 상태에 관한 정보를 보면서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또는 설정 수단을 조작할 수 있다.
(10) 제10 발명
제10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로서,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수단을 적어도 내장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면을 갖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수광 수단으로부터의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복수 종류의 값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2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2 외면과 다른 제1 외면에 설치되고,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표시 수단에 표시된 값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에서는 수광 수단에 의해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가 출력되고,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복수 종류의 값이 표시 수단으로 전환하여 표시된다.
사용자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동시에,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보면서 그 값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1) 제11 발명
제11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로서,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수단을 적어도 내장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면을 갖는 케이싱과, 수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처리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계되는 동시에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값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과 다른 제2 외면에 설치되고,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 값을 기준치로서 기억부에 기억시키기 위한 판정을 행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에서는 수광 수단에 의해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가 출력되고, 처리 수단에 의해 수광 신호가 처리된다. 그리고, 처리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값이 기억부에 기억된다. 또한,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계되는 동시에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값이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판정 수단을 이용하여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 값을 기준치로서 기억부에 기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수단과 판정 수단이 케이싱의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수단 및 판정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표시 수단에 표시된 값을 보면서 그 값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준치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2) 제12 발명
제12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11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표시 수단은, 수광 수단으로부터의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복수 종류의 값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수광 수단으로부터의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값 을 표시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13) 제13 발명
제13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3 또는 제12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2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선택 수단이 케이싱의 조정 수단과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 수단 및 조정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14) 제14 발명
제14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13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판정 수단 및 선택 수단은 공통의 수단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케이싱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판정 수단 및 선택 수단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15) 제15 발명
제15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로서,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수단을 적어도 내장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면을 갖는 케이싱과, 수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처리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2 외면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처리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동시에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값을 기준치로서 기억부에 기억시키기 위한 설정을 하는 설정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설정 수단에 의해 기억부에 기억된 조정 가능한 값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2 외면과 다른 제1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에서는 수광 수단에 의해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가 출력되고, 처리 수단에 의해 수광 신호가 처리된다. 그리고, 처리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값이 기억부에 기억된다.
사용자는 처리 수단의 처리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동시에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값을 설정 수단을 이용하여 기준치로서 기억부에 기억시킬 수 있다. 기억부에 기억된 조정 가능한 값은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수단과 설정 수단이 케이싱의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수단 및 설정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표시 수단에 표시된 값을 보면서 그 값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준치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6) 제16 발명
제16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15 발명에 관하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표시 수단은 수광 수단으로부터의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값을 전환 하여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수광 수단으로부터의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값을 표시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17) 제17 발명
제17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5 또는 제16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2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선택 수단이 케이싱의 조정 수단과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 수단 및 조정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18) 제18 발명
제18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17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설정 수단 및 선택 수단은 공통의 수단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케이싱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설정 수단 및 선택 수단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19) 제19 발명
제19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10 내지 제1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표시 수단은 제1 외면에 설치된 것이다.
이 경우, 표시 수단이 케이싱의 조정 수단과 동일한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보면서 그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20) 제20 발명
제20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10 내지 제1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및 제2 외면과 다른 제3 외면에 설치되고,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하여 수광 수단에 공급하는 수광부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조정 수단,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또는 설정 수단이 케이싱의 수광부와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조정 수단,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또는 설정 수단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21) 제21 발명
제21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로서,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수단을 적어도 내장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면을 갖는 케이싱과, 수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값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케이싱의 제1 외면에 설치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처리 수단에서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과, 케이싱 사이를 실드(shielding)하는 실드(shield)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에서는 수광 수단에 의해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가 출력되고, 처리 수단에 의해 수광 신호가 처리된다. 또한,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값이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처리 수단에서 조정할 수 있다.
표시 수단 및 조정 수단이 케이싱의 동일한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보면서 처리 수단에 처리에 관한 값을 조정 수단에 의해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조정 수단과 케이싱 사이가 실드 수단에 의해 실드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내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22) 제22 발명
제22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21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수단은 가압식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에 따라, 케이싱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표시 수단의 표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조정 수단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3) 제23 발명
제23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22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은 제1 외면에 스위치 장착용 구멍을 가지며, 가압식 스위치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실드 수단은 가압 부재의 주위에 두께가 얇은 부분을 개재하여 일체로 설치된 환상 실드 부재를 포함하고, 가압 부재가 케이싱의 스위치 장착용 구멍에 삽입되는 동시에 환상 실드 부재가 케이싱의 내면에 밀접된 것이다.
