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405B1 -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405B1
KR100713405B1 KR1020050111354A KR20050111354A KR100713405B1 KR 100713405 B1 KR100713405 B1 KR 100713405B1 KR 1020050111354 A KR1020050111354 A KR 1020050111354A KR 20050111354 A KR20050111354 A KR 20050111354A KR 100713405 B1 KR100713405 B1 KR 10071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external devic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택
이주범
백종민
배신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에 통신을 위한 연결하고, 이동 단말기가 외부 장치를 인식하면 외부 장치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 후 외부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인증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가 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외부 장치를 인증하고, 외부 장치가 인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외부 장치와 사용자 데이터를 동기화 시킨 후,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에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호 간에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 컴퓨터,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A CONTROLLING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각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의 상호 연동 시 호 착신에 대한 흐름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호 착신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 이동 단말기를 통해 DMB 방송을 서비스 받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최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통신 서비스 등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동 단말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가 작아진다. 이에 이동 단말기의 표시창 크기가 작아서 통화 서비스 이외의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시 작은 표시창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작은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을 보는데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DMB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DMB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작은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게 되기 때문에 TV 또는 PC로 방송을 시청하는 것에 비해 자세하게 볼 수 없었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가 집 또는 회사에 위치하여 주변에 단말기에 비해 큰 화면을 가지는 PC(Personal Computer)등의 외부 장치가 있는 경우 단말기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DMB 방송을 외부장치의 화면을 통해 보고자 하는 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작은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좀 더 큰 화면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통해 받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PC를 사용하는 중에 이동 단말기에 소정의 이벤트가 일어난 경우 이 이벤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단말기를 찾아야만 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PC를 통해 일을 하는 중 이동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하던 일을 중단하고 단말기를 통 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해야 한다거나 호 착신이 있는 경우 단말기를 찾아야만 통화가 가능했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 경향에 따라 키패드 또한 작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많은 경우 작은 키 버튼을 통해 입력해야만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점 소형화 되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가 작아짐에 따라 작은 화면과 작은 키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 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PC와 같은 외부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단말기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일일이 찾아 확인을 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에 연동을 위해 연결하여 상호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입력 및 상기 입력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에 연결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이벤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을 위한 연결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외부 장치를 인식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인증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외부 장치를 인증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가 인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외부 장치와 사용자 데이터를 동기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외부 장치 간에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호 간에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상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소형화 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 PC와 같은 외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상호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각의 내부 구성도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각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DMB 모듈(103)을 구비하는 단말기임을 가정하고 설명하지만, DMB 모듈(103)을 구비하지 않은 단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01)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외부 장치(110)와의 연결되면, 인식, 인증, 사용자 데이터 동기화 과정을 거쳐 상호 간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무선부(102)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한다. DMB 모듈(103)은 안테나를 통해 DMB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 패킷을 역다중화 한 후 디코딩 과정을 통해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각각의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부를 포함한다. 표시부(106)는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키 입력부(107)로부터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키입력부(107)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써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07)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101)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 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101)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04)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DMB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보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104)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110)와 연동하여 상호 제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04)는 외부 장치(110)와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인증방법으로는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방법, 개인키와 공개키들의 키 정보를 이용한 인증방법, 생체인식을 이용한 인증방법 등이 있을 수 있고, 인증방법에 따라 상기의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인증 방법을 상기의 방법들 중 선택 가능한 경우에는 모든 정보를 저장한 후 외부 장치(110)와의 인증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05)는 외부 장치(110)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싱 장치로, IPC(inter Pocess Communication)통신을 위한 포트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05)는 USB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외부장치(1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IrDA, UWB 등의 모듈일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의 이동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제공받거나,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여 원하는 데이터 또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장치(11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외부 장치(110)는 PC와 같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이 동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상호 제어를 위한 제어부(111)와, 키 입력부(114), 표시부(113), 메모이부(115) 및 인터페이스부(112)를 포함한다.
