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258B1 - 배터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258B1
KR100709258B1 KR1020050099086A KR20050099086A KR100709258B1 KR 100709258 B1 KR100709258 B1 KR 100709258B1 KR 1020050099086 A KR1020050099086 A KR 1020050099086A KR 20050099086 A KR20050099086 A KR 20050099086A KR 100709258 B1 KR100709258 B1 KR 100709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signal line
voltage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세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더욱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으면서 더욱 정밀하게 팩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전지 셀이 하나의 팩으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센싱 안정화부, 릴레이,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 및 A/D 컨버터를 포함한다. 센싱 안정화부는 배터리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을 포함하고, 제1 신호선과 제2 신호선 사이의 전위차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릴레이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온되어 제1 신호선과 제2 신호선 사이에 전위차를 전달한다.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는 제1 신호선과 제2 신호선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하는 소정 레벨의 팩전압 측정신호를 출력한다. A/D 컨버터는 팩전압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BMS, 배터리, 셀전압, 팩전류, 팩전압, 하이브리드 자동차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도 1은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 BMS 및 BMS의 주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전압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팩전압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이나 중유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내연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는 대기오염 등 공해발생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해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battery)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동작하는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2차 전지(cell)가 하나의 팩(pack)으로 형성된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 자동차라 함은 내연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의 중간 단계의 자동차로서,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 예컨대 내연 엔진 및 배터리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이다. 현재에는, 내연 엔진과 수소와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직접 전기 에너지를 얻는 연료 전지를 이용하거나, 배터리와 연료 전지를 이용하는 등 혼합된 형태의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자동차는 배터리의 성능이 자동차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각 전지 셀의 성능이 뛰어나야 할 뿐만 아니라 각 전지 셀의 전압, 전체 배터리의 전압 및 전류 등을 측정하여 각 전지 셀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더욱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다 정밀하게 팩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전지 셀이 하나의 팩으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의 전위차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센싱 안정화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온되어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에 전위차를 전달하는 릴레이;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하는 소정 레벨의 팩전압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 및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 안정화부의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조절부는, 상기 제1 신호선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소자; 상기 제2 신호선에 직렬로 연결된 제2 저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배터리 관리시스템이 온되는 동안 온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이 온인 동안에 온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의 셀전압을 각각 측정하여 복수의 셀전압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셀전압 측정부;
상기 제어신호의 온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팩전압을 측정하여 팩전압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팩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팩의 팩전류를 측정하여 팩전류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팩전류 측정부; 및
상기 셀전압 측정신호, 상기 팩전압 측정회로 및 상기 팩전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팩전압 측정부는, 상기 제어신호의 온레벨에 기초하여 턴온되어 상기 배터리의 제1 출력단자 및 제2 출력단자 사이의 전위차를 전달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전달된 전위차에 기초하여 팩전압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팩전압 측정부는,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고, 제1 단은 상기 배터리의 제1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릴레이의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고, 제1 단은 상기 배터리의 제2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릴레이의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는 상기 릴레이를 통하여 전달된 전위차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반전 차동 증폭기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 BMS 및 BMS의 주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S(1), 배터리(2), 전류센서(3), 냉각팬(4), 퓨즈(5) 및 메인 스위치(6)가 포함된다. 전류센서(3)는 배터리(2)의 출력전류 량을 측정하여 BMS(1)로 출력한다.
냉각팬(4)은 BMS(1)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2)의 충방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열을 냉각하여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배터리(2)의 열화 및 충방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한다.
퓨즈(5)는 배터리(2)의 단선 또는 단락에 의해 과전류가 자동차의 동력발생장치(미도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과전류가 발생하면 퓨즈(5)는 단선되어 과전류의 전달을 차단한다.
메인 스위치(6)는 과전압, 과전류, 고온 등 이상 현상이 발생하면 BMS(1)의 제어신호 또는 자동차의 ECU(engine controller unit, 미도시)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2)를 온오프 한다.
배터리(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8개의 서브팩(sub-pack, 210 ~ 280), 출력단자(291), 출력단자(292) 및 서브팩(240)과 서브팩(250) 사이에 마련되는 안전스위치(293)를 포함한다. 서브팩(210)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5개의 2차 전지 셀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각 서브팩(220 ~ 280)은 각각 5개의 2차 전지 셀을 포함하여 결국 배터리(2)는 총 40개의 전지 셀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팩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5개의 2차 전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표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고, 배터리(2)는 서브팩(210~280) 없이 40개의 2차 전지 셀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출력단자(291) 및 출력단자(292)는 자동자의 동력발생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자동차 엔진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안전 스위치(293)는 서브팩(240)과 서브팩(250)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로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배터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수동적으로 온 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팩(240)과 서브팩(250) 사이에 안전 스위치(293)가 마련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MS(1)는 센싱부(10), MCU(Main control unit, 20), 내부전원 공급부(30), 셀밸런싱부(40), 저장부(50), 통신부(60), 보호회로부(70), 파워온 리셋부(80) 및 외부인터페이스(90)를 포함한다.
