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733B1 - 포토 루미네선스층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포토 루미네선스층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733B1
KR100710733B1 KR1020050021692A KR20050021692A KR100710733B1 KR 100710733 B1 KR100710733 B1 KR 100710733B1 KR 1020050021692 A KR1020050021692 A KR 1020050021692A KR 20050021692 A KR20050021692 A KR 20050021692A KR 100710733 B1 KR100710733 B1 KR 10071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ad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057A (ko
Inventor
최동욱
Original Assignee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73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대화면 구현에 유리한 전극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이로 구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시된다. 상기 발광 소자는 투명 유리 기판, 상기 투명 유리 기판상에 형성되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금속 양극, 상기 양극과 접촉하며, 최소한 전자 수송층 및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에서 발생하는 광으로부터 여기되는 2차광을 발하는 포토 루미네선스층 및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상에 형성되는 금속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포토 루미네선스, 금속 양극, 개구부, 메쉬

Description

포토 루미네선스층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PHOTO-LUMINESCENCE LAYER AND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0 : 투명 기판 110 : 금속 양극
112 : 개구부 120 :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121 : 정공 주입층 123 : 정공 수송층
124 : 포토 루미네선스층 125 : 전계 발광층
127 : 전자 수송층 129 : 전자 주입층
130 : 금속 음극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화면 구현에 유리한 전극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이로 구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단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여기자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 특정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소자로서, 양극(anode),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 등의 유기 물질층 및 음극(cathode)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소자를 패널 내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는 저전압 구동, 높은 발광 효율, 높은 시야각, 그리고 빠른 응답 속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고화질의 동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 중의 하나로서 현재 제품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기판 상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투명한 양극과, 이 양극상에 형성되며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격자상의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물질층과, 이들 유기 발광 물질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양극과 직교하는 복수의 음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양극 물질로는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은 투명 산화물 도전 물질이 사용된다. 그러나, 인듐주석 산화물은 금속 전극에 비해 매우 높은 저항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전극 저항이 높은 상태에서는 전압 강하로 인해 디스플레이 내의 전위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고, 발광 소자간의 휘도가 불규칙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특허공개공보 평4-254887호는 투명 전극에 금속으로 된 버스 전극을 추가하여 투명 전극이 갖는 저저항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은 금속 전극으로 인해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광량이 금속 전극으로 인해 감소되어 결국 소자의 휘도를 저하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170688호는 버스 전극으로 인한 휘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발광층의 광을 외부로 추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버스 전극 구조를 제시한 바 있다.
도 1은 상기 일본특허공개공보가 제시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1)는 투명 유리 기판(2)상에 개구부를 갖는 금속층(3) 및 이 금속층을 덮으면서 적층되는 ITO 등의 투명 도전막(4a)을 포함하는 양극(4)과, 유기 전계 발광층(5) 및 상기 유기 전계 발광층(5)상에 음극(6)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층(5)은 정공 수송층(51) 및 발광층으로 기능하는 전자 수송층(52)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금속층(3)은 발광층(5)에서 발광한 빛이 빠져나오도록 개구부(3a)가 픽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여전히 발광 소자의 휘도 저하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금속층(3)과 상기 음극(6) 사이에 걸리는 전계는 상기 발광층(5)의 일부에 집중된다. 즉, 상기 개구부(3a)와 면하는 상기 발광층(5)에 인가되는 전계는 미미하기 때문에 발광층(5)의 일부만 발광하게 되어 휘도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부 영역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빠져 나오는 동안 반사 또는 산란 등으로 인해 광 강도가 감소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상기 구조에서 상기 금속층(3)상에는 투명 도전막(4a)이 존재하므로 투과하는 광량은 더욱 감소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휘도 저하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면적화에 유리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 내의 개별 발광 소자의 전위 분포의 불균일 및 휘도의 불규칙성을 개선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명 유리 기판, 상기 투명 유리 기판상에 형성되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금속 양극, 상기 양극과 접촉하며, 최소한 전자 수송층, 발광층, 및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에서 발생하는 광으로부터 여기되는 2차광을 발하는 포토 루미네선스층 및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상에 형성되는 금속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소자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구조는 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전자주입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상기 발광층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상기 발광층의 상측 또는 하측에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자에서 상기 발광층의 재질은 ADN이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의 재질은 DCJTB가 도핑된 Alq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의 재질은 ADN이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의 재질은 페릴렌(perylene)이 도핑된 AD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의 재질은 ADN이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의 재질은 C-545T가 도핑된 Alq3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자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구조는 정공수송층/전자수송층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상기 정공 수송층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거나 상기 정공 수송층의 상측 또는 하측에 존재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유리 기판과, 상기 투명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양극 및 음극과, 상기 복수의 양극 및 음극에 의해 규정되는 복수의 화소에 형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를 규정하는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에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는 그 내부에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에 의해 발광되는 광에 의해 여기되어 2차광을 발하는 포토 루미네선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최소한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이하 참조하는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지칭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의 디멘전이나 형상은 반드시 본 발명의 소자 구조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소자는 투명 유리 기판(100), 금속 양극(110),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120) 및 금속 음극(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속 양극(110)은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120), 특히 발광층(125)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통과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1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소자에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120) 내부에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양극(110) 재료로는 알루미늄과 같은 통상의 전극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양극은 기상 증착 및 포토 리소그래피와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패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개구부를 갖는 금속 양극의 구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부연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음극 재료로는 낮은 일함수를 갖는 활성 금속 또는 금속 합금, 예컨대 Mg, Ag, MgAg-Li, LiAl, LiF-Al 등이 사용되며, 금속 새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공 주입층(121), 정공 