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288B1 - 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heat treatment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heat treat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288B1
KR100713288B1 KR1020010051377A KR20010051377A KR100713288B1 KR 100713288 B1 KR100713288 B1 KR 100713288B1 KR 1020010051377 A KR1020010051377 A KR 1020010051377A KR 20010051377 A KR20010051377 A KR 20010051377A KR 100713288 B1 KR100713288 B1 KR 10071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set temperature
treatment process
temperature trajectory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16589A (en
Inventor
사카모토고이치
왕웬링
스즈키후지오
야스하라모유루
스즈키게이스케
Original Assignee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1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5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20Sequence of activit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easurements, corrections, marking or sorting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수행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a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and a second heat treatment on a workpiece.

이 방법은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includes 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a first tes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and And determining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to the second test object to be subjected to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determined by using a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Measuring the results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target object, and the temporary agent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modifying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to determine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Description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의 결정방법{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HEAT TREATMENT SYSTEM}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heat treatment apparatus {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HEAT TREATMENT SYSTEM}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1A and 1B are configuration diagrams for describ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막 각각에 관하여,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optimizing a set temperature in a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eaters, for each of two films formed successively;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스텝(121)을 상술하는 플로우차트, 3 is a flowchart detailing the step 121 in FIG. 2;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스텝(122)을 상술하는 플로우차트, 4 is a flowchart detailing the step 122 in FIG.

도 5A 내지 5C는 제 1 막을 성막하는 제 1 설정 온도의 최적화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 다이어그램, 5A to 5C are control diagrams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operation of the first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도 6A 및 6B는 제 2 막을 성막하는 제 2 설정 온도의 최적화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다이어그램, 6A and 6B are control diagrams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operation of the second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도 7A 내지 7C는 제 1 막을 성막하는 제 1 동적인 설정 온도의 최적화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다이어그램, 7A to 7C are control diagrams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operation of the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도 8A 및 8B는 제 2 막을 성막하는 제 2 동적인 설정 온도의 최적화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다이어그램, 8A and 8B are control diagrams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operation of the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도 9A 내지 9C는 웨이퍼내의 막두께가 막형성 중에 있어서의 온도 감소에 의해 균일화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9A to 9C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showing that the film thickness in the wafer is made uniform by a decrease in temperature during film formation;                 

도 10A 내지 10C는 웨이퍼 보트내의 웨이퍼 상에 있어서의 막두께의 분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10A to 10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tribution of the film thickness on the wafer in the wafer boat;

도 11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막 각각에 관하여,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플로우차트,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optimizing a set temperature in a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eaters with respect to each of two films formed successively,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S. 2 to 4;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스텝(221)을 상술하는 플로우차트,12 is a flowchart detailing the step 221 in FIG. 11,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스텝(222)을 상술하는 플로우차트,13 is a flowchart detailing the step 222 in FIG. 11,

도 14는 도 1(A)에 나타내는 열처리 장치로 연속적으로 제 1 및 제 2막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films are continuously formed by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게이트-산화물-막 형성 공정의 구성 요소를 비교예와 대비하여 나타내는 표이다.15 is a table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gate-oxide-film forming proces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반응관 12 : 내관  11: reaction tube 12: inner tube

13 : 웨이퍼 보트 14 : 웨이퍼 13: wafer boat 14: wafer

15 : 보온통 16 : 매니폴드 15: thermos 16: manifold

17 : 베이스플레이트 18 : 덮개체 17: base plate 18: cover body

19 : 보트 엘리베이터 20 : 가스공급관 19: boat elevator 20: gas supply pipe

21 : 배기관 22, 23, 24, 25, 26 : 히터 21: exhaust pipe 22, 23, 24, 25, 26: heater

27, 28, 29, 30, 31 : 외부열전쌍 27, 28, 29, 30, 31: external thermocouple

32, 33, 34, 35, 36 : 내부열전쌍 32, 33, 34, 35, 36: internal thermocouple                 

37 : 상태추정부 38 : 제어부 37: state estimation 38: control unit

39 : 최적화부
39: optimizer

본 발명은 피처리체에 막을 형성하는 등의 열처리를 하기 위한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의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정확한 막을 형성하는 데 알맞은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의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a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performing heat treatment such as forming a film on a workpie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a heat treatment apparatus suitable for forming an accurate film.

반도체 장치 등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웨이퍼를 열처리하여 그 표면에 특정한 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빠뜨릴 수 없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에서 비교적 고온 예컨대 750 ℃에서 900 ℃ 정도의 열처리 장치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에는, 예컨대, 화학기상증착 프로세스(CVD 프로세스) 및 산화·확산 프로세스 등이 있다.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or the like, the step of heat-treating the wafer to form a specific film on its surface is indispensable. In such a heat treatment process,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CVD process), an oxidation-diffusion process, and the like are performed in a heat treatment apparatus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such as about 750 ° C. to about 900 ° C.

일반적으로, 열처리 장치는 복수의 웨이퍼를 선반형상으로 배열하여 유지하는 웨이퍼 보트라 불리우는 유지구와, 이 유지구를 수납하여 둘러싸는 통형상의 반응관과, 이 반응관의 측면을 둘러싸는 환체상에서 그 축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히터를 갖고, 또한 반응관에 반응 가스를 도입하는 가스도입관과, 상기 반응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배기관을 구비하고 있다. In general, a heat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holder called a wafer boat for arranging and holding a plurality of wafers in a shelf shape, a cylindrical reaction tube containing the holder and surrounding the holder, and a circular shape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reaction tube. A gas introduction pipe having a plurality of heaters divid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troducing a reaction gas into the reaction tube, and an exhaust pipe for removing exhaust gas from the reaction tube.

히터에는 소정의 파워가 공급되고, 성막을 위한 웨이퍼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실제로는, 막형성 프로세스 동안에 웨이퍼 온도 그 자체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프로세스 온도를 제어하는데 그 대체(代替)가 되는 부위의 측정 온도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edetermined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and control is made to maintain the wafer temperature for film formation. Here, in practic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wafer temperature itself during the film forming process. It is common to use the measured temperature at the site of its replacement to control the process temperature.

이러한 히터 출력의 제어는 정밀도를 확보하여 웨이퍼 상에 성막 등의 열처리를 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이하에서는, 열처리의 대표적 예로서, 성막 공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Such control of the heater output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ensuring precision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such as film formation on the wafer. Hereinafter,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eat treatment, a film forming step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성막 공정에서는, 웨이퍼 온도가 설정과 조금이라도 다른 지점에서, 막두께, 막질이 변화한다. 예를 들면, 어떤 성막 공정에서는, 그 온도의 1 ℃의 차이는 형성막 두께의 0.1 nm의 차이가 된다. 따라서, 어떤 막의 두께가 전체로 수 nm에서 수십 nm 정도의 경우로서는, 수백 ℃에 대하여 적어도 수 ℃ 이내의 제어가 필요하다. In the film forming step, the film thickness and the film quality change when the wafer temperature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setting. For example, in some film-forming processes, the difference of 1 degreeC of temperature becomes the difference of 0.1 nm of formed film thickness.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a certain film as a whole is about several nm to several tens of nm, control of at least several degrees Celsius is required for several hundred degrees Celsius.

반응 가스의 농도가 가스도입측에서 배기측으로 일정한 흐름이 주어지고 있는 점에서 반응관내에서 균일하게는 되지 않고, 이 때문에, 반응관의 어느 쪽의 부위에 있어서도 동일한 온도제어를 하면 반응관내에서의 각 웨이퍼상의 막두께가 오히려 편차가 지기 때문이다. 또한, 열처리하는 복수의 웨이퍼의 배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히터 각각의 제어는, 그 설정 온도를 포함해서 다르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The concentration of the reaction gas is not uniform in the reaction tube because a constant flow is given from the gas introduction side to the exhaust side. Therefore, if the sam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at either site of the reaction tube, This is because the film thickness on the wafer is rather different. In addition, it is common for the contro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ers divided in the arra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wafers to be heat treated to be different, including the set temperature.

이와 같이, 반응관내의 웨이퍼에 똑같고 또한 고정밀도의 막두께 형성을 위해서는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를 최적화(수정을 몇 번 반복하여 허용범위내의 막두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way, in order to form the same and highly accurate film thickness on the wafer in the reaction tube,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ers is optimized (modification can be repeated several times to obtain the film thickness within the allowable range). It is necessary to do                         

설정 온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반응관내에 복수의 시험웨이퍼가 재치되어 있는 설정 온도로 막형성을 행하고, 그 성막 두께를 측정기로 측정하여, 원하는 막두께로부터의 오차에 의해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를 시프트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시프트된 설정 온도에 의해 다시 시험 웨이퍼 (test wafer)를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행하고, 원하는 막두께에서의 오차가 허용범위내로 수용될 때까지 되풀이한다. 이렇게 하여 수속(收束)한 설정 온도가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최적화된 설정 온도이다. In order to optimize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a film is formed at a set temperature at which a plurality of test wafers are placed in a reaction tube, the film thickness is measured by a measuring instrument, an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ers due to an error from a desired film thickness. A method of shifting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can be used. Do the same again using the test wafer with the shifted set temperature and repeat until the error in the desired film thickness is accommodat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set temperature converged in this way is the optimized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ers.

그런데,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이종의 막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일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막형성 프로세스에 관해서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최적화된 설정 온도를 구하면 좋다. By the way,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t forms by forming different types of film | membrane. In such a case, the optimized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ers may be obtained for each film forming process.

즉, 예컨대, 제 1 막을 형성하여 그 위에 제 2 막을 형성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우선, 제 1 막형성에 관해서, 상기의 수법으로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최적화된 설정 온도를 구한다. 다음에, 그 최적화된 설정 온도로 제 1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사용하고, 제 2 막형성에 관해서, 상기의 수법으로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최적화된 설정 온도를 구한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막마다 독립하여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행할 수 있다. That is, assuming, for example, that the first film is formed and the second film is formed thereon. First, with regard to the first film formation, the optimized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ers i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Next, using the wafer on which the first film is formed at the optimized set temperature, the optimized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ers i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lm formation. The set temperature can be optimized independently for each film formed in this way.

그렇지만,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제 1 막과 제 2 막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야하는 경우가 있다. 연속적으로 제 1 막과 제 2 막을 형성할 때, 열처리 장치에 웨이퍼를 로드하여 제 1 막을 성장시킨 후, 열처리 장치로부터 웨이퍼를 일단 언로드시키는 일없이 제 1 막상에 제 2 막을 형성한다. However,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may be formed continuously. When continuously forming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the wafer is loaded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to grow the first film, and then the second film is formed on the first film without unloading the wafer from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once.                         

이러한 경우는, 제 1 및 제 2 막이 형성된 웨이퍼에 관해서만 성막 결과의 데이터를 측정기로 측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에 서술한 형성하는 막마다의 독립적인 설정 온도의 최적화 수법을 쓸 수 없다. In such a case, data of the film formation result cannot be measured with a measuring device only for the wafers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ilms are formed. Therefore, the optimization method of the independent set temperature for each film | membrane mentioned above cannot be used.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 1 막과 제 2 막과의 성막 결과의 측정 데이터에는 2가지의 경우가 생각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경우는 예컨대, 제 1 막과 제 2 막이 모두 질화물막인 경우, 개개의 막두께를 구별하여 측정할 수 없고, 그것들의 2개의 막을 합한 막두께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이다. 다른 하나의 경우는 예컨대 제 1 막은 산화물막이고, 제 2 막은 질화물막인 경우, 어느 쪽의 막도 구별하여 막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이다.In this case, two cases can be considered in the measurement data of the film formation result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That is, in one case, for example, when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re nitride films, the individual film thicknesses cannot be measured separately, and only the film thicknesses of these two films can be measured. In another case, for example, when the first film is an oxide film and the second film is a nitride film, the film thickness can be measured by distinguishing either film.

전자로는, 성막 결과를 제 1막이나 제 2막의 어느 한 막에 막형성을 위한 설정 온도의 최적화에 쓸 수 있지만, 이것에 의해서는, 제 1 막과 제 2 막의 합계 막두께에 있어서는 관리할 수가 있게 되지만 개개의 막에 있어서는 막두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성막 결과를 제 1 및 제 2 막형성의 온도 설정에 적당히 분배하여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그 분배가 적절한지는 불분명하고, 결과적으로 개개의 막에 관해서 막두께 관리를 한 것은 아니게 된다. In the former, the film formation results can be used to optimize the set temperature for film formation in either the first film or the second film. However, in this way,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can be controlled. However, the film thickness is not managed in the individual films. It is also conceivable to optimize the set temperature by appropriately distributing the film formation results to the temperature settings of the first and second film formations, but in reality, it is unclear whether the distribution is appropriate. Will not be done.

