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886B1 -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886B1
KR100708886B1 KR1020040043666A KR20040043666A KR100708886B1 KR 100708886 B1 KR100708886 B1 KR 100708886B1 KR 1020040043666 A KR1020040043666 A KR 1020040043666A KR 20040043666 A KR20040043666 A KR 20040043666A KR 100708886 B1 KR100708886 B1 KR 10070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onnector
socket
ca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529A (ko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인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to KR102004004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88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이어폰이 기기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이어폰을 멀티미디어 기기에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본체와 캡을 결합시키는 경우 이어폰이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더 나아가서는 컨넥터의 접속 구조가 간단하면서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00)와 캡(200)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측에는 그 내부의 메인보드에 연결된 이어폰 소켓(300)이 구비되고, 상기 캡(200)측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300)에 접속되는 이어폰 컨넥터(400)가 구비되며, 상기 캡(200)에는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에 연결된 이어폰 어셈블리(500)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에 캡(200)이 결합되면 상기 캡(200)측의 이어폰 켄넥터(400)가 상기 본체(100)측의 이어폰 소켓(300)에 삽입되어 전기.신호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캡(200)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500)에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이나 각종의 음성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된다.
일체형, 이어폰,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MP3

Description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Portable multimedia contents device having ear phone in one part of the device's Body}
도 1은 종래의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이어폰을 가지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이어폰을 가지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본체측의 이어폰 소켓과 캡측의 이어폰 컨넥터 연결구조를 분리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 미디어 기기에서 본체측 이어폰 소켓과 캡 측 이어폰 컨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 측의 이어폰 컨넥터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캡 측의 이어폰 컨넥터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나타 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캡 측의 이어폰 컨넥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 9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걸림돌기
110 : 케이스 접속용 소켓 120 : 메인 보드
200 : 캡 201 : 삽입홈
202 : 노브 210 : 서브 보드
300 : 이어폰 소켓 310 : 소켓 커버
311 : 타절홈 312 : 탄성지지편
313 : 타절홈 314 : 탄성누름편
320 : 절연체 330 : 접촉단자
331 : 자유단 332 : 접점부
400 : 이어폰 컨넥터 410 : 절연체 하우징
411 : 삽입공 412 : 단턱부
413 : 요홈 420 : 컨넥터 커버
421 : 걸림홈 422 : 다리부
423 : 타절홈 424 : 탄성 걸림편
430 : 접촉단자 500 : 이어폰 어셈블리
510 : 메인 스트랩 520 : 스프커 피스
본 발명은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이 멀티미디어 기기와 별도로 구비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이어폰이 본체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구비괴고, 분리된 본체 부분을 결합시키는 경우 이어폰이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라 함은, 주로 MP3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기기'나 '휴대용 멀티미디어 녹음/재생 기기', 또는 'Potable Mulitimedia Contents Playback' 이라고도 함), 혹은 음악 파일의 녹음/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그리고 게임이나 디지털 카메라 기능들이 복합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복합 기기('Potable Digital Content Player'라고도 함)를 통칭한다.