제어부(111)는 이동 단말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면, 이동 단말기(100)를 인식과정을 수행한 후, 이동 단말기(100)를 인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인증이 성공되면,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데이터를 동기화 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데이터 출력을 요구하거나 단말기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입력이 있으면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후 인식과정과 인증과정 및 동기화 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DMB 방송 서비스를 받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이동 단말기(100)로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요청을 한 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즉, 외부 장치(110)는 이동 단말기(100)가 서비스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메모리부(115)는 외부 장치(11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상호 제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키입력부(114)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써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14)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111)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 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111)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외부 장치(110)가 PC인 경우 키 입력부(114)는 키보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키패드에 비해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더 빨리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113)는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키 입력부(114)로부터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12)는 외부 장치(110)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싱 장치로, USB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외부장치(1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IrDA, UWB 등의 모듈일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인터페이스(105, 112)는 동일한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인터페이스(105, 112)는 USB 통신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임을 가정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외부 장치(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에 물리적인 USB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호 서비스, WLAN 서비스, DMB 서비스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한 도 1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에 인식, 인증 및 동기화 과정을 통해 상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00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물리적 연결이 되면, 2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110)가 인식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 서,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통신을 위해 물리적 연결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만약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2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장치를 인식한 경우에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외부 장치(110)로 인증을 요청한다. 이때 인증을 요청할 시, 상기의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인증 방법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인증 방법을 위한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110)로 요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한 인증 방법들 중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한 선택이 있으면 204단계에서 인증 요청 메시지 전송 시에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 요청임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러면, 외부 장치(1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206단계에서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208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정보와 미리 설정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말의 사용자 임을 인증하여 외부 장치(110)로 인증됨을 알린 후 212단계로 진행하고, 만약,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210단계로 진행하여 외부 장치(110)로 인증되지 않음을 알린다.
21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는 사용자 데이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 동기화는 전화번호부, SMS(Short Message Servie), 호 착/발신에 대한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동기화 시킨다.
이후, 214단계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수행한다. 214단계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해당 서비스 수행은 외부 장치(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소정의 이벤트를 외부 장치(110)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이 상호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 3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상호 연동 시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 중 호 착신이 있는 경우의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의 상호 연동 시 호 착신에 대한 흐름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00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물리적 연결이 되면, 3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110)가 인식되는지를 검사한다. 3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110)를 인식한 경우에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증 방법으로 외부 장치(11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110)는 306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것을 알린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308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정보와 미리 설정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말의 사용자 임을 인증하여 외부 장치(110)로 인증됨을 알린 후 312단계로 진행하고, 만약,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외부 장치(110)로 인증되지 않음을 알린다. 31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 와 외부 장치(110)는 사용자 데이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314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호 착신이 있으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는 동시에 316단계로 진행하여 호 착신이 있음을 외부 장치(110)로 알리기 위한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 장치(110)는 320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현재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린다. 이후,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외부 장치(110)를 통해 통화를 위한 키를 입력하는 경우 외부 장치(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외부 장치(110)를 통해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려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통해 바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도 3에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이를 외부 장치(110)로 알리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의 화면에 호 착신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외부 장치(110)에서 호 착신을 알리기 디스플레이 방식은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호 착신과 같은 소정의 이벤트를 미리 연동과정을 거친 외부 장치(110)로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장치(110)를 통해서도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바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의 소정의 이벤트가 단문 메시지(SMS)라면,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외부 장치(11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외부 장치(110)는 화면에 이를 디스플레이 한 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입력 또 는 삭제와 같은 처리 동작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해당 동작을 바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제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상호 연동 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가능한 서비스에 대하여 외부 장치(110)에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 이동 단말기를 통해 DMB 방송을 서비스 받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500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물리적 연결이 되면, 5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110)가 인식되는지를 검사한다. 5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110)를 인식한 경우에는 5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증 방법으로 외부 장치(11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110)는 