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091B1 -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 Google Patents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091B1
KR100709091B1 KR1020060021111A KR20060021111A KR100709091B1 KR 100709091 B1 KR100709091 B1 KR 100709091B1 KR 1020060021111 A KR1020060021111 A KR 1020060021111A KR 20060021111 A KR20060021111 A KR 20060021111A KR 100709091 B1 KR100709091 B1 KR 100709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knife
set screw
knife holder
slitter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순
Original Assignee
신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순 filed Critical 신중순
Priority to KR102006002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3/00Tools or tool holders specially designed for planing or slotting machines
    • B23D13/04Holders for tool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26D7/2621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for circular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터 머신의 샤프트(200) 외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며, 일측으로는 원단을 절단하는 나이프(1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에 관한 것으로, 세트 스크류(4)의 선단으로는 반구형상의 요홈(4A)을 형성하고, 상기 세트 스크류의 요홈(4A)과 샤프트 가압부(2)의 상면 사이에는 스틸재로 이루어진 볼(5)을 개재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슬리터 머신의 샤프트(200)와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볼(5)을 통해 가압력이 전달되므로 세트 스크류(4) 및 샤프트 가압부(2)의 마모를 방지함으로써 체결력의 이완을 방지하고, 장시간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슬리터, 나이프 홀더, 수평 절개부, 샤프트 가압부, 볼

Description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KNIFE HOLDER FOR SLITTER MACHINE}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및 나이프 홀더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의 일부분을 절단한 정면도,
도 3은 일부분을 분리한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부분을 절단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 절개부 1A : 수평 절개부
2 : 샤프트 가압부 3 : 나사공
4 : 세트 스크류 4A : 요홈
5 : 볼 6 : 샤프트 삽입공
본 발명은 슬리터 머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주면 일측을 절개시켜 샤프트 삽입공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가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 가압부가 볼을 통해 전달된 세트 스크류의 가압력에 의해 샤프트 삽입공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와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시간 반복 사용시에도 각 구성부품의 손상이나 체결력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터 머신(SLITTER MACHINE)은 동박이나 알미늄 호일 등의 금속박판을 포함하여 마그네틱 테입, 합성수지 필름, 지류, 직물 등과 같이 1차 가공이 완료되어 롤(ROLL)에 권취된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연속 절단하는 2차 가공설비로서 석유화학제품의 생산이나 제지, 철강 및 섬유산업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슬리터 머신은 언와인더 롤러(Unwinder Roller)로부터 인출된 원단이 가이드 롤러(Guide Roller)를 경유하여 리와인더 롤러(Rewinder Roller)에 재권취되는 과정에서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나이프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2차 가공이 완료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1차 가공된 원단을 절단하는 나이프는 통상적으로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에는 도 1과 같이 나이프 홀더(110)와의 결합을 위해 원형 절개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나이프(100)는 작업과정에서 절단날이 마모되거나 파손됨으로써 교체를 위해 나이프 홀더(1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나이프(100)를 지지하는 나이프 홀더(110)는 원단의 2차 가공 과정에서 완제품의 성형폭에 따라 인접한 나이프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샤프트(200)로부터 유 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10)는 도 2와 같이 일측에 절단부(101)를 형성하고, 상기한 절단부(101) 사이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스크류의 체결에 따라 절단부(101) 사이의 간격(101)을 축소시켜 샤프트 결합공(105)의 내경을 조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10)를 통해 나이프(100)를 결합시킬 경우에는 먼저, 배면에 형성된 걸림환턱을 나이프(100)의 원형 절개공으로 삽입시키고, 상기한 걸림환턱의 선단에 스냅링을 결합시켜 나이프 홀더(110)로부터 나이프(1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과정의 