이러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는, 소형이면서 어느 정도의 메모리 또는 메모리 확장 수단을 가져,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악이나 각종의 디지털 서비스를 즐기기에 매우 편리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는 통상적으로,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대하여 캡(20)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필요한 경우 본체(10)로부터 캡(2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본체 분리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본체 분리형으로 하는 이유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켓(12)을 캡(20)로 덮어 평상시에 소켓(12)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거나 기기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켓(12)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외부 기기와 인터페이스를 하거나 충전시 연결 케이블을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음악파일을 다운 받는다거나 충전이 필요할 때, 본체(10)로부터 캡(20)을 분리하고, 그에 따라 본체(10)로부터 노출된 소켓(12)에 외부 케이블을 접속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30)이 악세서리 개념으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는 별도로 갖추어져 있어, 그의 잭(32)을 멀티미디어 기기측에 구비된 접속구(22)에 꽂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캡(20)에 넥크 스트랩(40, Neck Strap)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이어폰(30)의 잭(32)을 멀티미디어 기기의 접속구(22)에 꽂으면,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잭(32) 부분이 항상 돌출되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휴대시 옷, 가방 등 기타 주변의 사물에 걸려 파손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설사, 상기한 넥크 스트랩(4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고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별도로 구비된 이어폰(30)을 멀티미디어 기기에 꽂아야만 함으로써 사용이 불편하다는 것은 여전히 개선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이어폰이 기기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이어폰을 멀티미디어 기기에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본체와 캡을 결합시키는 경우 이어폰이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더 나아가서는 컨넥터의 접속 구조가 간단하면서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본체와 캡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에는 그 내부의 메인보드에 연결된 이어폰 소켓이 구비되고, 상기 캡측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에 접속되는 이어폰 컨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캡에는 상기 이어폰 컨넥터에 연결된 이어폰 어셈블리가 일체로 구비된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캡이 결합되면 상기 캡측의 이어폰 켄넥터가 상기 본체측의 이어폰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신호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캡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에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이나 각종의 음성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캡으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스트랩과, 상기 메인 스트랩으로부터 양측으로 인출된 두 개의 스피커 피스를 가짐으로써, 사기 메인 스트랩을 목에 걸고, 이 메인 스트랩에 항상 달려 있는 스프커 피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소켓은, 본체의 메인 보드에 설치되는 소켓 커버와; 상기 소켓 커버 내부에 삽입되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접촉 단자로 이루어지고, 한편, 상기 이어폰 컨넥터는, 상기 캡의 서브 보드에 설치되는 절연체 하우징과; 상기 절연체 하우징과 별도로 제작되어 절연체 하우징에 조립되며, 상기 이어폰 소켓의 소켓 커버 안으로 삽입되는 컨넥터 커버와; 상기 컨넥터 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되는 접촉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 소켓측의 접촉 단자는 탄성력을 가지는 자유단과, 상기 자유단의 선단 부근에 표면이 구면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컨넥터측의 접촉단자는 평탄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 컨넥터가 상기 이어폰 소켓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접촉 단자의 구면 형태로 돌출된 접점부가 이어폰 컨넥터측의 접촉단자에 소정의 탄성가압력으로 점접촉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소켓의 상면에는 타절홈에 의하여 탄성 지지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컨넥터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 지지편이 탄성적으로 인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 소켓의 양측면에는 타절홈에 의하여 탄성 누름편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 컨넥터가 이어폰 소켓에 결합되는 말미에 상기 탄성 지지편이 상기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인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탄성 누름편이 상기 컨넥터 커버의 양측면을 탄성가압함으로써 상기 컨넥터 커버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컨넥터 커버의 양측에는 다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다리부에는 타절홈에 의해 탄성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컨넥터 커버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삽입공 후반부에는 상기 탄성 걸림편이 걸리게 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전방 단부면에는 상기 컨넥터 커버의 둘레부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컨넥터 커버의 다리부가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삽입공에 삽입되면, 상기 다리부의 탄성 걸림편이 상기 삽입공의 단턱부에 걸려 상기 컨넥터 커버가 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컨넥터 커버의 둘레부는 절연체 하우징의 