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평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권상기(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메인 로프(4)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평형추는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33)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33)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각 비상 정지 장치(33)의 작동에 의해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본체(27)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를 가지고 있다. 승강로(1)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3)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13)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출력부(32)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공급된다. 출력부(32)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칸(3)과 제어반(13)의 사이에는, 제어 케이블(이동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케이블에는, 복수의 전력선이나 신호선과 함께, 제어반(13)과 각 비상 정지 장치(33)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포함되어 있다.
출력부(32)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운전 속도보다 큰 값으로 된 제 1 과속도와, 제 1 과속도보다 큰 값으로 된 제 2 과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출력부(32)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가 제 1 과속도(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고, 제 2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작동용 전력인 작동 신호를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33)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33)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해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인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 기구부(35)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가지고 있다. 쐐기(34) 및 지지 기구부(35)는, 안내부(36)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 즉 안내부(36)측으로의 변위에 따라 안내부(3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지지 기구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해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와, 접촉부(37) 및 작동 기구(38)를 지지하는 지지부(39)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37)는, 작동 기구(38)에 의해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쐐기(34)보다 가볍게 되어 있다. 작동 기구(38)는,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시키는 접촉 위치와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開離)시키는 개리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한 접촉부 장착 부재(40)와, 접촉부 장착 부재(40)를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41)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39) 및 접촉부 장착 부재(40)에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접촉부(37)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촉부(37)는, 접촉부 장착부재(40)의 왕복 변위에 따라 가동 안내구멍(43)이 슬라 이딩되며, 지지 안내구멍(42)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해 적정한 각도로 접촉 및 분리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면, 쐐기(34) 및 지지 기구부(35)는 제동되어 안내부(36)측으로 변위된다.
지지부(39)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수평 안내구멍(69)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안내구멍(6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쐐기(34)는, 지지부(39)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부(3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경사면(44) 및 접촉면(45)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4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접촉면(45)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해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쐐기(34) 및 지지 기구부(35)의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쐐기(34)는 경사면(44)에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접촉면(45)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위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도 4는 도 2의 액추에이터(41)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가동 철심(48)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액추에이터(41)는, 접촉부 장착 부재(40)(도 2)에 연결된 연결부(46)와, 연결부(46)를 변위시키는 구동부(47)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46)는, 구동부(47) 내에 수용된 가동 철심(가동부)(48)과, 가동 철심 (48)으로부터 구동부(47) 밖으로 뻗으며, 접촉부 장착 부재(40)에 고정된 연결봉(49)을 가지고 있다. 또, 가동 철심(48)은, 접촉부 장착 부재(40)를 접촉 위치로 변위시켜서 비상 정지 장치(33)를 작동시키는 작동 위치(도 5)와, 접촉부 장착 부재(40)를 개리 위치로 변위시켜서 비상 정지 장치(33)의 작동을 해제하는 통상 위치(도 4)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47)는, 가동 철심(48)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50a, 50b)와 각 규제부(50a, 50b)를 서로 연결하는 측벽부(50c)를 포함하며 가동 철심(48)을 에워싸는 고정 철심(50)과, 고정 철심(50) 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한쪽의 규제부(50a)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48)을 변위시키는 제 1 코일(51)과, 고정 철심(48) 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48)을 변위시키는 제 2 코일(52)과, 제 1 코일(51) 및 제 2 코일(52)의 사이에 배치된 환상의 영구자석(53)을 가지고 있다.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는, 연결봉(49)이 통과된 관통구멍(54)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48)은, 통상 위치에 있을 때에 한쪽의 규제부(50a)에 맞닿아 접하며,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 맞닿아 접하게 되어 있다.
제 1 코일(51) 및 제 2 코일(52)은, 연결부(46)를 에워싸는 환상(環狀)의 전자(電磁) 코일이다. 또, 제 1 코일(51)은 영구자석(53)과 한쪽의 규제부(50a)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코일(51)은 영구자석(53)과 다른 쪽의 규제부(5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48)이 한쪽의 규제부(50a)에 맞닿아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자 기 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48)과 다른 쪽의 규제부(50b)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53)의 자속량은 제 2 코일(52)측보다 제 1 코일(51)측에서 많아지고, 가동 철심(48)은 한쪽의 규제부(50a)에 맞닿아 접한 채로 유지된다.
