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380B1 -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380B1
KR100710380B1 KR1020050106913A KR20050106913A KR100710380B1 KR 100710380 B1 KR100710380 B1 KR 100710380B1 KR 1020050106913 A KR1020050106913 A KR 1020050106913A KR 20050106913 A KR20050106913 A KR 20050106913A KR 100710380 B1 KR100710380 B1 KR 10071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mage file
terminal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배경화면 출력이 요구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현재 표시부가 배치된 상태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호출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의 배치상태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변경되더라도 왜곡되지 않은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가로형

Description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Background-Picture of Terminal}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배경화면의 왜곡현상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경화면 설정 메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2: 메모리 204: 키 입력부
206: 제어부 208: 표시부
210: 무선회로부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부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배치될 수 있는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표시부의 배치상태에 따라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 파일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 인터넷폰, IMT-2000 단말기, PDA 폰, DMB용 단말기 등과 같이 통신 기능과 화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기능이 사진 및 동영상 모드 디스플레이 기능, 카메라 및 캠코더 기능, 및 전자수첩 및 전자사전 기능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되어 나가고 있고, 나아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기술을 이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TV까지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더욱 유용한 폭이 넓은 와이드 영상이 요구되면서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표시부를 가로로 배치할 수 있는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말기의 배경화면은 단말기 표시부의 배치상태와는 무관하게 한 개의 이미지 파일만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나 표시부의 배치상태와 상관없이 배경화면을 설정한 경우 화면의 비율을 조절해서 디스플레이되므로 배경화면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경화면의 왜곡현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a와 같이 사진의 사이즈(픽셀수)가 세로형 LCD의 사이즈에 적합한 256*320인 사진 파일을 세로형 배경화면으로 설정한 경우 LCD의 배치 상태가 가로형으로 변경되면 도 1b와 같이 가로형 LCD 사이즈인 320*256에 맞게 이미지 가 좌우로 확대되면서 리사이징되어 사진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는 도 1c와 같이 좌우로는 흰색 여백이 생기게 되고 상하로는 이미지가 잘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의 경우, 즉 가로형 LCD에 적합한 사진 파일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한 경우 LCD의 상태가 세로형으로 변경되면 세로형 LCD에 맞게 상하로 길쭉하게 늘어나거나 상하에 빈 여백이 생기고 좌우는 이미지가 잘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사진 파일과 같은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나 표시부의 배치상태에 상관없이 오로지 한 개의 이미지 파일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배경화면을 볼 때 표시부의 배치상태에 따라 자신이 설정한 이미지와는 다르게 왜곡된 이미지를 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표시부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배치될 수 있는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표시부의 배치상태에 따라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 파일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배경화면 출력이 요구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현재 표시부가 배치된 상태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호출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 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부에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파일과 단말기 동작 수행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배치될 수 있는 표시부; 및 배경화면 출력이 요구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의 배치상태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호출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확인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메모리(202), 키 입력부(204), 제어부(206), 표시부(208), 무선회로부(210)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202)에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6)에 의해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 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02)는 배경화면 설정 메뉴 및 배경화면 설정 메뉴에서 선택된 이미지 파일 정보를 저장하여 제어부에 제공한다. 또한 메모리(202)는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하였거나 외부에서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키 입력부(204)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하기 위하여 또는 배경화면을 보기 위하여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사용 요청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06)로 출력한다. 또한, 키 입력부(204)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 스틱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208)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고, 현재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가 적절한 제어를 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표시부에는 전원의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 현재의 모드 상태, 그 밖의 사용자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08)는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된 상태에 따라 설정된 이미지 파일을 제어부에서 수신하여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무선회로부(21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단말기나 기지국에서 발송하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06)에 전송하거나, 메모리(202)에 저장되어 있는 데 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206)는 단말기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는 산술논리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 제어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단말기의 모든 동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6)는 배경화면 설정 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사항대로 또는 이미 디폴트되어 있는 대로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에 이미지 파일을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06)는 표시부에 배경화면 출력이 요구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표시부(208)의 현재 상태가 세로형인지 가로형인지를 판단한다. 이벤트에는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신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호(call) 신호가 수신된 경우, 단말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우,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또는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신호로는 단순히 대기화면을 보기 위하여, 또는 전원의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 현재의 모드 상태, 그 밖의 사용자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보기 위하여 소정의 키 버튼을 누를 경우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폴더부를 오픈하거나 슬라이딩부를 올리거나 스윙하는 경우 등 단말기의 사용을 개시할 때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06)는 표시부(208)의 현재 배치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설정된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202)로부터 호출하여 표시부(208)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표시부(208)의 현재 배치상태가 세로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세로형 배경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여 표시부(208)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표시부(208)의 현재 배치상태가 가로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가로형 배경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여 표시부(208)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배경화면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다(S302). 여기서 배경화면 설정 메뉴에는 가로형 배경화면과 세로형 배경화면을 선택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파일은 단말기에 이미 디폴트(default) 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촬영되어 저장되었거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이트 또는 타인으로부터 전송받은 사진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포함한다. 다만, 단말기에 가로형 배경화면과 세로형 배경화면으로 구분되어 이미지 파일이 디폴트(default)로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S302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로 S302 단계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경화면 설정 메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이 먼저 선택된 경우에 이를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메뉴가 제공된다. 여기서 배경화면 설정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배경화면 설정 메뉴가 제공되는데, 배경화면 설정 메뉴에서는 우선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로형 배경화면 또는 세로형 배경화면 중 선택할 있는 메뉴가 제공된다. 가로형 배경화면 또는 세로형 배경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벤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목록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가로형 배경화면에 적합한 사이즈의 사진을 호(call)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경화면으로 설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를 거칠 수 있다. 우선 가로형에 적합한 사이즈인 사진 파일을 선택한 후 제공되는 도 4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메뉴에서 '3. 배경화면 설정'을 선택한다. 이후 제공되는 도 4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메뉴에서 '1. 가로형 배경화면'을 선택한다. 이어서 제공되는 도 4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메뉴에서 '2. 전화 올 때'를 선택하고 저장한 경우 선택된 사항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미지 파일을 먼저 선택하고 도 4와 같이 배경화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도 4와 같이 배경화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먼저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이미지 파일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b와 도 4c에서 예시된 선택 메뉴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S302에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 후에 배경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요구하는 이벤트 발생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304). 여기서, 이벤트에는 도 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call) 신호가 수신된 경우, 단말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우,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또는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뿐 아니라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신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 다. 여기서,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신호로는 단순히 대기화면을 보기 위하여, 또는 전원의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 현재의 모드 상태, 그 밖의 사용자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보기 위하여 소정의 키 버튼을 누를 경우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폴더부를 오픈하거나 슬라이딩부를 올리거나 스윙하는 경우 등 단말기의 사용을 개시할 때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배경화면 출력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현재 표시부의 배치상태가 가로형인지 세로형인지를 판단한다(S306). 여기서, 배치상태는 물리적으로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표시부가 배치되는 경우뿐 아니라 영상이 가로 또는 세로로 표시부에 출력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현재 표시부의 배치상태가 가로형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가로형 배경화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로부터 호출한다(S308). 한편, S306 단계에서 현재 표시부의 배치상태가 세로형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세로형 배경화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로부터 호출한다(S310). 여기서 이미지 파일은 단말기에 이미 디폴트 되어 있던 이미지 파일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파일일 수도 있다.
S308 단계 또는 S310 단계에서 메모리로부터 호출된 이미지 파일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312). 여기서 이미지 파일은 표시부의 배치상태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형 또는 세로형 배경화면에 적합한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을 별도로 배경화면으로 설정하여 표시부의 배치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표시부의 배치상태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변경되더라도 왜곡되지 않은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3)

