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079B1 -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 Google Patents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079B1
KR100711079B1 KR1020050132947A KR20050132947A KR100711079B1 KR 100711079 B1 KR100711079 B1 KR 100711079B1 KR 1020050132947 A KR1020050132947 A KR 1020050132947A KR 20050132947 A KR20050132947 A KR 20050132947A KR 100711079 B1 KR100711079 B1 KR 10071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rioventricular valve
ventricular
molding apparatus
correcting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Priority to KR102005013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45Annuloplasty rings in direct contact with the valve ann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54Means for preventing inversion of the valve leaflets, e.g. chordae tendineae prostheses
    • A61F2/2457Chordae tendineae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54V-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3/00Prosthesis, i.e. artificial body members, parts thereof, or aids and accessories therefor
    • Y10S623/902Method of implanting
    • Y10S623/904He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에 있어서, 심실 내부에 삽입 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V자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 종단에 구비된 제 1 구멍, V자 형상으로 꺽인 부분에 구비된 제 2 구멍 및 상기 제 1 구멍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구비된 제 3구멍을 포함한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와 상기 성형기구의 일측에 구비된 구멍 및 심실중격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합사, 상기 심실 중격과 연결설치된 성형기구에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된 구멍 및 심실 자유벽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합사를 더 포함하는 방실 판막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실판막의 판막하 구조물인 유두근과 건삭의 이동을 복원하여 판막의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방실판막 폐쇄부전증, 유두근, 건삭, 성형기구

Description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 {An Apparatus Set for Repairing Atrioventricular Valve Insufficiency Due to Ventricular Dilatation}
도 1은 심장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 세트의 적용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 세트의 다른 적용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세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몸체 4 : 제 1 구멍
6 : 제 2 구멍 8 : 제 3 구멍
10 : 뼈대 12 : 제 1 봉합사
14 : 제 2 봉합사 16 : 제 3 봉합사
18 : 방실판막 20 : 심실 자유벽
22 : 심실중격
본 발명은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의 성형 시에 사용되는 성형기구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실판막의 폐쇄부전이 심실확대와 동반되는 경우에 판막 폐쇄부전증의 교정에 사용되는 성형기구 및 성형기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심장에는 심장의 두 측부를 통한 혈액의 흐름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4개의 판막이 있다. 심장의 좌측(전신)에는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 승모판막과 좌심실과 대동맥간에 위치된 대동맥판막이 있으며, 이들 두 개의 판막은 폐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첨가된 혈액을 좌측을 통해서 대동맥으로 안내하여 신체에 분배한다.
한편, 우측(폐)에는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한 삼첨판막과 우심실과 폐동맥간에 위치한 폐동맥 사이에 위치한 폐동맥판막이 있는데, 이들 두 개의 판막은 신체에서 나오는 탈산소 혈액을 심장의 우측을 통해 폐동맥으로 안내하여 폐에 분배하고 거기에서 다시 산소가 첨가되어 순환이 재개된다.