후자로는, 최적화하는 순서를 적절히 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막의 형성에 계속해서 제 2 막에 관해서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이루고, 그 후 제 1 막에 관해서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하면, 제 1 막에 관해서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가 제 2 막에 관해서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할 우려가 있다. 그에 따라서는, 다시 제 2 막에 관해서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효율적인 설정 온도의 최적화가 어렵다. In the latter case, the order of optimization must be appropriately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set temperature is optimized for the second film following the 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lms, and then the set temperature is optimized for the first film, the set temperature for the first film is optimized. There is a fear that the result of the optimization of the set temperature regarding the second film will be affec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urther optimize the set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lm.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optimize the effective set temperature.

이상으로서는, 열처리로서 성막 공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이러한 열처리 장치에서 행하는 열처리 일반에 관하여 말할 수가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film-forming process was demonstrated as an example of heat processing, this can speak about the general heat processing performed by such a heat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응관내에 연속적으로 다수의 열처리 공정을 하는 데 각각의 설정 온도 조건의 최적화를 결정할 수 있는 피처리체에 성막하는 등의 열처리를 하기 위한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의 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performing heat treatment such as film formation on a workpiece to be optimized for each set temperature condition in a plurality of heat treatment processes continuously in a reaction tub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은,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et temperature trace in the heat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ntinuously performs a 1st heat processing and a 2nd heat processing to the to-be-processed objec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temporary 1st heat processing process. Performing on the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set temperature trajectory,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the tempora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where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ing on the second test object to be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wherein the first heat target is performed to the second test object Measuring the result of the second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thereby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at.

상기 특징에 따르면, 임의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은 제 1 열처리 공정 및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수정된다. 제 1 열처리에 있어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은 이 시점 전에 이미 수정된 것이고, 결과적으로 제 2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은 최적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the arbit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modified based on the measured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is already corrected before this point, and as a result,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is optimized.

바람직하게는, 제 1 설정 온도 궤적은 고정되고, 제 2 설정 온도 궤적은 고정된다.Preferably,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이 경우, 막의 두께 차와 같은 열처리 공정의 결과에 있어서 열처리 장치에 의해 동시에 처리되는 피처리체들 사이의 차이는 감소된다. 피처리체 상에 형성된 막의 평균 두께는 처리온도에 따라 좌우된다. In this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s to be processed simultaneously by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n the result of the heat treatment process such as the difference in thickness of the film is reduce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lm formed on the workpiece depends on the treatment temperature.

또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은 가변될 수 있고, 제 2 설정 온도 궤적은 가변될 수 있다.Also,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can be varied,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can be varied.

이 경우, 막의 두께 차와 같은 열처리 공정의 결과에 있어서 각 피처리체의 부품들 사이의 차이는 감소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막의 두께 차와 같은 열처리 공정의 결과에 있어서 열처리 장치에 의해 동시에 처리되는 피처리체들 사이의 차이 또한, 감소된다. 적절한 온도 구배는 피처리체내의 열적 조건의 비율을 이용함으로써, 열처리 공정 중에 설정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처리될 피처리체의 주변 부분과 중앙 부분사이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처리될 피처리체의 주변부와 중앙 부사이에 소스 가스의 농도와 같은 성막 조건의 차이는 상쇄될 수 있다.In this case, not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nents of each workpiece in the result of the heat treatment process such as the film thickness difference can be reduced, but also the features simultaneously processed by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n the result of the heat treatment process such as the film thickness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odies is also reduced. Appropriate temperature gradients occur between the peripheral and central portions of the workpiece to be treated by varying the set temperature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by using a ratio of thermal conditions in the workpiece. Therefore, the difference in deposition condition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the source gas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object to be treated can be offset.

또한, 바람직하게는 열처리 시스템은 상기 열처리 장치가 각각 가열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다. Further, preferably, the heat treatment syste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in which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can be heated respectively, and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respectively, and the first set temperature in the region. The trajectori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그러므로, 이 방법은 상이한 열처리 조건이 처리될 피처리체의 선반형식 (tier-like) 배열 방향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Therefore, this method is more effective when different heat treatment conditions need to be set in the tier-lik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workpiece to be trea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열처리 공정이 열산화물을 이용하여 게이트 - 산화물-막 형성 공정이고,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이 게이트-산화물-막을 질소화하기 위한 질소화 공정이다.Further, preferabl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a gate-oxide-film forming process using thermal oxide,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is a nitrogenization process for nitrogenizing the gate-oxide-film.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방법은,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3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3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a heat treatment apparatus that continuously performs a first heat treatment and a second heat treatment on a target object, an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temporary first setting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ing on the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erature trajectory,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target object, an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where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es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Performing on the second test object to be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water to the second test object Measuring the resul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wherein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temporary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ing the third test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to the third test object. Measuring a result, an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And modifying a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reby determining a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이 경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 조건은 최적화될 수 있고, 이 설정 온도 조건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 조건은 최적화될 수 있다. 그러면, 이 설정 온도 조건을 이용하여 제 1, 제 2 및 제 3 열처리 공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 3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 조건은 최적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제 2 및 제 3 열처리 공정에서의 설정 온도 조건은 관리될 수 있다. 4 이상의 열처리 공정에 대한 설정 온도 조건은 유사한 형태로 최적화될 수 있다. In this case,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the set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reaction tube in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can be optimized,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 steps using this set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the set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reaction tube can be optimized.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eat treatment processes using this set temperature condition, the set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reaction tube in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can be optimized. Therefore, the set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heat treatment processes can be managed. Set temperature conditions for four or more heat treatment processes can be optimized in a similar fash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며,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된다. Preferably,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또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다.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 장치가 각각 가열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다. Further, preferably,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each of which can be heated,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region is mutually different. Different,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방법이며, 이 방법은,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a heat treatment apparatus that continuously performs a first heat treatment and a second heat treatment on a target object, and this method is a temporary first setting of a first heat treatment step. Performing on the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erature trajectory,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target object, an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where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es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Performing on the second test object to be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ball performed to the second test object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

이 경우, 연속 열처리 공정의 각각의 결과에 관련하는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는 최적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적 설정 온도는 제 1 열처리 공정 즉, 최선 열처리 공정에서 결정되고, 그 다음, 최적 설정 온도는 제 2 열처리 공정 즉, 이어지는 열처리 공정에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최적 설정 온도의 조정은 불필요로 하게 되고, 그러므로 반응관 내부의 최적 설정 온도는 효과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related to each result of the continuous heat treatment process can be optimized. In this case, the optimum set temperature is determined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that is, the be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n the optimum set temperature is determined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that is,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process. Therefore, the adjustment of the optimum se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ecomes unnecessary, and therefore the optimum set temperature inside the reaction tube can be effectively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수행된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and a second heat treatment on a workpiece. The method includes 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a first tes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emporarily sett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to a second temporary setting. Using the temperature trace,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second test object to be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to be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object, and the Measuring the resul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bin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by modifying the product,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workpiece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And performing a process on the workpiece to which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제 2 열처리 및 제 3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방법은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제 2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3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3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수행된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수행되고,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이 수행된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a second heat treatment, and a third heat treatment on a workpiec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performing a first test on a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Performing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and correct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using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which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determined. Performing results on the second test object to be performed, and measuring th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es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object.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temporary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Performing a third test object to be performed;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to the third test object; and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third row by modifying the temporary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measurement results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step. Determining a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treatment process,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Performing a process on the object to which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trajectory, and performing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determined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And performing a process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수행된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and a second heat treatment on a target object,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a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and correct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thereby performing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of the second test feature, where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where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Measuring the resul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performed on the second body to be processed;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workpiece to which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발명의 실시의 형태]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반응관(11), 반응관(11)에 결합된 주변장치, 상태추정부(37), 제어부(38) 및 오프라인 최적화부(39)를 갖는 열처리 장치이다. 반응관(11) 및 그 주변장치는 정면단면도로 도시하고, 상태추정부(37), 제어부(38), 및 최적화부(39)는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1A and 1B are configuration diagrams for describ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A, this embodiment is a heat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reaction tube 11, a peripheral device coupled to the reaction tube 11, a state estimation 37, a controller 38, and an offline optimizer 39. to be. The reaction tube 11 and its peripheral apparatus are shown in front sectional view, and the state estimation 37, the control part 38, and the optimization part 39 are shown in the block diagram.

반응관(11)은 상단이 막혀 있다. 반응관(11)의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7)의 아래면과 매니폴드(16)의 상단 사이에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내관(12)은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하단이 매니폴드(16)의 안쪽으로 지지되어 있다. The reaction tube 11 is closed at the top. The lower end of the reaction tube 11 is hermetically joi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7 and the upper end of the manifold 16. The inner tube 12 has an upper end opening, and a lower end is supported inside the manifold 16.

반응관(11)에서는, 다수 매 예를 들어, 150 매의 웨이퍼(14), 즉 피처리체가 각각 수평의 상태로 상하방향에 간격을 두고 유지구인 웨이퍼 보트(13)에 선반형상 (tier-like)으로 재치되어 배열된다. 이 웨이퍼 보트(13)는 덮개체(18) 위에 보온통(단열체)(15)을 통해 유지되어 있다. 덮개체(18)는 웨이퍼 보트(13)를 반응관 (11)내에 반입, 반출하기 위한 보트 엘리베이터(19) 위에 탑재되어 있다. 상한위치에 있을 때에는 매니폴드(16)의 하단개구부, 즉 반응관(11)과 매니폴드(16)로 구성되는 처리용기의 하단개구부를 폐쇄한다. In the reaction tube 11, a plurality of, for example, 150 wafers 14, i.e., the workpieces are tier-like in the wafer boat 13, which is a holding tool,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in a horizontal state, respectively. ) Arranged and arranged. This wafer boat 13 is hold | maintained on the cover body 18 through the heat insulating container (insulation body) 15. As shown in FIG. The cover body 18 is mounted on the boat elevator 19 for carrying in and carrying out the wafer boat 13 into the reaction tube 11. When it is in the upper limit position,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manifold 16, that is,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processing vessel composed of the reaction tube 11 and the manifold 16 is closed.

반응관(11)의 주위에는 예컨대 저항가열체로 이루어지는 히터(22∼26)가 고리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히터(22∼26)는 도시와 같이 그 축방향[웨이퍼(14)의 배열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히터(22∼26)는 제어부(38)에 의해 각각 독립으로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다. Around the reaction tube 11, heaters 22 to 26 made of, for example, resistance heaters are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the heaters 22 to 26 are axially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the arrangement of the wafers 14). It is divided into These heaters 22 to 26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8 to generate heat.

매니폴드(16)에는, 내관(12)내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관(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매니폴드(16)에는, 내관(12)과 반응관(11)의 간극으로부터 배기하도록 배기관(21)이 접속되어 있다. 통상, 복수의 가스공급관(20)은 내관(12)내에 다수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매니폴드(16)에 연결된다. 그러나, 간략하게 하기 위해 가스공급관(20) 하나만 표시하고 있다. 배기관(21)의 도중에는 압력조정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이에 따라 반응관(11)내의 압력이 조정된다. The manifold 16 is provided with a gas supply pipe 20 for supplying gas into the inner tube 12. In addition, the exhaust pipe 21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16 so as to exhaust from the gap between the inner tube 12 and the reaction tube 11. Typically, the plurality of gas supply pipes 20 are connected to the manifold 16 to supply a plurality of gases in the inner pipe 12. However, only one gas supply pipe 20 is shown for simplicity. In the middle of the exhaust pipe 21, a pressure adjusting unit (not shown) is provided, whereby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tube 11 is adjusted.

히터(22∼26)의 안쪽면에는, 외부열전쌍(27∼31)이 각각 설치되어 그 부위의 온도를 검출한다. 또한, 내관(12)의 내면에는 내부열전쌍(32∼36)이 각각 외부열전쌍(27∼31)에 해당하도록 설치되어, 그 부위의 온도를 검출한다.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heaters 22 to 26, external thermocouples 27 to 31 are provided, respectively,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site.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12 is provided so that the inner thermocouples 32 to 36 correspond to the outer thermocouples 27 to 31, respectively,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외부열전쌍(27∼31), 및 내부열전쌍(32∼36)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상태추정부 (37)에 유도된다. 또한, 상태추정부(37)에는, 제어부(38)에 의해 각 히터(22∼26)를 제어하는 제어량도 유도되고 있다. 상태추정부(37)는 이들 온도 및 제어량으로부터 반응관(11)으로 열처리되어 있는 웨이퍼(14)의 상태(이 경우는 온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정을 하는 것은, 실제로 웨이퍼(14)에 열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사이의 그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고, 또한, 웨이퍼(14)의 온도는 거기에 형성되는 막의 성장에 직접 관여하는 파라미터이며 따라서 이것을 제어하는 것이 원래 필요하기 때문이다.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external thermocouples 27 to 31 and the internal thermocouples 32 to 36 is guided to the state estimation 37. The state estimating 37 also introduces a control amount for controlling the heaters 22 to 26 by the control unit 38. The state estimation 37 estimates the state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14 heat-treated with the reaction tube 11 from these temperatures and control amounts.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this estimation directly while measuring the temperature directly during the heat treatment of the wafer 14,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14 is a parameter directly involved in the growth of the film formed thereon. This is because it is originally necessary to control this.

