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141B1 - 가입자 유닛들 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입자 유닛들 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141B1
KR100711141B1 KR1020057008612A KR20057008612A KR100711141B1 KR 100711141 B1 KR100711141 B1 KR 100711141B1 KR 1020057008612 A KR1020057008612 A KR 1020057008612A KR 20057008612 A KR20057008612 A KR 20057008612A KR 100711141 B1 KR100711141 B1 KR 100711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ociation
subscriber unit
communication
group
con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617A (ko
Inventor
존 티. 엘리스
제임스 피. 크라코라
제로엔 피. 도렌보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그룹과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내 제어기 및 그 방법으로서, 제어기는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그룹과 통신하기 위해 가입자 유닛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703) 동작하는 수신기, 및 수신기에 결합되고,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그룹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과의 비교를 제공하는(709) 비교기, 및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가입자 유닛과, 통신이 또한 허용 또는 가능하게 된 연관된 가입자들의 그룹의 어떤 다른 가입자들 간 통신을 허용하는(717) 판정기능으로서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1 연관 제약조건, 제 2 연관 제약조건, 제 1 가입자 유닛, 판정기능, 제어기

Description

가입자 유닛들 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cations between subscriber uni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유닛들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들과 이들에서 동작하는 가입자 유닛들 간 통신들은 공지되어 있다. 셀룰러 시스템들과 이들에서 동작하는 가입자 유닛들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예이다. 셀룰러 유사 서비스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룹 호(Group Call)라 알려진 서비스도 제공하는 그 외 시스템들이 활용가능하다. 그룹 호에 있어서 그룹은 그룹의 확인된 일원들을 가지며 그룹 호가 한 일원에 의해 발원되었을 때, 도달될 수 있는 그룹의 다른 모든 일원들이 호출되어 호에 참여할 수 있다. 일단 이들이 구룹의 일원이 되면, 이들의 가입자 유닛을 디저블(disable)시키는 것 외엔, 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선택의 여지는 없다. 또한, 일원이 아닌 자는 통상의 그룹 호에 참여할 수 없다. 시스템들에 행하려 하였던 또 다른 서비스는 액세스할 수 있는 모든 가입자들, 예를 들면 통신이 허용된 모든 가입자들이 다른 모든 일원들과 통신하는 "채팅" 룸이다. 흔히, 액세스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고,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가입자에 의해 기억 및 입력되어야 하는 액세스 코드에 의해 제어된다.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들을 제어하는 보다 융통성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별도의 뷰(view)들 전반에 걸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참조하며, 상세된 기술과 함께 이하에서 명세서의 부분을 형성하고, 명세서에 포함된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더 예시하고, 다양한 원리들 및 모든 이점들을 설명하도록 역할한다.
도 1은 간단하고 대표적인 형태로, 가입자들 또는 다수 그룹들의 연관된 가임자들간에 통신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 내지 5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관 식별자들, 연관 제약조건들, 및 가입자 및 그룹 관계들을 표 형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도.
도 7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 그룹들의 가입자들 간에 통신을 제어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흐름도.
도 8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유닛들 간에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의 또 다른 흐름도.
개괄하여 본원은 시스템들 및 장비의 사용자들에게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비 또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유닛들 또는 가입자 유닛들의 다수 그룹들간에 통신을 제어하는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채팅 그룹 등과 같은 그룹 내에서 뿐만 아니라 가입자 유닛들 간에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들을, 사용자들 또는 소비자들 및 서비스 제공자들의 편의 및 이점을 위해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들에 관한 여러가지 관계된 인자들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들 및 방법들 또는 가입자 유닛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구현된 다양한 본 발명의 개념 및 원리가 기술된다. 시스템들, 장비, 등은 어떤 형태의 접속성, 따라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들의 어떤 조합일 수 있는 네트워크에 의존할 것이다. 