이 경우, 가압 부재 주위의 환상 실드 부재에 의해 가압 스위치와 케이싱 사이가 실드된다. 이것에 따라, 간단한 실드 구조로 또 케이싱의 소형화를 유지하면서, 표시 수단의 표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조정 수단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케이싱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24) 제24 발명
제24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21 내지 제2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표시 수단은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과 다른 제2 외면에 설치되고,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 중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며, 케이싱은 광을 발생하는 발광 수단을 더 내장하고, 케이싱의 복수의 외면 중 제1 및 제2 외면과 다른 제3 외면에 발광 수단에 의해 발생된 광을 검출 영역에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받아 수광 장치로 유도하는 투수광부가 설치된 것이다.
이 경우, 발광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광이 투수광부를 통해 검출 영역에 투사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이 투수광부를 통해 수광 수단으로 유도된다. 사용자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 중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 수단은 케이싱의 조정 수단과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 수단 및 조정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25) 제25 발명
제25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는 제24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선택 수단은 가압식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 케이싱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선택 수단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를 한 방향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전 스위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광전 스위치(1)에서, 케이싱(10)은 서로 대향하는 단면부(11, 12), 서로 대향하는 배면부(13), 전방면부(14) 및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15, 16)를 갖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케이싱(10)의 세로 길이(L)는 30 mm이고, 가로 길이(D)는 20 mm이며, 폭(W)은 10.8 mm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전방면부(14)에는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받는 투수광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배면부(13)에는 표시부(30) 및 2개의 푸시식(push type) 조정 스위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의 한쪽 단면부(11)에는 푸시식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 및 표시등(60)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의 배면부(13)와 다른쪽 단면부(12) 사이의 각부에는 출력 케이블(70)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측면부(15, 16)는 광전 스위치(1)를 고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3은 도 1의 광전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스위치(1)는 투광 렌즈(21), LED(발광 다이오드: 22), 수광 렌즈(23), PSD(광위치 검출 소자: 24), 제어 회로(81), 증폭기(82, 83), LED 구동 회로(84), 표시부(30),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 조정 스위치(50) 및 표시등(60)을 구비한다. 제어 회로(81)는 메모리(88)를 내장한다.
투광 렌즈(21) 및 수광 렌즈(23)가 투수광부(20)를 구성한다. 또한, LED(22), PSD(24), 제어 회로(81), 증폭기(82, 83) 및 LED 구동 회로(84)는 도 1의 케이싱(10)에 내장된다.
LED 구동 회로(84)는 제어 회로(81)의 제어에 의해 LED(22)를 구동한다. 이것에 따라, LED(22)가 광을 출사한다. LED(22)로부터 출사된 광은 투광 렌즈(21)를 통해 검출 영역에서의 검출 대상물(500)에 투사된다. 검출 대상물(500)로부터의 반사광은 수광 렌즈(23)를 통해 PSD(24)의 수광면상에 광 스폿으로서 수광된다.
PSD(24)는 수광면상에서의 광 스폿의 위치에 따른 2개의 수광 신호 N, F를 출력한다. 한쪽 수광 신호 N은 PSD(24)의 수광면의 일단부(e1)로부터 광 스폿까지의 거리에 거의 비례한 레벨을 가지며, 다른쪽 수광 신호 F는 수광면의 타단부(e2)로부터 광 스폿까지의 거리에 거의 비례한 레벨을 갖는다. PSD(24)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 N, F는 각각 증폭기(82, 83)를 통해 제어 회로(81)에 부여된다.
제어 회로(81)는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광 신호 N, F 및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이용한 판정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 회로(81)는 PSD(24)의 수광면상에서의 현재의 광 스폿의 위치에 따른 수광 신호 N, F에 기초하여 위치 신 호 {(N-F)/(N+F)}를 산출하고, 그 위치 신호의 값을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검출 대상물(500)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 회로(81)는 검출 결과 및 검출의 안정성을 표시등(60)에 표시되는 동시에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 DT를 출력 케이블(7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검출 영역의 검출 가능 범위내에 검출 대상물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를 온 상태라고 부르고, 검출 영역의 검출 가능 범위내에 검출 대상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를 오프 상태라고 부른다. 또한, 검출의 안정성이란 검출 영역의 검출 가능 범위내에 검출 대상물이 존재하는 경우 및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위치 신호의 값과 임계치의 차로 나타내고, 그 차가 소정치 이상일 때에 안정 상태라고 부르며, 그 차가 소정치보다 작을 때에 불안정 상태라고 부른다.
