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022B1 - 매립형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매립형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022B1
KR100714022B1 KR1020050104137A KR20050104137A KR100714022B1 KR 100714022 B1 KR100714022 B1 KR 100714022B1 KR 1020050104137 A KR1020050104137 A KR 1020050104137A KR 20050104137 A KR20050104137 A KR 20050104137A KR 100714022 B1 KR100714022 B1 KR 10071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camera
bracket
ceiling
embedd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실내 천장에 매립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가 매립된 천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하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개구부와 플레이트 사이를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매립형 감시 카메라는 피사체가 감시 카메라의 존재유무를 식별하기 어려워져 피사체가 느끼는 거부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감시 카메라를 은폐시키기 위한 플레이트가 촬영부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감시 카메라의 노출에 의한 인테리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감시 카메라, 은폐, 천장매립, CCD

Description

매립형 감시 카메라{Security camera}
도 1은 종래의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감시 카메라의 설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브라켓 112 : 가이드 레일
114 : 체결용 볼트 118 : 천공
120 : 촬영부 122 : 하우징
124 : CCD 126 : 회동축
128 : 롤러 130 : 플레이트
132 : 포스트 134 : 조립공
W : 천장 W1 : 개구부
본 발명은 매립형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사체(피 감시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설치장소의 천장에 감시 카메라를 매립시켜 감시 카메라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중요한 공공건물에는 무인 카메라가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불온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녹화하여 사고발생시 수사에 유용한 자료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장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어 방범 및 화재를 감시하는 등 그 활용범위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는 보편적으로 실내에 설치할 경우 천장이나 벽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실외에 설치할 경우에는 건물의 벽면이나 별도의 지주를 이용하여 적정 높이에 설치하여 일정한 범위를 감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시 카메라는 비교적 높은 위치 및 넓은 장소에 설치되어, 넓은 촬영시야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물 및 기후변화로 부터 보호되도록 카메라(10)를 감싸는 하우징(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으로 카메라(10)의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브라켓(40)이 구비되는 바, 상기 브라켓(40)은 설치된 장소의 벽면(W)에 앵커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시 카메라는 비교적 좁고 밀폐된 엘리베이터와 같은 장소의 천장 및 벽면(W)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브라켓(42)에 카메라(12)가 설치되고, 돔형태의 투명 케이스(22)가 카메라에 덮혀져 하우징(24)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하우징 내부의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에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전기배선이 브라켓을 따라 인출되어 벽면에 매립되거나 벽면에 배선용 덕트가 설치되어 기지국까지 연결된다.
특히, 상기 감시 카메라는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 내지 범죄 다발지역에 설치되므로 감시 카메라의 기능상 노출을 가급적 피하는 한편, 촬영되는 장소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외부로 노출되어 피사체가 감시 카메라의 설치된 위치를 바로 확인하게 되어 피사체가 거부감을 느끼거나, 촬영이 제한된 사각지대로 은폐하게 되어 감시 기능을 마비시킬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사체가 감시 카메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도록 감시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천장에 매립시켜 피사체가 거부감을 느끼거나 촬영이 제한된 사각지대로 은폐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천장에 감시 카메라를 매립시켜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조성할 수 있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천장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내설되되 전후로 이동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도록 구비되는 감시 카메라 및 상기 감시 카메라의 하방에 구비되되 포스 트에 의해 브라켓과 체결되는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CCD와, 상기 CCD를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힌지 연결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구비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천장에 매립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로 연장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에 고정되는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실내 천장에 