특히 관계된 네트워크들은 일반적으로 구조적으로 광역 네트워크(WAN)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LAN)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에 사용자 장비 및 이의 연관된 사용자들에 의한 바람직한 형태의 액세스는 모토롤라사로부터 입수가능한 iDEN 통신과 같은 통합 디지털 인핸스 네트워크와 같은 시스템들, 또는 보다 일반적인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 또는 이의 확장을 통해 행해질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들 및 이들의 조합들은 효과적으로 통신을 제어하며 어떤 통신을 선택적으로 그리고 동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되므로, 문제들을 무시하거나 변경불가의 고정된 방법들에 의존하는 공지의 시스템에 연관된 다양한 문제들을 완화시키고, 따라서 본 원리들 또는 이들의 장비들이 이용된다면, 가입자들 또는 사용자들로부터 그리고 이들간에 통신 제어가 상당히 적절한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본 개시되는 바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작성 및 사용하는 최상의 형태들을 적합한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되는 바는 또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원리 및 이점에 대해 이해와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원의 계류중에 행해지는 어떠한 보정 및 허요된 청구항들의 모든 동등 범위를 포함하여, 첨부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제 1 및 제 2,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상관을 나타내는 용어의 사용은, 사용된다면, 실체들 또는 작용들간의 어떤 실제 관계나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거나 의미함이 없이 실체 또는 작용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대다수의 기능성 및 대부분의 본 발명의 원리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명령들로 최상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면 사용가능한 시간, 현재의 기술 및 경제적 고려에 의해 동기가 유발된 현저한 노력 및 많은 설계적 선택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는 여기 개시된 개념 및 원리에 의해 안내되었을 때 최소의 실험으로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을 쉽게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간략하게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원리 및 개념을 무색케할 어떤 위험이든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해야 된다면,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사용되는 원리 및 개념에 관하여 필수적인 것들로 제한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가입자들 또는 연관된 가입자들의 다수 그룹들간에 통신들을 제어하도록 배열 및 구성되고 그에 적합한 통신 시스템을 간이화한 대표적인 시스템도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통신은 광범하게 다양한 서로 다른 시스템들 및 이러한 시스템들의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디스패치 통신 시스템으로서 또 는 디스패치 호들 및 디스패치 시스템에서 통상 볼 수 있는 서비스들 지원하는데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 이러한 대표적인 시스템은 모토롤라사로부터 입수될 수 있는 iDEN 통신 시스템이다. 그러나, 시스템은 퀄컴으로부터의 QCHAT 시스템, 에릭슨으로부터의 GSM Pro, 노키아로부터의 TETRA,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기 기술된 개념 및 원리가 적용될 경우 그룹 호들과 같이 가입자들 또는 다수 그룹들의 가입자들, 또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들을 통한 전화 회의들 또는 인터넷을 통한 텍스트 기반의 채팅 그룹들 간의 통신의 제어를 제공하거나 제공하고자 하는 임의의 셀룰러, 전용 이동 라디오(SMR) 또는 인핸스드 전용 이동 라디오(ESMR) 시스템과 같은 어떤 디스패치 시스템일 수 있다.
도면에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데이터베이스(105) 및 분배 네트워크(107)에도 결합된, 제어기 또는 디지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DAP)(103) 및 음성 레플리케이터(104)(APD)(오디오 패킷 듀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도시되었다. 분배 네트워크(107)는 무선 셀룰러 또는 iDEN 핸드셋 또는 디바이스들 등의 하나 이상의 가입자 유닛들(113, 115)에 배송 또는 이들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109, 111)에 결합된다. 분배 네트워크(107)는 또한 가입자 유닛 또는 인터넷 전화(117) 및 가입자 유닛 또는 개인용 컴퓨터(119) 상의 소프트웨어 기반의 전화를 통한 유선 배송 기능과, 뿐만 아니라 802.11 가입자 유닛(123)에 애드 호크 근거리 네트워크 구성으로 결합된 802.11 액세스 포인트(AP)(121)를 통한 IEEE 802.11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나 이상의 802.11 AP들(121)과 네트워크(107) 등 간에 인터페이스들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들 등(도시생략)이 있을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요소들은 예를 들면, 통신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트래픽 채널들과 같은 자원들을 스케쥴링하고, 각종 가입자 유닛들에 의한 네트워크에 또는 이를 통한 액세스를 제어를 행하는 제어기에 알려진다. 제어기(103)는 본 개념 및 원리들에 따라 전부 수정되는, 예를 들어 디스패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구성되어 실행되는 Compaq Tandem 컴퓨터 플랫폼과 같은 장애허용 용장성 복수-프로세서 기반의 컴퓨터 플랫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APD는 전송 중인 또는 대화중인 가입자 유닛으로부터의 오디오 또는 트래픽을 복제하여 이를 통신 또는 호에 연루될 타 가입자 유닛들 각각이 입수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기 고찰된 바와 같은 통신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여기 논의되고 설명되는 원리 및 개념에 따라 공지의 제어기들에 다양한 수정이 필요할 것이다.
복수의 통신 또는 가입자 유닛들, 또는 디바이스들은 단지 예이며 각각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기능들과 대응 사용자(도시생략)가 있는, 복수의 셀룰러 핸드셋들 또는 디스패치 기능들이 있는 이러한 핸드셋들, 메신저 디바이스들, PDA, 휴대 컴퓨터, IP를 통한 음성 전화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이들 가입자 유닛들 또는 디바이스들 및 이들의 연관된 사용자들은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다른 엔터티들 또는 자원들 또는 유닛들과 함께 네트워크(107)에 각종의 일반적으로 공지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가입자 유닛들(115, 117, 119, 123)은 연관된 가입자 디바이스들의 그룹 또는 채팅 그룹(125)으로서 도시되었다. 많은 이러한 그룹 들이 존재할 수도 있고 임의의 한 가입자가 복수 그룹들 또는 채팅 룸들에 연관될 수도 있고 그룹 호들에 대해 타 그룹들의 다소 정적인 일원도 있을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물론 텍스트 기반의 채팅 룸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 랩탑 컴퓨터, 양방향 메시징 디바이스, 텍스트 가능 전화, PDA, 등이다.