또한, 제어 회로(81)는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후술하는 위치 정보(현재의 위치 신호의 값을 나타내는 정보) 임계치를 나타내는 임계치 정보, 검출 대상물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 위치 신호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최대 위치 정보, 위치 신호의 최소치를 나타내는 최소 위치 정보, 에러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메모리(88)에 기억시킨다.
또한, 제어 회로(81)는 메모리(88)에 기억된 위치 정보, 임계치 정보, 검출 정보, 안정성 정보, 최대 위치 정보, 최소 위치 정보, 에러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부(30)로 전환하여 표시시킨다.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는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조작에 이용되는 동시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또 조정 가능한 값을 제어 회로(81)의 처리에 관한 설정치(기준치)로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작에 이용되고, 또한 표시부(30)에 표시되며 또 후술하는 조정 스위치(50)에 의해 조정된 정보의 값을 제어 회로(81)의 처리에 관한 새로운 설정치로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 조작에 이용된다. 여기서,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또 조정 가능한 값이란 어떤 기간 또는 어떤 형태에서의 위치 신호의 값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값 또는 위치 신호 자체의 값이며, 예컨대, 어떤 기간에 있어서의 위치 신호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중간값, 2개의 상태에서의 위치 신호의 값의 중간값, 어떤 상태에서의 위치 신호의 값 등이다.
제어 회로(81)는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의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전환하고,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의 설정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또 조정 가능한 값을 설정치로서 메모리(88)에 기억시키며, 또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의 판정 조작에 응답하여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을 새로운 설정치로서 메모리(88)에 기억시킨다.
조정 스위치(50)는 제어 회로(81)의 처리에 관한 여러 가지 값 중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을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LED(22)가 발광 수단에 해당하고, PSD(24)가 수광 수단에 해당하며, 투광 렌즈(21)가 투광부에 해당하고, 수광 렌즈(23)가 수광부에 해당한다. 또한, 표시부(30)가 표시 수단에 해당하고, 조정 스위치(50)가 조정 수단에 해당하며,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가 선택 수단, 판정 수단 및 설정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제어 회로(81)가 처리 수단에 해당하고, 메모리(88)가 기억부에 해당한다. 또한, 표시등(60)이 표시부에 해당하고, 출력 케이블(70)이 출력선에 해당한다.
도 4는 위치 정보 및 임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LED(22)로부터의 투사광의 광축상에서,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이 PSD(24)의 수광면상에 입사 가능한 범위가 검출 영역(D0)이 된다. 검출 영역(D0)내에 미리 설정 위치(ST)가 설정된다. 이 설정 위치(ST)는 검출 영역(D0)으로부터의 반사광에 기초한 검출 결과가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변화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검출 영역(D0)에서 광전 스위치(1)에 가장 가까운 단부(P1)와 설정 위치(ST) 사이가 검출 가능 범위(D1)가 되고, 광전 스위치(1)로부터 가장 멀어진 단부(P2)와 설정 위치(ST) 사이가 비 검출 범위(D2)가 된다. 도 3의 제어 회로(81)는 검출 가능 범위(D1)로부터의 반사광을 PSD(24)가 수광한 경우에, 검출 대상물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검출 영역(D0)내의 검출 대상물의 위치는 검출 영역(D0)의 단부(P1)를 원점으로 하는 위치 정보에 의해 표시된다. 예컨대, 검출 영역(D0)의 단부(P1)의 위치 정보가 0으로 설정되고, 단부(P2)의 위치 정보가 999로 설정된다. 또한, 설정 위치(ST)는 위치 정보와 같이, 검출 영역(D0)의 단부(P1)를 원점으로 하는 임계치 정보에 의해 표시된다. 설정 위치(ST)가 검출 영역(D0)의 단부(P1)로 설정된 경우에는 임계치 정보는 0이 되고, 설정 위치(ST)가 검출 영역(D0)의 단부(P2)로 설정된 경우에는 임계치 정보는 999가 된다. 이러한 위치 정보 및 임계치 정보에 의해 검 출 영역(D0)내에서의 검출 대상물의 위치 및 설정 위치(ST), 검출 대상물의 위치와 설정 위치(ST)의 상대적인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광전 스위치(1)에 있어서의 표시부(30) 및 표시등(6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에는 위치 정보, 임계치 정보 등의 각종 정보가 숫자, 문자 등의 캐릭터로 표시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등(60)에는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검출 표시용 LED(62a) 및 검출의 안정성을 표시하는 안정성 표시용 LED(62b)가 내장된다.