센싱부(10)는 배터리 전체 팩전류, 배터리 전체 팩전압, 각 전지 셀전압, 셀온도 및 주변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MCU(20)에 전달한다.
MCU(20)는 센싱부(10)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2)의 충전상태(state of charging, 이하 SOC), 건강상태(state of health, 이하 SOH) 등을 판단하여 배터리(200)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내부전원 공급부(30)는 일반적으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BMS(1)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셀밸런싱부(40)는 각 셀의 충전상태의 균형을 맞춘다. 즉, 충전상태가 비교적 높은 셀은 방전시키고 충전상태가 비교적 낮은 셀은 충전시킬 수 있다.
저장부(50)는 BMS(1)의 전원이 오프될 때, 현재의 SOC, SOH 등의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50)는 전기적으로 쓰고 지울 수 있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로서 EEPROM일 수 있다.
통신부(60)는 자동차의 동력발생장치의 제어부(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한다.
보호회로부(70)는 펌웨어(firm ware)를 이용하여 외부의 충격, 과전류, 저전압 등으로부터 배터리(2)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이다.
파워온 리셋부(80)는 BMS(1)의 전원이 켜지면 전체 시스템을 리셋한다.
외부 인터페이스(90)는 냉각팬(4), 메인 스위치(6) 등 BMS의 보조장치들을 MCU(20)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팬(4) 및 메인 스위치(6)만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0)는 제어신호 생성부(110), 셀전압 측정부(120), 팩전압 측정부(130), 팩전류 측정부(140), 온도 측정부(150) 및 A/D 컨버터(160)를 포함한다.
제어신호 생성부(110)는 셀전압 측정부(120)에서 40개의 전지 셀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셀전압 측정부(120)로 출력한다.
셀전압 측정부(120)는 배터리(2)의 40개의 전지 셀(211 ~ 285)의 아날로그 셀 전압을 측정하여 A/D 컨버터(160)로 출력한다.
팩전압 측정부(130)는 배터리(2)의 출력단자(291, 도 1 참조)와 출력단자 (292, 도 1 참조) 사이의 아날로그 전압값을 측정하여 A/D 컨버터(160)로 출력한다.
팩전류 측정부(140)는 전류센서(3, 도 1참조)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A/D 컨버터(160)로 출력한다.
A/D 컨버터(160)는 셀전압 측정부(120), 팩전압 측정부(130), 팩전류 측정부(140)로부터 입력받은 아날로그 값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MCU(20, 도 1 참조)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A/D 컨버터(160)는 10개의 입력단자를 포함하고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10개의 입력단자 중 8개 입력단자(1번부터 8번 입력단자라고 칭함)는 셀전압 측정부(120)의 출력단자와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자(9번 입력단자라고 칭함)는 팩전압 측정부(130)와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의 입력단자(10번 입력단자라고 칭함)는 팩전류 측정부(140)와 연결된다.
또한 온도 측정부(150)는 배터리(2) 내의 온도 및 주변 환경 온도를 측정한 디지털 값을 MCU(20)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전압 측정부(13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전압 측정부(130)는 센싱 안정화부(131), 전류 조절부(132), 감쇄부(133) 및 노이즈제거부(134)를 포함한다.