일반적으로, 그룹 호는 그룹의 일원에 의해서만 행해질 수 있는 호이고 그 그룹의 다른 모든 일원들은 어떤 경우에 초대 메시지에 응한다고 가정하면, 상호의 일부이다. 그룹은 다양한 공지의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통상 가입자 유닛이나 기반시설 내 어떤 데이터베이스, 이를테면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된 멤버쉽 리스트를 포함할 것이다. 그룹 호는 전이중 호일 수 있을 것이지만, 한 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어떤 일 시각에 (송신)하고 그 시각에 다른 모든 유닛들은 (수신)할 수 있는 반이중 방식의 디스패치 호로서 구현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이러한 디스패치 그룹 호는 통상 제어기(103)를 통해 셋업되고 관리된다. 토킹(talking)을 원하는 사용자는 제어채널을 통해 토킹 요청을 보낸다. 적합한 시간에 제어기는 제어채널을 통해 토킹 권한을 내주거나 승인한다. 통상 적합한 시간은 현재 토커가 전송 중단에 의해 채널을 릴리즈 한 후의 시간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토킹 요청은 가입자 유닛들 중 한 유닛의 사용자에 의한 토킹 누름(PTT) 버튼의 활성화를 통해 개시되고, 토킹 권한의 승인 또는 통보는 사용자 유닛 또는 디바이스에 가청 신호를 포함할 것이며 그후에 유닛은 송신을 시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PTT 버튼을 해제하면 트래픽 채널이 릴리즈 될 것이다. 반이중 모드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109)에 동일한 채널이 그 위치에서 복수의 가입자에 사용될 수 있는 것 등의 어떤 이점들을 제공한다.
채팅 룸 또는 연관된 그룹에의 채팅 유형의 호는 가입자 유닛이 먼저 채팅 룸 또는 호에 참가하여야 하고 일단 참가되면 참가한 다른 가입자 유닛들로부터의 모든 송신들을 수신할 것이며 통상, 마찬가지로 참가한 모든 유닛들에 송신이 허용될 것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결국 이것은 제어기가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및 이에 채팅 룸 또는 호에 참가한 어떤 다른 가입자 유닛들에 및 이들로부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된다. 채팅 호 또는 채팅 룸은 시스템이 반이중을 지원할 수 있거나 디스패치가 장비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반이중 모드로 처리될 수 있으며 전이중 호로서 취급될 수 있다. 가입자 유닛은 예를 들면 채팅 룸 이름을 선택하고 대응하는 요청을 보냄으로써 가입 요망을 나타내어 채팅 룸 또는 채팅 호에 가입한다. 채팅 룸이 공개 채팅 룸이라면 제어기는 채팅 룸에 가입한 다른 가입자 유닛들에 요청을 행하는 가입자 유닛에 및 이로부터 통신 트래픽, 음성 및 데이터를 보낸다. 통상적으로, 비공개 채팅 호들 또는 채팅 룸들은 추가로, 제어기가 채팅 룸에의 액세스 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닛이 액세스가 허용되거나 통신이 허용되게 하는 패스워드 또는 액세스 코드를 입력하여 제공할 것을 사용자를 통해 가입자 유닛에 요구하였다. 또 다른 방법은 가입이 허용된 리스트(화이트 리스트) 또는 허용불가 유닛들의 리스트(블랙 리스트)의 관리이다. 많은 잠재 가입자 유닛들을 가진 대규모 채팅 룸들에 있어서는 적합한 사용자들에게 정확한 액세스 코드들을 발행하여 알리거나 리스트들의 관리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그룹 또는 채팅 룸 운영자에게 주된 부담이다. 여기 개시된 개념들 및 원리들은 이들 부담들을 줄이거나 제거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도 1의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연관 식별자들, 연관 제약조건, 가입자 및 그룹 관계에 대한 각종의 표 형태로 예시된 바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연관 식별자(ID)(203)라 하는 이러한 4개의 ID, 즉 1001, 1002, 1003, 1004를 리스트한 신규 엔티티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은 특정 가입자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다른 시스템 및 가입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05)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보존 또는 저장될 수 있는 크기가 없는 신원들이다. 이들 연관 ID들은 다른 정보로서, 이를테면 도시된 바와 같은 서술적인 이름 또는 ID 이름(2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각각의 연관 제약조건(305)과 더불어, 가입자 유닛 식별자들(303), 즉 A-J를 리스트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D로 표시된 가입자 유닛은 연관 ID들 1001, 1002로서 정의된 연관 제약조건을 가지며, 가입자 유닛(F)은 연관 ID들 1001, 1003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연관 제약조건을 갖는다. 예를 들면, 가입자 유닛(D)은 설계자(1002)로서 식별되는 회사 사원(1001)이 이용할 수 있고, 가입자 유닛(F)은 기획자(1003)로서 식별되는 사원(1001)에 대응할 수 있다.
가입자 유닛(J)은 어떠한 리스트된 연관 ID들도 갖지 않는 것에 유의한다. 채택된 관례에 따라, 이것은, 제시하는 것처럼 보이는 바와 같이, 아무 연관 제약조건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는, 예를 들면 일종의 와일드 카드 연관 ID이어서, 이를테면 기관의 수석간부인 경우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떤 통제된 통신에 유닛이 참가를 허용하는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아마도, 관리 실무에서 보면, 이것은 아무 연관 ID도 의미하지 않으며 따라서 어떠한 참가도 허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이 통제되는 그룹 또는 채널 호들 어디에도 참가가 허용되지 않는 회사의 계약 사원에 대응하는 가입자 유닛이어도, 이 유닛은 아마 공개 채팅 호들 또는 룸들에 액세스할 것이다. 어쨋든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어도 이를테면 와일드 카드에 9999와 같은, 어떤 포괄적 연관 제약조건들이 식별되거나 정의될 것이다.