전술한 4개의 심장판막은 자신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며 어떠한 능동적인 수축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수동구조이고, 상기 판막의 차등압력에 반응하여 개폐되도록 설계된 운동 가능한 '소엽'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심실에 구비되어 혈액의 흐름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승모판막과 삼첨판막을 심방과 심실사이에 위치한다고 하여 방실판막이라 하는데, 상기 방실판막은 심실에서 기시(originate)한 유두근과 상기 유두근에 기시한 건삭이 마치 우산 모양으로 펼쳐져 판막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심실이 확대되어 유두근 사이의 간격과 건삭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 판막엽이 제대로 닫히지 않게 되어 판막 폐쇄부전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폐쇄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판막륜과 판막엽을 줄여주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바, 전술한 판막륜 및 판막엽을 줄여주는 치료방법은 약 30 내지 40% 정도는 잔여 판막 폐쇄부전증이 남아 있게 되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는 판막엽과 판막륜 하단의 판막하 구조물인 유두근과 건삭의 위치가 심실의 확대에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전술한 심실확대와 동반되어 나타나는 판막의 폐쇄부전증은 심실중격(intraventricular septum) 보다 심실의 자유벽(free wall)에 해당되는 전벽이 늘어남으로써 기시된 유두근과 건삭의 위치가 달라져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판막하 구조물인 유두근과 건삭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반증하는 일례로서, 활로 4증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우심실 비대를 동반한 활로 4증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상기 활로 4증 환자에서는 우심실 비대가 있어도 삼첨판막 폐쇄부전증이 거의 동반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유추해보면 우심실 내강이 비어있지 않는 것이 판막 폐쇄부전증 치료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으며, 상기 활로 4증은 강력하게 발달된 모더레이트 밴드(moderate band)라는 심 실내 근주(intraventricular trabeculation)가 우심실 내강을 일정용적 이하로 유지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모더레이트 밴드란 심실내에 발달되어 있는 근육의 줄기, 즉 근주 중에서 가장 뚜렷한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심실의 내부 뼈대를 이루는 근육중 제일 뚜렷하고 심실의 자유벽에서 심첨(apex)을 거쳐 심실중격으로 지나는 근육뭉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심실확대와 동반되어 나타나는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판막륜과 판막엽의 성형만으로 방실판막, 특히 삼첨판막의 폐쇄부전증을 치료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심실내강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방실판막의 판막하 구조물의 위치 이동을 복원하기 위해 심실 내강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한하기 위한 성형기구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심실확대와 동반되어 나타나는 방실판막의 폐쇄부전 상태에서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의 판막하 구조물인 유두근과 건삭의 이동을 원래대로 복원함으로써 판막의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실판막의 판막하 구조물의 재건을 완성하는 것에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심실확대로 인한 유두근과 건삭의 위치를 원래대로 복원시키기 위해 심실 내부에 삽입되는 V자 형상의 성형기구의 꺽인부분 일측을 심실(특히 우심실) 전벽에 연결설치하고, 그에 대향되는 2개의 종단부를 심실중격에 연결설치하여 고정시키는 봉합사를 포함하는 성형기구 세트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한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심실 내부에 삽입 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V자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 종단에 구비된 제 1구멍, V자 형상으로 꺽인 부분에 구비된 제 2 구멍 및 상기 제 1 구멍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구비된 제 3 구멍을 포함하는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성형기구, 성형기구의 일측에 구비된 구멍 및 심실중격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합사, 상기 심실 중격과 연결설치된 성형기구에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된 구멍 및 심실 자유벽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합사를 더 포함하는 방실 판막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는 봉합사에 의하여 심실 내부의 심실 자유벽 및 심실중격의 벽면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므로, 심실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일정한 강도를 지니며, 인체에 삽입되어도 어떠한 화학적 반응 및 부작용을 발 생시키지 않는 생체 친화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프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우레탄, 페리카디움 또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성형기구의 몸체 내부에는 심장의 박동주기에 따라 탄성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뼈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는 심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성형기구의 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심실의 자유벽 또는 심실중격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 일정 강도 및 탄성을 지니면서 인체에 삽입되어도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어떠한 봉합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의료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봉합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TFE 