검출 결과가 온 상태일 때에는 검출 표시용 LED(62a)가 점등하고, 검출 결과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검출 표시용 LED(62a)가 소등한다. 또한, 검출의 안정성이 안정 상태인 경우에는 안정성 표시용 LED(62b)가 점등하고, 검출의 안정성이 불안정 상태인 경우에는 안정성 표시용 LED(62b)가 소등한다.
본 실시예의 광전 스위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의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의 선택 조작에 의해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누르고 뗄 때마다 표시부(30)의 표시 내용이 위치 정보, 임계치 정보, 검출 정보, 안정성 정보, 최대 위치 정보, 최소 위치 정보, 에러 정보 등의 순으로 전환된다.
또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의 설정 조작에 의해 상기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또한 조정 가능한 값을 설정치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치는 표시부(30)에 표시되는 동시에 설정 조작의 소정 시간 후에 메모리(88)에 기억된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의 설정 조작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c), 도 7의 (c) 및 도 8의 (b)에서는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하이 레벨로 나타내고,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를 로우 레벨로 나타내고 있다.
제1 방법으로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검출 대상물(500)에 기초하여 임계치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소정 시간(도 6의 예에서는 3초간) 이상 계속해서 누른 후,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로부터 손을 뗀다. 이에 따라,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누르고 있는 기간에 수광 신호 N, F를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신호 {(N-F)/(N+F)}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중간값이 임계치(th)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된 임계치(th)가 표시부(30)에 표시된다.
제2 방법으로서, 정지한 검출 대상물(500)에 기초하여 임계치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7의 (a),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배경 물체(501) 앞에 검출 대상물(500)이 없는 상태에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짧게 누른 후,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로부터 손을 떼고, 다음에 배경 물체(501) 앞에 검출 대상물(500)을 둔 상태에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재차 짧게 누른 후,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로부터 손을 뗀다. 이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상태에서의 수광 신호 N, F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위치 신호 {(N-F)/(N+F)}의 값의 중간값이 임계치(th)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된 임계치(th)가 표시부(30)에 표시된다.
제3 방법으로서, 소정의 위치에 존재하는 검출 대상물(500)에 기초하여 임계치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배경 물체(501) 앞에 검출 대상물(500)이 없는 상태에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짧게 누른 후,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로부터 손을 떼면, 다음에 검출 대상물(500)을 소정의 위치에 둔 상태에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소정 시간(도 8의 예에서는 3초간) 이상 누른 후,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로부터 손을 뗀다. 이에 따라, 검출 대상물(500)을 소정의 위치에 둔 상태에서의 수광 신호 N, F를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신호 {(N-F)/(N+F)}의 값이 임계치(th)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된 임계치(th)가 표시부(30)에 표시된다.
또한, 도 1의 조정 스위치(50)의 조작에 의해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30)에 임계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쪽 조정 스위치(50)를 누르면, 임계치 정보의 값이 증가하고, 다른쪽 조정 스위치(50)를 누르면, 임계치 정보의 값이 감소한다.
또한, 조정 스위치(50)의 조작에 의해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정보를 위치 정보와 임계치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30)에 위치 정보의 값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정 스위치(50) 중 어느 하나를 짧게 누르면, 지금까지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 정보의 값이 표시부(30)에 표시되고, 계속해서 조정 스위치(50) 중 어느 하나를 짧게 누르면,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임계치 정보의 값이 하나씩 변화된다. 이것에 따라, 메모리(88)에 기억되는 임계치도 자동적으로 갱신된다. 또한, 임계치를 조정한 후, 소정 시간 조정 스위치(50)의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표시부(30)의 표시가 자동적으로 위치 정보로 전환된다.
또한, 도 1의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의 판정 조작에 의해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을 새로운 설정치로서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30)에 임계치 정보의 값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누르면, 표시부(30)에 표시된 임계치 정보의 값이 새로운 임계치로서 메모리(88)에 기억된다.