또, 가동 철심(48)이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 맞닿아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48)과 한쪽의 규제부(50a)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53)의 자속량은, 제 1 코일(51)측보다 제 2 코일(52)측에서 많아지고, 가동 철심(48)은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 맞닿아 접한 채로 유지된다.
제 2 코일(52)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 2 코일(52)은, 한쪽의 규제부(50a)에의 가동 철심(48)의 맞닿아 접함을 유지하는 힘에 거스르는 자속을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코일(51)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복귀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코일(51)은,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의 가동 철심(48)의 맞닿아 접함을 유지하는 힘에 거스르는 자속을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출력부(32)의 내부 회로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출력부(32)에는 액추에이터(4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 회로(55)가 설치되어 있다. 급전 회로(55)는, 배터리(12)로부터의 전력을 충전 가능한 충전부(56)와, 배터리(12)의 전력을 충전부(56)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위치(57)와, 충전부(56)에서 충전된 전력을 제 1 코일(51) 및 제 2 코일(52)에 선택적으로 방전하는 방전 스위치(58)를 가지고 있다. 가동 철심(48)(도 4)은, 충전부(56)로부터 제 1 코일(51) 및 제 2 코일(52)의 어느 한쪽에의 방전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방전 스위치(58)는, 충전부(56)에 충전된 전력을 제 1 코일(51)에 복귀 신호로서 방전하는 제 1 반도체 스위치(59)와, 충전부(56)에서 충전된 전력을 제 2 코일(52)에 작동 신호로서 방전하는 제 2 반도체 스위치(60)를 가지고 있다.
충전부(56)는, 충전용 콘덴서인 통상 모드 콘덴서(61)를 갖는 통상 모드 급전 회로(62)와, 통상 모드 콘덴서(61)의 충전 용량보다 작은 충전 용량으로 된 충전용 콘덴서인 검사 모드 콘덴서(63)를 갖는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와, 통상 모드 급전 회로(62) 및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전환 스위치(65)를 가지고 있다.
통상 모드 콘덴서(61)는, 가동 철심(48)을 통상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까지 변위시키는 완전 동작의 통전량을 제 2 코일(52)에 공급 가능한 충전 용량으로 되어 있다.
검사 모드 콘덴서(6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와 통상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반동작 위치까지밖에 통상 위치로부터 변위되지 않을 정도의 반동작의 통전량, 즉 완전 동작의 통전량보다 적은 통전량을 제 2 코일(52)에 공급 가능한 충전 용량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철심(48)은, 반동작 위치에 있을 때 영구자석(53)의 자력에 의해 통상 위치까지 되돌려지게 되어 있다. 즉, 반동작 위치는, 통상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에서 가동 철심(48)에 작용하는 영구자석(53)의 자력이 균형을 이루는 중립 위치보다 통상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 있다. 또 한, 검사 모드 콘덴서(63)의 충전 용량은, 가동 철심(48)이 반동작 위치와 통상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해석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배터리(12)로부터의 전력은, 전환 스위치(63)의 전환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통상 모드)에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충전 가능하게 되며,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검사시(검사 모드)에 검사 모드 콘덴서(63)에 충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급전 회로(55) 내에는, 내부 저항(66) 및 다이오드(6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동작 검사 장치(68)는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접촉부 장착 부재(40)가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가동 철심(48)이 통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또, 제 1 반도체 스위치(59) 및 제 2 반도체 스위치(60)는 함께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 운전시에는, 통상 모드 급전 회로(64)가 전환 스위치(65)에 의해 통상 모드로 되어 있고, 배터리(12)로부터의 전력이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충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 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 후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 2 과속도로 되면, 제 2 반도체 스위치(60)가 온 동작되어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충전된 전력이 작동 신호로서 제 2 코일(52)에 방전된다. 즉,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코일(52)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48)은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통상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도 5).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밀어붙여져서 쐐기(34) 및 지지 기구부(35)가 제동된다(도 3). 가동 철심(48)은, 영구자석(53)의 자력에 의해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 맞닿아 접한 채로 작동 위치에서 유지된다.