도 4는 그룹 또는 채팅 룸에 대한 대응하는 연관 제약조건(405) 및 서술적 타이틀 또는 주제(407)와 더불어 그룹들 또는 채팅 룸들(403)의 리스트를 표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채팅 룸(X)은 연관 ID들(1002, 1004)로 구성된 연관 제약조건을 가지며, 설계 프로세스들에 관계되며, 채팅 룸 또는 그룹(Z)은 연관 ID(1101)로 구성된 연관 제약조건을 가지며 회사 소문에 관계된다. 어떤 가입자들은 하나 이상의 연관 ID들, 특히 그룹 또는 채팅 룸에 대응하는 연관 ID들과 비교하여 연관 제약조건에 부합하는 연관 제약조건을 갖는 것에 유의한다.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종 가입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연관된 그룹들 간에 통신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도 5는 SP1, SP2, 및 SP3 일원들을 포함하는 멤버쉽 리스트(505)와 함께 그룹 ID/그룹 이름(503), 특히 100/서비스 그룹 Y의 리스트와, 그룹에 대응하는 연관 제약조건, 즉 2001을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그룹의 일원이 아닌 가입자 유닛에 의해 그룹(100)과 통신교환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그룹과의 통신 또는 도 1의 통신 시스템 내 가입자 유닛들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기(103)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도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103)는 구체적으로 디스패치 통신 시스템 또는 디스패치 유사 기능들을 구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 시스템의 여러 가지 환경들 하에서 통신들을 제어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다. 제어기는 네크워크(107)에 및 이로부터 결합되고, 프로세서(605)에도 결합된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트랜시버(603)를 포함한다. 트랜시버(603)는 오디오 트랜시버뿐만 아니라 패킷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이더넷 트랜시버와 같은 유선 트랜시버가 바람직하다. 프로세서(605)는 통상의 컴퓨터 모니터 및 키보드같은 조작자 입력 출력(607)에 결합된다. 프로세서는 통상의 상당히 고용량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구비한 장애허용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유닛(609)을 포함한다.
프로세서(605)는 프로세서 기반의 유닛(609)에 의한 실행으로 제어기가 통신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게 되고 그룹 또는 채팅 호 또는 가입자 유닛들간의 일 대 일 통신에 적합한 통신을 제어하는 후술하는 방법을 구현하게 되는 각종의 소프트웨어 루틴 및 명령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611)를 또한 포함한다. 메모리는 각종의 공지의 RAM, ROM, EPROM, 및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자기 메모리 요소들을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105)를 포함할 수 있고 어째든 적어도 프로세서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메모리 내의 소프트웨어 루틴들은 운영 시스템(613), 각종의 동작변수들, 파라미터들, 및 데이터(615), 스케쥴링일 루틴들(61), 비교기 루틴(619), 판정기능 또는 루틴(621), 및 이외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루틴들 및 여기 관계되진 않으나 당업자에 자명한 정보(623)를 포함한다.
동작에서, 제어기(103), 구체적으론 프로세서(605)는 트랜시버(603) 또는 수신기와 함께 동작하여,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그룹과의 통신 또는 이들간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수신기(트랜시버(603) 측)는 가입자 유닛이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그룹과의 통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이 요청은 또 다른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올 수도 있어 이러한 통신을 위해 가입자 유닛에 대한 초대가 얼마간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요청은 아마도 가입자 유닛(115, 119) 등과 같은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올 것이다. 어째든 수신기에 결합된 프로세서(605)는 비교기 루틴 등의 의해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도 3)과 그룹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도 4)과의 비교를 제공하는 비교기로서, 그리고, 루틴(621)에 의해,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제 2 연관 제약조건과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가입자 유닛과 이러한 통신을 허용한 연관된 가입자들의 그룹의 어떤 다른 가입자들간에 통신을 허용하는 판정기능으로서 동작한다.