도 9는 도 1의 광전 스위치(1)의 측면부(15, 16)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광전 스위치(1)의 단면부(11, 12)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1의 광전 스위치(1)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전방면부(14) 및 단면부(12)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자 홀더(27)에 2개의 구멍부(28a, 28b)가 형성되어 있다. 소자 홀더(27)의 구멍부(28a, 28b)의 외측 개구단에 투광 렌즈(21) 및 수광 렌즈(23)가 각각 끼워 넣어지고, 렌즈 커버(25)로 눌러 넣어져 있다. 소자 홀더(27)의 내측 개구단에는 LED(22) 및 PSD(2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LED(22) 및 PSD(24)는 소자 프레스(29a, 29b)에 의해 소자 홀더(27)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0) 배면부(13)의 중앙부에는 투명한 창부(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부(13) 창부(35)의 양측에 스위치 장착용 구멍(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착용 구멍(18)에 원주형 가압 부재(51)가 삽입된다. 가압 부재(51)의 외주부 하단에는 두께가 얇은 부분을 개재하여 O링(5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51)의 하면에는 막대 형상의 가압부(51b)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51), O링(51a) 및 가압부(51b)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창부(35)의 내측에는 확산 시트(3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확산 시트(34)의 내측에는 7 세그먼트 유닛(33)이 배치되어 있다. 7 세그먼트 유닛(33)에는 3조의 캐릭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슬릿(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7 세그먼트 유닛(33)의 복수의 슬릿(33b)의 양측에는 각각 관통 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0)내의 7 세그먼트 유닛(33)의 내측에는 7 세그먼트 커버(32)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100)이 배치되어 있다. 7 세그먼트 커버(32)에는 3조의 캐릭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슬릿(32b)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00)상에는 캐릭터의 발광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LED(3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100)상의 복수의 LED(31) 양측에는 스위치 버튼(52)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7 세그먼트 커버(32)의 양측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걸림부(32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회로 기판(100)의 양측부에는 7 세그먼트 커버(32)의 걸림부(3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부(100a)가 설치되어 있다. 7 세그먼트 커버(32)의 걸림부(32a)를 회로 기판(100)의 노치부(100a)에 끼워 맞춤으로써, 회로 기판(100)상의 복수의 LED(31)가 7 세그먼트 커버(32)의 슬릿(32b)에 위치 판정되는 동시에 7 세그먼트 커버(32)가 회로 기판(100)에 고정된다.
푸시식 조정 스위치(50)는 O링(51a) 및 가압부(51b)를 갖는 가압 부재(51)와 스위치 버튼(52)으로 구성된다. 가압 부재(51)가 케이싱(10)의 내측으로부터 스위치 장착용 구멍(18)에 삽입되는 동시에 가압부(51b)가 관통 구멍(33a)에 삽입된 상태로 7 세그먼트 유닛(33)이 케이싱(10)의 배면부(13) 내측에 확산 시트(34)를 통해 장착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7 세그먼트 유닛(33)은 케이싱(10)의 측면부(15, 16)의 내측에 설치된 리브(17)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따라, 7 세그먼트 유닛(33)에 의해 가압 부재(51)의 O링(51a)이 케이싱(10) 배면부(13)의 내면에 가압되어 O링(51a)과 케이싱(10)이 밀접된다.
또한, 7 세그먼트 커버(32)가 7 세그먼트 유닛(33)에 접촉하고 또 가압 부재(51)의 가압부(51b)가 스위치 버튼(52)에 접촉하도록 회로 기판(100)이 케이싱(10)내에 고정된다. 이것에 따라, 7 세그먼트 커버(32)의 슬릿(32b)이 7 세그먼트 유닛(33)의 슬릿(33b)에 위치 판정되는 동시에 회로 기판(100)상의 복수의 LED(31)가 7 세그먼트 유닛(33)의 복수의 슬릿(33b)에 위치 판정된다.
복수의 LED(31), 7 세그먼트 커버(32), 7 세그먼트 유닛(33), 확산 시트(34) 및 창부(35)가 표시부(30)를 구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단면부(11)에는 스위치 장착용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면부(11)에는 투명한 표시등 커버(61)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장착용 구멍(19)에 원주형 가압 부재(41)가 삽입된다. 가압 부재(41)는 가압 부재(51)와 동일하게 O링(41a) 및 가압부(41b)를 갖는다. 케이싱(10) 단면부(11)의 내측에는 관통 구멍을 갖는 베이스 부재(43)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43)의 내측에는 회로 기판(103)이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103)상에는 스위치 버튼(42)이 장착되는 동시에 검출 표시용 LED(62a) 및 안정성 표시용 LED(62b)(도 5 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푸시식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는 O링(41a) 및 가압부(41b)를 갖는 가압 부재(41)와 스위치 버튼(42)으로 구성된다. 또한, 표시등(60)은 표시등 커버(61), 검출 표시용 LED(62a) 및 안정성 표시용 LED(62b)에 의해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43)에 의해 가압 부재(41)의 O링(41a)이 케이싱(10) 단면부(11)의 내면에 가압된다. 가압 부재(41)가 케이싱(10)의 내측으로부터 스위치 장착용 구멍(19)에 삽입되는 동시에 가압부(41b)가 베이스 부재(43)의 관통 구멍을 통해 스위치 버튼(42)에 접촉하고, 또한 검출 표시용 LED(62a) 및 안정성 표시용 LED(62b)가 표시등 커버(6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회로 기판(103)이 케이싱(10)내에 고정된다.