수송층(123), 발광층(125), 전자 수송층(127) 및 전자 주입층(12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는 정공 수송층(123), 발광층(125), 및 전자 수송층(127)만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물질의 증착은 미세 금속 새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통상의 진공 박막 증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유기 전계 발광 물질 적층 구조(120)를 구성하는 정공 주입층(121), 정공 수송층(123), 전자 수송층(127) 및 전자 주입층(129)을 구성하는 적층 물질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층(125) 및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을 구성하는 물질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라면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 소자가 적색 발광 소자일 경우, 상기 전계 발광층(125)의 재질로는 인가된 전계에 의해 자외선 혹은 가시광 영역의 광을 발하는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으로는 상기 전계 발광층(125)으로부터의 입사광에 의해 여기되어 가시광 영역에서 적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형광체가 사용되거나, 상기 입사광과 함께 혼색되어 적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발광 소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상기 발광 소자가 적색 발광 소자일 경우, 상기 전계 발광층(125)으로는 ADN(9,10-di-(2-naphthyl) antracene)이,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으로는 Alq3 호스트에 DCJTB를 도펀트로 한 유기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가 녹색 발광 소자일 경우, 상기 전계 발광층(125)으로는 ADN이,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으로는 Alq3 호스트에 C-545T가 도핑된 유기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가 청색 발광 소자일 경우, 상기 전계 발광층(125)으로는 ADN이,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214)으로는 ADN 호스트에 페릴렌(perylene)이 도핑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120)의 내부에는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이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은 상기 전계 발광층(125)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는 2개의 상이한 조성으로 된 발광층이 존재한다. 즉, 첫 번째 발광층은 전계 발광층(125)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걸리는 전계에 의해 주입되는 전자 및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발광하는 층이다. 두 번째 발광층은 상기 전계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광(자외선 포함, 이하 같음)에 의해 여기되어 발광하는 층으로, 2차광을 발하는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자 구조에서는 양극의 중심부에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계가 집중되는 부분은 소자의 주변부 측이며, 이곳에는 전계 발광층(125)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양극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부분인 중심부에는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이 배치된다.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은 상기 전계 발광층(125)으로부터 발생된 광으로부터 여기되어 2차광을 발생한다. 상기 전계 발광층(125)으로부터 발광된 1차광은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내부에서 반사 또는 산란되며, 반사 또는 산란되어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으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을 여기하여 2차광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2차광은 상기 양극 사이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전술한 도 2의 소자 구조는 ITO와 같은 투명 전극을 채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투명 전극의 투과도 한계로 인한 휘도의 손실이 적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자는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을 구비하여 전계 발광층(125)에서 방출되어 소자 내부에서 산란하는 광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포토 루미네선스 발광을 얻는다. 따라서, 광의 산란으로 인해 손실되는 에너지를 감소시 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휘도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상기 소자 구조의 매트릭스로 형성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는 양극 물질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사용한다.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은 ITO와 같은 투명 전극에 비해 매우 낮은 저항값을 가지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개별 소자간의 전위 분포의 불균일을 완화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개별 화소간의 휘도 불규칙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구조는 대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의 기본 단위로 구현되기에 적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유리 기판(100)상에 개구부가 형성된 양극(110), 유기 물질로 된 정공 주입층(121), 정공 수송층(123), 발광층(125), 전자 수송층(127) 및 전자 주입층(1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공 수송층(123)상에는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는 달리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은 상기 발광층(125)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수직적인 관계를 가지며 형성되고 있다. 비록 도 3이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이 상기 발광층(125) 하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은 상기 발광층(125) 상부에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의 소자 구조의 동작 메커니즘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유기 전계 발 광 소자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도 3의 소자에서도 두 개의 발광층, 즉 전계 발광층(125) 및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이 존재하여 각각의 발광 메커니즘에 따라 발광한다. 상기 전계 발광층(125)의 발광은 주로 전계가 집중되는 소자 주변부에서 활성화되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의 발광은 소자 전 범위에 걸쳐 발생한다.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에서 발광된 광은 상기 양극(110)의 개구부를 통해 투명 유리 기판 외부로 방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마찬가지로, 투명 유리 기판(100)상에 개구부를 갖는 양극(110), 정공 주입층(121), 정공 수송층(123), 발광층(125), 전자 수송층(127) 및 전자 주입층(129)이 순차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공 수송층(123)과 상기 발광층(125) 사이에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의 구조와는 달리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은 상기 소자에서 개구부(112)에 대응하는 부위에 국한되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은 상기 발광층(125)상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소자 주변부의 투명 유리 기판(100)에는 트렌치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렌치 구조에는 금속 양극(110)이 형성된다. 상기 트렌치 구조에 의해 자연 돌출되는 상기 투명 유리 기판(100)의 돌출부는 전술한 개구부 (112)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5의 구조에서 트렌치 구조를 제외한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120)는 전술한 도 2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가 함몰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120)의 평탄성이 보장된다는 점에 있어서 도 2와 상이하다.
물론,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의 트렌치 구조상에 도 3 및 도 4에서 예시한 유기 전계 발광층(125) 및 포토 루미네선스층(12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양극상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개구부는 음극상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소자의 금속 양극은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금속 양극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양극으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금속 메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전계 발광 소자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전계 발광 소자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에도 응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명 기판(100)상에는 개별 화소 형성 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양극(110) 및 음극(130)이 형성되며, 상기 양극과 음극은 패드 영역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 연결된다. 상기 양극(110) 및 음극(130)에 의해 정의되는 개별 화소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기본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현 형태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 범위와 그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존의 투명 전극을 사용하지 않으며 포토 루미네선스층을 채택하여 광의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소자의 휘도 저하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기본 구성 단위로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존의 투명 전극을 대체하여 저저항의 금속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패널 내의 개별 발광 소자간의 전위 분포의 불균일을 완화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개별 화소간의 휘도 불규칙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대면적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의 구현에 적합하다.