완료 후에는 나이프 홀더(150)의 외주면과 나이프(100) 사이에 인장 코일스프링(120)을 결합함으로써 인장 코일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나이프(100)가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한편, 이에 따라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과정에 따라 나이프(100)가 결합된 나이프 홀더(110)는 중심부에 형성된 샤프트 결합공(105)을 통해 샤프트(200)를 삽입시킴으로써 슬리터 머신과의 결합을 완료하며, 원단의 2차 가공단계에서 원단의 절단폭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단부(101) 사이에 체결된 스크류의 체결력을 이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류의 체결력이 이완되면, 수축된 상태의 샤프트 결합공(105)이 초기의 상태로 복귀하는 한편, 이에 따라 샤프트(200)와의 접촉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샤프트(200)로부터 나이프(100)를 포함한 나이프 홀더(110)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2차 가공단계에서 성형을 요하는 제품의 간격과 일치되도록 나이프(10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과정의 완료후에는 스크류를 체결시킴으로써 샤프트 결합공(105)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원단의 절단과정에서 샤프트(200)로부터 나이프(100)를 포함한 나이프 홀더(11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나이프(100)를 고정 지지하는 나이프 홀더(110)는 2차 가공단계를 거친 최종 완제품의 정밀도를 좌우하므로 샤프트(200)로부터의 정확한 결합위치 설정과 함께 고정밀도의 가공이 요구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10)는 샤프트(200)와의 결합과정에서 스크류의 체결에 따라 절단부(101)의 간격이 수축되는 동시에 샤프트 결합공(105)의 내경이 축소됨으로써 샤프트(200)와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한 구조를 갖는 나이프 홀더(110)는 절단부(101)가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이프(1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와 반대로 샤프트(200)와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크류의 체결에 따라 절단부(101)가 수축됨으로써 나이프(200)의 원형 절개공과 나이프 홀더(1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한편, 이에 따라 나이프 홀더(110)로부터 나이프(100)의 유동이 발생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종래의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10)는 절단부(101) 사이에 체결되는 스크류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절단부(101)와 인접한 부위에 별도의 가공부(도면중 'A'부분)를 필요로 함으로써 가공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모되며, 이와 함께 상기한 가공부에 의해 외주면으로부터 무게편차가 발생 하므로 나이프(100)의 고속회전과정에서 진동 등이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10)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388057호에서는 내주면 일측을 절개시켜 샤프트 삽입공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가압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샤프트 가압부를 세트 스크류의 체결에 따라 샤프트 삽입공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와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다.
상기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388057호는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유효한 장점을 갖는 갖는 반면, 샤프트 가압부에 대한 가압력이 세트 스크류의 선단을 통해 직접 작용하므로 샤프트 가압부와 세트 스크류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388057호는 샤프트로부터 잦은 탈착을 반복하거나 세트 스크류에 과도한 체결력을 절달할 경우에는 샤프트 가압부의 상부에 대한 과도한 마모나 세트 스크류의 파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을 포함한 종래의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내주면 일측을 절개시켜 샤프트 삽입공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가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 가압부가 볼을 통해 전달된 세트 스크류의 가압력에 의 해 샤프트 삽입공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와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시간 반복 사용시에도 구성부품의 손상이나 체결력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 일측으로는 전후면이 각각 관통되는 수평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절개부의 선단 일측으로는 샤프트 삽입공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수직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 절개부와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나사공으로는 수평 절개부 및 수직 절개부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샤프트 가압부를 가압하도록 세트 스크류를 체결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에 있어서,
상기 세트 스크류의 선단으로는 반구형상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세트 스크류의 요홈과 샤프트 가압부의 상면 사이에는 스틸재로 이루어진 볼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 한다.