엘리베이터 칸(3) 및 안내부(36)는 제동되지 않고 하강하기 때문에, 안내부(36)는 아래쪽의 쐐기(34) 및 지지 기구부(35)측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에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해, 더욱 위쪽으로 변위되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경사면(44)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19) 및 접촉면(45)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제 2 반도체 스위치(60)를 오프 상태로 하고,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배터리(12)의 전력을 재충전한 후, 제 1 반도체 스위치(59)를 온 동작시킨다. 즉, 복귀 신호를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 1 코일(51)이 통전되어, 가동 철심(48)이 작동 위치로부터 통상 위치로 변위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킴으로써, 쐐기(34) 및 접촉면(45) 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밀어붙여짐은 해제된다.
다음에,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을 검사할 때의 순서, 즉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충전 스위치(57)를 오프 상태로 한 후에, 제 1 반도체 스위치(59)를 투입하여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충전된 전력을 방전시킨다.
이 후, 배터리(12)의 접속을 전환 스위치(65)에 의해 통상 모드 급전 회로(62)로부터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로 전환한다. 이 후, 충전 스위치(57)를 온 상태로 하여, 검사 모드 콘덴서(63)에 배터리(12)의 전력을 충전시킨다. 충전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한 후, 제 2 반도체 스위치(60)를 투입함으로써 제 2 코일(52)에 통전시켜서, 통상 위치와 반동작 위치의 사이에서 가동 철심(48)을 변위시킨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이 정상이면, 가동 철심(48)은 통상 위치로부터 반동작 위치까지 변위되고, 다시 통상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이에 따라,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도 원활히 변위된다. 즉, 가동 철심(48),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는 정상적으로 반동작된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에 문제가 있으면, 가동 철심(48),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는,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반동작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문제의 유무를 검사한다.
검사 종료 후는, 전환 스위치(65)에 의해 검사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하고 충전 스위치(57)를 투입함으로써, 배터리(12)의 전력을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충전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33)의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방법에서는, 통상 위치와 반동작 위치의 사이에서 가동 철심(48)을 변위시키므로, 비상 정지 장치(33)를 완전히 작동시키는 일 없이,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검사(체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시에 쐐기(34) 및 접촉부(37)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동작 체크를 자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쐐기(34) 및 접촉부(37) 각각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비상 정지 장치(33)의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통상 모드시보다도 검사 모드시에 제 2 코일(52)에의 통전량을 줄임으로써, 반동작 위치와 통상 위치의 사이에서 가동 철심(48)을 변위시키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액추에이터(41)를 반동작시킬 수 있고,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검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동작 검사 장치(68)는, 완전 동작의 통전량보다 적은 반동작의 통전량을 제 2 코일(52)에 공급하는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를 가지고 있으므로,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제 2 코일(52)에의 전기적 접속을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로 전환하는 것만으로 검사 모드로 할 수 있어서,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검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는, 통상 모드 콘덴서(61)의 충전 용량보다도 적은 충전 용량으로 된 검사 모드 콘덴서(63)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2 코일(52)에의 반동작의 통전량의 공급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32)가 제어반(13) 내에 탑재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3)에 탑재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3)에 비상 정지 장치(33) 및 출력부(32)를 탑재할 수 있고, 비상 정지 장치(33) 및 출력부(32)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12)를 엘리베이터 칸(3)에 탑재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반동작의 후, 자동 복귀하는 위치를 선택하고 있으나, 복귀측 회로의 테스트도 겸하며, 가동 철심(48)이 정지하는 위치를 반동작 위치로 함으로써 가동 철심(48)을 반동작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제 2 코일(52)측에 통전함으로써 복귀시키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33)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액추에이터(71)는, 작동 위치(실선)와 통상 위치(2점 파선)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봉(棒) 형상의 가동부(72)와, 가동부(72)에 장착된 가압부인 접시 스프링(73)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가동부(72)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74)을 가지고 있다. 가동부(72)는, 접촉부 장착 부재(40)(도 2)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72)는, 접시 스프링(73)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73)은 가동부(72)의 왕복 변위에 의해 변형된다. 접시 스프링(73)의 가압의 방향은, 가동부(72)의 변위에 의한 변형에 의해 작동 위치와 통상 위치의 사이에서 반전되게 되어 있다. 가동부(72)는, 접시 스프링(73)의 가압에 의해 작동 위치 및 통 상 위치에 각각 유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접촉부(37)(도 2)의 접촉 상태 및 개리 상태는, 접시 스프링(73)의 가압에 의해 유지된다.