봉합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심장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 세트의 적용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 세트의 다른 적용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 구세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는 크게 성형기구와 성형기구를 심실 자유벽(20)과 심실중격(22)에 연결설치하여 고정시키는 봉합사(12, 14, 1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기구는 V자 형상을 갖는 몸체(2), 상기 몸체 일측 종단에 구비된 제 1 구멍(4), V자 형상으로 꺽인 부분에 구비된 제 2 구멍(6) 및 상기 제 1 구멍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구비된 제 3구멍(8)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2)는 봉합사(12, 14, 16)에 의하여 심실 내부의 심실 자유벽(20) 및 심실중격(22)벽면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어 늘어난 심실을 삼각형 구조로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길쭉하게 형성된 형태, 예를 들면 직육면체형, 원통형, 원기둥형, 봉형 등을 중심을 기준으로 V자 형상으로 꺽어놓은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봉 형태를 V자 형상으로 꺽어 놓은 것이 좋고, 그 크기는 심실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라면 어떠한 크기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우심실 내부에 구비된 우심실 자유벽(20)과 심실중격(22) 사이에 놓일 정도의 크기인 것이 좋으며, 그 재질로는 인체에 무해하고, 인체에 삽입되어 어떠한 화학적 반응 및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인체 친화성 재질이라면 무엇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프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우레탄, 페리카디움 또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몸체(2)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뼈대(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뼈대(10)는 심장의 박동 주기에 따라 심장의 팽창 시에는 심실 자유벽(20)이 필요이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수축 시에는 탄성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몸체(2)의 고정을 도와주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파이어럴 형태가 좋고, 그 재질로는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 스테인레스 합금 재질의 스프링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 세트의 봉합사(12, 14, 16)는 성형기구의 일측에 구비된 구멍 및 심실중격(22)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합사(12, 14, 16), 상기 심실 중격(22)과 연결설치된 성형기구에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된 구멍 및 심실 자유벽(20)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합사(12, 14, 1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봉합사(12, 14, 16)는 그 일측을 상기 성형기구의 몸체(2)에 구비된 구멍(4, 6, 8)에 각각 삽입하여 연결설치하고 그 대향되는 타측을 심실 자유벽(20) 또는 심실중격(22)에 연결설치하여 고정하는바, 임의로 성형기구의 제 1 구멍(4)과 연결되는 봉합사를 제 1 봉합사(12), 제 2 구멍(6)과 연결설치되는 봉합사를 제 2 봉합사(14), 제 3 구멍(8)과 연결되는 봉합사를 제 3 봉합사(16)로 지칭하고, 그 재질로는 일정 강도 및 탄성을 지니면서 인체에 삽입되어도 무해하며, 부작용을 발 생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잇는 통상적인 봉합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TFE 봉합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의 사용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두근과 유두근 사이와 건삭과 건삭의 사이 간격이 넓어지면서 판막엽이 제대로 닫히지 않게 되어 판막 폐쇄부전증이 발생한 경우, 성형기구의 몸체(2)에 구비된 제 1 구멍(4), 제 2구멍(6) 및 제 3 구멍(8)에 충분한 길이의 제 1 봉합사(12), 제 2 봉합사,(14) 제 3 봉합사(16)를 적어도 하나 이상씩 연결설치하여 고정시킨 후 제 1 봉합사(12) 및 제 3 봉합사(16) 또는 제 2 봉합사(14)를 심실 내부의 심실 자유벽(20)의 내벽면에 연결설치한다.
그 다음, 제 1 봉합사(12) 및 제 3 봉합사(16) 또는 제 2 봉합사(14) 중 심실 자유벽(20)과 연결되지 않은 봉합사(12, 14, 16)를 심실중격(22)의 내벽면에 연결설치하여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제 1 봉합사(12)와 제 3 봉합사(16)를 심실 자유벽(20)과 연결설치할 경우, 제 2 봉합사(14)를 심실중격(22)에 연결설치하여 성형기구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봉합사(12, 14, 16)로 연결된 몸체(2)와 봉합사(12, 14, 16)의 연결부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12, 14, 16)들의 연결부위를 연결한 면이 방실판막(18)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좋고, 상기 몸체 (2)가 심실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심실의 확대로 인해 발생한 방실판막의 폐쇄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해 확대된 심실의 양측벽면인 심실 자유벽과 심실중격 사이를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성형기구를 삽입하여 연결설치함으로써 방실판막의 판막하 구조물인 유두근과 건삭의 이동을 복원하여 판막의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에 있어서,