이 추정을 위해서는, 히터(22∼26)로의 제어량, 외부열전쌍(27∼31)의 검출온도, 및 내부열전쌍(32∼36)의 검출온도를 기초로 웨이퍼(14)의 온도를 추정하는 모델을 미리 구해 놓고, 이 모델을 상태추정부(37)에 유지시켜 놓는다. 이에 따라, 상태추정부(37)는 히터(22∼26)에의 제어량, 외부열전쌍(27∼31)의 검출온도, 및 내부열전쌍(32∼36)의 검출온도의 입력에 의해 웨이퍼(14)의 온도를 추정할 수가 있다. For this estimation, a model for estima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14 based on the control amount to the heaters 22 to 26,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external thermocouples 27 to 31, and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internal thermocouples 32 to 36 is selected. Obtained in advance, the model is kept in the state estimator 37. Accordingly, the state estimator 37 enters the wafer 14 by inputting the control amount to the heaters 22 to 26,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external thermocouples 27 to 31, and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internal thermocouples 32 to 36. The temperature can be estimated.

또, 추정되는 웨이퍼(14)의 온도는 상기 모델의 설정 방법에 의해 웨이퍼 보트(13)에 재치되는 웨이퍼(14)중 임의의 위치에 재치되는 복수의 것에 관해서, 추정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으로서는, 추정대상의 수(위치)를 5로 하고, 그 위치를 웨이퍼 보트(13)의 각각 상부, 중상부, 중부, 중하부, 하부의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stimated temperature of the wafer 14 can be made into the estimation object regarding the some thing mounted in arbitrary positions of the wafer 14 mounted in the wafer boat 13 by the said model setting metho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umber (position) of the estimation target is set to 5, and the positions are assumed to be the upper, upper, upper, middle, low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afer boat 13, respectively.

또한, 추정되는 웨이퍼(14)의 온도는 상기 모델의 설정 방법에 의해, 웨이퍼(14)내의 특정한 2개소 이상의 위치에 관해서 그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2개소를 고르면, 피처리체내를 전해지는 열의 전도속도를 이용하여 웨이퍼 (14)의 외주부와 중심부에서 적절한 온도 구배가 생기게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estimated temperature of the wafer 14 can be made into the object about two or more specific positions in the wafer 14 by the said model setting method. Selecting these two positions is useful when a proper temperature gradient is produc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fer 14 by using the conduction velocity of heat transmitted to the target object.                     

추정된 웨이퍼(14)의 온도는 제어부(38)에 유도된다. 제어부(38)에서는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적절한 제어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어량을 각 히터 (22∼26), 및 상태추정부(37)에 부여한다. The estimated temperature of the wafer 14 is guided to the controller 38. The control part 38 calculates an appropriate control amount compared with the set temperature, and gives the calculated control amount to each heater 22-26 and the state estimation 37. As shown in FIG.

이 설정 온도는 통상의 반도체 제조에 있어서는 최적화된 것을 쓴다. 최적화한, 상기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수정을 몇 번 행하여 허용범위내의 열처리 결과, 예컨대 소정의 막두께의 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최적의 설정 온도(설정 온도 궤적)를 구하는 수법에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의 반도체 제조에 앞서서, 도 1A에 나타내는 장치에 시험을 위한 웨이퍼를 얹어 놓아 막형성 프로세스를 실제로 동작시켜, 그 시험 웨이퍼의 성막 결과를 얻는다. 성막 결과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의 최적화부(39)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최적화부(39)는 수정설정 온도를 출력한다. 이 수정설정 온도를 도 1A에 나타내는 장치에 적용하여 다시 마찬가지로 하여 성막 결과를 얻는다. 또, 최적화부(39)에는, PC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짜넣은 것을 쓸 수 있다. This set temperature uses the thing optimized in normal semiconductor manufacture.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modification is performed several times so that a heat treatment within the allowable range, for example, a film having a predetermined film thickness can be obtaine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method for obtaining this optimum set temperature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this reason, prior to normal semiconductor manufacture, a wafer for testing is placed o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A to actually operate the film forming process, thereby obtaining the film forming result of the test wafer. The film formation result is input to the offline optimizer 39, as shown in FIG. 1B, whereby the optimizer 39 outputs the correction set temperature. This correction set temperature is applied to the apparatus shown in FIG. 1A and again similarly to obtain a film formation result. In the optimizer 39, a program embedded in a predetermined program can be used.

또, 도 1A에 나타내는 장치의 실제는 이외에 제어해야 할 것으로서 가스공급관(20)으로부터의 가스유량, 반응관(11)내의 압력 등이 있고, 이들 제어도 이루어진다. 이들 부분은 본 발명으로서의 동작에 직접은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A actually needs to be controlled in addition to the gas flow rate from the gas supply pipe 20,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tube 11, and the like. These portions are not shown because they ar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opera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의 설정 온도, 가스유량 및 반응관(11)내의 압력은 열처리인 성막 공정의 성막해야 할 막의 종류 및 막두께에 따라 각각 다르고, 특정한 성막 각각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가스유량, 반응관(11)내의 압력 등에 관해서의 처리순서를 레시피라 부르고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가스유량, 반응관(11)내의 압력 등은 직접 관계하지 않고, 설정 온도에 관해서의 처리순서가 관계한다. Incidentally, the set temperature, gas flow rate, and pressure in the reaction tube 11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and film thickness of the film to be formed in the film forming process, which is heat treatment, and the set temperature, gas flow rate, and reaction in each specific film forming process. The processing procedure regarding the pressure in the pipe 11 and the like is called a recip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flow rate,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tube 11, and the like do not directly relate to each other, but the processing procedure regarding the set temperature is related.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의 결정방법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2 가지 막 각각에 관하여,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2 가지 막은 적층되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적층된 막의 두께를 각각 측정할 수는 없고, 막두께의 합계를 측정할 수 있을 뿐인 경우로 한다. 질화층에 또 하나의 질화층을 적층하는 경우가 이것에 해당한다.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set temperature in the apparatu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2 to 4 are flowcharts showing a procedure for optimizing a set temperature in a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eaters for each of two films formed successively. These two films are laminated and formed continuously. In this example, the thicknesses of the laminated films cannot be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 sum of the film thicknesses can only be measured. This is the case where another nitride layer is laminated on the nitride layer.

이러한 2 층막의 두께 허용범위는 특정값에 대해 예정된 두께 범위내에, 예를 들면, 4 nm ±0.5% 이내에 부과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하층인 제 1 막의 두께는 특정값에 대하여 예정된 두께범위내에 예컨대, 1.5 nm ±1.0% 이내에 부과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The thickness tolerance of this two-layer film is assumed to be imposed within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for example, within 4 nm ± 0.5% for a specific value, and the thickness of the underlying first film is, for example, within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for a specific value. It is assumed to be charged within 1.5 nm ± 1.0%.

이러한 사양이 부과될 때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하층인 제 1 막을 형성하기 위한 설정 온도를 최적화하고(스텝121), 다음에 상층의 막인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한 설정 온도를 최적화한다(스텝122). When such a specification is imposed, as shown in Fig. 2, first, the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as the lower layer is optimized (step 121), and then the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as the upper layer is optimized ( Step 122).

제 1 막을 형성하는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도 1A에 나타낸 장치내의 복수의 웨이퍼(시험웨이퍼)에 제 1 막을 성막한다(스텝131). 복수의 웨이퍼에는 상기에서 서술한 웨이퍼 보트(13)의 각각 상부, 중상부, 중부, 중하부, 하부의 것(합계 5장)이 포함된다. 또한, 통상은 제 1 막의 형성에 계속해서(즉 장치로부터 웨이퍼를 일단 언로드하는 일없이) 제 2 막을 형성하지만, 여기서는, 제 1 막의 성막만으로 멈추고, 장치로부터 시험 웨이퍼를 언로드한다. 또, 여기서의 제 1 막의 성막설정 온도는 극히 표준적인 것(예컨대, 제어해야 할 상기 5개의 웨이퍼에 대하여 동일한 온도)을 쓴다. In order to optimize the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as shown in FIG. 3, first, a first film is formed on a plurality of wafers (test wafers)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A (step 131). The plurality of wafers include the upper, middle upper part, middle part, middle lower part, and lower part (five pieces in total) of the wafer boat 13 described above. Normally, the second film is formed following the formation of the first film (that is, without unloading the wafer from the device once), but here, only the film formation of the first film is stopped and the test wafer is unloaded from the device. Incidentally, the film-setting temperature of the first film here is extremely standard (for example, the same temperature for the five wafers to be controlled).

언로드된 시험 웨이퍼는 일립소미터(ellipsometer) 등의 막두께 측정기를 사용하여 제 1 막의 두께가 측정된다(스텝132). 이 성막 결과를 도 1(b)에 나타낸 최적화부(39)에 입력하여(스텝133), 이에 대하여 최적화부(39)는 수정된 제 1 설정 온도를 산출하여 출력한다(스텝134). In the unloaded test wafer,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is measured using a film thickness meter such as an ellipsometer (step 132). The film formation result is input to the optimizer 39 shown in Fig. 1B (step 133), and the optimizer 39 calculates and outputs the corrected first set temperature (step 134).

이 산출을 위해서는, 온도 등의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성장하는 막두께의 물리적 모델을 미리 최적화부(39)에 짜넣고, 이것을 사용하여 성막 결과와 현재의 제 1 설정 온도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수정된 제 1 설정 온도를 도출하는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For this calculation, a physical model of the film thickness that grows with respect to values of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is incorporated into the optimizer 39 in advance, and the modified model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for the film formation result and the current first set temperature using this. The method of deriving a 1st set temperature can be employ | adopted.

도 1A에 도시된 열처리 장치에서 수정된 제 1 설정 온도를 적용하여 다시 별도의 시험 웨이퍼를 사용하여 막을 성막한다(스텝135). 그리고, 제 1 막의 성막만 하고 정지하여 그 시험 웨이퍼를 장치로부터 언로드한다. 언로드된 시험 웨이퍼는 상기와 같이, 일립소미터 등의 막두께 측정기를 사용하여 제 1 막의 두께가 측정된다(스텝136). The film is formed again using a separate test wafer by applying the first set temperature modified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step 135). Then, only the first film is formed, the film is stopped and the test wafer is unloaded from the apparatus. In the unloaded test wafer,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is measured using a film thickness meter such as an ellipsometer (step 136).

이 측정된 두께는 예정된 두께 범위, 예컨대, 1.5 nm ±1.0% 와 비교된다(스텝137). 측정된 두께가 이 예정된 두께 범위이면 제 1 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설정 온도의 최적화는 종료한다. 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수정된 제 1 설정 온 도(수정된 설정 온도 궤적)가 최적화된 제 1 설정 온도(설정 온도 궤적)이다. This measured thickness is compar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for example 1.5 nm ± 1.0% (step 137). If the measured thickness is within this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the optimization of the first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ends. The modified first set temperature (modified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ed to form the film is the optimized first set temperature (set temperature trajectory).

측정된 두께가 예정된 두께 범위내에 수용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133에 되돌아가 그 막형성 결과(측정된 두께)를 최적화부(39)에 입력하여 다시 하고, 최적화부(39)는 다른 수정된 제 1 설정 온도를 추정한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으로, 예정된 두께 범위내에 수습되는 두께를 가지는 제 1 막을 형성하기 위한 최적한 제 1 설정 온도(수정된 제 1 설정 온도)를 얻을 수 있다. If the measured thickness is not accommod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33 and the film forming result (measured thickness) is inputted to the optimizer 39, and the optimizer 39 performs another modified agent. 1 Estimate the set temperature. In this way, finally, an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modified first set temperature) for forming a first film having a thickness that is settled within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can be obtained.

이와 같이, 두개의 막중 제 1 막의 공정만을 뽑아 내어 성막·측정하고, 제 1 막에 부과되는 허용범위를 만족할 수 있는 최적한 제 1 설정 온도를 결정할 수가 있다. Thus, only the process of the 1st film | membrane of two films | membrane can be taken out, film-forming and measuring, and the optimal 1st set temperature which can satisfy | fill the permissible range imposed on a 1st film | membrane can be determined.