전자 마그넷(74)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전자부(電磁部)(제 1 코일)(75) 및 제 2 전자부(제 2 코일)(76)를 가지고 있다. 제 2 전자부(76)는 가동부(72)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72)는 제 1 전자부(75)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74)에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전자부(75) 및 제 2 전자부(76)는, 전자 마그넷(74)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서로 반발되고, 전자 마그넷(74)에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서로 흡인된다. 가동부(72)는, 전자 마그넷(74)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제 2 전자부(76) 및 접시 스프링(73)과 함께 작동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에 변위되고, 전자 마그넷(74)에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제 2 전자부(76) 및 접시 스프링(73)과 함께 통상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급전 회로(55)에는, 제 1 전자부(75)에의 통전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하기 위한 전류 방향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작동시와 복귀시에 제 1 전자부(75) 및 제 2 전자부(76)의 통전의 방향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될 때까지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작동 신호가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입력되면, 제 1 전자부(75) 및 제 2 전자부(76)는 서로 반발된다. 이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가동부(72)는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해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72)가 작동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73)의 가압의 방향은 가동부(72)를 작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방향으로 반전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밀어붙여져서, 쐐기(34) 및 지지 기구부(35)는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출력부(32)로부터 복귀 신호가 전자 마그넷(48)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전류 방향 전환 스위치가 조작되며, 제 1 전자부(75) 및 제 2 전자부(76)는 서로 흡인된다. 이 흡인에 의해, 가동부(72)는 통상 위치로 변위되고,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개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72)가 통상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73)의 가압의 방향은 반전하고, 가동부(72)는 통상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또, 액추에이터(71)의 동작 검사 방법에 대해서도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추에이터(71)라도, 실시 형태 1과 같이 액추에이터(71)의 동작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7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71)의 장기 수명화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급전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충전부(81)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와 같은 통상 모드 콘덴서(61)를 포함하는 통상 모드 급전 회로(82)와, 소정의 저항값으로 미리 설정된 검사 모드 저항(83)이 통상 모드 급전 회로(82)에 추가된 검사 모드 급전 회로(84)와, 방전 스위치(58)에의 전기적 접속을 통상 모드 급전 회로(82) 및 검사 모드 급전 회로(84)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전환 스위치(85)를 가지고 있다.
검사 모드 급전 회로(84)에서는, 통상 모드 콘덴서(61) 및 검사 모드 저항(83)이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통상 모드 콘덴서(61)는, 충전 스위치(57)의 온 동작에 의해 배터리(12)의 전력을 충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동작 검사 장치(86)는 검사 모드 급전 회로(84)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전환 스위치(85)에 의해 방전 스위치(58)와의 전기적 접속을 통상 모드 급전 회로(82)로 해 둔다(통상 모드). 통상 모드에서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을 검사할 때의 순서, 즉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충전 스위치(57)를 오프 상태로 한 후에, 제 1 반도체 스위치(59)를 투입하여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충전된 전력을 방전시킨다.
이 후, 방전 스위치(58)에의 접속을 전환 스위치(85)에 의해 통상 모드 급전 회로(82)로부터 검사 모드 급전 회로(84)로 전환한다. 이 후, 충전 스위치(57)를 온 상태로 하여,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배터리(12)의 전력을 충전시킨다. 충전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한 후, 제 2 반도체 스위치(60)를 투입함으로써 제 2 코일 (52)에 통전시킨다. 이 때, 검사 모드 급전 회로(82) 내에는, 검사 모드 저항(83)이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통상 모드 콘덴서(61)로부터 방전되는 전기 에너지의 일부가 검사 모드 저항(83)에서 소비되고, 완전 동작의 통전량보다 적은 통전량이 제 2 코일(52)에 공급된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이 정상이면, 가동 철심(48)은 통상 위치로부터 반동작 위치까지 변위되고, 다시 통상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이에 따라,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도 원활히 변위된다. 즉, 가동 철심(48),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는 정상적으로 반동작된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에 문제가 있으면, 가동 철심(48),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는,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반동작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문제의 유무를 검사한다.