도 3 및 도 4의 설명에서와 같이 제 1 연관 제약조건 또는 제 2 연관 제약조건 중 하나는 각각 복수의 제 1 연관 식별자들(ID) 및 제 2 연관 ID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비교기는 복수의 제 1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든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할 것이다. 이에 따라, 판정기능은 제 1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가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 통신을 허용한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한 예에 의해서, 가입자(A)가 그룹 또는 채팅 룸(X)으로서 알려진 연관된 가입자들의 그룹과의 통신을 요청한 것으로 한다. 가입자(A)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은 복수의 연관 ID들(1001, 1002)이고, 채팅 룸(X)에 대응하는 연관 제약조건은 연관 ID들(1002, 1004)이다. 이들 연관 제약조건들은 동일 연관 ID(1002)을 포함하기 때문에, 통신이 허용될 것이고, 이제 가입자(A)는 이미 허용되어 그룹(X)에 가입된 어떤 가입자와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연관 제약조건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이들 제약조건들이 얻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수신기가 제 1 연관 제약조건을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제 1 연관 제약조건을 얻을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통신요청을 수신하는 것과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며, 또는 통신요청이 다른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보내져 왔다면 제 1 가입자 유닛에 문의의 결과로서 일어날 수도 있다. 그러나, 제 1 연관 제약조건을 포함하는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 2 연관 제약조건을 포함하는 연관된 가입자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연관 제약조건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는 제어기(103)의 메모리에 또는 데이터베이스(105) 또는 제어기(103)에 관하여 동일 장소에 또는 다른 곳에 있을 수 있는 또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제어기에 연관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각 가입자 유닛에 대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라고도 하는 홈 데이터베이스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고, 이 데이터베이스는 제어기(103)에 대응하는 또는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는 각각의 가입자 유닛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유지될 것이다. 요약하여, 각종의 연관 제약조건들은 복수의 위치들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될 수 있다. 어째든 비교를 행하기 위해서 연관 제약조건은 얻어져 메모리(611)에 저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관례에 따라서, 제 1 연관 제약조건은 가입자 유닛과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어떤 그룹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동작하는 와일드 카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연관 제약조건들 및 연관 ID들은 액세스 코드들 또는 허용된 가입자 유닛 및 허용되지 않은 가입자 유닛의 리스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이 경우, 수신기는 액세스 코드를 수신하도록 또한 동작하며 판정기능은 액세스 코드와 그룹 액세스 코드 간 코드 비교에서 일치를 나타낼 때, 예를 들면 서로 일치할 때만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통신요청은 이러한 통신이 허용된 연관된 가입자들의 그룹의 많은 다른 가입자들 간에, 채팅 룸과 같은 현 통신에의 가입요청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제어기(103)는 앞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논한 바와 같이 비일원 가입자로부터 그룹과의 통신을 허용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관된 가입자들의 그룹은 100과 같은 그룹 식별자(ID)를 가질 것이며, SP1, SP2, SP3과 같은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 각각은 그룹의 일원일 것이며, 통신을 요청하는 가입자 유닛은 그룹의 일원이 아닐 것이며, 제 2 연관 제약조건, 예를 들면 2001은 그룹 ID에 대응할 것이며, 그룹의 일원들 모두에는 그룹 내 통신, 따라서 연관 제약조건들의 비교가 긍정적이라면 비일원의 가입자 유닛로부터의 통신에 대해 통신이 허용된다. 이 경우, 판정 기능은 제 1 연관 제약조건이 제 2 연관조건, 2001에 부합되는 것으로 비교될 때 그룹의 일원이 아닌 가입자가 그룹과 통신이 되게 한다. 예를 들면, 가입자 유닛에 대한 연관 제약조건이 2001인 연관 ID를 포함한다면 통신이 허용될 것이며, 이에 따라 그룹의 비일원이 그룹과 통신이 허용된다. 그룹과의 통신은 예를 들면 판정기능에, 그룹과의 통신을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그룹으로의 통신으로 제한시키게 하는 등으로 제한될 수 있고, 또는 판정기능은 그룹의 일원으로부터 가입자 유닛 뿐만 아니라 그룹의 다른 일원들에 통신을 포함하여 그룹과의 통신을 허용한다.
또 다른 중요한 면에서, 제어기(103)는 가입자 유닛들 간에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트랜시버(603) 측의 수신기는,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제 2 가입자 유닛과의 일 대 일 통신 요청을 수신하하도록 동작하며, 프로세서(605)는 제 1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제 2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2 연관조건과의 비교를 제공하는 비교기로서 동작한다. 프로세서(605)는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제 2 연관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제 1 가입자 유닛과 제 2 가입자 유닛 간에 일 대 일 통신을 허용하는 판정기능로서도 동작한다.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제 2 연관 제약조건 각각은 제 1 가입자 유닛과 제 1 다른 가입 유닛들간에, 그리고 제 2 가입자 유닛과 제 2 다른 가입자 유닛간들 간에 임의 연관들을 정의한다. 여기서 고찰된 연관 제약조건들에 의해 정의된 이러한 임의 연관은 예를 들면 플리트(fleet) 또는 시스템 신원들에 관해 전혀 임의가 없었던 기지의 플리트 식별자들(Fleet Identifiers) 또는 시스템 식별자들과는 구별된다. 가입자 유닛이 플리트에 의해 또는 이의 일부로서 구입되었거나 가입자 유닛이 시스템을 홈 시스템으로서 사용하고 있다면, 가입자 유닛에 연관된 플리트 ID 또는 시스템 ID는 사전에 정해져 있어 변경할 수 없었다. 반대로 연관 제약조건들은 가입자 유닛들의 소 그룹들 간 연관들을 정의하며, 이들 제약조건들은 특정 유닛에 대한 환경이 변할 때 쉽게 갱신 또는 변경된다.