다음에, 상층의 막인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설정 온도를 최적화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장치내의 복수의 시험 웨이퍼에 상기한 바와 같이 최적화된 설정 온도로 제 1 막을 성막하고, 이어서(즉, 언로드하지 않고) 제 2 막을 성막한다(스텝141). 복수의 시험 웨이퍼에는, 상기에서 서술한 웨이퍼 보트(13)의 각각 상부, 중상부, 중부, 중하부, 하부의 것이 포함된다. 제 2 막형성 공정은 모든 5개의 시험 웨이퍼에 표준온도를 사용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제 2 막이 적층적으로 형성되면 열처리 장치로부터 시험웨이퍼를 언로드한다. Next, the second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as the upper film is optimized.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4, first, a first film is formed on a plurality of test wafers in the apparatus at a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n a second film is formed (that is, without unloading) (step 141). . The plurality of test wafers includes the upper, middle upper, middle,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the wafer boat 13 described above. The second film forming process uses standard temperatures for all five test wafers. In this way, when the first and second films are laminated, the test wafer is unloaded from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언로드된 시험웨이퍼는 일립소미터 등의 막두께 측정기를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막의 합계두께가 측정된다(스텝142). 이 경우에, 제 1 막 및 제 2 막을 개별로 막두께 측정은 할 수 없다. 이 성막 결과의 데이터를 도 1B에 나타낸 최적화부 (39)에 입력한다(스텝143). 이에 대하여 최적화부(39)는 수정된 제 2 설정 온도를 산출하여 출력한다(스텝144). In the unloaded test wafer,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lms is measured using a film thickness meter such as an ellipsometer (step 142). In this case, the film thickness measurement cannot be performed separately for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The data of this film formation result is input to the optimization part 39 shown in FIG. 1B (step 143). In contrast, the optimizer 39 calculates and outputs the corrected second set temperature (step 144).

이 산출을 위해서는, 온도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성장하는 막두께의 물리적 모델을 미리 최적화부(39)에 짜넣어 두고, 이에 따라 성막 결과의 데이터와 현재의 제 2 설정 온도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수정된 제 2 설정 온도를 도출하는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제 1 설정 온도의 최적화와 마찬가지이다. For this calculation, the physical model of the film thickness that grows with respect to the parameter value including the temperature is incorporated in the optimizer 39 in advance, and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data of the film formation result and the present second set temperature. A method of deriving the modified second set temperature can be employed. This is the same as the optimization of the first set temperature.

수정된 제 2 설정 온도(설정 온도 궤적)를 제 2 막형성에 적용하여 다시 별도의 시험웨이퍼를 사용하여 도 1A에 도시된 열처리 장치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막을 연속적으로 성막한다(스텝145). 이렇게 하여 제 1, 제 2 막이 적층적으로 형성되면 열처리 장치로부터 시험 웨이퍼를 언로드한다. The modified second set temperature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applied to the second film 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films are successively formed by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again using a separate test wafer (step 145). . In this way, when the first and second films are laminated, the test wafer is unloaded from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시험웨이퍼는 상기와 같이, 일립소미터 등의 막두께 측정기를 사용하여 제 1, 제 2의 막의 2 층막의 두께가 측정된다(스텝146). In the test wafer, the thickness of the two-layer film of the first and second films is measured using a film thickness meter such as an ellipsometer (step 146).

이 측정된 두께는 예정된 두께 범위, 예컨대, 4 nm ±0.5% 범위와 비교된다(스텝147). 측정된 두께가 이 예정된 두께범위내이면,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설정 온도의 최적화는 종료한다. 여기서 제 2 막형성에 사용된 수정된 제 2 설정 온도(수정된 설정 온도 궤적)가 최적화된 제 2 설정 온도(설정 온도 궤적)이다. This measured thickness is compar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eg, 4 nm ± 0.5% (step 147). If the measured thickness is within this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the optimization of the second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ends. Here, the modified second set temperature (modified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ed for the second film formation is the optimized second set temperature (set temperature trajectory).

이 측정된 두께가 예정된 두께범위내에 수용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143)에 되돌아가 그 성막 결과(측정된 두께)를 최적화부(39)에 입력하여 다시 행한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으로 예정된 두께범위내에 수용되는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한 최 적화된 제 2 설정 온도(수정된 설정 온도)를 얻을 수 있다. If this measured thickness is not accommod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43 and the film formation result (measured thickness) is input to the optimizer 39 to perform again. In this way, an optimized second set temperature (modified set temperature) for forming a second film finally co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can be obtained.

그러므로, 이 실시예는 설정값 주위에 예정된 범위내인 두께(열처리 합성 결과)를 갖는 2 층막을 성막하고, 설정값 주위에 예정된 범위내인 두께(제 1 열처리 결과)를 갖는 제 1 막을 성막하는 데 적절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 및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막의 막두께(제 2 열처리 결과)에 관해서도 관리될 수 있다. Therefore, this embodiment forms a two-layer film having a thickness (heat treatment synthesis result)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set value, and a first film having a thickness (first heat treatment result)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set value. Optimal first set temperature and optimal second set temperature can be determined. As a result, the film thickness (second heat treatment result) of the second film can also be managed.

또한, 이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와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를 도 1A에 나타내는 열처리 장치에 적용하면, 이러한 사양(막질)의 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and the optimum second set temperature are applied to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the semiconductor fabrication of forming a film having such specifications (film quality) becomes possible.

또, 연속적으로 3가지 이상의 막을 적층 형성하는 경우이며, 이들 적층막에 있어서는 각각의 막두께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각각의 설정 온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Moreover, it is a case where three or more types of films are laminated | stacked continuously, and even if each film thickness cannot be measured in these laminated films, each set temperature can be optimized similarly.

3 개의 막, 즉 제 1, 2, 3막을 웨이퍼에 형성할 때, 우선 제 1 막의 형성 공정이 수행되어, 제 1 설정 온도가 최적화된다. 다음에, 최적화된 제 1의 설정 온도를 적용하여 제 1 및 제 2 막의 형성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제 2 설정 온도가 최적화된다. 마지막으로, 최적화된 제 1 및 제 2 설정 온도를 적용하여 제 1, 제 2 및 제 3 막의 형성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제 3 설정 온도가 최적화된다. 4개 이상의 막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에 관해서도 이와 같다. When forming three films, i.e.,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film, on the wafer, first,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film is performed, so that the first set temperature is optimized. Next,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films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applying the optimized first set temperature, so that the second set temperature is optimized. Finally,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lms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applying the optimized first and second set temperatures,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is optimized. The same applies to the optimization of the set temperatures of four or more membranes.

다음에,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설정 온도, 및 제 2 설정 온도의 최적화에 이용하는 도 1A에 나타낸 장치에서의 시험 웨이퍼의 제어된 온도 변화에 관해서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controlled temperature change of the test wafer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A used for the optimization of the first set temperature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B.

도 5A 내지 5C는 제 1 막을 성막하는 제 1 설정 온도의 최적화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 다이어그램이다. 도 5A는 웨이퍼에 제 1,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한 명목적인 온도 변화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우선, 웨이퍼를 800 ℃로 승온하고, 웨이퍼는 제 1 온도 안정화 공정으로서 수분 정도 800 ℃로 유지되고, 제 1 막 성막 공정이 제 1 막을 성막하기 위해 수행되며, 그 다음, 제 1 어닐링 공정이 제 1 막을 어닐링하기 위해 수행된다. 웨이퍼는 제 1 온도 안정화 공정, 제 1 막 성막 공정 및 제 1 어닐링 공정 중에 800 ℃로 고정 제어 온도로 유지된다. 5A to 5C are control diagrams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determination of the first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5A shows a nominal temperature change curve for forming first and second films on a wafer. Referring to FIG. 5A, first, the wafer is heated to 800 ° C., the wafer is maintained at 800 ° C. for several minutes as a first temperature stabilization process, and a first film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to deposit the first film. A first annealing process is performed to anneal the first film. The wafer is maintained at a fixed control temperature at 800 ° C. during the first temperature stabilization process, the first film deposition process, and the first annealing process.

다음에, 웨이퍼의 온도는 760 ℃로 하강하고, 웨이퍼는 제 2 온도안정화 공정으로 760 ℃로 유지하고, 제 2 막 성막 공정은 제 2 막을 성막하기 위해 수행되고, 제 2 어닐링 공정은 제 2 막을 어닐링하기 위해 수행된다. 웨이퍼는 제 2 온도 안정화 공정, 제 2 막 성막 공정 및 제 2 어닐링 공정을 하는 동안에 제어온도가 760 ℃로 유지된다. 웨이퍼의 온도는 제 2 어닐링 공정을 끝내면 하강하여, 웨이퍼를 열처리 장치로부터 언로드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Then,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is lowered to 760 ° C, the wafer is kept at 760 ° C in the second temperature stabilization process, the second film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the second film, and the second annealing process forms the second film. To anneal. The wafer is maintained at a control temperature of 760 ° C during the second temperature stabilization process, the second film deposition process and the second annealing process.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is lowered after finishing the second annealing step, and the wafer is unloaded from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제 1 및 제 2 막의 성막 공정에서의 온도가 명목적인 온도 제어 다이어그램에 따라 제어될 때, 제 1 막을 성막하는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명목적으로 800 ℃)는 아래와 같은 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When the temperature in the film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lms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ominal temperature control diagram,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nominally 800 ° C.) for forming the first film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rocedure.

온도상승 공정, 제 1 온도 안정화 공정, 제 1 막 성막 공정, 제 1 어닐링 공정 및 제 1 온도 하강 공정을 나타내는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막은 제 1 설정 온 도(제 1 설정 온도 궤적)로서 명목적인 온도를 사용하여 성막된다. 최적화부(39)는 성막 결과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정된 제 1 설정 온도를 계산하고, 다른 제 1 막은 수정된 제 1 설정 온도를 사용하여 제 1 막 성막 공정에 의해 성막된다. 제 1 막 성막 및 제 1 설정 온도 수정은 요구된 사양에 맞는 두께의 제 1 막이 형성될 때까지 되풀이된다. 도 5C는 이렇게 해서 결정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를 나타낸다.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퍼 보트(13)의 상부, 중상부, 중부, 중하부 및 하부 영역의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는 각각, 810 ℃, 805 ℃, 802 ℃, 800 ℃ 및 798 ℃이다. 또, 도 5C에 있어서는, 웨이퍼 보트의 상부, 중상부, 중부, 중하부 및 하부영역의 제 1 설정 온도의 차이에 관해서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도시하였다. 이러한 과장된 도시는 다른 도면에서도 같다. Referring to Fig. 5B showing the temperature raising process, the first temperature stabilizing process, the first film forming process, the first annealing process, and the first temperature lowering process, the first film is a first set temperatur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 film is formed using a nominal temperature. The optimizer 39 calculates the modified first set temperature based on the data of the film forming result, and the other first film is formed by the first film forming process using the modified first set temperature. The first film deposition and the first set temperature correction are repeated until a first film having a thickness that meets the required specifications is formed. 5C shows the optimal first set temperature determin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5C,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s of the upper, upper, middle, middle, and lower regions of the wafer boat 13 are 810 ° C, 805 ° C, 802 ° C, 800 ° C, and 798 ° C, respectively. . In FIG. 5C,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t temperatures of the upper, middle, middle, middle, and lower regions of the wafer boat is exaggerated for explanation. This exaggerated illustration is the same in the other drawings.

이와 같이, 2개의 막중 제 1 막 성막 공정에 의해 제 1 막만 성막하고, 성막된 제 1 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제 1 막에 부과되는 사양을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를 결정할 수가 있다. In this manner, only the first film is formed by the first film forming step of the two films, and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which can satisfy the specifications imposed on the first film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formed first film.

도 6A 및 6B는 제 2 막을 성막하는 제 2 설정 온도의 최적화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다이어그램이다. 이 제 2 막을 성막하는 제 2 설정 온도(여기서는 명목 760 ℃로 일정)의 최적화를, 이 온도 제어 다이어그램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6A and 6B are control diagrams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determination of the second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The optimization of the second set temperature (here constant at nominal 760 ° C.) for forming the second film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is temperature control diagram.

도 6A에 관하여, 명목적인 온도를 사용하여 제 2 막을 성막하는 제 2 막 성막 공정은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를 사용하여 제 1 막 성막 공정에 따라 수행한다. 최적화부(39)는 성막 결과의 데이터를 기초하여 수정된 제 2 설정 온도를 계산하 고, 제 2 막은 수정된 제 2 설정 온도를 사용하여 제 2 막 성막 공정에 의해 성막된다. 제 2 막 성막 및 제 2 설정 온도 수정은 요구된 사항들이 수용되는 제 2 막 두께까지 되풀이된다. 도 6B는 이렇게 해서 결정된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를 나타낸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퍼 보트(13)의 상부, 중상부, 중부, 중하부 및 하부 영역의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는 각각, 755 ℃, 758 ℃, 759 ℃, 760 ℃ 및 762 ℃이다. With reference to FIG. 6A, the second film forming process for forming the second film using the nominal temperatur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film forming process using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The optimizer 39 calculates the modified second set temperature based on the data of the film forming result, and the second film is formed by the second film forming process using the modified second set temperature. The second film deposition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correction are repeated up to the second film thickness where the required requirements are accommodated. 6B shows the optimal second set temperature determin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6B, the optimum second set temperatures of the upper, upper, middle, middle, and lower regions of the wafer boat 13 are 755 ° C, 758 ° C, 759 ° C, 760 ° C, and 762 ° C, respectively. .

