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080B1 - 교정용 신발깔창 - Google Patents

교정용 신발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080B1
KR100712080B1 KR1020050068857A KR20050068857A KR100712080B1 KR 100712080 B1 KR100712080 B1 KR 100712080B1 KR 1020050068857 A KR1020050068857 A KR 1020050068857A KR 20050068857 A KR20050068857 A KR 20050068857A KR 100712080 B1 KR100712080 B1 KR 10071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hoe insole
inclined surface
weare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526A (ko
Inventor
엄경민
Original Assignee
엄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경민 filed Critical 엄경민
Priority to PCT/KR2006/0020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129951A1/en
Publication of KR2006012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30Protecting the ball-joint against pressure while sta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교정용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엄지발가락측을 기점으로 하여 새끼발가락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서, 그 상부면에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5°~ 25°의 각도범위(θ)를 가지거나, 0.25cm ~ 3.5cm 높이범위(k)를 가지는 경사면(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정용 신발깔창{a correction insole}
도 1은 무릎관절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깔창이 내장되는 신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신발깔창 및 그 신발깔창의 부분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깔창 11 ... 제1점
12 ... 제2점 13 ... 가상선
15 ... 경사면
본 발명은 다리의 벌어짐을 교정하여 주는 교정용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무릎 관절에 있어서, 상부뼈와 하부뼈 사이의 A 지점과 B 지점에서의 간격은 거의 일정하다. 그러나, 인간은 노화가 진행되거나, 잘못된 보행습관에 의하여 양 다리의 무릎과 무릎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A 지점과 B 지점에의 간격이 달라진다. 즉, 무릎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A 지점의 간격은 벌어지고 B 지점의 간격은 좁아지는데, 이에 따라 B 지점에서 관절의 마모가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무릎에 심한 통증이 발생되고 보행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노화나 보행습관에 의하여 양 다리의 무릎과 무릎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벌어진 무릎과 무릎 사이를 좁히기 위한 교정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신발에 넣어서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무릎과 무릎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벌어진 무릎 사이가 좁아지도록 교정할 수 있는 교정용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깔창은,
신발에 내장되는 신발깔창에 있어서, 엄지발가락측을 기점으로 하여 새끼발가락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서, 그 상부면에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5° ~ 25°의 각도범위(θ)를 가지거나, 0.25cm ~ 3.5cm 높이범위(k)를 가지는 경사면(15)이 형성되고,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이 밀착되는 부분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선과 새끼발가락이 밀착되는 부분의 중앙을 횡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선이 만나는 지점을 제1점(11)으로 정의하고; 착용자의 새끼발가락측의 뒤꿈치가 밀착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제2점(12)으로 정의하였을 때; 제1점(11)과 제2점(12)을 지나는 가상선(13)은 상기한 경사면(15)이 시작되는 기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5)은 상측으로 약간 오목하게 형성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깔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깔창이 내장되는 신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신발깔창 및 그 신발깔창의 부분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깔창(10)은, 신발갑피(20)와 신발창(30)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신발깔창(10)은, 크게 보았을 때 엄지발가락측을 기점으로 하여 새끼발가락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15)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경사면의 각도범위(θ)는 신발깔창의 상부면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5° ~ 25°범위를 가지거나, 높이범위(k)는 0.25cm ~ 3.5cm 범위를 가진다. 이와 같이 경사면(15)을 각도범위(θ)와 높이범위(k)로 한정하는 이유는, 신발깔창의 길이나 폭이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있어서, 좌측에는 본원의 신발깔창(10)의 평면도가 개시되어 있고, 좌측에는 신발깔창(10)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따른 단면도가 함께 개시되어 있다.
신발깔창(10)을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이 밀착되는 부분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선과 새끼발가락이 밀착되는 부분의 중앙을 횡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선이 만나는 지점을 제1점(11)으로 정의하고; 착용자의 새끼발가락측의 뒷끔치가 밀착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제2점(12)으로 정의하였을 때; 제1점(11)과 제2점(12)을 지나는 가상선(13)은 상기한 경사면(15)이 시작되는 기점이 된다.
여기서, 경사면(15)이 시작되는 기점(가상선 ; 13)은 a-a'선에서 제일 앞쪽에 형성되고, b-b'선, c-c'선으로 갈수록 기점(가상선 : 13)은 뒤쪽으로 후퇴한다. 그리고, d-d'선에서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기점으로 구성되는 가상선(13)은 엄지발가락측에서 새끼발가락측 뒤꿈치 가장자리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경사면(15)은 직선적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상측으로 약간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데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신발깔창(10)을 신발에 넣고 착용자가 신발을 신었을 때, 착용자의 새끼발가락측의 발바닥 가장자리는 상기 경사면(15)에 의하여 위로 들어올려진다. 즉, 양 발바닥의 외측 가장자리가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그러면, 벌어져 있던 무릎 사이는 좁혀지는데, 이러한 신발깔창(10)을 오랫동안 사용하였을 때 서서히 무릎 사이가 좁혀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리 길이가 80cm 이고, 무릎 관절 사이가 3.4cm 로 벌여져 있을 경우, 본원의 신발깔창(10)에 5° ~ 25° 범위로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양 발바닥의 외측 가장자리측이 1cm 정도 들어올려지면, 무릎 관절 사이가 2.4cm 로 좁혀진다. 또, 발바닥의 외측 가장자리측이 2cm 정도 들어올려지면 무릎 관절사이가 1.7cm 로 좁혀진다. 그리고, 양 발바닥의 외측 가장자리측이 3cm 정도 들어올려지면 무릎 관절사이가 1.2cm 정도로 좁아진다.
이와 같이, 신발깔창(10)에 발바닥의 외측 가장자리측을 들어올리는 경사면(15)을 형성함으로써, 벌어진 무릎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고, 이에 따라 무릎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거나, 또는 벌어진 무릎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발목이 삐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대가 늘어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깔창에 따르면, 5° ~ 25°로 경사 진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양 발바닥의 외측 가장자리측을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리기 때문에, 무릎과 무릎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벌어진 무릎 사이가 좁아지도록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양 발바닥의 외측 가장자리측이 올려짐으로써, 발목이 삐거나 인대가 늘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신발에 내장되는 신발깔창에 있어서,
    엄지발가락측을 기점으로 하여 새끼발가락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서, 그 상부면에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5° ~ 25°의 각도범위(θ)를 가지거나, 0.25cm ~ 3.5cm 높이범위(k)를 가지는 경사면(15)이 형성되고,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이 밀착되는 부분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선과 새끼발가락이 밀착되는 부분의 중앙을 횡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선이 만나는 지점을 제1점(11)으로 정의하고; 착용자의 새끼발가락측의 뒤꿈치가 밀착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제2점(12)으로 정의하였을 때; 제1점(11)과 제2점(12)을 지나는 가상선(13)은 상기한 경사면(15)이 시작되는 기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깔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5)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깔창.
KR1020050068857A 2005-05-30 2005-07-28 교정용 신발깔창 KR100712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2070 WO2006129951A1 (en) 2005-05-30 2006-05-30 A correction in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574 2005-05-30
KR20050046574 2005-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526A KR20060124526A (ko) 2006-12-05
KR100712080B1 true KR100712080B1 (ko) 2007-05-02