요홈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병행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이어폰을 가지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는, 본체(100)와 캡(200)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캡(200)에 의해서 개폐되는 본체(100)의 일측에는 케이블 접속용 소켓(11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걸림돌기(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200)에는 삽입홈(201)이 형성되어서 여기에 상기 걸림돌기(101)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20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201)에 삽입된 걸림돌기(101)를 록킹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노브(20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 캡(200)을 결합시키면, 본체(100)측의 걸림돌기(101)가 캡(200)측의 삽입홈(201)에 삽입되어 록킹된다. 만일, 본체(100)측의 소켓(110)에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캡(200)의 노브(202)를 누르면 캡(200)의 삽입홈(201)으로부터 걸림돌기(101)가 해제됨으로써 본체(100)로부터 캡(200)을 분리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본체(100)와 캡(200)이 착탈식으로 연결된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측에는 그 내부의 메인보드(120, 도 6참조)에 연결된 이어폰 소켓(300)이 구비되고, 상기 캡(200)측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300)에 접속되는 이어폰 컨넥터(400)가 구비되며, 상기 캡(200)에는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에 연결된 이어폰 어셈블리(50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 캡(200)을 결합시키면, 상기 캡(200)측의 이어폰 켄넥터(400)가 상기 본체(100)측의 이어폰 소켓(300)에 전기.신호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50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이나 각종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500)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500)에 '넥크 스트랩(Neck Strap)'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500)는 상기 캡(200)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스트랩(510)과, 상기 메인 스트랩(510)으로부터 양측으로 인출된 두 개의 스피커 피스(520)를 가진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 스트랩(510)을 목에 건 후, 상기 양측의 스피커 피스(520)를 귀에 착용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스트랩(51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의 중간 부분을 절단시켜, 절단된 양단을 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의하면, 본체(100)와 캡(200)에 이어폰 소켓(300)과 이어폰 컨넥터(400)가 구비됨과 동시에, 이어폰 어셈블리(50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0)와 캡(200)을 결합시키면, 이어폰 컨넥터(400)가 이어폰 소켓(300)에 자동적으로 접속되고, 그 상태에서 그대로 이어폰 어셈블리(50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 잭을 멀티미디어 기기에 별도로 꽂아야만 하였던 종래 기술에 비해 사용이 한층 편리해지고 휴대도 간편해 진다. 또한, 이어폰 잭이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돌출되어 주변의 사물에 걸리거나, 걸려서 파손되는 등의 종래의 문제들이 자연스럽게 해결된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이어폰 소켓(300)과 이어폰 컨넥터(40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이어폰을 일체화하기 위하여, 본체(100)와 커버(200)에 이어폰 소켓(300)과 이어폰 컨넥터(40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300)과 이어폰 컨넥터(400)는 경박단소를 지향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개발 경향에 부합되기 위하여 가급적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질 것이 요구되고,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빈번한 착탈에 의해서도 수명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소켓(300)은, 본체(100)의 메인 보드(120)에 솔더링(Soldering) 등의 방법으로 설치되는 소켓 커버(310)와, 상기 소켓 커버(310) 내부에 삽입되는 절연체(320)와, 상기 절연체(32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접촉 단자(3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컨넥터(400)는, 상기 캡(200)의 서브 보드(210)에 솔더링 등의 방법으로 설치되는 절연체 하우징(410)와, 상기 절연체 하우징(410)과 별도로 제작되어 절연체 하우징(410)에 조립되며, 상기 이어폰 소켓(300)의 소켓 커버(310) 안으로 삽입되는 컨넥터 커버(420)와, 상기 커버(420) 내측에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410)에 설치되는 접촉 단자(43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캡(200)을 본체(100)에 결합시키면, 상기 캡(200)측 이어폰 컨넥터(400)의 컨넥터 커버(420)가 본체(100)측 이어폰 소켓(300)의 소켓 커버(310) 안으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이어폰 소켓(300)의 접촉 단자(330)와 이어폰 컨넥터(400)의 접촉단자(430)가 접촉되어 전기.신호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 소켓(300)측의 접촉 단자(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자유단(331)과, 상기 자유단(331)의 선단 부근에 표면이 구면(球面)을 이루도록 돌출된 접점부(332)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측의 접촉단자(430)는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가 이어폰 소켓(3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접촉 단자(330)의 구면 형태로 돌출된 접점부(332)가 이어폰 컨넥터(400)측의 접촉단자(430)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가압하면서 접촉하게 된다. 특히, 그 접촉 양상은 구면의 접점부(332)에 의해 점접촉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접촉단자(330)(430)가 점접촉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이 빈번히 일어나더라도 접촉부위에 열에 의한 손상(Scratch)이 적어 안정적이 접속이 가능하고 수명이 길어진다. 