회로 기판(100)의 배면에는 도 3의 제어 회로(81) 및 증폭기(82, 83)를 구성하는 집적 회로(IC : 81a)가 장착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0)의 배면측에는 회로 기판(100)과 수직으로 회로 기판(101) 및 회로 기판(102)이 장착되어 있다. 회로 기판(101)에는 주로 전원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102)에는 주로 도 3의 LED 구동 회로(8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광전 스위치(1)에 있어서는,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가 케이싱(10)의 단면부(11)에 설치되고, 조정 스위치(50)가 케이싱(10)의 배면부(1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 및 조정 스위치(50)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 및 조정 스위치(50)가 케이싱(10)의 배면부(1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30)의 표시를 보면서 조정 스위치(50)를 조작함으로써 임계치 정보 등의 각종 정보의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 스위치(50)가 푸시식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또 가압 부재(51)에 O링(51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0)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표시부(30)의 표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 케이싱(10)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정 스위치(50)의 가압 부재(51)를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가 푸시식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또 가압 부재(41)에 O링(41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0)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표시등(60)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 케이싱(10)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의 가압 부재(41)를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 판정 및 설정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출력 케이블(70)을 단면부(11)에 대향하는 단면부(12)와 배면부(13) 사이의 각부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싱(10)의 소형화를 유지하면서, 단면부(11)에 충분한 크기의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 및 표시등(60)을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배면부(13)에 충분한 크기의 표시부(30) 및 조정 스위치(5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케이블(70)이 전방면부(14)의 투수광부(20)를 방해하는 것도 방지된다. 또, 출력 케이블(70)을 단면부(12)에 장착하여도 좋다.
도 12는 선택/판정/설정 스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도 1의 케이싱(10) 단면부(11)에 복수의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a, 40b, 40c, 40d, 40e)가 설치된다. 예컨대,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a)를 누르면, 도 1의 표시부(30)에 위치 정보가 표시된다.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b)를 누르면, 표시부(30)에 임계치 정보가 표시된다.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c)를 누르면, 표시부(30)에 검출 정보가 표시된다.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d)를 누르면, 표시부(30)에 안정성 정보가 표시된다.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e)를 누르면, 표시부(30)에 에러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a∼40e) 중 소정의 2개를 동시에 누르면, 상기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또 조정 가능한 값이 설정치로서 설정되어 메모리(88)에 기억된다. 또한,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a∼40e) 중 다른 소정의 2개를 동시에 누르면,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이 새로운 설정치로서 판정되어 메모리(88)에 기억된다.
도 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선택 스위치 및 판정/설정 스위치의 모식도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도 1의 케이싱(10) 단면부(11)에 선택 스위치(40A) 및 판정/설정 스위치(40B)가 따로따로 설치된다. 선택 스위치(40A)를 누르고 뗌으로써,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판정/설정 스위치(40B)를 누르고 뗌으로써, 상기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또 조정 가능한 값을 설정치로서 설정하며, 메모리(88)에 기억시킬 수 있거나 또는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을 새로운 설정치로서 판정하여 메모리(88)에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판정 스위치와 설정 스위치를 케이싱(10)의 단면부(11)에 따로따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의 광전 스위치(1)에서는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을 조정 스위치(50)를 이용하여 조정한 후, 선택/판정/설정 스위치(40)를 이용하여 판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시부(30)에 표시된 정보의 값이 새로운 설정치로서 메모리(88)에 기억되지만, 표시부(30)에 표시된 값을 조정 스위치(50)를 이용하여 조정한 경우, 조정후의 값이 메모리(88)에 자동적으로 기억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4의 광전 스위치(1a)가 도 1의 광전 스위치(1)와 다른 것은 표시등(60)이 케이싱(10)의 단면부(11)와 배면부(13) 사이의 각부에 설치되는 점이다. 도 14의 광전 스위치(1a)의 다른 부분의 구성은 도 1의 광전 스위치(1)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5는 도 14의 광전 스위치(1a)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501)에 의해 검출 대상물(500)이 화살표 X의 방향으로 반송되고, 벨트 컨베어(501)의 상측에 광전 스위치(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광전 스위치(1a)는 케이싱(10)의 배면부(13)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광전 스위치(1a)에서는 표시등(60)이 케이싱(10)의 단면부(11)와 배면부(13) 사이의 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등(60)을 광전 스위치(1a)의 상측, 전방, 양 측방 및 경사 하측에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전 스위치(1a)에서는 표시등(60)의 시야가 향상되고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광전 스위치를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삼각 거리 측정 방식의 광전 스위치에 한하지 않고,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의 수광량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동시에 수광량과 조정 가능한 임계치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광전 스위치 및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의 수광량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임계치와 이 임계치에 대한 여유도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광전 스위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여유도란 임계치와 검출시 또는 비 검출시의 수광량 차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광전 스위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처리 수단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 중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동시에,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조정 가능한 값을 처리 수단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수단과 선택 수단이 케이싱의 다른 외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수단 및 선택 수단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보면서 그 값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광 신호의 처리에 관한 값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그 