어째든, 위에서처럼, 제 1 연관 제약조건 또는 제 2 연관 제약조건은 각각 복수의 제 1 연관 ID들 및 제 2 연관 ID들을 포함할 수 있고, 비교기는 복수의 제 1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가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 긍정적인 비교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기는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제 1 연관 제약조건을 또한 수신한다. 이에 택일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어기는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제 2 연관 제약조건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가입자 유닛 및 제 2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또한 포함하거나 이에 액세스할 수 있다. 긍정적 비교가 있을 때라도 판정기능은 제한된 통신만을 허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정기능은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제 2 연관 제약조건과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제 1 가입자 유닛이 제 2 가입자 유닛와 통신을 개시할 수 있게 하고, 제 1 가입자 유닛은 임의의 연관 제약조건과 제 1 연관 제약조건간 비교결과에 무관하게 통신 수신을 허용하게 한다. 또는 판정기능은 또 다른 연관 제약조건과 제 2 연관 제약조건과의 다른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제 2 가입자 유닛이 통신을 수신하게 하고, 제 2 가입자 유닛은 상기 다른 비교에 관계없이 통신을 발원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어기(103)와 같은 제어기에 의해 도 1의 통신 시스템 내 다수 그룹들의 가입자들 간에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설명한다. 이 방법은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제어기에 의해 실시되는 방법과 유사하므로 개괄 수준에서 논하도록 할 것임에 유의한다. 도 7은 통신 시스템에서 일 군의 연관된 가입자들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700)을 도시한 것이다. 방법은 703에서, 아마도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일 그룹의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과 통신하기 위한 가입자 유닛의 요청을 수신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요청은 채팅 룸 또는 채팅 룸이나 디스패치 그룹 등에서 일어날 수 있는 통신에 가입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705에서, 방법은 가입자 유닛 및 요청, 또는 제어기(103) 또는 바람직하게는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05)와 같은 기반설비 내 데이터베이스(105)로부터 제 1 연관 제약조건을 얻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707에서, 방법은 일 그룹의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 2 연관 제약조건을 얻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각 경우에 제 1 연관 제약조건을 얻는 것과 제 2 연관 제약조건을 얻는 것은, 각각 복수의 제 1 연관 식별자들(ID) 및 제 2 연관 ID들을 얻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어째든, 709는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을 그룹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과 비교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가 긍정적이지 않으면, 가입자 유닛의 연관 제약조건이 와일드 카드 ID이거나 그룹이 공개 그룹, 예를 들면, 연관에 관해 이러한 제한들이 없는 것이 아닌 한, 711에서, 통신 요청은 허용되지 않는다. 비교가 긍정적이면, 선택 프로세스(713)는 바람직하기로는 요청과 더불어 수신되는 액세스 코드와 그룹 액세스 코드를 비교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717)은 제 1 연관 제약조건이 제 2 연관 제약조건과 부합되는 것으로 비교될 때만, 가입자 유닛과 이러한 통신이 또한 가능하게 된 연관된 가입자들의 그룹의 어떤 다른 가입자들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일치를 나타내는 비교는 복수의 제 1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가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 또는 와일드 카드 ID가 있을 때만 나타난다.
방법(700)은 비일원 가입자 유닛과 가입자 유닛들의 디스패치 그룹간 신규 통신을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그룹은 그룹 식별자(ID)를 구비할 것과,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 각각은 그룹의 일원일 것과, 요청에 대응하는 가입자 유닛은 그룹의 일원이 아닐 것과(즉, 비일원), 제 2 연관 제약조건은 그룹 ID에 대응할 것과, 그룹의 모든 일원들은 정의에 의해 디스패치 그룹인 경우인 그룹간에 통신을 되게 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들 상황하에서, 그룹의 일원이 아닌 가입자 유닛은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이 그룹 ID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비교될 때 그룹과 통신이 허용될 수 있다. 그룹과의 통신은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그룹으로의 통신으로 제한될 수도 있고, 또는 그룹과의 통신은 그룹의 일원으로부터 가입자 유닛 및 그룹의 다른 일원들로의 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도 1의 시스템에서 가입자 유닛들간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800)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설명한다. 방법(800)은 803에서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제 2 가입자 유닛과의 일 대 일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어서, 805는 제 1 및 제 2 가입자 유닛들에 상응하는 연관 제약조건들을 얻 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연관 제약조건은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요청과 함께 수신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논의된 바와 같이,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제 2 연관 제약조건은 제 1 가입자 유닛 및 제 2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진다. 제 1 연관 제약조건 또는 제 2 연관 제약조건은 각각이 복수의 제 1 연관 식별자들(ID) 및 제 2 연관 ID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여기서, 그리고 앞서 논한 바와 같이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제 2 연관 제약조건은 각각 제 1 가입자 유닛과 제 1 다른 가입자 유닛들 간에 그리고 제 2 가입자 유닛과 제 2 다른 가입자 유닛들 간에 임의 연관들을 정의한다.
807에서, 방법은 제 1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야조건을 제 2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과 비교하는 것을 나타낸다. 긍정적인 비교는 복수의 제 1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가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 나타난다. 비교가 긍정적이지 않으면, 809는 요청된 통신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가 긍정적이라면, 811은 제 1 연관 제약조건이 제 2 연관 제약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비교될 때만 제 1 가입자 유닛과 제 2 가입자 유닛 간에 일 대 일 통신을 허용 또는 가능하게 함을 나타낸다. 통신 범위는 더욱 제약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가입자 유닛은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제 2 연관 제약조건과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제 2 가입자 유닛과 통신을 개시하게 하는 것이 허용되고, 제 1 가입자 유닛은 임의의 연관 제약조건과 제 1 연관 제약조건간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통신 수신측이 될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예로서, 제 2 가입자 유닛은 또 다른 연관 제약조건과 제 2 연관 제약조건과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 통신 수신측이 될 뿐이고, 제 2 가입자 유닛은 비교에 관계없이 통신을 발원할 수 있다.