    심실 내부에 삽입 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V자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 종단에 구비된 제 1 구멍, V자 형상으로 꺽인 부분에 구비된 제 2 구멍 및 상기 제 1 구멍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구비된 제 3구멍을 포함하는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 테프론, 폴리테트라프루오르에틸렌, 폴리우레탄, 페리카디움, 실리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실 판막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탄성을 갖는 뼈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실판막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뼈대는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실 판막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성형기구의 일측에 구비된 구멍 및 심실중격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합사, 상기 심실 중격과 연결설치된 성형기구에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된 구멍 및 심실 자유벽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합사를 더 포함하는 방실 판막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탄성을 갖는 뼈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실판막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뼈대는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실 판막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
KR1020050132947A 2005-12-29 2005-12-29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KR10071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947A KR100711079B1 (ko) 2005-12-29 2005-12-29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947A KR100711079B1 (ko) 2005-12-29 2005-12-29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079B1 true KR100711079B1 (ko) 2007-04-27

Family

ID=3818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947A KR100711079B1 (ko) 2005-12-29 2005-12-29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0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0424A (en) * 1988-06-30 1990-10-02 Grooters Ronald K Method of replacing a defective atrio-ventricular valve with a total atrio-ventricular valve bioprosthesis
WO1999011201A2 (en) 1997-09-04 1999-03-11 Endocore, Inc. Artificial chordae replacement
US6358277B1 (en) * 2000-06-21 2002-03-19 The International Heart Institute Of Montana Foundation Atrio-ventricular valvular device
KR20020087135A (ko) 2000-04-13 2002-11-21 파올로 페라찌 심근병증 치료용 심실내 장치
KR20050014434A (ko) 2003-07-31 2005-02-07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0424A (en) * 1988-06-30 1990-10-02 Grooters Ronald K Method of replacing a defective atrio-ventricular valve with a total atrio-ventricular valve bioprosthesis
WO1999011201A2 (en) 1997-09-04 1999-03-11 Endocore, Inc. Artificial chordae replacement
KR20020087135A (ko) 2000-04-13 2002-11-21 파올로 페라찌 심근병증 치료용 심실내 장치
US6358277B1 (en) * 2000-06-21 2002-03-19 The International Heart Institute Of Montana Foundation Atrio-ventricular valvular device
KR20050014434A (ko) 2003-07-31 2005-02-07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647B2 (en) Transcatheter prosthetic valve for mitral or tricuspid valve replacement
EP3220856B1 (en) Heart valve prosthesis
ES2242742T3 (es) Dispositivo endoventricular para el tratamiento y la correccion de miocardiopatias.
RU2666591C2 (ru) Протез клапана, 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посредством катетер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CN109414321B (zh) 治疗瓣膜反流的装置
US82163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regurgitant heart valve
US752764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taining a native heart valve leaflet
AU2005234793B2 (en) Implantable prosthetic valve
US6726716B2 (en) Self-molding annuloplasty ring
BR102015024747B1 (pt) Dispositivo implantável para tratar regurgitação de válvula mitral
US2012018504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taining a native heart valve leaflet
CA2910948A1 (en) Implantable heart valve devices, mitral valve repair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3682851A1 (en) Valve stent and valve prosthesis
CN111329622B (zh) 一种介入式人工心脏瓣膜
WO2022037242A1 (zh) 瓣膜支架及人工心脏瓣膜
CN111329623B (zh) 一种介入式人工心脏瓣膜
US20200368017A1 (en) Geometrically-accommodating heart valve replacement device
BRPI0721250A2 (pt) anel mitral para anuloplastia
US200600951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orarily clamping a tubular graft to a prosthetic cardiac valve
KR100711079B1 (ko)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CN216933624U (zh) 一种瓣膜支架、瓣膜假体和植入瓣膜假体的组件
KR20050014434A (ko) 심실확대로 인한 방실판막 폐쇄부전증을 교정하기 위한성형기구 세트
KR100604974B1 (ko) 방실판막의 판막하 구조물을 재건하기 위한 성형기구 세트
CN114305806A (zh) 一种瓣膜支架、瓣膜假体和植入瓣膜假体的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