그러나, 선접촉이나 면접촉 식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단자 접속 형태에 있어서는, 닿는 면적이 많아 접점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도중에 마찰열이 많이 발생하고, 그 열에 의해 접촉단자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된다. 접촉단자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면, 표면의 도금층이 손상되고 소음이 생성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면의 접점부(332)에 의해 점접촉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어폰 소켓(300)과 이어폰 컨넥터(400)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이어폰 소켓(300)의 소켓 커버(310) 상면에는 타절홈(311)에 의하여 형성되는 탄성 지지편(312)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의 컨넥터 커버(420) 상면에는 걸림홈(4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가 이어폰 소켓(300)에 결합되는 경우, 그의 결합 말미에서 상기 탄성 지지편(312)이 상기 걸림홈(421)에 탄성적으로 인입됨으로써, 이어폰 소켓(300)에 삽입된 이어폰 컨넥터(400)를 탄성가압하여 일정한 힘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해제가 불가능하게 지지하고, 그에 따라 이어폰 컨넥터(400)가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이어폰 소켓(300)의 소켓 커버(310) 양측면에는 타절홈(313)에 의하여 탄성 누름편(3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누름편(314)은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의 컨넥터 커버(420)가 상기 이어폰 소켓(300)으로 진입되는 경우, 컨넥터 커버(420)의 양측면을 탄성가압함으로써, 컨넥터 커버(42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어폰 컨넥터(400)가 이어폰 소켓(300)에 결합되는 경우, 탄성 지지편(312)과 탄성 누름편(314)이 컨넥터 커버(420)의 상,하,좌,우를 탄성가압함에 따라, 이어폰 컨넥터(400)의 상,하,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캡(200) 측의 이어폰 컨넥터(400)의 구체적인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어폰 컨넥터(400)의 절연체 하우징(410)과 컨넥터 커버(420)의 결합관계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컨넥터(400)는 플라스틱 사출품인 절연체 하우징(410)에 프레스 제품인 컨넥터 커버(420)를 조립식으로 결합한 구조를 가진다. 종래에는 컨넥터 커버와 절연체 하우징을 일체로 동시에 사출성형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출공정이 복잡하고 컨넥터 커버와 절연체 하우징의 결합강도가 약해 사용중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컨넥터 커버와 절연체 하우징의 결합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연체 하우징의 크기를 크게하여야 함으로써,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경박단소를 지향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발전 추세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절연체 하우징(410)을 플라스틱 사출한 후에, 컨넥터 커버(420)를 별도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이어폰 컨넥터(400)의 사이즈를 대폭적으로 줄이고, 조립을 단순화 하며,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 커버(420)의 양측에는 다리부(422)가 형성되고, 절연체 하우징(410)의 양측에는 상기 컨넥터 커버(420)의 다리부(422)가 삽입되는 삽입공(4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넥터 커버(420)의 양측 다리부(422)에는 타절홈(423)에 의해 탄성 걸림편(42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410)의 삽입공(411) 후반부에는 상기 탄성 걸림편(424)이 걸리게 되는 단턱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410)의 전방 단부면에는 상기 컨넥터 커버(420)의 둘레부가 삽입되는 요홈(4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컨넥터 커버(420)의 다리부(422)를 상기 절연체 하우징(410)의 삽입공(411)에 삽입시키면, 다리부(422)의 외측으로 돌출된 탄성 걸림편(424)이 삽입공(411)의 단턱부(412)에 걸리게 됨으로써 컨넥터 커버(420)가 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컨넥터 커버(420)의 둘레부가 절연체 하우징(410)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요홈(413)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컨넥터 커버(420)가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도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폰 컨넥터(400)는, 그의 컨넥터 커버(420)가 절연체 하우징(410)에 삽입식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져 종래의 기술에 비해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이 멀티미디어 기기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어, 본체와 캡을 결합시키는 경우 이어폰이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 이어폰의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넥터의 접속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본체(100)와 캡(200)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측에는 그 내부의 메인보드에 연결된 이어폰 소켓(300)이 구비되고,
    상기 캡(200)측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300)에 접속되는 이어폰 컨넥터(400)가 구비되며,
    상기 캡(200)에는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에 연결된 이어폰 어셈블리(500)가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이어폰 소켓(300)은, 본체(100)의 메인 보드(120)에 설치되는 소켓 커버(310)와; 상기 소켓 커버(310) 내부에 삽입되는 절연체(320)와; 상기 절연체(32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접촉 단자(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는, 상기 캡(200)의 서브 보드(210)에 설치되는 절연체 하우징(410)과; 상기 절연체 하우징(410)과 별도로 제작되어 절연체 하우징(410)에 조립되며, 상기 이어폰 소켓(300)의 소켓 커버(310) 안으로 삽입되는 컨넥터 커버(420)와; 상기 컨넥터 커버(420)의 내측에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410)에 설치되는 접촉 단자(4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500)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캡(200)으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스트랩(510)과, 