매립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가 매립된 천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하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개구부와 플레이트 사이를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시 카메라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브라켓에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시 카메라가 상하 방향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되어 천장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감시 카메라를 은폐시키는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매립형 감시 카메라의 구성은 크게, 천장(W)의 마감을 위해 설치되는 슬리브에 구비되는 브라켓(110)과, 상기 브라켓(110)에 내설되되 전후로 이동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촬영부(120)와, 상기 촬영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W)의 슬리브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촬영부(120)에서 인출되는 전기배선(미도시)이, 천장(W)을 따라 인출되거나 별도의 배선용 덕트(미도시)에 의해 보호되어 촬영부(12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기지국의 모니터(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촬영부(120)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CCD(124)가 내장된 하우징(122)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브라켓(110)에 가이드 레일(112)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12)에 장착되어 롤러(128)에 의해 촬영부(1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CCD(124)를 감싸는 하우징(122)에 회동축(126)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128)가 회동축(126)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회동축(126)은 하우징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22)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CCD(124)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촬영부(120)는 브라켓(110)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브라켓(110)에서 촬영부(120)가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축(12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촬영부(120)가 내설되는 브라켓(110)은 하부가 개방된 상자의 외형을 갖게 되는데, 상기 브라켓(110)의 내측벽에는 가이드 레일(112)이 구비되어 촬영부(12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과 동시에 촬영부(120)가 브라켓(110) 내부에 걸쳐지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천장(W)의 슬리브에는 브라켓(110)의 절곡된 연부만 걸쳐질 수 있도록 개구부(W1)가 형성되는데 이는 촬영부(120)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가로막힘이 없어야 하는 것으로 천장(W)의 슬리브에 개구부(W1)가 형성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장(W)의 마감을 위해 설치되는 슬리브에 브라켓(110)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건축물의 실내는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 대략 2700㎜~3100㎜의 높이가 형성되되 상기 천장에서 300㎜~500㎜정도의 간격을 두고 슬리브가 설치되어 소방을 위한 배관 및 전기배선이 지나가는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기 천장(W)에는 슬리브도 포함됨을 명백히 밝혀 두는 바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10)이 천장(W)과 슬리브 사이의 여유공간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때에 따라서는 슬리브가 설치되지 않고 콘크리트 천장에 브라켓(110)이 직접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10)에 촬영부(120)가 내설되어 피사체를 촬영할 수도 있음을 명백히 밝혀 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하부가 개방된 브라켓(110)의 연부가 절곡되어, 상기 천장(W)의 슬리브에 안착되는 바, 상기 브라켓(110)의 연부 사방에는 체결공(116)이 형성되어 촬영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플레이트(130)를 연결시키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스트(132)의 조립공(134)과 체결된다.
특히, 상기 브라켓(110)의 체결공(116)과 포스트(132)의 조립공(134) 사이에는 천장(W)의 슬리브가 개재되는 바, 상기 천장(W)의 슬리브에 천공(118)이 형성되어 브라켓(110)의 체결공(116)과 천장(W)의 슬리브와 포스트(132)의 조립공(134)이 체결용 볼트(114)에 의해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132)의 하부에는 플레이트(130)가 고정되는데, 상기 플레이트(130)는 촬영부(120)가 감시하게 되는 피사체가 플레이트(130)의 하방에 위치했을 때 촬영부(120)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천장에 설치되는 소품의 모조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레이트(130)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는 조명갓 중 조명에서 발생되는 빛을 고르게 산란시키는 불투명한 합성수지 갓 내지 장식적인 측면에서 천장의 높낮이에 변화를 주어 거주자에게 미감을 불러 일으키는 장식용 소품으로 플레이트(130)를 꾸미게 된다. 