그러므로, 이 실시예는 설정값 주위에 예정된 범위내인 두께(열처리 합성 결과)를 갖는 2 층막을 성막하고, 설정값 주위에 예정된 범위내인 두께(제 1 열처리 결과)를 갖는 제 1 막을 성막하는 데 적절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 및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막의 막두께(제 2 열처리 결과)에 관해서도 관리될 수 있다. Therefore, this embodiment forms a two-layer film having a thickness (heat treatment synthesis result)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set value, and a first film having a thickness (first heat treatment result)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set value. Optimal first set temperature and optimal second set temperature can be determined. As a result, the film thickness (second heat treatment result) of the second film can also be managed.

도 1A에 나타낸 열처리 장치의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 및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험 웨이퍼의 제어된 온도 변화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Other forms of controlled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test wafer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first set temperature and the optimal second set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8B. .

도 7A 내지 7C는 제 1 막을 성막하는 제 1 동적인 설정 온도의 최적화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다이어그램이다. 도 7A는 웨이퍼(피처리체)에 제 1,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한 명목적인 온도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 관하여, 웨이퍼가 가열되고, 웨이퍼는 제 1 온도 안정화 공정으로 몇 분 정도 온도가 유지되고, 제 1 막 성막 공정은 제 1 막을 성막하고, 그 다음에 제 1 어닐링 공정은 제 1 막을 어닐링한다. 7A to 7C are control diagrams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determination of the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7A shows a nominal temperature change for forming first and second films on a wafer (object to be processed). With respect to FIG. 7A, the wafer is heated, the wafer is held at a temperature for a few minutes by the first temperature stabilization process, the first film deposition process forms the first film, and then the first annealing process anneals the first film. do.                     

제 1 막 성막 공정에서는, 온도를 다소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제 1 막 성막 공정을 위한 제 1 설정 온도는 고정된 온도가 아니라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동적인 설정 온도이다. 여기서, 최적의 제 1 동적인 설정 온도를 결정하는 처리가 설명된다. 제 1 설정 온도를 다소 강하시키면서 제 1 막을 성장시키는 목적은 웨이퍼의 중심부의 온도를 높게 하고, 이것보다 온도가 낮은 바깥둘레부를 만들어내기 위해서이다. In the first film forming step, the temperature is slightly lowered. As such, the first set temperature for the first film forming process is not a fixed temperature but a dynamic set temperature that changes in time. Her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ptimum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is described. The purpose of growing the first film while slightly lowering the first set temperature i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at the center of the wafer and to produce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having a lower temperature than this.

이러한 온도 변화는 각 웨이퍼상의 즉, 웨이퍼들 사이(intra-wafer)의 형성막 두께의 편차를 작게 하는 것 이외에, 웨이퍼들 내에, 즉 웨이퍼내(inter-wafer)의 형성막 두께의 편차도 작게 할 수가 있다. 설정 온도를 제 1 막형성중에 변화시킴으로써, 웨이퍼중을 전해지는 열의 속도를 이용하여 웨이퍼의 바깥둘레부와 중심부로 적절한 온도기울기가 생기게되기 때문이다. This temperature change not only reduces the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formed film on each wafer, i.e., intra-wafer, but also the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formed film in the wafers, i.e., inter-wafer, is also small. There is a number. This is because by changing the set temperature during the first film formation, an appropriate temperature gradient is generated to the outer periphery and the center of the wafer by using the speed of heat transmitted in the wafer.

예를 들면, 웨이퍼의 바깥둘레부와 중심부에서는, 성막 가스의 농도 등 성막 조건이 다른 것을 적절한 온도기울기에 의해 상쇄하고자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fer and the central portion, it is intended to offset the difference in the deposition condition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the deposition gas by an appropriate temperature gradient.

예를 들면, 상기 설정 온도가 제 1 막 성막 공정 동안에 감소하지 않은 경우는, 웨이퍼내에서의 형성막두께는 예컨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 웨이퍼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막두께는 바깥둘레부보다 얇아지며, 이것은 성막 가스농도의 차이가 주된 원인이다. 성막 가스가 웨이퍼의 바깥둘레부에서 중심부에 흘러 그 동안에 성막에 소비되고, 웨이퍼의 바깥둘레부에서 중심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성막 가스의 농도가 희박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막의 바깥둘레부보다 중심부에서 다소 예컨대 1 nm의 수분의 1 정도 막두께 가 얇아진다. 다음 설명에서, 도 9A에 도시된 두께 차이를 가지는 막을 형성하는 열처리 장치의 특성을 컵(cup)특성이라고 한다.]For example, when the set temperature does not decrease during the first film forming process, the film thickness formed in the wafer becomes as shown in Fig. 9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usually, the film thicknes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afer becomes thinn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which is mainly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deposition gas concentration. This is because the deposition gas flow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fer to the center portion and is consumed for film formation during this tim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deposition gas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fer to the center portion. Therefore, the film thickness becomes thinner at the center part rath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m, for example, about 1 nm of moistu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forming the film having the thickness difference shown in Fig. 9A is called the cup characteristic.]

따라서, 웨이퍼의 온도를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둘레부보다 중심부가 다소 예컨대, 수 ℃ 높아지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 1 막 성막 공정중의 온도는 다소 하강된다. 그 다음에, 열은 따뜻해진 웨이퍼의 중심부에서 바깥둘레부를 향하여 전도하고, 웨이퍼의 중심부에서 바깥둘레부에 향하여 온도가 하강하는 온도기울기가 만들어진다. 이 결과적으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퍼내에서 균일성이 높은 막두께를 얻을 수 있다.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is controlled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is somewhat higher, for example, several degrees Celsius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s shown in Fig. 9B. For this purpose, the temperature during the first film forming process is somewhat lowered. Then, heat is conducted to the outer periphery at the center of the warmed wafer, and a temperature gradient is created in which the temperature decreases toward the outer periphery at the center of the wafer. As a result, as shown in Fig. 9C, a uniform film thickness with high uniformity can be obtained in the wafer.

도 7A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다음에, 온도를 제 2 막 성막을 위하여 제 1 어닐링 공정후에 하강시킨다. 마찬가지로, 제 2 안정화 공정, 제 2 막 성막 공정 및 제 2 어닐링 공정을 행한다. 제 2 막 성막 공정에서는, 제 2 설정 온도를 다소 강하시키면서 제 2 막을 성장시키고 있다. 여기서, 제 2 동적인 설정 온도를 최적화하는 것을 의도한다. 제 2 어닐링 공정을 끝낸 후, 온도는 하강하고, 웨이퍼를 열처리 장치로부터 언로드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7A, the temperature is then lowered after the first annealing process for the second film formation. Similarly, a 2nd stabilization process, a 2nd film-forming film process, and a 2nd annealing process are performed. In the second film forming step, the second film is grown while the second set temperature is slightly decreased. Here, it is intended to optimize the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After completion of the second annealing process,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wafer is brought in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unloaded from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이러한 명목적인 온도제어 다이어그램을 갖는 제 1 및 제 2 막의 성막 공정에서의, 제 1 막 성막 공정의 제 1 동적인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이 온도 제어 다이어그램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The optimization of the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of the first film deposition process in the film formation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lms having such a nominal temperature control diagram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B는 가열(온도상승) 공정, 제 1 안정화 공정, 제 1 막 성막 공정, 제 1 어닐링 공정 및 제 1 온도하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 다이어그램이다. 제 1 막은 제 1 동적인 설정 온도로서 명목적인 온도를 사 용하여 성막한다. 최적화부(39)는 성막 결과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정된 제 1 동적인 설정 온도를 계산하고, 그 다음 다른 제 1 막은 수정된 동적인 설정 온도를 사용하여 성막된다. 제 1 막 성막 및 제 1 동적 설정 온도 수정의 단계들은 요구된 사양에 맞는 두께의 제 1 막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 보트(13)의 상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서의 제 1 동적 설정 온도는 온도 제어 다이어그램(171)에 따라 제어되고, 웨이퍼 보트(13)의 하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서의 제 1 동적 설정 온도는 온도 제어 다이어그램(172)에 따라 제어된다. 동일한 순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웨이퍼 보트(13)의 중상부, 중간부, 및 중하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서의 제 1 동적 설정 온도는 도 7C에서 생략된다. 7B is a control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heating (temperature rise) process, the first stabilization process, the first film deposition process, the first annealing process, and the first temperature fall process. The first film is formed using the nominal temperature as the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The optimizer 39 calculates the modified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based on the data of the film formation result, and then the other first film is formed using the modified dynamic set temperature. The steps of first film deposition and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correction are repeated until a first film of thickness is formed that meets the required specifications. As shown in FIG. 7C, the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in the wafer held in the upper region of the wafer boat 13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iagram 171 and maintain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wafer boat 13. The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at the wafer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iagram 172. The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at the wafer hel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middle regions of the wafer boat 13, which can be determined by the same order, is omitted in FIG. 7C.

이와 같이, 허용가능한 웨이퍼내((inter-wafer)에서의 막두께 편차(차이) 및 허용가능한 웨이퍼들 사이(intra-wafer)의 막두께 편차(차이) 범위에 요구된 막질의 사양에 맞는 제 1 막은 연속하여 형성되는 2개의 막중 제 1 공정만을 성막·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As such, the first film meets the specifications of the film quality required for the film thickness variation (difference) in the allowable inter-wafer and the film thickness variation (difference) in the allowable intra-wafer. The film can be determined by forming and measuring only the first step of two films formed continuously.

도 8A 및 8B는 제 2 막을 성막하는 제 2 동적인 설정 온도의 최적화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퍼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어다이어그램이다. 이 제 2 막을 성막하는 제 2 동적인 설정 온도의 최적화는 이하의 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8A and 8B are control diagrams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operation of the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Optimization of the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is second film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rocedure.

도 8A를 참조하면, 명목적인 제 2 동적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제 2 막을 형성하는 제 2 막 성막 공정은 최적의 제 1 동적 설정 온도를 사용하는 제 1 막 성막 공정에 이어 수행된다. 최적화부(39)는 성막 데이터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정된 제 2 동적 설정 온도를 계산하고, 제 2 막은 이 수정된 제 2 동적 설정 온도를 이용하 여 제 2 성막 공정에 의해 성막된다. 제 2 성막 및 제 2 동적 온도 수정의 단계들은 요구된 사양에 맞는 두께의 제 2 막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 보트(13)의 상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서의 제 2 동적 설정 온도는 온도 제어 다이어그램(181)에 따라 제어되고, 웨이퍼 보트(13)의 하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서의 제 2 동적 설정 온도는 온도 제어 다이어그램(182)에 따라 제어된다. 동일한 순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웨이퍼 보트(13)의 중상부, 중간부, 및 중하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서의 제 2 동적 설정 온도는 도 8B에서 생략된다. Referring to FIG. 8A, a second film deposition process for forming a second film using a nominal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is performed following a first film deposition process using an optimal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The optimizer 39 calculates the modified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lm forming data, and the second film is formed by the second film forming process using the modified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The steps of the second deposition and the second dynamic temperature correction are repeated until a second film of thickness is formed that meets the required specifications. As shown in FIG. 8B, the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at the wafer held in the upper region of the wafer boat 13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iagram 181 and maintain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wafer boat 13. The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at the wafer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iagram 182. The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in the wafer hel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middle regions of the wafer boat 13, which can be determined by the same order, is omitted in FIG. 8B.

그러므로, 설정값 주위에 예정된 범위내인 두께(열처리의 복합 결과)를 갖는 2 층막을 성막하고, 설정값 주위에 예정된 범위내인 두께(제 1 열처리 결과)를 갖는 제 1 막 즉, 하부막을 성막하며, 허용가능한 웨이퍼내(inter-wafer)의 두께의 편차(차이) 범위 및 허용가능한 웨이퍼들 사이(intra-wafer)의 두께의 편차(차이) 범위를 지정하는 요구된 질의 사양에 맞추는데 적절한 최적의 제 1 동적 설정 온도 및 최적의 제 2 동적 설정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막의 두께(제 2 열처리 결과)도 관리될 수 있다. Therefore, a two-layer film having a thickness (composite result of heat treatment)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the set value is formed, and a first film, i.e., a lower film, having a thickness (first heat treatment result)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the set value is formed. Optimally suited to the required quality specification to specify the range of acceptable (inter-wafer) thickness variation (difference) and the range of acceptable intra-wafer thickness (difference) The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and the optimal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can be determined. As a result, the thickness (second heat treatment result) of the second film can also be managed.

또한, 최적의 동적 설정 온도의 이용은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두께를 갖는 막이 웨이퍼 보트(13)(도 1에 도시)의 상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 형성될 때, 막의 균일성을 개량하고, 설정 온도가 동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두께를 갖는 막은 웨이퍼 보트(13)의 중간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 형성되며,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두께를 갖는 막은 웨이퍼 보트(13) 의 하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use of an optimal dynamic set temperature improves the uniformity of the film when a film having a thickness as shown in FIG. 10A is formed on the wafer held in the upper region of the wafer boat 13 (shown in FIG. 1), In the case where the set temperature does not change dynamically, a film having a thickness as shown in FIG. 10B is formed on the wafer hel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wafer boat 13, and a film having a thickness as shown in FIG. It is formed on the wafer held in the lower region of the boat 13.