상기 메인 스트랩(510)으로부터 양측으로 인출된 두 개의 스피커 피스(5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소켓(300)측의 접촉 단자(33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자유단(331)과, 상기 자유단(331)의 선단 부근에 표면이 구면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접점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에는 상기 접촉 단자(330)와 접촉되는 접촉단자(430)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측의 접촉단자(430)는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가 이어폰 소켓(3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접촉 단자(330)의 구면 형태로 돌출된 접점부(332)가 이어폰 컨넥터(400)측의 접촉단자(430)에 소정의 탄성가압력으로 점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소켓(300)의 상면에는 타절홈(311)에 의하여 탄성 지지편(312)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 지지편(312)이 탄성적으로 인입되는 걸림홈(4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가 이어폰 소켓(300)에 결합되는 말미에 상기 탄성 지지편(312)이 상기 걸림홈(421)에 탄성적으로 인입되어 상,하 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상기 이어폰 소켓(300)의 양측면에는 타절홈(313)에 의하여 탄성 누름편(31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어폰 컨넥터(400)의 컨넥터 커버(420)가 상기 이어폰 소켓(300)으로 진입되는 경우, 상기 탄성 누름편(314)이 상기 컨넥터 커버(420)의 양측면을 탄성가압함으로써 상기 컨넥터 커버(420)의 좌,우 방향 흔들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6. 삭제
KR1020040043666A 2004-06-14 2004-06-14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KR10070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666A KR100708886B1 (ko) 2004-06-14 2004-06-14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666A KR100708886B1 (ko) 2004-06-14 2004-06-14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529A KR20050118529A (ko) 2005-12-19
KR100708886B1 true KR100708886B1 (ko) 2007-04-17

Family

ID=3729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666A KR100708886B1 (ko) 2004-06-14 2004-06-14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88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32U (ko) * 1999-03-05 2000-10-05 김인철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KR20000018393U (ko) * 1999-03-18 2000-10-16 한기천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KR200214794Y1 (ko) * 1997-10-09 2001-03-02 윤종용 유에스비용 컨넥터 구조
KR20010048284A (ko) * 1999-11-26 2001-06-15 정담 목걸이형 이어폰세트
JP2001188548A (ja) * 2000-01-05 2001-07-10 Toshiba Corp 携帯型プレーヤ
KR20010107385A (ko) * 2000-05-27 2001-12-07 김선태 착탈식 목걸이형 송수신장치
KR200310703Y1 (ko) * 2003-01-0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
KR20030037429A (ko) * 2001-11-05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인터페이스 커넥터 장치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94Y1 (ko) * 1997-10-09 2001-03-02 윤종용 유에스비용 컨넥터 구조
KR20000017832U (ko) * 1999-03-05 2000-10-05 김인철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KR20000018393U (ko) * 1999-03-18 2000-10-16 한기천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KR20010048284A (ko) * 1999-11-26 2001-06-15 정담 목걸이형 이어폰세트
JP2001188548A (ja) * 2000-01-05 2001-07-10 Toshiba Corp 携帯型プレーヤ
KR20010107385A (ko) * 2000-05-27 2001-12-07 김선태 착탈식 목걸이형 송수신장치
KR20030037429A (ko) * 2001-11-05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인터페이스 커넥터 장치
KR200310703Y1 (ko) * 2003-01-0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529A (ko) 2005-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042B1 (ko) 돌출형 마이크 모듈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US20080050952A1 (en) Thumb Drive with Retractable USB Connector
US20060077777A1 (en) Water and shock resistant music player
US79509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KR100708886B1 (ko) 일체형 이어폰을 구비하는 본체 분리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JP7006615B2 (ja) スピーカー装置
CN212850971U (zh) 一种使用更方便的防水颈戴式蓝牙耳机
US8711571B2 (en) Portable multimedia player
KR200438262Y1 (ko) 엠피쓰리 장치
JP5291141B2 (ja) 携帯電話
KR101612672B1 (ko) 이어폰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277453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거치구조
KR200436302Y1 (ko) 유에스비 디바이스
KR200364566Y1 (ko) 이어폰의 유에스비 단자 연결장치
KR100456804B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거치구조
KR200393987Y1 (ko) 보조기억장치 장착이 가능한 휴대폰
KR100739370B1 (ko) 목걸이형 디지털 휴대기기
KR200399222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CN209748792U (zh) 一种便携式迷你音箱
KR100775526B1 (ko) 이어폰을 갖춘 음향통신기기
CN210120254U (zh) 一种多功能数据线
KR100536399B1 (ko)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EP1521336A2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1054968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00270U (ko) 보호커버를 갖는 다기능 충전 젠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