센싱 안정화부(131)는 저항(131a) 및 커패시터(131b)를 포함한다. 저항(131a) 및 커패시터(131b)는 배터리(2)의 양의 출력단자(291)에 연결되는 신호선 (131+)과 배터리(2)의 음의 출력단자(292)에 연결되는 신호선(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신호선(131+)과 신호선(131-)의 전위차를 유지한다. 예컨대, 신호선(131+)과 신호선(131-)에 노이즈가 입력되어 신호선(131+) 및 신호선(131-)의 전위가 노이즈에 기초하여 흔들리더라도, 저항(131a) 및 커패시터(131b)는 신호선(131+)와 신호선(131-)의 전위차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전류 조절부(132)는 배터리(2)의 출력단자(291) 및 출력단자(292)로부터 신호선(131+) 및 신호선(131-)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한다. 전류 조절부(132)는 신호선(13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132a) 및 신호선(13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132b)을 포함한다. 예컨대, 배터리(2)의 전체 팩전압이 200V인 경우 2㏁의 저항(132a) 및 저항(132b)을 사용함으로써 전류를 0.1㎃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항(132a) 및 저항(132b)은 각각 하나의 2㏁ 저항을 사용하였으나, 각각 2개의 1㏁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감쇄부(133)는 배터리(2)의 팩전압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로서, 접지전극에 연결되는 저항(133a), 접지전극에 연결되는 커패시터(133b) 및 차동 증폭기(133c)를 포함한다. 차동 증폭기(133c)는 반전 차동 증폭기로서 (+)입력단에 저항(133a) 및 커패시터(133b)를 통하여 접지전위가 입력되고 (-)입력단에 전류 조절부(132)의 저항(132a)을 통하여 배터리(2)의 양의 출력단자(291)의 전위가 입력되어, 두 입력의 전압차에 기초하여 팩전압 측정신호를 출력단자(133d)로 출력한다. 신호선(131+)을 통하여 입력되는 배터리(2)의 팩전압 크기는 감쇄부(133)에 의해 0~5V의 크기의 팩전압 측정신호가 된다.
노이즈 제거부(134)는 감쇄부(133)의 출력단자(133d)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다. 노이즈 제거부(134)로서 일반적인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노이즈 제거부(134)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셀전압은 A/D컨버터(160)의 9번째 입력단자로 입력되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다.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팩전압 측정부(33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팩전압 측정부(330)가 제어신호 생성부(31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한다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와 같은 차이점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다 정밀하게 팩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BMS(1)의 전원이 오프된 때의 누설전류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셀전압 측정부(120), 팩전류 측정부(140), 온도 측정부(150) 및 A/D 컨버터(16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지시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 생성부(310)는 팩전압 측정부(330)에 인가될 제어신호(TOTAL_VOL_SW)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TOTAL_VOL_SW)가 제어신호 생성부(31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제어신호(TOTAL_VOL_SW)는 MCU(20, 도 1)에서 직접 생성되어 팩전압 측정부(330)로 전달될 수도 있다.
팩전압 측정부(330)는 제어신호(TOTAL_VOL_SW)에 기초하여 배터리(2)의 출력단자(291) 및 출력단자(292)의 팩전압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팩전압 측정부(330)는 센싱 안정화부(131), 감쇄부(133) 및 노이즈제거부(134)를 포함한다. 또한 팩전압 측정부(330)는 전류 조절부(332) 및 누설방지 릴레이(335)를 포함한다.
전류 조절부(332)는 신호선(13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332a) 및 신호선(13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332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항(332a) 및 저항(332b)의 크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항(132a) 및 저항(132b, 도 3 참조)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2)의 전체 팩전압이 200V인 경우 200㏀의 저항(332a) 및 저항(332b)을 사용함으로써 전류를 1㎃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항(332a) 및 저항(332b)은 각각 하나의 200㏀ 저항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각 2개의 100㏀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저항(132a) 및 저항(132b)에 비하여 저항(332a) 및 저항(332b)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전류 조절부(132)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감쇄부(133) 및 노이즈 제거부(134)에서 미미한 전류량 변화에도 정밀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되어 팩전압 측정 정밀도가 높아 질 수 있다. 한편, 전류 조절부(132)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이 증감함에 따라 BMS(1)의 전원이 오프된 때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류의 량도 증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누설전류는 후술하는 누설방지 릴레이(335)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누설방지 릴레이(335)는 제어신호 생성부(31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TOTAL_VOL_SW)에 기초하여 온되어 신호선(131+) 및 신호선(131-)을 차동 증폭기(133c)의 (-)입력단 및 (+)입력단에 각각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신호(TOTAL_VOL_SW)는 BMS(1)의 전원이 온인 동안에 온 레벨의 전압을 갖는 신호이다. 즉, BMS(1)의 전원이 온되면, 누설방지 릴레이(332)가 온된다. 따라서 주차 등과 같이 BMS(1)가 오프되면 누설방지 릴레이(332)가 동시에 오프되어 배터리(2)로부터 발생하는 전류가 저항(133a) 또는 커패시터(133b)를 통하여 누설되는 경로를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배터리(2)의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터리(2)의 충전용량은 확실하게 보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팩전압 측정부에 누설방지 릴레이를 마련함으로써 BMS의 전원이 오프된 때에 배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류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저항 크기가 낮은 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량을 비교적 크게 함으로써 팩전압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전지 셀이 하나의 팩으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의 전위차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센싱 안정화부;
    상기 배터리 관리시스템이 온되는 동안, 온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온되어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에 전위차를 전달하는 릴레이;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하는 소정 레벨의 팩전압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 및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안정화부의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부는,
    상기 제1 신호선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소자;
    상기 제2 신호선에 직렬로 연결된 제2 저항소자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5. 삭제