Family

ID=3772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857A KR100712080B1 (ko) 2005-05-30 2005-07-28 교정용 신발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77B1 (ko)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27B1 (ko) * 2006-07-05 2007-08-13 김세영 발의 구조 및 보행에 적합한 인체공학적인 신발 밑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2103A (en) 1994-12-22 1997-05-27 Suenaga; Tatsuhiko Insole of shoe
US5746011A (en) 1994-10-24 1998-05-05 Ortolab Ab Orthopedic insol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KR20010000722A (ko) * 2000-10-16 2001-01-05 최병율 패널에 부착된 엣지밴드 컷팅장치
JP2004166810A (ja) * 2002-11-18 2004-06-17 Asahi Rubber:Kk アーチサポ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ソ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011A (en) 1994-10-24 1998-05-05 Ortolab Ab Orthopedic insol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5632103A (en) 1994-12-22 1997-05-27 Suenaga; Tatsuhiko Insole of shoe
KR20010000722A (ko) * 2000-10-16 2001-01-05 최병율 패널에 부착된 엣지밴드 컷팅장치
JP2004166810A (ja) * 2002-11-18 2004-06-17 Asahi Rubber:Kk アーチサポ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ソ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77B1 (ko)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526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0066B2 (en) Neutral posture orienting footbed system for footwear
JP5138682B2 (ja) 人間の足構造と歩行とに適したエルゴノミックな靴底
AU744650B2 (en) Circuit for the protection of electrical devices
US8739434B2 (en) Footwear with toe aligner structure
CA2886888C (en) Shoe sole for gait correction or gait preservation
RU2636883C2 (ru) Обувное изделие
KR980008086A (ko) 건강 증진용 신발
US20130340281A1 (en) Flexible midfoot orthotic shoe insert
JP2005013682A (ja) 履物及び履物用中敷き
KR101136716B1 (ko) 신발
JP5364797B2 (ja) ハイヒール用中敷
KR100712080B1 (ko) 교정용 신발깔창
US6238359B1 (en) Corrective shin splint insole
KR20140069009A (ko) 신발 및 신발 제조 방법
KR102170264B1 (ko) 자세교정이 가능한 쿠션 신발밑창
KR100890529B1 (ko)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CN109996519B (zh) 一种矫正产品
JP3140932B2 (ja)
US20230337785A1 (en) Anatomically pliant athletic footwear
JP3087900U (ja) 履き物
WO2006129951A1 (en) A correction insole
KR200428378Y1 (ko) 발의 구조 및 보행에 적합한 인체공학적인 신발 밑창
KR20220002367U (ko) 낙상 방지용 신발
JP2011011027A (ja) 美脚靴
KR101153837B1 (ko) 교정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