506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것을 알린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508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정보와 미리 설정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말의 사용자임을 인증하여 외부 장치(110)로 인증됨을 알린 후 512단계로 진행하고, 만약,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510단계로 진행하여 외부 장치(110)로 인증되지 않음을 알린다. 51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는 사용자 데이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외부 장치(110)는 514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 소정 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소정의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51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16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요청이 있어 진행한 518단계에서 외부 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소정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100)는 520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수행한 후 522단계에서 외부 장치(110)로 해당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외부 장치(110)는 수신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외부 장치(110)의 표시부(113)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외부 장치(110)를 통해 상기의 500단계 내지 512단계를 거쳐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110)간의 인식, 인증 및 사용자 데이터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외부 장치(110)는 이동 단말기(100)로 DMB 방송 서비스를 요청한 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DMB 방송 데이터를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110)를 통해 DMB 방송 서비스 중 사용자에 의해 DMB 방송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10)를 통해 DMB 방송 시청 중 사용자가 시청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장치(110)로 중단을 위한 입력을 함으로써 방송 서비스 중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방송을 종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에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동시킨 후 인식, 인증, 사용자 데이터 동기화 과정을 거쳐 상호 간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에 연동을 위해 연결하여 상호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입력 및 상기 입력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에 연결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이벤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6)

  1.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을 위한 연결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외부 장치를 인식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인증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외부 장치를 인증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가 인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외부 장치와 사용자 데이터를 동기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외부 장치 간에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호 간에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을 위한 연결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외부 장치간에 USB 케이블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 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USB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USB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외부 장치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은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 방식,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 방식, 생체인식을 위한 인증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전화번호 정보, 단문 메시지 정보, 호 착/발신 정보 들 중 하나 이상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KR1020050111354A 2005-11-21 2005-11-21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KR10071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54A KR100713405B1 (ko) 2005-11-21 2005-11-21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54A KR100713405B1 (ko) 2005-11-21 2005-11-21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405B1 true KR100713405B1 (ko) 2007-05-04

Family

ID=3826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354A KR100713405B1 (ko) 2005-11-21 2005-11-21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66B1 (ko) 2008-08-29 2010-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단말기의 정보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16438B1 (ko) 2009-04-06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송수신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520A (ko) * 2001-08-01 2003-02-12 주식회사 모빌탑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KR20040019673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094278A (ja) 2003-09-17 2005-04-0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送受信データモニタ装置
KR100591833B1 (ko) 2004-12-24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개선된 외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72997A (ko) * 2004-12-24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텔레비전 출력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520A (ko) * 2001-08-01 2003-02-12 주식회사 모빌탑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KR20040019673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094278A (ja) 2003-09-17 2005-04-0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送受信データモニタ装置
KR100591833B1 (ko) 2004-12-24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개선된 외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72997A (ko) * 2004-12-24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텔레비전 출력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66B1 (ko) 2008-08-29 2010-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단말기의 정보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16438B1 (ko) 2009-04-06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송수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22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EP2499875B1 (en)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232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ES2821885T3 (es) Aparato de visualización de contenidos
US7509130B2 (en) Method for locking and releasing a camera in a portable terminal
EP2391150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80291263A1 (en)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587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xternal device extension system, external device extension method, external device extension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20080001774A1 (en) Remote control with UPnP suppor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JP2008017083A (ja)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方法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4680983B2 (ja) 画像データを提供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携帯電子装置
KR100713405B1 (ko)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KR100650680B1 (ko) 데이터 세부잠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4893797B2 (ja) 通信装置および方法、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70111270A (ko) 다자간 화상통화 중 음성인식을 활용한 화면 디스플레이방법
KR20160039831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663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803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출력 화면의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442950B1 (ko) 터치 스크린 방식의 블루투스 단말기에서 입력 펜을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JP2005295574A (ja) 通信装置
KR100677957B1 (ko) Dmb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외부장치와의 dmb 방송 신호 공유 방법
KR100675158B1 (ko) 인터넷 뱅킹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786158A (zh) 双模蓝牙设备及蓝牙连接方法
JP2005304039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