  6. 복수의 전지 셀이 하나의 팩으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이 온인 동안에 온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의 셀전압을 각각 측정하여 복수의 셀전압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셀전압 측정부;
    상기 제어신호의 온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팩전압을 측정하여 팩전압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팩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팩의 팩전류를 측정하여 팩전류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팩전류 측정부; 및
    상기 셀전압 측정신호,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 및 상기 팩전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컨버터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팩전압 측정부는,
    상기 제어신호의 온레벨에 기초하여 턴온되어 상기 배터리의 제1 출력단자 및 제2 출력단자 사이의 전위차를 전달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전달된 전위차에 기초하여 팩전압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팩전압 측정부는,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고, 제1 단은 상기 배터리의 제1 출력단자에 연결 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릴레이의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고, 제1 단은 상기 배터리의 제2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릴레이의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저항
    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팩전압 측정신호 생성부는,
    상기 릴레이를 통하여 전달된 전위차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반전 차동 증폭기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0050099086A 2005-10-20 2005-10-20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0709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086A KR100709258B1 (ko) 2005-10-20 2005-10-20 배터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086A KR100709258B1 (ko) 2005-10-20 2005-10-20 배터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258B1 true KR100709258B1 (ko) 2007-04-19

Family

ID=3818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086A KR100709258B1 (ko) 2005-10-20 2005-10-20 배터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2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41B1 (ko) * 2007-08-16 2009-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자동차용 배터리 전압측정 및셀밸런싱 공용화 회로
WO2017155260A1 (ko) * 2016-03-07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전류 추정 장치
US10539623B2 (en) 2016-03-07 2020-01-21 Lg Chem, Ltd. Charging/discharging current estimation device
US11269018B2 (en) 2017-12-11 2022-03-08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806A (ja) * 1993-02-08 1994-08-19 Sony Corp 電池パック
JPH09324529A (ja) * 1996-06-04 1997-12-16 Japan Steels Internatl Kk L型作業台
JPH11160367A (ja) 1997-11-26 1999-06-18 Denso Corp 電気自動車用組み電池の電圧検出装置
JP2001318224A (ja) * 2000-05-09 2001-11-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位相差フィルム
US6472880B1 (en) 2001-06-29 2002-10-29 Enova Systems Accurate voltage measurement system using relay isolated circuits
JP2003134675A (ja) 2001-10-16 2003-05-09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806A (ja) * 1993-02-08 1994-08-19 Sony Corp 電池パック
JPH09324529A (ja) * 1996-06-04 1997-12-16 Japan Steels Internatl Kk L型作業台
JPH11160367A (ja) 1997-11-26 1999-06-18 Denso Corp 電気自動車用組み電池の電圧検出装置
JP2001318224A (ja) * 2000-05-09 2001-11-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位相差フィルム
US6472880B1 (en) 2001-06-29 2002-10-29 Enova Systems Accurate voltage measurement system using relay isolated circuits
JP2003134675A (ja) 2001-10-16 2003-05-09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41B1 (ko) * 2007-08-16 2009-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자동차용 배터리 전압측정 및셀밸런싱 공용화 회로
WO2017155260A1 (ko) * 2016-03-07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전류 추정 장치
US10539623B2 (en) 2016-03-07 2020-01-21 Lg Chem, Ltd. Charging/discharging current estimation device
US11269018B2 (en) 2017-12-11 2022-03-08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2144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1057542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0814883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59688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05116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908412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soc 값 보정 방법
KR100869801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749422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0669476B1 (ko) 배터리의 soc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시스템
KR100796668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030910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0846712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39054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의 셀 전압 측정방법
KR100839384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552903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7569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71198A (ko) 셀 밸런싱 회로 및 이의 구동 방법, 및 셀 밸런싱 회로를 포함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0823188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고장셀 검출 방법
KR100709260B1 (ko) 배터리의 수명 판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시스템
KR100740108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soc 판정 방법
KR100740107B1 (ko)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0709258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0786838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0740113B1 (ko) 배터리의 수명 판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시스템
KR100696673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