위에 기술하고 논의된 장치, 프로세스들, 및 시스템들과 본 발명의 원리는 액세스 코드 또는 허용된 또는 허용되지 않은 가입자 유닛들의 리스트와 같은 비교적 변경불가의 고정된 방법들을 사용하고 그 밖의 모든 문제들을 시스템 사용자가 불편하고 당황스럽게도 무시하는 종래 기술의 통신 제어 기술들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들을 완화시키고자 하며 그렇게 할 것이다. 적합한 상황 하에서만 채팅 그룹들 또는 디스패치 그룹들 간에 통신을 제어하는 위에 논의된 원리들 및 개념들의 사용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친숙한 서비스 및 호가 용이해지므로, 사용자 만족도에 기여하며 비적합한 그룹들의 상당 수의 그룹들의 사람들에 의해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게 된다.
본 개시되는 바는 진정한, 의도된 적정의 범위 및 이의 정신을 제한하기보다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을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개시된 면밀한 형태로만 본 발명을 구성되게 하거나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수정 또는 변경이 전술의 교시된 바를 보아 가능하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이의 실제 응용의 최상의 예시를 제공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여러가지 실시예들 및 고찰된 특정의 사용에 적합한 여러가지 수정들을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선택되고 기술되었다. 모든 이러한 수정 및 변형들은 본 특허출원의 계류 중 보정될 수 있는 첨부한 청구항들, 및 이들의 모든 등가물들이 정당하게, 법적으로, 공정하게 부여된 범위에 따라 해석되었을 때, 이 들에 의해 결정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7)

  1. 통신 시스템에서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그룹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상기 그룹과 통신하기 위해 가입자 유닛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constraint)과 상기 그룹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상기 가입자 유닛과, 통신이 또한 가능하게된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상기 그룹의 임의의 다른 가입자 유닛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그룹 식별자(ID)를 갖고, 상기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 각각은 상기 그룹의 일원이고, 상기 가입자 유닛은 상기 그룹의 일원이 아니고,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은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고, 상기 그룹의 일원들 모두는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그룹의 일원이 아닌 상기 가입자 유닛은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 상기 그룹과의 통신이 허용되는, 통신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 중 하나는, 각각 복수의 제 1 연관 식별자들(ID들) 및 제 2 연관 ID들을 더 포함하고, 긍정적인 비교는 상기 복수의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 얻어지는, 통신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은 상기 가입자 유닛 및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임의의 그룹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되도록 동작하는 와일드 카드 식별자(wild card identifier)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5.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유닛들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제 2 가입자 유닛과의 일 대 일 통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을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 각각은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과 제 1 다른 가입자 유닛들간 및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과 제 2 다른 가입자 유닛들간에 임의의 연관들을 정의하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과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간 일 대 일 통신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 중 하나는, 각각 복수의 제 1 연관 식별자들(ID들) 및 제 2 연관 ID들을 더 포함하고, 긍정적인 비교는 상기 복수의 제 1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 얻어지는, 통신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은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지며,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은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지는, 통신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상기 제 1 가입자가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과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은 임의의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간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통신 수신자가 될 수 있는, 상기 허용하는 단계; 및
    또 다른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이 통신 수신자가 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은 상기 비교에 관계없이 통신을 발원할 수 있는, 통신 제어 방법.
  9.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그룹과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내 제어기로서,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상기 그룹과의 통신을 위해 가입자 유닛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 상호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그룹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과의 비교를 제공하는 비교기, 및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상기 가입자 유닛과, 통신이 또한 허용된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상기 그룹의 임의의 다른 가입자 유닛간 통신을 허용하는 판정기능으로서 동작하는, 제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그룹 식별자(ID)를 구비하고, 상기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 각각은 상기 그룹의 일원이며, 상기 가입자 유닛은 상기 그룹의 일원이 아니며,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은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며, 상기 그룹의 일원들 모두는 통신이 허용되며,
    상기 판정기능은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 상기 그룹의 일원이 아닌 상기 가입자 유닛이 상기 그룹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어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 중 하나는, 각각 복수의 제 1 연관 식별자들(ID들) 및 제 2 연관 ID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복수의 제 1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 긍정적인 비교를 제공하는, 제어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은 상기 가입자 유닛 및 연관된 가입자 유닛들의 임의의 그룹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되도록 동작하는 와일드 카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기.
  13. 가입자 유닛들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내 제어기로서,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제 2 가입자 유닛과의 일 대 일 통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 상호 결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에 대응하는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를 제공하는 비교기로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 각각은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과 제 1 다른 가입자 유닛들간 및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과 제 2 다른 가입자 유닛들간에 임의 연관들을 정의하는, 상기 비교기; 및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과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간 일 대 일 통신을 허용하는 판정기능으로서 동작하는, 제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 중 하나는 각각 복수의 제 1 연관 식별자들(ID들) 및 제 2 연관 ID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복수의 제 1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연관 ID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만 긍정적인 비교를 제공하는, 제어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을 수신하도록 또한 동작하는, 제어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 및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각각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 및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을 포함하는, 제어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기능은,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상기 제 1 가입자가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과의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 가입자 유닛은 임의의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1 연관 제약조건간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통신 수신자가 되는 것이 허용되는 것; 및
    또 다른 연관 제약조건과 상기 제 2 연관 제약조건의 또 다른 비교가 긍정적일 때만 상기 제 2 가입자가 통신 수신자가 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2 가입자 유닛은 상기 다른 비교에 관계없이 통신을 발원할 수 있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하는, 제어기.