Claims (14)

  1. 투명 유리 기판;
    상기 투명 유리 기판상에 형성되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금속 양극;
    상기 양극과 접촉하며, 최소한 전자 수송층, 발광층, 및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에서 발생하는 광으로부터 여기되는 2차광을 발하는 포토 루미네선스층; 및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상에 형성되는 금속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구조는 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전자주입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상기 발광층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상기 발광층의 상측 또는 하측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의 재질은 ADN이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의 재질은 DCJTB가 도핑된 Alq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의 재질은 ADN이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의 재질은 페릴렌(perylene)이 도핑된 AD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의 재질은 ADN이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의 재질은 C-545T가 도핑된 Alq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구조는 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상기 발광층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거나 상기 발광층의 상측 또는 하측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양극은 메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투명 유리 기판과, 상기 투명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양극 및 음극과, 상기 복수의 양극 및 음극에 의해 규정되는 복수의 화소에 형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를 규정하는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에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적층 구조는 그 내부의 발광층에 의해 발광되는 광에 의해 여기되어 2차광을 발하는 포토 루미네선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최소한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ADN을 포함하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DCJTB가 도핑된 Alq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ADN을 포함하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페릴렌(perylene)이 도핑된 AD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ADN을 포함하며, 상기 포토 루미네선스층은 C-545T가 도핑된 Alq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21692A 2005-03-16 2005-03-16 포토 루미네선스층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92A KR100710733B1 (ko) 2005-03-16 2005-03-16 포토 루미네선스층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92A KR100710733B1 (ko) 2005-03-16 2005-03-16 포토 루미네선스층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57A KR20060100057A (ko) 2006-09-20
KR100710733B1 true KR100710733B1 (ko) 2007-04-23

Family

ID=3763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92A KR100710733B1 (ko) 2005-03-16 2005-03-16 포토 루미네선스층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5485A1 (ko) * 2013-04-25 2014-10-3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464A (ja) 1998-10-27 2000-05-1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1223078A (ja) 2000-01-27 2001-08-17 General Electric Co <Ge> 有機層及びホトルミネセンス層を有する光源
JP2002216973A (ja) 2001-01-18 2002-08-02 Sharp Corp 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464A (ja) 1998-10-27 2000-05-1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1223078A (ja) 2000-01-27 2001-08-17 General Electric Co <Ge> 有機層及びホトルミネセンス層を有する光源
JP2002216973A (ja) 2001-01-18 2002-08-02 Sharp Corp 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57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563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98312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73540B1 (ko) 유기 발광 장치
KR10096307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5805935B2 (ja) 有機発光装置
US20060232992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ac driving of organic diodes
US20050242712A1 (en) Multicolor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906506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20020087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21533520A (ja) Oled表示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JP2008103305A (ja) 電界発光パネル及びそれを含む光源装置
KR1018943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1585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77712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135536B1 (ko) 유기 발광 장치
KR100710733B1 (ko) 포토 루미네선스층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KR101849583B1 (ko)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449721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KR101744874B1 (ko) 유기발광소자
JP2007335590A (ja) 有機el素子
US10411213B2 (en) White LED with two blue layers and a yellow layer and the display panel thereof
KR100752887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KR20140135034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31675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0923354B1 (ko) 유기전계발광조명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