검사 종료 후는, 전환 스위치(85)에 의해 검사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되고 나서 충전 스위치(57)를 투입함으로써, 배터리(12)의 전력을 통상 모드 콘덴서(61)에 충전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장치(86)에서는, 완전 동작의 통전량의 일부를 소비하는 검사 모드 저항(83)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콘덴서보다 염가인 저항을 사용하여 액추에이터(41)를 용이하게 반동작시킬 수 있다. 또, 통상 모드와 검사 모드에서 콘덴서를 공통화할 수 있고, 콘덴서의 적용에 따라 필요하게 되는 복수의 저항 등의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대폭적인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연결봉(49)의 변위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인 광학식의 위치 검출 센서(91)가 액추에이터(41)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 센서(91)는, 통상 운전시에는 작동하지 않고 동작 검사시에만 작동하게 되어 있다. 또, 위치 검출 센서(91)는 출력부(32)(도 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치 검출 센서(91)는, 가동 철심(48)이 통상 위치와 반동작 위치의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에 연결봉(49)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신호의 출력은 위치 검출 센서(91)의 검출에 의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작 검사 장치(92)는 위치 검출 센서(91)를 가지고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가 급전 회로(55)에 사용되고 있으나(도 6), 실시 형태 4에서는 검사 모드 급전 회로(64)를 떼어낸 급전 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을 검사할 때의 순서, 즉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위치 검출 센서(91)를 기동시켜서 연결봉(49)을 검출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후, 출력부(3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가동 철심(48)을 통상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이 정상적이면, 가동 철심(48)은 통상 위치로부터 반 동작 위치까지 변위된다. 이 때,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은, 위치 검출 센서(91)에 의한 연결봉(49)의 검출에 의해, 가동 철심(48)이 반동작 위치로 변위될 때까지의 사이에 정지된다. 이 후의 관성력에 의해, 가동 철심(48)은 반동작 위치까지 변위된다.
이 후, 가동 철심(48)은, 영구자석(53)의 자력에 의해 다시 통상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이에 따라,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도 원활히 변위된다. 즉, 가동 철심(48),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는 정상적으로 반동작된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에 문제가 있으면, 가동 철심(48),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는,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반동작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문제의 유무를 검사한다.
검사 종료 후는, 위치 검출 센서(91)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장치(92)에서는, 가동 철심(48)의 반동작 위치로의 변위가 위치 검출 센서(91)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으므로, 가동 철심(48)의 반동작 위치로의 변위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예에서는, 가동 철심(48)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로서 광학식의 위치 검출 센서(91)가 사용되고 있으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자속 센서(95, 96)를 검출부로서 고정 철심(50) 내에 끼워 넣어서 고정 철심(50) 내의 자속을 측정함으로써, 가동 철심(48)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자속 센서(95)는 한쪽의 규제부(50a)의 일단부에 끼워 넣어지고, 자속 센서(96)는 다른 쪽의 규제부(50b)의 일단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 자속 센서(95, 96)는 출력부(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자속 센서(95, 96)는 홀(Hall)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도 11의 자속 센서(95, 96)에 의해 검출되는 각각의 자속량(실선) 및 이들 자속량의 차이분(difference)(파선)과, 가동 철심(48)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속 센서(95)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량(이하, 「한쪽의 자속량」이라 한다)(97)은, 가동 철심(48)이 통상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됨에 따라 감소하고, 자속 센서(96)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량(이하, 「다른 쪽의 자속량」이라 한다)(98)은, 가동 철심(48)이 통상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됨에 따라 증가한다. 또, 가동 철심(48)이 통상 위치에 있을 때는 한쪽의 자속량(97)이 다른 쪽의 자속량(98)보다 많고, 가동 철심(48)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다른 쪽의 자속량(98)이 한쪽의 자속량(97)보다 많아진다. 또한, 한쪽의 자속량(97)과 다른 쪽의 자속량(98)과의 차가 제로로 되는 가동 철심(48)의 위치가 중립 위치로 되어 있다.
출력부(32)는, 미리 설정된 위치로 가동 철심(48)이 변위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설정 위치는, 통상 위치와 중립 위치의 사이의 위치에서, 또한 가동 철심(48)이 관성력에 의해 중 립 위치를 넘지 않는 위치(소정의 위치)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4와 같다.
다음에,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을 검사할 때의 순서, 즉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자속 센서(95, 96)를 기동시켜서 자속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후, 출력부(3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가동 철심(48)을 통상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이 정상이면, 가동 철심(48)은 통상 위치로부터 반동작 위치까지 변위된다. 이 때,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은, 가동 철심(48)이 소정의 위치로 변위된 곳에서 정지된다. 그리고, 이 후의 관성력 에 의해 가동 철심(48)은 반동작 위치까지 변위된다.