값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동시에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수광함으로써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의 수광 상태에 따른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수단을 적어도 내장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면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수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복수의 외면 중 제1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값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1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을 상기 처리 수단에서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과 상기 케이싱 사이를 실드하는(shielding) 실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스위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가압식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인 광전 스위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1 외면에 스위치 장착용 구멍을 가지며,
    상기 가압식 스위치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실드 수단은 상기 가압 부재의 주위에 두께가 얇은 부분을 개재(介在)하여 일체로 설치된 환상(annular ring) 실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케이싱의 상기 스위치 장착용 구멍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환상 실드 부재가 상기 케이싱의 내면에 밀접하여 있는 것인 광전 스위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기 복수의 외면 중 상기 제1 외면과 다른 제2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 수단의 처리에 관한 복수 종류의 값 중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수단을 더 내장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복수의 외면 중 상기 제1 및 제2 외면과 다른 제3 외면에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생된 광을 상기 검출 영역에 투사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귀환광을 받아 상기 수광 수단으로 유도하는 투수광부가 설치되는 것인 광전 스위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가압식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인 광전 스위치.
  26. 발광 수단 및 상기 검출 영역에 광을 투사하는 광 수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투광 수단과;
    광전 소자, 및 상기 검출 영역으로부터 광을 수광하고 발생한 광량을 나타내는 레벨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 수단,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수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광전 소자로부터의 상기 전기적 신호 레벨과 특정 임계치와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영역에서 상기 물체의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수단 모두는 다수의 외면으로 형성되는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에 설치되는, 특정 검출 영역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전 센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광이 투사되고 상기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광이 수광되는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투수광부와;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배면부에 배치되는 투명한 창부와;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 내의 상기 투명한 창부 뒤에 배치되는 표시 기판과;
    상기 표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 수단에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상기 광전 소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특정 임계치의 수치적 표시를 제공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 수단에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될 때 상기 특정 임계치의 수치적 표시를 변경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배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동 동작 가능한 수단과;
    전기 전력이 상기 광전 센서 장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회로가 위에 인쇄되어 제공되고,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대향하는 측면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거의 근접하여 평행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 뒤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구동 회로가 위에 인쇄되어 제공되고 상기 처리 수단에 연결되어 광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발광 수단을 구동시키며,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상기 대향하는 측면들 중 또 다른 하나와 거의 근접하여 평행하게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 내의 상기 표시 기판 뒤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인 광전 센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전방면부에 대하여 서로에 상대적인 특정 위치에 상기 투광 수단 및 상기 수광 수단을 유지하고 위치시키는 유지 및 위치시키는(holding and positioning) 수단을 더 포함하는 광전 센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및 위치시키는 수단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광전 센서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임계치의 상기 수치적 표시를 변경시킨 후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의 특정 임계치의 상기 수치적 표현을 상기 전기적 신호 레벨의 수치적 표현으로 변경하는 것인 광전 센서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부 및 상기 배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상부면 및 상기 배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광전 센서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은 상기 배면부 및 상기 상부면 사이의 배면 상부 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등은 상기 배면 상부 각부 상에 배치되는 것인 광전 센서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부 및 상기 배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상부면 및 상기 배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판정 결과의 안정성을 표시하는 안정성 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광전 센서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은 상기 배면부 및 상기 상부면 사이의 배면 상부 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정성 표시등은 상기 배면 상부 각부 상에 배치되는 것인 광전 센서 장치.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부 및 상기 배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상부면 상에 돌출하여 배치되고 상기 처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광전 센서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 상에 돌출하여 배치되고 상기 처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판정 결과의 안정성을 표시하는 안정성 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광전 센서 장치.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의 전기적 신호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처리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면부 및 상기 배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의 하부면 및 상기 배면부 사이에서 상기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 케이싱으로부터 밖으로 뻗어 있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광전 센서 장치.