이 막은 반응관내에서의 성막 조건들 사이의 차이가 복합적인 경우에 상술한 막 분포가 생긴다. 이 막은 가스가 반응관의 상부를 통해 반응관 내로 공급될 때 상술한 막 분포를 갖고, 가스는 성막을 위해 반응관내에서 점차적으로 분해되어, 9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컵 특성을 발생시키는 1 이상의 요소가 발생된다.  This membrane produces the membrane distribu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osition conditions in the reaction tube is complex. This membrane has the above-described membrane distribution when gas is supplied into the reaction tube through the top of the reaction tube, and the gas is gradually decomposed in the reaction tube for film formation, thereby generating at least one cup characteristic as shown in 9A. Is generated.

이 때에는, 웨이퍼의 바깥둘레부보다 중심부에서 막두께가 두껍게 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요인은 이후, 캡(cap) 특성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부가요인은 웨이퍼 보트 하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 상에 형성된 막의 주변부와 중앙부사이의 두께 차이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부수적인 요인이 도 1 A에 도시한 열처리 시스템의 본래의 컵 특성에 중첩될 때, 이 캡 특성은 웨이퍼 보트의 상부 영역에서 우수하고, 열처리 장치는 캡 특성을 나타낸다(도 10A) 웨이퍼 보트의 중간 영역에서는, 캡 특성과 컵특성이 서로 상쇄되어 막은 거의 평탄한 두께를 갖는 다(도 10B). 웨이퍼 보트 하부 영역에서는, 컵특성이 우수하여 중첩하여 열처리 장치는 컵 특성을 나타낸다(도 10C). In this case, the film thickness becomes thicker at the center portion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wafer. This factor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p characteristic. This additional factor has little effect on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periphery and the center of the film formed on the wafer held in the wafer boat bottom region. When this ancillary factor overlaps the original cup characteristics of the heat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1 A, this cap characteristic is superior in the upper region of the wafer boat, and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exhibits cap characteristics (FIG. 10A). In the middle region, the cap and cup characteristics cancel each other so that the film has a nearly flat thickness (Fig. 10B). In the lower region of the wafer boat, the cup characteristics were excellent and overlapped so that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exhibited cup characteristics (FIG. 10C).

도 10A∼ 도 10C에 나타낸 막두께의 분포를 보고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웨이퍼 상에 성막시, 이들 막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웨이퍼 보트의 상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 대해서는, 다소 승온하는 동적 설정 온도가 사용되고, 웨이퍼 보트의 중간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 대해서는 일정(정적) 설정 온도가 사용되며, 웨이퍼 보트의 하부 영역에 유지된 웨이퍼에 대해서는, 다소 하강하는 동적 설정 온도가 사용된다. As can be seen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film thicknesses shown in Figs. 10A to 10C, in order to make these film thicknesses uniform on film formation on the wafer, the wafers held in the upper region of the wafer boat are somewhat heated up dynamically. A set temperature is used, a constant (static) set temperature is used for the wafer hel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wafer boat, and a slightly lower dynamic set temperature is used for the wafer held in the lower region of the wafer boat.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값 주위에 예정된 범위내인 두께(열처리의 복합 결과)를 갖는 2 층막을 성막하고, 설정값 주위에 예정된 범위내인 두께(제 1 열처리 결과)를 갖는 제 1 막 즉, 하부막을 성막하며, 허용가능한 웨이퍼내(inter-wafer)의 두께의 편차(차이) 범위 및 허용가능한 웨이퍼들 사이(intra-wafer)의 두께의 편차(차이) 범위를 지정하는 요구된 질의 사양에 맞추는데 적절한 최적의 제 1 동적 설정 온도 및 최적의 제 2 동적 설정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막의 두께(제 2 열처리 결과)도 관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two-layer film having a thickness (complex result of heat treatment)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the set value is formed, and a first film having a thickness (first heat treatment result)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the set value, namely Deposits the underlayer and meets the specifications of the required quality specifying the range of acceptable inter-wafer thickness (difference) and the range of acceptable intra-wafer thickness (difference). Appropriate optimal first dynamic set temperature and optimal second dynamic set temperature may be determined. As a result, the thickness (second heat treatment result) of the second film can also be managed.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의 결정 방법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의해 설명한 것으로는 다른 방법에 관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2 가지 막 각각에 관하여, 복수의 히터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를 최적화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2 가지 막은 2 층 막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2 가지 막의 각각의 두께는 각각 측정할 수가 있다. 예컨대, 2 가지 막중 한 막은 산화물막이고, 다른 막은 산화물 막상에 형성된 질화물 막이다. Next, another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et temperature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11 to 13 are flowcharts showing a procedure for optimizing a set temperature in a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eaters for each of two films formed successively. These two films are formed successively in a two-layer film, and the thicknesses of the two films can be measured respectively. For example, one of the two films is an oxide film and the other is a nitride film formed on the oxide film.

제 1 즉, 하부 막의 막두께가 1. 5 nm ± 1. 0%와 같이 특정 값에 대해 소정의 두께 범위일 필요가 있고, 제 2 즉, 상부 막의 막두께가 2, 5 nm ± 1. 0%와 같이 특정 값에 대해 소정의 두께 범위일 필요가 있다고 가정한다.  The first, that is, the film thickness of the lower film needs to be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for a specific value, such as 1.5 nm ± 1.0%, and the second, that is, the film thickness of the upper film is 2, 5 nm ± 1.0 Assume that it needs to be a certain thickness range for a particular value, such as%.

이러한 요건에 맞추기 위해, 제 1 즉, 하부 막을 성막하기 위한 최적의 설정 온도는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221)에서 결정되고, 제 2 즉, 상부 막을 성막하기 위한 최적의 설정 온도는 스텝(222)에서 결정된다. To meet this requirement, the optimal set temperature for depositing the first, i.e., lower film, is determined in step 221, as shown in 11, and the optimal set temperature for depositing the second, ie, upper film, is determined in step ( 222).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막을 형성하는 최적의 설정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우선, 복수의 시험 웨이퍼상에는 스텝(231)에서 도 1A에 나타낸 열처리 장치내에서 제 1 및 제 2 막의 성막 공정이 연속하여 수행된다. 복수의 웨이퍼에는, 웨이퍼 보트(13)의 상부 영역, 중상부영역, 중부 영역, 중하부 영역, 하부 영역에 각각 유지된 5 개의 웨이퍼를 각각 포함된다. 시험웨이퍼는 제 1 및 제 2 막의 성막 공정의 종료후, 열처리 장치로부터 언로드된다. 제 1 및 제 2 막의 성막 공정은 5개의 시험 웨이퍼에 대하여 표준 설정 온도를 사용한다. Referring to FIG. 12,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first, on the plurality of test wafers, a film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lms is performed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in step 231. It is carried out continuously. The plurality of wafers each include five wafers each held in an upper region, an upper middle region, a middle region, a middle lower region, and a lower region of the wafer boat 13. The test wafer is unloaded from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after comple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lm forming steps. The film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lms uses standard set temperatures for five test wafers.

언로드된 시험웨이퍼의 각각에 형성된 제 1 막의 두께는 스텝(232)에서 일립소미터 등의 막두께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 성막 결과 데이터를 도 1B에 나타낸 최적화부(39)에 입력하고(스텝233), 이에 대하여 최적화부(39)는 수정된 설정 온도를 산출하여 출력한다(스텝234).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formed on each of the unloaded test wafers is measured at step 232 using a film thickness meter such as an ellipsometer. The film formation result data is input to the optimizer 39 shown in Fig. 1B (step 233), and the optimizer 39 calculates and outputs the corrected set temperature (step 234).

이 산출을 위해서는, 온도 등의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성장하는 막두께의 물리적 모델을 미리 최적화부(39)에 넣어두고 이것을 사용하여 성막결과와 현재의 설정 온도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새로운 설정 온도를 도출하는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은, 도 3에 있어서의 설명과 동일하다.For this calculation, a physical model of the film thickness that grows with respect to a parameter value such as temperature is put in advance in the optimizer 39 and used to derive a new set temperature which is considered appropriate from the film formation result and the current set temperature. The technique to do it can be adopted. This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in FIG.

수정설정 온도를 얻었으면, 이것을 적용하여 다시 별도의 시험웨이퍼를 사용하여 장치로 제 1 막 및 제 2 막을 성막한다(스텝235). 성막이 종료하면 그 시험웨이퍼를 장치로부터 언로드한다. 언로드된 시험웨이퍼는, 상기와 같이, 일립소미터 등의 막두께측정기를 사용하여 제 1 막의 두께가 측정된다(스텝236). Once the correction set temperature is obtained, this is applied again to form a first film and a second film by means of a separate test wafer (step 235). When the film formation ends, the test wafer is unloaded from the apparatus. In the unloaded test wafer,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is measured using a film thickness meter such as an ellipsometer (step 236).

측정된 막 두께는, 1. 5 nm ± 1. 0%와 같이 소정의 막 두께 범위와 비교된 다(스텝237). 측정된 두께가 이 소정의 막 두께 내인 경우, 제 1의 막을 형성하기 위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 결정이 종료한다. 그러므로, 성막에 사용된 제 1 설정 온도(수정된 설정 온도 궤적)가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설정 온도 궤적)이다. The measured film thickness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film thickness range, such as 1.5 nm ± 1.0% (step 237). If the measured thickness is within this predetermined film thickness,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first film ends. Therefore, the first set temperature (modified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ed for film formation is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set temperature trajectory).

측정된 막 두께가 소정의 두께 범위내가 아닌 경우, 절차는 스텝(233)으로 복귀한다. 그 다음, 성막의 결과(측정된 두께)가 최적화부(39)에 입력하고, 최적화부(39)는 다른 수정된 설정 온도를 계산한다. 그러므로, 요구된 막질에 맞는 막질을 갖는 제 1 막을 성막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가 최종적으로 얻어진다. If the measured film thickness is not within the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233. Then, the result of the film formation (measured thickness) is input to the optimizer 39, and the optimizer 39 calculates another modified set temperature. Therefore, an optimal first set temperature suitable for forming the first film having the film quality that matches the required film quality is finally obtained.

요구된 사양에 맞는 제 1 막을 성막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는 제 1 막 및 제 2 막 모두를 성막하고 성막된 제 1 막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An optimal first set temperature suitable for depositing a first film meeting the required specification can be determined by depositing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nd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deposited first film.

다음에, 상부의 막인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한 최적의 설정 온도가 결정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제 1 막은 상기 결정된 바와 같이,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열처리 장치내에 유지된 복수의 시험웨이퍼에 성막되고, 제 1 성막 공정에 이어 제 2 성막 공정이 제 1 막 상에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된다(스텝241). 복수의 시험 웨이퍼는, 웨이퍼 보트(13)의 상부 영역, 중상부영역, 중부 영역, 중하부 영역, 하부 영역에 각각 유지된 5 개의 웨이퍼를 각각 포함된다. 제 2 막 성막 공정은 5개의 시험 웨이퍼에 대하여 표준 설정 온도를 사용한다. 제 1 및 제 2 막의 성막 공정의 종료후, 시험 웨이퍼는 열처리 장치로부터 언로드된다. Next, an optimum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which is the upper film,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13, firstly, the first film is deposited on a plurality of test wafers held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as determined above, and the second film forming process is followed by the first film forming process. It is performed to form a second film on the first film (step 241). The plurality of test wafers includes five wafers each held in the upper region, the upper middle region, the middle region, the middle low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of the wafer boat 13. The second film deposition process uses standard set temperatures for five test wafers. After the end of the film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lms, the test wafer is unloaded from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언로드된 시험웨이퍼의 각각에 형성된 제 2 막의 두께는 스텝(242)에서 일립소미터 등의 막두께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 성막 결과 데이터를 도 1B에 나타낸 최적화부(39)에 입력하고(스텝243), 이에 대하여 최적화부(39)는 수정된 설정 온도를 산출하여 출력한다(스텝244).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formed on each of the unloaded test wafers is measured at step 242 using a film thickness meter such as an ellipsometer. The film formation result data is input to the optimizer 39 shown in Fig. 1B (step 243), and the optimizer 39 calculates and outputs the corrected set temperature (step 244).

이 산출을 위해서는, 온도 등의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성장하는 막두께의 물리적 모델을 미리 최적화부(39)에 넣어두고 이것을 사용하여 성막결과와 현재의 설정 온도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새로운 설정 온도를 도출하는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은, 도 3에 있어서의 설명과 동일하다.For this calculation, a physical model of the film thickness that grows with respect to a parameter value such as temperature is put in advance in the optimizer 39 and used to derive a new set temperature which is considered appropriate from the film formation result and the current set temperature. The technique to do it can be adopted. This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in FIG.