이 후, 가동 철심(48)은, 영구자석(53)의 자력에 의해 다시 통상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이에 따라,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도 원활히 변위된다. 즉, 가동 철심(48),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는 정상적으로 반동작된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에 문제가 있으면, 가동 철심(48), 접촉부 장착 부재(40) 및 접촉부(37)는,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반동작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의 문제의 유무를 검사한다.
검사 종료 후는 자속 센서(95, 96)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장치에서는, 가동 철심(48)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로서 자속 센서(95, 96)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염가의 홀 소자를 사용할 수 있어서 저비용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자속 센서(95, 96) 각각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량의 차를 취함으로써, 가동 철심(48)의 위치가 특정되게 되어 있으나, 자속 센서(95, 95) 각각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량의 비(比)를 취함으로써, 가동 철심(48)의 위치를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코일(51) 및 제 2 코일(52)로부터 자속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가동 철심(48)의 위치 검출의 오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연결봉(49)의 측면에는 돌출부재(101)가 고정되어 있다. 돌출부재(101)에는, 스프링(102)을 포함하는 부하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39)(도 2)에는, 부하부(103)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동작 타겟)(104)가 고정되어 있다.
부하부(103)의 위치는, 가동 철심(48)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부하부(103)가 대향 부재(104)에 맞닿아 접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스프링(102)은, 중립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가동 철심(48)의 변위에 의해 대향 부재(103)와 돌출부재(101)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탄성 반발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즉, 부하부(103)는, 대향 부재(104)에 가압되어 스프링(102)이 압축됨으로써, 가동 철심(48)의 작동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항력(抗力)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의 액추에이터(41)를 검사 모드시에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또, 도 15는 도 13의 액추에이터(41)를 통상 모드시에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 모드시에는, 제 2 코일(52)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력(이하, 「제 2 코일(52)에 의한 전자력」이라 한다)이 부하부(103)의 항력보다 작고, 가동 철심(48)은 반동작 위치까지 변위된 후에 통상 위치로 되돌려지게 되어 있다. 통상 모드시에는, 제 2 코일(52)에 의한 전자력이 부하부(103)의 항력보다 크고, 가동 철심(48)은 부하부(103)의 항력을 극복하여 작동 위치까지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의 제 2 코일(52)에 의한 전자력(실선) 및 스프링(102)의 탄성 반발력(파선)과, 가동 철심(48)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립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에서는, 제 2 코일(52)에 의한 전자력은, 가동 철심(48)이 중립 위치측에 있을 때에 부하부(103)의 항력을 밑돌며, 가동 철심(48)이 작동 위치측에 있을 때에 부하부(103)의 항력을 웃돌게 되어있다. 이로부터, 반동작 위치는, 제 2 코일(52)에 의한 전자력의 크기가 부하부(103)의 항력의 크기를 밑도는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장치에서는, 가동 철심(48)의 작동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항력을 부하부(103)가 발생하게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급전 회로(55)의 온도 변화나 부재 사이의 마찰 변동 등에 의한 동작의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고, 검사 모드시의 통상 위치와 반동작 위치 사이에서의 가동 철심(48)의 변위를 보다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스프링(102)을 갖는 부하부(103)에 의해 항력이 발생하게 되어 있으나, 댐퍼에 의해 항력을 발생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7.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5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 기구부(15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가지고 있다. 지지 기구부(156)는 안내부(36)에 대해 쐐기(34)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 기구부(15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157)와, 각 접촉부(157)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링크 부재(158a, 158b)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를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해 변위시키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액추에이터(41)와, 각 접촉부(157), 각 링크 부재(158a, 158b) 및 액추에이터(41)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160)에는, 쐐기(34)에 통과된 수평축(170)이 고정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축(170)에 대해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링크 부재(158a, 158b)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또, 지지부(160)에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의 서로 교차된 부분에서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는,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연결부(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또,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액추에이터(41)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액추에이터(41)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46)는 한쪽의 링크 부재(158a)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 철심(50)은,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고정되어 있다. 액추에이터(41)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와 함께, 연결 부재(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철심(48)은, 한쪽의 규제부(50a)에 맞닿아 접하고 있을 때에 각 접촉부(157)가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며,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 맞닿아 접하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게 되어 있다. 즉, 가동 철심(48)은, 한쪽의 규제부(50a)에 맞닿아 접하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작동 위치로 변위되고, 다른 쪽의 규제부(50b)에 맞닿아 접하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통상 위치로 변위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될 때까지의 동 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작동 신호가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입력되면, 제 1 코일(51)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48)은 한쪽의 규제부(50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통상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 때, 각 접촉부(15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지지 기구부(156)는 제동된다.