KR1020000031634A 2000-01-14 2000-06-09 광전 스위치 KR100715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7058A JP4553433B2 (ja) 2000-01-14 2000-01-14 光電スイッチ
JP2000-007058 2000-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151A KR20010076151A (ko) 2001-08-11
KR100715164B1 true KR100715164B1 (ko) 2007-05-08

Family

ID=1853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634A KR100715164B1 (ko) 2000-01-14 2000-06-09 광전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53433B2 (ko)
KR (1) KR100715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300B2 (ja) * 2004-03-15 2007-04-04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センサ用検出端モジュールおよび光電センサ
CN112167721A (zh) * 2020-09-03 2021-01-05 深圳市赛尔美电子科技有限公司 控制模组及电子烟器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1535A2 (en) * 1981-12-28 1983-10-19 LKB Biochrom Ltd. Spectrophotometer with wavelength calibration
JPH05281810A (ja) * 1992-03-31 1993-10-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駆動装置
US5712477A (en) 1996-05-14 1998-01-27 Allen-Bradley Company, Inc. System to provide alignment and troubleshooting aid photoelectric sensors through alternating numeric display
US5808296A (en) 1996-03-22 1998-09-15 Banner Engineering Corporation Programmable detection sensor with means to automatically adjust sensor operating characteristics to optimize performance for both high gain and low contrast applications
JPH1154001A (ja) 1997-08-05 1999-02-26 Keyence Corp 光検出システムおよび視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687A (en) * 1977-07-29 1979-02-2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Photo electric switch
JPS5984747U (ja) * 1982-11-30 1984-06-08 松下電工株式会社 光電スイツチ装置
JPS63145240U (ko) * 1987-03-16 1988-09-26
JPH04360416A (ja) * 1991-06-07 1992-12-14 Omron Corp 光電スイッチ
JPH0640806U (ja) * 1992-11-05 1994-05-31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学式距離測定装置
JPH0684658U (ja) * 1993-05-18 1994-12-02 北陽電機株式会社 光電スイッチ
JPH10125187A (ja) * 1996-09-02 1998-05-15 Omron Corp 光電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19322B2 (ja) * 1996-11-21 2005-11-24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3532394B2 (ja) * 1997-09-30 2004-05-31 サンクス株式会社 光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1535A2 (en) * 1981-12-28 1983-10-19 LKB Biochrom Ltd. Spectrophotometer with wavelength calibration
JPH05281810A (ja) * 1992-03-31 1993-10-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駆動装置
US5808296A (en) 1996-03-22 1998-09-15 Banner Engineering Corporation Programmable detection sensor with means to automatically adjust sensor operating characteristics to optimize performance for both high gain and low contrast applications
US5712477A (en) 1996-05-14 1998-01-27 Allen-Bradley Company, Inc. System to provide alignment and troubleshooting aid photoelectric sensors through alternating numeric display
JPH1154001A (ja) 1997-08-05 1999-02-26 Keyence Corp 光検出システムおよび視認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2818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53433B2 (ja) 2010-09-29
KR20010076151A (ko) 2001-08-11
JP2001194140A (ja)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694B1 (en) Photoelectric switch device
GB2389193B (en) Laser level
US6803556B2 (en) Photoelectric sensor and method of detecting an object to be detected using the same
KR100715164B1 (ko) 광전 스위치
JP5066207B2 (ja) 光電スイ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物体の検出方法
US20190097629A1 (en) Sensor Unit
JP4363733B2 (ja) 光電スイッチ
JP2007114038A (ja) カラーセンサ装置
JP3854300B2 (ja) 光電スイッチ
EP3467858B1 (en) Photoelectric sensor
JP3854301B2 (ja) 光電スイッチ
KR20010076152A (ko) 광전 스위치
JP5271431B2 (ja) 三角測距方式の光電スイッチ
JP5139049B2 (ja) 光電センサ
GB2536206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light transmission and light reflection
JP7328481B2 (ja) 測量機器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21140945A (ja) 光電センサ
JP2007024653A (ja) 三角測距式光電センサー
JP2007033096A (ja) 三角測距式光電センサー
JP2007158497A (ja) 光電センサ
JP2007033161A (ja) 距離設定型光電セ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