KR1020057008612A 2002-11-14 2003-11-13 가입자 유닛들 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0711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94,128 2002-11-14
US10/294,128 US20040098455A1 (en) 2002-11-14 2002-11-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subscriber un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617A KR20050086617A (ko) 2005-08-30
KR100711141B1 true KR100711141B1 (ko) 2007-04-27

Family

ID=3229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612A KR100711141B1 (ko) 2002-11-14 2003-11-13 가입자 유닛들 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98455A1 (ko)
EP (1) EP1563399A1 (ko)
JP (1) JP2006508569A (ko)
KR (1) KR100711141B1 (ko)
CN (1) CN100377142C (ko)
AU (1) AU2003290844A1 (ko)
WO (1) WO2004046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995B2 (ja) * 2004-01-29 2007-10-2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二重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US7738897B2 (en) * 2004-09-17 2010-06-15 Nextel Communications Inc. Broadcast dispatch chatroom
US7756540B2 (en) * 2004-09-17 2010-07-13 Nextel Communications Inc. Public dispatch chatroom
US20070133520A1 (en) * 2005-12-12 2007-06-14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ally adapting peer groups
US7613703B2 (en) 2004-09-30 2009-11-03 Microsoft Corporation Organizing resources into collections to facilitate more efficient and reliable resource access
US7640299B2 (en) * 2004-09-30 2009-12-29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ing communication using scaleable peer groups
US8549180B2 (en) * 2004-10-22 2013-10-01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ing access to federation infrastructure-based resources
EP1867187A1 (en) * 2005-04-04 2007-12-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d-hoc location-based multicast group
US9313769B2 (en) * 2008-01-14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paging and registration utilizing multiple types of node identifiers
US20090182871A1 (en) * 2008-01-14 2009-07-16 Qualmcomm Incorporated Backup pag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094933B2 (en) 2008-01-14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paging utilizing multiple types of node identifiers
DE102008015233A1 (de) * 2008-03-20 2009-10-15 Rohde & Schwarz Professional Mobile Radio Gmbh Intergruppenkommunikation in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CN102916729B (zh) * 2012-09-04 2014-12-1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终端的近场通信方法、系统及触摸屏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3021A (ko) * 1990-12-21 1992-07-28 김정배 폴리비닐피리딘계 감광재의 개질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5362C2 (sv) * 1992-10-16 2001-07-23 Eritel Ab Styrning av datakommunikation i nät med slutna användargrupper
US5779549A (en) * 1996-04-22 1998-07-14 Walker Assest Management Limited Parnership Database driven online distributed tournament system
US6408336B1 (en) * 1997-03-10 2002-06-18 David S. Schneider Distributed administration of access to information
FI110401B (fi) * 1997-08-11 2003-01-15 Nokia Corp Suljetun tilaajaryhmän puhepostipalvelu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FI19991949A (fi) * 1999-09-13 2001-03-14 Nokia Networks Oy Suljettu käyttäjäryhmäpalvelu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GB9923340D0 (en) * 1999-10-04 1999-12-08 Secr Defence Improvements relating to security
WO2001093609A1 (en) * 2000-05-31 2001-12-06 Nokia Corporation Accessing numbers outside a closed user group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78153A1 (en) * 2000-11-02 2002-06-20 Chit Chung Providing secure, instantaneous, directory-integrated, multiparty, communications ser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3021A (ko) * 1990-12-21 1992-07-28 김정배 폴리비닐피리딘계 감광재의 개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90844A1 (en) 2004-06-15
CN1726481A (zh) 2006-01-25
JP2006508569A (ja) 2006-03-09
CN100377142C (zh) 2008-03-26
EP1563399A1 (en) 2005-08-17
KR20050086617A (ko) 2005-08-30
WO2004046947A1 (en) 2004-06-03
US20040098455A1 (en)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5579B2 (en) Group service with information on group members
CN102084671B (zh) 用于在基于基础设施的通信系统中分发媒体的方法
US7013003B2 (en) Location-based forwarding
US8331971B2 (en) Group call in a communications system
AU2005281679B2 (en) Group details of group services
US7711382B2 (en) Method for dynamic group call
CN101002451B (zh) 通过sip事件包的定义支持对一定上下文中的资源进行查询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
US20040082352A1 (en) Enhanced group call implementation
US20150365485A1 (en) Group details of group services
KR100711141B1 (ko) 가입자 유닛들 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200801534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sation break-in based on user context
US10645048B2 (en) Locking open group chat communications
JP2008092474A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6866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roup affiliation for a user with multiple mobile devices
US201101778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elephony Functions Associated With A Wireless Handheld Telephony Device
CN100477862C (zh) 一种确定集中控制服务器的方法及系统
JP4129549B2 (ja) Do−not−disturb機能の選択的なオーバーライド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CN102474421A (zh) 按键通话服务的群组处理
CN101646161B (zh) 多接口用户终端
JP2008527942A (ja) PoCシステムの発言権除去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7053487A (ja) 発言権管理システム、発言権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316396A (zh) PoC会话发言权控制系统和方法
JP2001352341A (ja)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0290478A (zh) 一种建立群组通信的方法和系统、移动性管理功能实体
JP2004343178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テレビ会議方法,アドホックパーティ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人材マッチング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