즉, 촬영부(120)가 매립된 천장(W) 주변의 지형지물과 유사한 외형을 갖는 모조품으로 플레이트(130)를 꾸미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30)는 포스트(132)를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는 CCD(124)의 촬영시야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130)의 위치를 천장(W)측으로 높이게 되면 피사체가 촬영부(120)의 존재유무를 식별하는 것이 어려운 반면 CCD(124)의 촬영시 야가 좁아지게 되어 촬영에 어려움이 있고, 반대로 플레이트(130)의 위치를 지면측으로 낮추게 되면 CCD(124)의 촬영시야가 넓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매립형 감시 카메라의 실시예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감시 카메라의 설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매립형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천장(W)의 슬리브에 브라켓(110)의 체결공(116)과 같은 위치에 천공(118)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110)의 하부와 접하게 되는 천장(W)의 슬리브에 개구부(W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10)의 가이드 레일(112)에 촬영부(120)의 회동축(126)에 구비된 롤러(128)가 안착되도록 내설시켜 상기 촬영부(120)가 브라켓(110)의 내부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10)의 체결공(116)과 플레이트(130)가 구비된 포스트(132)의 조립공(134)을 체결용 볼트(114)로 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매립형 감시 카메라의 설치가 끝나게 되면 작업자는 CCD(124)의 촬영시야가 최대한 확보되도록 기지국의 모니터를 통해 촬영부(124)를 브라켓(110)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동축(126)과 힌지 연결된 하우징(122)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CCD(124)의 촬영시야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매립형 감시 카메라는 피사체가 감시 카메라의 존재유무를 식별하기 어려워져 피사체가 느끼는 거부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상기 감시 카메라를 은폐시키기 위한 플레이트가 촬영부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감시 카메라의 노출에 의한 인테리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감시 카메라는, 천장에 감시 카메라를 매립시켜 감시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므로써, 피사체가 거부감을 느끼거나 촬영이 제한된 사각지대로 은폐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시 카메라를 은폐시키기 위한 플레이트가 촬영부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감시 카메라의 노출에 의한 인테리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천장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내설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어느 일 축 상에서 회동하는 감시카메라; 및
    상기 브라켓의 하부로 연장되는 포스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고 감시 카메라의 하방에 위치한 개구부를 덮는 플레이트; 가 포함되되,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범위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가이드레일 상에서의 전후이동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어느 일 축 상에서의 회동운동의 조합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더 포함되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플레이트는 반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감시 카메라.
KR1020050104137A 2005-11-02 2005-11-02 매립형 감시 카메라 KR100714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37A KR100714022B1 (ko) 2005-11-02 2005-11-02 매립형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37A KR100714022B1 (ko) 2005-11-02 2005-11-02 매립형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022B1 true KR100714022B1 (ko) 2007-05-04

Family

ID=3826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137A KR100714022B1 (ko) 2005-11-02 2005-11-02 매립형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85B1 (ko) 2011-09-14 2012-11-06 (주)보성전자 시시티브이 감시카메라장치
KR101450390B1 (ko) * 2012-06-20 2014-10-14 액츠 주식회사 폐쇄회로 카메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585Y1 (ko) * 1999-11-08 2000-05-01 정운기 촬영각 조절이 자유로운 보안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585Y1 (ko) * 1999-11-08 2000-05-01 정운기 촬영각 조절이 자유로운 보안카메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85B1 (ko) 2011-09-14 2012-11-06 (주)보성전자 시시티브이 감시카메라장치
KR101450390B1 (ko) * 2012-06-20 2014-10-14 액츠 주식회사 폐쇄회로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022B1 (ko) 매립형 감시 카메라
CN101093347B (zh) 隐匿型监视摄像头
US11149910B1 (en) System for creating an illusion of a skylight
JP2010121311A (ja) 建物の窓用サイドバイザー
JP4951234B2 (ja) 小屋裏の換気構造
JP5772768B2 (ja) 外壁の開口部構造
JPS6140835Y2 (ko)
CN207162317U (zh) 导视型集成终端模组
JPS6337686Y2 (ko)
US20210102388A1 (en) Light enhancing and flood protection window well installation
JP3879505B2 (ja) 防犯照明装置
JPH0227116Y2 (ko)
JP2006249732A (ja) 建物の開口部装置
JP3450802B2 (ja) 換気装置
JPS6131272B2 (ko)
JPH10154414A (ja) 照明器具
JPS6322318Y2 (ko)
JPH066407Y2 (ja) 超高層集合住宅における航空障害灯の設置構造
KR200254634Y1 (ko) 통풍 및 환기를 위한 보조문을 갖는 이중문
JPH02133736A (ja) 換気扇
JP4403890B2 (ja) セットバック窓構造
JP2021055304A (ja) 通気設備
JP2006236754A (ja) エントランスユニットの照明構造
JPS5927632Y2 (ja) 屋外用筐体
KR100614880B1 (ko) 도어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