도 3은 일부분을 분리한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부분을 절단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는, 금속박판이나 마그네틱 테입, 합성수지 필름, 지류 및 직물 등과 같이 1차 가공이 완료되어 롤에 권취된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연속 절단하는 슬리터 머신의 샤 프트 외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는 것으로, 정면으로는 원단을 절단하는 나이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슬리터 머신의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샤프트 삽입공(6)이 형성되고, 정면으로는 스냅링이 결합되도록 상기한 샤프트 삽입공(6)과 동축으로 경사면을 갖는 제 1단차부(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 1단차부(7)의 외부에는 나이프가 결합되도록 나이프의 원형 절개공과 대응하는 직경의 제 2단차부(8)가 형성되며,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의 연부에는 경사면(10A)을 형성함으로써 나이프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한 경사면(10A)과 나이프의 배면 사이에 인장 코일스프링을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한 인장 코일스프링의 수축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나이프(100)가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한편, 이에 따라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의 상부 일측으로는 전후면이 관통되도록 수평 절개부(1)를 형성하고, 상기한 수평 절개부(1)의 선단 일측으로는 샤프트 삽입공(6)과 연결되도록 수직 절개부(1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수평 절개부(1)의 하부 및 수직 절개부(1A)의 측면 일측으로는 수평 절개부(1)의 하부 및 수직 절개부(1A)의 조합에 의해 샤프트 가압부(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수평 절개부(1) 및 외주면 사이에는 중심축선과 일치되도록 나사공(3)을 형성하고, 상기한 나사공(3)의 내측으로는 세트 스크류(4)를 체결함으로써 상부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삽입된 육각렌치에 의해 상기한 세트 스크류(4)를 회전시킴에 따라 세트 스크류(4)가 나사공(3) 내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는, 상기한 세트 스크류(4)의 선단에 반구형상의 요홈(4A)을 형성하고, 상기한 세트 스크류(4)의 요홈(4A)과 샤프트 가압부(2)의 상면 사이에 스틸재로 이루어진 볼(5)을 개재함으로써 세트 스크류(4)와 샤프트 가압부(2)간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는 한편, 볼(5)의 작용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세트 스크류(4)나 샤프트 가압부(2)의 마모를 방지한다.
특히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세트 스크류(4)와 샤프트 가압부(2) 사이에 개재된 볼(5)이 세트 스크류(4)의 선단에 형성된 요홈(4A)에 의해 나사공(3)의 중심축선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 가압부(2)와 점접촉을 이루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샤프트로부터 본 발명을 반복 탈착시킬 경우에도 세트 스크류(4)나 샤프트 가압부(2)간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는 한편, 볼(5)이 회전하는 상태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세트 스크류(4)나 샤프트 가압부(2)간의 직접 접촉에 따른 마모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세트 스크류(4)의 마모에 따른 체결력의 이완을 방지하는 한편, 장시간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는 슬리터 머신을 구성하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동박이나 알미늄 호일 등의 박판이나 마그네틱 테입, 합성수지 필름, 지류, 직물 등과 같이 1차 가공이 완료되어 롤에 권취된 원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시키는 나이프를 고정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나이프(100)를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제 2단차부(8)를 나이프(1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원형 절개공으로 삽입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나이프(100)를 지지시킨 다음, 제 1단차부(7)의 경사면을 통해 스냅링(40)을 삽입함으로써 본 발명으로부터 나이프(100)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과정의 완료후에는 본 발명의 외주면 연부에 형성된 경사면(10A)과 나이프(100)의 배면 사이에 인장 코일스프링(3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한 인장 코일스프링(30)의 수축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나이프(100)가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한편, 이에 따라 본 발명으로부터 나이프(10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나이프(100)의 고정이 완료된 본 발명을 슬리터 머신의 샤프트에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나사공(3)에 체결된 세트 스크류(4)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중심부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공(6)의 내주면으로 샤프트(200)를 삽입시키며, 상기한 과정의 완료후에는 절단을 요하는 원단의 폭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를 샤프트(200)와의 정확한 결합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샤프트(200)로부터 본 발명의 정확한 결합위치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도시안된 육각렌치 등을 통해 세트 스크류(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한 세트 스크류(4)를 나사공(3)의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는 세트 스크류(4)가 체결되는 나사공(3)이 본 발명의 중심축선과 일치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외부와 노출된 위치에서 상기한 세트 스크류(4)의 체결과 이완이 가능함으로써 본 발명의 신속하고 원활한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세트 스크류(4)의 하강이 개시되면 상기한 세트 스크류(4)의 하강에 따른 가압력이 볼(5)을 통해 수평 절개부(1) 및 수직 절개부(1A)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샤프트 가압부(2)로 전달되며, 이와 같이 볼(5)을 통해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샤프트 가압부(2)가 원형 확장공(1B)의 하부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샤프트(200)와의 