수정된 설정 온도를 얻었으면, 이것을 적용하여 다시 별도의 시험웨이퍼를 사용하여 도 1A에 도시한 열처리 장치에 의해 제 1 막 및 제 2 막을 성막한다 (스텝245). 성막이 종료하면 그 시험웨이퍼를 장치로부터 언로드한다. Once the corrected set temperature is obtained, this is applied again to form a first film and a second film by a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using a separate test wafer (step 245). When the film formation ends, the test wafer is unloaded from the apparatus.

언로드된 시험웨이퍼의 각각에 성막된 제 2 막의 두께는 일립소미터 등의 막두께측정기를 사용하여 제 2 막의 두께가 측정된다(스텝246).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formed on each of the unloaded test wafers is measured using a film thickness meter such as an ellipsometer (step 246).

측정된 막 두께는, 2. 5 nm ± 1. 0%와 같이 소정의 막 두께 범위와 비교된다(스텝247). 측정된 두께가 이 소정의 막 두께 내인 경우, 제 2 막을 형성하기 위한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 결정이 종료한다. 그러므로, 성막에 사용된 제 2 설정 온도(수정된 설정 온도 궤적)가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설정 온도 궤적)이다. The measured film thickness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film thickness range, such as 2.5 nm ± 1.0% (step 247). When the measured thickness is within this predetermined film thickness,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second set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cond film is finished. Therefore, the second set temperature (modified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ed for film formation is the optimum second set temperature (set temperature trajectory).

측정된 막 두께가 소정의 두께 범위내가 아닌 경우, 절차는 스텝(243)으로 복귀한다. 그 다음, 성막의 결과(측정된 두께)가 최적화부(39)에 입력하고, 최적화부(39)는 다른 수정된 설정 온도를 계산한다. 그러므로, 요구된 막질에 맞는 막 질을 갖는 제 2 막을 성막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가 최종적으로 얻어진다. If the measured film thickness is not within the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243. Then, the result of the film formation (measured thickness) is input to the optimizer 39, and the optimizer 39 calculates another modified set temperature. Therefore, an optimum second set temperature suitable for forming a second film having a film quality that matches the required film quality is finally obtained.

그러므로, 이 실시예는 설정 값 주변의 소정의 웨이퍼내의 두께 편차 범위 이내의 막두께(제 1 열처리 결과)를 갖는 제 1 막을 성막하고, 설정 값 주변의 소정의 웨이퍼내의 두께 편차 범위 이내의 막두께(제 2 열처리 결과)를 갖는 제 2 막을 성막하는 데 적합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 및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의 결정을 달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is embodiment forms a firs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first heat treatment result) within a range of thickness variation in a predetermined wafer around a set value, and a film thickness within a range of thickness variation in a predetermined wafer around a set value. Determination of an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and an optimal second set temperature suitable for forming a second film having (second heat treatment result) can be achieved.

이 경우에 있어서, 먼저 형성되는 제 1 막의 성막 공정에 대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가 우선 결정되고, 그 다음에, 나중에 형성되는 제 2의 성막 공정에 대한 최적의 설정 온도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제 1 막의 성막 공정에 대한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는 아무런 재조정이 필요 없고, 그래서 복수의 히터의 출력에 해당하는 반응관내의 최적의 설정 온도가 효과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for the first film forming step of the first film to be formed is first determined, and then an optimum set temperature for the second film forming step to be formed later is determined. Therefore,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for the film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film does not need any readjustment, so that the optimum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plurality of heaters can be effectively determined.

제 1, 제 2 설정 온도는, 각각 해당하는 막형성을 하는 동안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 설정 온도라고 할 수가 있다. 제 1, 제 2 설정 온도는, 각 다른 영역에서 변화의 다른 모드로 해당 막의 성막중에 변화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et temperatures can be said to be dynamic set temperatures which change with time during the corresponding film formation,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et temperatures may vary during film formation of the film in different modes of change in different regions.

덧붙여서 말하면, 도 1A에 나타내는 열처리 장치는 결정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필요한 두께 조건에 맞춰 성막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A에 나타내는 열처리 장치는 최적의 제 1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제 1 막을 형성하고(스텝251), 제 1 막의 성막에 이어서 최적의 제 2 설정 온도로 제 2 막을 형성한다(스텝252). 도 14는, 도 1A에 나타내는 열처리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막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Incidentally,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can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ary thickness condition using the determined set temperature. As shown in FIG. 14,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forms the first film using the optimum first set temperature (step 251), and then forms the second film at the optimum second set temperature following film formation of the first film. (Step 252).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case where a film is continuously formed by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A.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최적의 설정 온도의 결정의 한 예는 구체적인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따라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반도체제조 프로세스는, 게이트-산화물-막의 형성이다. An example of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set temperature alrea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6B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a specific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here is the formation of a gate oxide film.

일반적으로 게이트-산화물-막의 형성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기판상에 열산화에 의해 산화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다결정 실리콘막의 게이트 전극은 산화물막(절연막)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에는, 전극으로서 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예컨대 B(붕소)가 주입된다. 근년, 반도체 디바이스의 고집적, 미세화에 따라 게이트-산화물-막의 두께는 점진적으로 얇아진다. 그러므로, 후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열처리에서, 형성된 게이트-산화물-막에 게이트 전극층내에 주입된 붕소(B)가 확산 혹은 반도체 기판까지 투과하여 나가는 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이 생기면 디바이스로서 필요한 특성이 유지될 수가 없다. In general, the formation of the gate-oxide-film refers to a process of forming an oxide film by thermal oxidation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ilicon film is formed on the oxide film (insulating film). For example, polycrystalline silicon is implanted with B (boron), for example, to increase conductivity as an electrode. In recent years, as the integration and miniaturiz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thickness of the gate-oxide-film becomes gradually thinner. Therefore, in the heat treatment in the subsequent process, boron (B) injected into the gate electrode layer in the formed gate-oxide-film passes through the diffusion or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f this phenomenon occurs,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as a device cannot be maintained.

이러한 B가 통과하여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형성된 산화물막을 변형(개질: modify)하여 산질화물막화하는 수법이 유효한 것이 알려지고 있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변형(개질)을 포함해서 연속적으로 열처리를 하는 공정을 예로 든다. In order to prevent such B from passing out, it is known that a method of modifying the formed oxide film to form an oxynitride film is effective. Here, the process of continuously heat-processing including such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modification) is taken as an example.

제 1 열처리 공정은 수증기에 의한 습식 열산화 공정이며, 제 2 열처리 공정은 NO 분위기하에서 수행되는 열산화물막의 변형(개질)(산질화물막 공정)이다. 따라서, 최적화의 대상은, 열산화 공정에서의 웨이퍼 보트의 각 영역에서의 설정 온도, 및, 개질 공정에 있어서의 웨이퍼 보트의 각 영역에서의 설정 온도이다. 또, 웨이퍼 보트는 4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is a wet thermal oxidation step by steam,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is a deformation (modification) (oxynitride film step) of the thermal oxide film carried out under NO atmosphere. Therefore, the object of optimization is the set temperature in each area | region of the wafer boat in a thermal oxidation process, and the set temperature in each area | region of the wafer boat in a reforming process. In addition, the wafer boat is divided into four areas.

우선, 비교예로서, 열산화물막 형성 공정과 개질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형성막 두께의 목표치를 1.5 nm으로 한 경우를 설명한다. 가스압력, 가스유량, 처리시간 등을 포함하고, 온도를 배제하는 공정의 처리 조건을 고정시킨다. 웨이퍼 보트의 상부, 중하부, 중하부, 하부의 4영역에 대하여 적절한 설정 온도는 공정 연속으로 형성된 막두께의 측정 및 설정 온도의 수정을 반복함으로써 결정된다. First,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case where the thermal oxide film forming step and the modifying step are performed continuously and the target value of the formed film thickness is set to 1.5 nm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process excluding temperature, including gas pressure, gas flow rate, processing time, and the like, are fixed. Appropriate set temperatures for the four regions of the top, middle, bottom, bottom, and bottom of the wafer boat are determined by repeating the measurement of the film thickness formed in the process sequence and the correction of the set temperature.

4개의 영역에서 결정된 설정 온도는, 각각, 855 ℃, 855 ℃, 840 ℃, 830 ℃이다. 이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웨이퍼 보트 상에 유지된 웨이퍼 상에 형성된 게이트-산화물-막의 평균 두께는 1.559 nm 이고, 웨이퍼내의 막두께 편차의 범위는 ±0.65% 이다. 막중의 질소 농도는 원자 당 0.91 내지 1.26 % [atoms %]이다(0.91 %가 웨이퍼 보트상부의 웨이퍼, 1.26 %이 웨이퍼 보트하부의 웨이퍼). 또, 이 측정은, 막중의 피크농도를 SIMS(secondary ion-mass spectr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다. The set temperatures determined in the four regions are 855 ° C, 855 ° C, 840 ° C and 830 ° C, respectively.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gate-oxide-film formed on the wafer held on the wafer boat using this set temperature is 1.559 nm, and the range of film thickness variation in the wafer is ± 0.65%. The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film is 0.91 to 1.26% [atoms%] per atom (0.91% is the wafer on the wafer boat and 1.26% is the wafer on the wafer boat). In addition, this measurement measures the peak concentration in a film | membrane using secondary ion-mass spectrography (SIMS).

이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열산화물막 형성 공정과 개질 공정을 연속적으로 하는 공정에서, 웨이퍼 보트내의 웨이퍼에 관해서 막두께의 균일성을 얻을 수 있지만, 막중의 질소농도는 편차가 큰(약 ±16%) 것이 되어 각 웨이퍼에 관해서 균질한 산질화물막의 형성을 할 수 없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uniformity of the film thickness can be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wafers in the wafer boat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forming the thermal oxide film forming process and the modifying process, but the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film has a large variation (about ± 16). %), A homogeneous oxynitride film cannot be formed for each wafer.

다음에, 도 5A 내지 도 6B를 사용하여 설명한 최적화를 적용한 결과를 서술한다. 우선, 열산화 공정이 최적화된다. 열산화 공정에 의한 형성막두께의 목표치 를 1.65 nm으로 하고, 가스압력, 가스유량, 처리시간 등을 포함하고, 온도를 제외한 프로세스 조건은 고정되고, 형성된 막두께를 측정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최적화하여 웨이퍼 보트의 상부, 중상부, 중하부, 하부의 4 영역에 관해서 적절한 설정 온도를 구한다. Next, the result of applying the optimization described using Figs. 5A to 6B will be described. First, the thermal oxidation process is optimized. The target value of the formed film thickness by the thermal oxidation process is 1.65 nm, including the gas pressure, the gas flow rate, the processing time, and the like, and the process conditions except for the temperature are fixed, and the formed film thickness is measured, as described above. By optimizing, appropriate set temperatures are obtained for the four regions of the top, middle, bottom, and bottom of the wafer boat.

4 영역에서의 결정된 설정 온도는, 각각, 805 ℃, 801 ℃, 799 ℃, 796 ℃이다. 웨이퍼 보트내에 유지된 웨이퍼 상에 형성된 열산화물막의 평균막두께 1.667 nm이고, 웨이퍼내의 막두께 편차의 범위는 ± 0.47 %이다. 온도 이외의 처리 조건은, H2의 유량이 0.4[slm], O2의 유량이 0.4[slm], N2의 유량이 30[slm]이고, 산화시간이 40초, 처리 압력은 대기압으로 하였다. The determined set temperatures in the four regions are 805 ° C, 801 ° C, 799 ° C, and 796 ° C, respectively. The average film thickness of the thermal oxide film formed on the wafer held in the wafer boat was 1.667 nm, and the range of the film thickness variation in the wafer was ± 0.47%. In the processing conditions other than the temperature, the flow rate of H 2 was 0.4 [slm], the flow rate of O 2 was 0.4 [slm], the flow rate of N 2 was 30 [slm], the oxidation time was 40 seconds, and the processing pressure was atmospheric pressure. .