  1.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배치가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단말기의 배경화면 설정밥법에 있어서,
    배경화면 출력이 요구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표시부가 배치된 상태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단계에서 호출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 방법은
    배경화면 설정 메뉴에서 가로형 또는 세로형 배경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신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호(call)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우,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및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 호출 단계는
    상기 현재 표시부 배치상태 판단단계에서 가로형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로형 배경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표시부 배치상태 판단단계에서 세로형으로 판단되는 경우, 세로형 배경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0. 표시부에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파일과 단말기 동작 수행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배치될 수 있는 표시부; 및
    배경화면 출력이 요구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의 배치상태가 가로형 또는 세로형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호출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파일은 배경화면 설정 메뉴에서 가로형 또는 세로형 배경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 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가로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가로형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세로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세로형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호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106913A 2005-11-09 2005-11-09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071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913A KR100710380B1 (ko) 2005-11-09 2005-11-09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913A KR100710380B1 (ko) 2005-11-09 2005-11-09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380B1 true KR100710380B1 (ko) 2007-04-23

Family

ID=3818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913A KR100710380B1 (ko) 2005-11-09 2005-11-09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3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684B1 (en) * 2000-09-26 2002-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in mobile terminal
KR20050105780A (ko) * 2004-05-03 2005-11-08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684B1 (en) * 2000-09-26 2002-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in mobile terminal
KR20050105780A (ko) * 2004-05-03 2005-11-08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956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EP1761008B1 (en) Multi-tasking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US7343178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switch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display switching program
EP236400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e in a portable terminal
JP4504302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6311224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20080291261A1 (en) Mobile terminal and video transmission method thereof
WO2013123728A1 (zh) 一种移动终端屏幕显示大小控制方法及装置
JP4255567B2 (ja) 移動電話装置
JP449719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MXPA05012326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cesar mensaje de alerta de terminal movil de comunicacion.
JP4365893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携帯電話機
JP200714106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メニュー表示切り替え方法
JP2009219163A (ja) 電子機器
JP2009116683A (ja) 情報処理装置
KR100710380B1 (ko) 단말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101013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40540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설정 방법
JP2009181510A (ja) 電子メール機能付き機器
JP200722850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20070011726A (ko) 전화기 겸용 디지털 텔레비젼
JP4783713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1313699A (ja) 通信端末およびその規制画面の表示方法
JP5093193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携帯電話機
KR2004004849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가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