이 후, 안내부(36)는 계속 하강되어 쐐기(34) 및 지지 기구부(156)에 가까워진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에 따라 안내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이 후, 실시 형태 1과 같이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제 2 코일(52)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코일(52)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48)이 작동 위치로부터 통상 위치로 변위된다. 이 후, 실시 형태 1과 같이 하여,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밀어붙여짐이 해제된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액추에이터(41)가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통하여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41)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155)라도 액추에이터(41)를 적용할 수 있고, 실시 형태 1과 같이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41)의 장기 수명화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7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 기구부(17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가지고 있다.
지지 기구부(176)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액추에이터(41)와, 액추에이터(41)의 연결부(46)의 변위에 의해 변위되는 링크 부재(177)를 가지고 있다.
액추에이터(41)는, 연결부(46)가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1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180)은 액추에이터(4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기점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 1 링크부(178) 및 제 2 링크부(179)를 가지며, 링크 부재(177)의 전체 형상으로서는 대략 ∧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 2 링크부(179)는 제 1 링크부(178)에 고정되어 있고, 제 1 링크부(178) 및 제 2 링크부(179)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링크부(178)의 길이는, 제 2 링크부(179)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제 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182)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의 하 부에는, 긴 구멍(18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된 슬라이드 핀(183)이 고정되어 있다. 즉, 제 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쐐기(3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2 링크부(179)의 선단부에는, 연결부(46)의 선단부가 연결 핀(18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쐐기(34)를 안내부(36)의 아래쪽에서 개리시키고 있는 통상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안내부(36)의 사이에 쐐기(34)를 물고 있는 작동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46)는, 링크 부재(177)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 구동부(47)로부터 돌출되며, 링크 부재(177)가 통상 위치에 있을 때에 구동부(47)로 후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링크 부재(177)는 연결부(46)의 구동부(47)로의 후퇴에 의해 통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이 후, 실시 형태 1과 같이,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75)에 출력되어 연결부(46)가 전진된다. 이것에 의해,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안내부(36)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은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175)에 전송되며, 연결부(46)가 후퇴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 승시켜서,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의 쐐기(34)의 물려짐을 해제한다.
액추에이터(41)의 동작 검사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175)라도 액추에이터(41)를 적용할 수 있고, 실시 형태 1과 같이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41)의 장기 수명화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9.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구동장치(권상기)(191) 및 디플렉터 쉬브(19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191)의 구동 쉬브(191a) 및 디플렉터 쉬브(192)에는, 메인 로프(193)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194) 및 평형추(195)는, 메인 로프(19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194)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계합하여 엘리베이터 칸(19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기계식의 비상 정지 장치(196)가 탑재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조속기 쉬브(197)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는 텐션 쉬브(198)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97) 및 텐션 쉬브(198)에는, 조속기 로프(199)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99)의 양 단부는 비상 정지 장치(196)의 작동 레버(196a)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 쉬브(197)는 엘리베이터 칸(194)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된다.
조속기 쉬브(197)에는, 엘리베이터 칸(194)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200)(예를 들면, 엔코더)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200)로부터의 신호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201)에 입력된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조속기 로프(199)를 잡아 그 순환을 정지시키는 조속기로프 파지 장치(202)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202)는, 조속기 로프(199)를 파지하는 파지부(203)와, 파지부(203)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41)를 가지고 있다. 액추에이터(41)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출력부(201)로부터의 작동 신호가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202)에 입력되면, 액추에이터(41)의 구동력에 의해 파지부(203)가 변위되어 조속기 로프(199)의 이동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199)가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194)의 이동에 의해 작동 레버(196a)가 조작되고, 비상 정지 장치(196)가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194)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출력부(201)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전자 구동식의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202)에 입력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202)에 적용된 액추에이터(41)의 동작을 실시 형태 1과 같이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41)의 수명의 장기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부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에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송 수단으로서 전기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출력부에 설치된 발신기와 비상 정지 장치에 설치된 수신기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 ,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용해도 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방향으로의 과속도에 대해 제동하게 되어 있으나, 이 비상 정지 장치가 상하 반대로 된 것을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고, 위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에 대해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