소정의 설정 온도를 사용하여 열산화물 처리는 산화물막 변형(개질: modify) 공정으로 연속하여 이어지는데, 가스압력, 가스유량, 처리시간 등을 포함하고, 온도를 제외한 이 변형 공정의 처리 조건은 고정된다. 변형된 막의 두께가 측정되고, 웨이퍼보트의 4 개의 영역 즉, 상부, 중상부, 중하부, 하부의 영역에서의 적절한 설정온도는 이미 설명된 절차에 의해 결정된다. 변형된 막의 바람직한 두께는 산화물막 변형 공정이 1.8 nm으로 하였고, 이 값은, 1.65 nm 두께의 산화물막에 대하여 충분히 효과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결정된다. 산화물막 변형 공정에 있어서, 변형(개질)을 위해 사용된 NO 가스내에 함유된 질소는 산화물막내로 확산되고, NO 가스내에 함유된 산소는 산화물막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덧붙여서 말하면, 온도 이외의 처리 조건은, NO의 유량이 1 [slm]이고, 처리시간이 3분, 압력 이 1[kPa]로 하였다. 산화물막 변형(개질) 공정에 사용된 웨이퍼 보트 4 영역, 즉 상부, 중상부, 중하부, 하부 영역에서의 설정온도는 각각, 848 ℃, 850 ℃, 851 ℃, 852 ℃이다. 웨이퍼 보트내에 유지된 웨이퍼 상에 형성된 열산화물막의 평균 막두께 1.762 nm이고, 웨이퍼내의 막두께 편차의 범위는 ± 0.64 %이다. 개질된 산화물막의 질소 농도는 원자 당 1.05 내지 1.15 [atoms%]의 범위내에 있다 (1.05 % 이 웨이퍼 보트상부에 유지된 웨이퍼상에 형성된 막에서의 원자수이고, 1.15 % 이 웨이퍼 보트하부에 유지된 웨이퍼상에 형성된 막에서의 원자수이다). 이 막의 피크 질소 농도는 SI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Using a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the thermal oxide treatment is successively continued to an oxide film modifying process, which includes gas pressure, gas flow rate, processing time, and the like, and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is deformation process except temperature are fixed. . The thickness of the deformed film is measured, and the appropriate set temperature in four areas of the waferboat, namely the top, middle top, bottom and bottom areas, is determined by the procedure already described. The preferred thickness of the modified film is 1.8 nm in the oxide film modification process, and this value is determi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xide film can be sufficiently effectively deformed with respect to an oxide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5 nm. In the oxide film deformation process, nitrogen contained in the NO gas used for the deformation (modification) diffuses into the oxide film, and oxygen contained in the NO gas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In addition, the processing conditions other than temperature were made into 1 [slm] of NO flow volume, 3 minutes of processing time, and 1 [kPa] of pressure. The set temperatures in the four wafer boat regions used in the oxide film deformation (modification) process, namely, the upper, middle, middle, and lower regions, are 848 ° C, 850 ° C, 851 ° C, and 852 ° C, respectively. The average film thickness of the thermal oxide film formed on the wafer held in the wafer boat is 1.762 nm, and the range of film thickness variation in the wafer is ± 0.64%. The nitrogen concentration of the modified oxide film is in the range of 1.05 to 1.15 [atoms%] per atom (1.05% is the number of atoms in the film formed on the wafer held on top of the wafer boat, and 1.15% is maintained on the bottom of the wafer boat). Number of atoms in the film formed on the wafer). The peak nitrogen concentration of this membrane was measured using SIMS.

이 실시예는 열산화물막 형성 공정과 변형(개질)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고, 웨이퍼 보트내에 유지된 웨이퍼상에 균일한 막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막의 질소 함량의 산란 범위는 비교예에 의해 형성된 막의 질소 함량의 산란 범위 보다 좁은 약 ± 4. 5 % 이다. 즉, 동종(homogeneous) 산화 질화물막이 웨이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is embodiment can perform the thermal oxide film formation process and the deformation (modification) process continuously, and form a uniform film thickness on the wafer held in the wafer boat. The scattering range of the nitrogen content of the membrane is about ± 4.5% narrower than the scattering range of the nitrogen content of the membrane formed by the comparative example. That is, a homogeneous oxynitride film can be formed on the wafer.

이 예는 산화물막 변형(개질) 공정의 측정 결과로서 변형된 막의 측정된 두께를 사용한다. 이 변형된 막의 두께는 열산화물 성막 공정(제 1 공정) 및 산화물 막 변형(개질) 공정(제 2 공정) 모두에 좌우되고, 제 2 공정의 결과만이 제 2 공정의 최적화시에 측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 모두의 결과인 변형된 막의 두께는 제 2 공정의 최적화시에 측정된다. 결과적으로 제 2 공정도 적절히 관리될 수 있는 데, 이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도 15는 이상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대비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게이트-산화물- 막 성막 공정의 요소와 비교예로서의 게이트-산화물 막 성막의 요소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표이다. This example uses the measured thickness of the strained film as a result of the oxide film strain (modification) process. The thickness of this modified film depends on both the thermal oxide film formation process (first process) and the oxide film modification (modification) process (second process), and only the result of the second process is not measured at the time of optimization of the second process. .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deformed film resulting from both the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is measured upon optimization of the second process. As a result, the second process can also be properly managed,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shows the above examples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examples. FIG. 15 is a table comparing elements of a gate-oxide-film deposition proces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ose of a gate-oxide film deposition as a comparative example. FIG.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열처리 공정중 제 1 열처리 공정만을 선택하여 처리를 하고, 제 1 열처리가 된 피처리체의 열처리 결과를 측정함으로써 이 제 1 열처리 결과에 관해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하고, 다음에, 그 최적화된 설정 온도를 적용하여, 제 1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하여 행하고, 그 제 1 및 제 2 열처리가 된 피처리체의 합계의 열처리 결과를 측정함으로써, 제 2 열처리에 관해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를 최적화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열처리의 결과 각각 관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only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is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 steps that are successively performed, and the heat treatment result of the first to-be-processed object is measured. 1 The heat treatment result is optimized for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and then the optimized set temperature is applied,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s are continuously per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s By measuring the heat treatment result of the sum,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is optimized for the second heat treatment, so that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can be optimized for each result of the successive heat treatments.

또한, 우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열처리를 하여, 제 1 및 제 2 열처리가 이루어진 피처리체의 제 1 열처리 결과를 측정함으로써 이 제 1 열처리에 관해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행하고, 다음에, 그 최적화된 설정 온도를 적용하여, 제 1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하여 행하고, 그 제 1 및 제 2 열처리가 이루어진 피처리체의 제 2 열처리 결과를 측정함으로써, 제 2 열처리에 관해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행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열처리 각각에 관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먼저 이루어지는 제 1 열처리에 관해서 설정 온도의 최적화가 우선 이루어지고, 다음에, 나중에 이루어지는 제 2에 열처리에 관해서 설정 온도의 최적화가 이 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다시 제 1 열처리에 관해서 설정 온도의 최적화를 해야할 일이 생기지 않고, 효율적으로 반응관내의 설정 온도의 최적화가 이루어진다.


















In addition, first,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s are performed continuously, and the first heat treatment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 targets is measured to optimize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with respect to the first heat treatment. Next, by applying the optimized set temperature,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s are performed successively,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result of the object to be trea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s is measured, whereby the second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the reaction tube. Since the set temperature is optimized,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for each of the successive heat treatments. In this case, since the optimization of the set temperature is performed first with respect to the first heat treatment, which is performed first, and the optimization of the set temperature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heat treatment, which is later performed, the first heat treatment is set again. There is no work to optimize the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action tube is efficiently optimized.


















Claims (20)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공정 및 제 2 열처리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heat processing apparatus which performs a 1st heat processing process and a 2nd heat processing process continuously to a to-be-processed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a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a second test target object subjected to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ing a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합계를 측정하는 단계, 및 Measuring a total of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object, and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측정된 합계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d sum of the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Method for determining the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장치가 각각 가열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each of which can be heated,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reg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열산화물을 이용하여 게이트-산 화물-막 형성 공정이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a gate-oxide-film forming process using thermal oxide,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이 게이트-산화물-막을 질소화하기 위한 질소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is a nitrogenation step for nitrifying the gate-oxide-film.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공정, 제 2 열처리 공정 및 제 3 열처리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heat processing apparatus which performs a 1st heat treatment process, a 2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a 3rd heat treatment process continuously to a to-be-processed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a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a second test target object subjected to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ing a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합계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total of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측정된 합계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d sum of the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3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temporary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Performing on the third test subject to be carried out using, 상기 제 3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합계를 측정하는 단계, 및 Measuring a total of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third test object, and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측정된 합계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The third setting in the third heat treatment step by modifying the temporary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d sum of the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step. Determining Temperature Trajector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Method for determining the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며,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W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W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장치가 각각 가열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each of which can be heated,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reg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공정 및 제 2 열처리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heat processing apparatus which performs a 1st heat processing process and a 2nd heat processing process continuously to a to-be-processed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a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a second test target object subjected to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ing a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Measuring a resul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object, and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How to determine the set temperature trajectory of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to the target object,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a second test target object subjected to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ing a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합계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total of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측정된 합계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d sum of the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및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수행된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workpiece to which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Method for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to the object to be treated, comprising a.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 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장치가 각각 가열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each of which can be heated,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reg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열산화물을 이용하여 게이트-산화물-막 형성 공정이고,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a gate-oxide-film formation process using thermal oxide,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이 게이트-산화물-막을 질소화하기 위한 질소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is a nitrogenization process for nitrifying the gate-oxide-film.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공정, 제 2 열처리 공정 및 제 3 열처리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step to the object to be treated,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a second test target object subjected to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ing a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합계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total of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측정된 합계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d sum of the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제 2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3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temporary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uses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Performing on the third test object to be performed by 상기 제 3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합계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total of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third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 및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에 의한 열처리 결과의 측정된 합계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The third setting in the third heat treatment step by modifying the temporary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d sum of the heat treatment results by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step. Determining a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predetermined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수행된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및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workpiece to which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상기 제 3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3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수행되고,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이 수행된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third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to-be-processed object on which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제 2 열처리 및 제 3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Method for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the second heat treatment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to the object to be tre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며,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제 2 열처리 및 제 3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fixed. A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a third heat treatmen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이며,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제 2 열처리 및 제 3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s variable. A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a third heat treatmen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장치가 각각 가열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each of which can be heated,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The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2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하고, The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in th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기 영역에서 각각 결정되며,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ies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n the region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제 3 설정 온도 궤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제 2 열처리 및 제 3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And the thir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reg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heat treatment, the second heat treatment, and the third heat treatment are successively performed.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공정 및 제 2 열처리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to the object to be treated,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사용하여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a first test target object using a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1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rst test object,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진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a second test target object subjected to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using a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상기 제 2 시험 피처리체에 수행된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resul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second test object,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에서의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in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by modifying the temporary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1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및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the determined first set temperature trajectory, and 상기 제 2 열처리 공정을 상기 결정된 제 2 설정 온도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처리 공정이 수행된 상기 피처리체에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the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on the workpiece to which the first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etermined second set temperature trajector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에 제 1 열처리 및 제 2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Method for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and the second heat treatment to the object to be treated, comprising a.
KR1020010051377A 2000-08-24 2001-08-24 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heat treatment system KR1007132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4479 2000-08-24
JPJP-P-2000-00254479 2000-08-24
JPJP-P-2001-00176216 2001-06-11
JP2001176216A JP3901958B2 (en) 2000-08-24 2001-06-11 Method for creating heat treatment apparatus set temperature, and heat treatment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589A KR20020016589A (en) 2002-03-04
KR100713288B1 true KR100713288B1 (en) 2007-05-04

Family

ID=2659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377A KR100713288B1 (en) 2000-08-24 2001-08-24 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heat treatment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01958B2 (en)
KR (1) KR100713288B1 (en)
TW (1) TW49060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4532B2 (en) 2012-03-28 2015-09-0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Continuous processing system, continuous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870623B1 (en) * 2012-07-09 2021-01-13 (CNBM) Bengbu Design & Research Institute for Glass Industry Co., Ltd. Process box, assembly and method for processing coated substrates
JP6541599B2 (en) * 2016-03-28 2019-07-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Control device, substrate processing system,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R3091618B1 (en) * 2019-01-09 2021-09-24 Soitec Silicon On Insulator PROCESS FOR MANUFACTURING A RECEIVING SUBSTRATE FOR A SEMICONDUCTOR TYPE STRUCTURE ON INSULATION FOR RADIOFREQUENCY APPLICATION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UCH A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3608A (en) * 1993-09-09 1997-01-14 Tokyo Electron Limited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thermal processing equipment
US6065869A (en) * 1999-03-02 2000-05-23 United Silicon Incorporated Method of in-line temperature monit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3608A (en) * 1993-09-09 1997-01-14 Tokyo Electron Limited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thermal processing equipment
US6065869A (en) * 1999-03-02 2000-05-23 United Silicon Incorporated Method of in-line temperature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41343A (en) 2002-05-17
TW490604B (en) 2002-06-11
JP3901958B2 (en) 2007-04-04
KR20020016589A (en)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243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930140B1 (en) Processing Sequence Filling Deep Trench with Doped Silicon
KR100757552B1 (en) Heat processing unit, heat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087855B1 (en)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US8667928B2 (en) Semiconductor processing
JP5766647B2 (en) Heat treatment system, heat treatment method, and program
US1104704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10034580A (en) Film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12040B1 (en) Thermal processing equipment calibration method
US6495805B2 (en) 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heat treatment system
JP454662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control conditions for heat treatment equipment
KR100713288B1 (en) Method of determining set temperature trajectory for heat treatment system
JP6596316B2 (en) Heat treatment system, heat treatment method, and program
US20020127828A1 (en) Method of processing wafer
KR100561120B1 (en)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n atmospheric reactor
US20230170206A1 (en) Method, control system, and system for machining a semiconductor wafer, and semiconductor wafer
JP3764689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JP4553227B2 (en) Heat treatment method
JP4262908B2 (en)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heat treatment method
KR20230131132A (en) Raw material supply system,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130103071A (en)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positing a thin fil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