접촉압력을 높이는 한편, 이에 따라 샤프트(200)로부터 본 발명의 불필요한 유동 등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는 세트 스크류(4)와 샤프트 가압부(2)간의 직접 접촉이 차단되는 한편, 볼(5)의 구름작용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세트 스크류(4)나 샤프트 가압부(2)의 마모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샤프트로부터 본 발명을 반복 탈착시킬 경우에도 볼(5)이 회전하는 상태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세트 스크류(4)나 샤프트 가압부(2)간에 과도 한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원단 폭의 재설정이나 나이프(100)의 교체를 위해 샤프트(200)로부터 본 발명을 분리할 경우에는 세트 스크류(4)를 전술한 과정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트 스크류(4)의 체결력을 이완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탄성변형된 샤프트 가압부(2)를 초기의 위치로 복귀시켜 샤프트(200)에 대한 가압력을 제거시킨 다음, 전술한 결합과정의 역순에 따라 샤프트(200)로부터 본 발명을 이동시키거나 분리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10)는, 내주면 일측을 절개시켜 샤프트 삽입공(6)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가압부(2)를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 가압부(2)가 볼(5)을 통해 전달된 세트 스크류(4)의 가압력에 의해 샤프트 삽입공(6)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200)와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시간 반복 사용시에도 각 구성부품의 마모에 따른 손상이나 체결력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상부 일측으로는 전후면이 각각 관통되는 수평 절개부(1)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절개부(1)의 선단 일측으로는 샤프트 삽입공(6)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수직 절개부(1A)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 절개부(1)와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나사공(3)으로는 수평 절개부(1) 및 수직 절개부(1A)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샤프트 가압부(2)를 가압하도록 세트 스크류(4)를 체결한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에 있어서,
    상기 세트 스크류(4)의 선단으로는 반구형상의 요홈(4A)을 형성하고, 상기 세트 스크류의 요홈(4A)과 샤프트 가압부(2)의 상면 사이에는 스틸재로 이루어진 볼(5)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KR1020060021111A 2006-03-06 2006-03-06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KR100709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111A KR100709091B1 (ko) 2006-03-06 2006-03-06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111A KR100709091B1 (ko) 2006-03-06 2006-03-06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091B1 true KR100709091B1 (ko) 2007-04-18

Family

ID=3818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111A KR100709091B1 (ko) 2006-03-06 2006-03-06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7381A (zh) * 2010-07-26 2010-12-29 北京二七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齿轮磨齿定位胎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482A (ko) * 1987-08-29 1989-04-15 신훈철 선반을 이용한 소형 공작물의 내면 브로우칭 가공방법과 그에 적합한 홀더
KR20050103550A (ko) * 2004-04-26 2005-11-01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스크라이버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482A (ko) * 1987-08-29 1989-04-15 신훈철 선반을 이용한 소형 공작물의 내면 브로우칭 가공방법과 그에 적합한 홀더
KR20050103550A (ko) * 2004-04-26 2005-11-01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스크라이버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7381A (zh) * 2010-07-26 2010-12-29 北京二七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齿轮磨齿定位胎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138B1 (ko)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용 성형롤러
US3894461A (en) Apparatus for the longitudinal cutting of narrow strips
KR100709091B1 (ko)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KR100653129B1 (ko) 버 제거장치
US2522154A (en) Method and means for cutting, punching, blanking, and the like
KR101256082B1 (ko) 필름 권취용 보빈
JPH07100555B2 (ja) ウェブ保持装置
KR100639152B1 (ko)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KR200388057Y1 (ko)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EP3022049B1 (en) Multipunch with axial retainer for securing multiple dies or strippers
KR200392102Y1 (ko)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KR100606611B1 (ko)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US8413560B2 (en) Quick-release apparatus for knife plate of saw grinding machine
JP4401534B2 (ja) マスタ原紙ロール及びマスタ原紙ロール保持装置
KR101496620B1 (ko) 지관고정용 착탈식 클램프장치
KR200438543Y1 (ko) 슬리터 머신용 나이프 홀더
US4285684A (en) Head for slitter-corrugator
JP2011201623A (ja) 原反ロールの装架装置
US6219932B1 (en) Clip-on micrometer table
CN112427554A (zh) 型芯组件及旋切模具
KR102513895B1 (ko)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JP3214939U (ja) 芯管ホルダー
JP2003184841A (ja) 止め輪及び止め輪着脱冶具
JP2000317880A (ja) シート切断装置
JP2002018535A (ja) パンチ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