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686B1 -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686B1
KR100708686B1 KR1020050045194A KR20050045194A KR100708686B1 KR 100708686 B1 KR100708686 B1 KR 100708686B1 KR 1020050045194 A KR1020050045194 A KR 1020050045194A KR 20050045194 A KR20050045194 A KR 20050045194A KR 100708686 B1 KR100708686 B1 KR 10070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electrode terminal
image display
light emitting
termi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602A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686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을 하나의 구동회로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경우, 구동회로로부터 보조패널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라인을 메인패널의 화상표시부에 배열하여, 사공간( dead space)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평판표시장치는 제1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표시패널과; 제2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2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회로를 구비한다. 제2표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 일측에는 상기 제2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전극단자부가 배열된다. 제1표시패널의 제1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가 상기 제2표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제2화상표시부의 상기 연결회로에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제2전극단자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제1표시패널로 제공하기 위한 제3전극단자부가 배열된다.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이 상기 제2표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에 배열된다.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을 구비한 평판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을 구비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보조패널 310 : 보조패널의 화상표시부
350 : FPC 기판 400 : 메인패널
410 : 메인패널의 화상표시부 421 : 캐소드전극 단자부
425 : 애노드전극 단자부 430 : 보조패널의 전극단자부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패널과 메인패널을 하나의 구동회로(one-chip driver IC)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경우, 보조패널과 구동회로간에 신호전달을 위한 배선라인을 메인패널의 화상표시부에 배열하여사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등과 같은 평판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및 휴대가 용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모바일폰(mobile phone)과 같은 이동매체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동매체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에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며, 이러한 표시패널 및 키패드 등을 보호하거나 또는 키패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랩을 사용한다. 플랩을 사용하는 이동매체는 플랩이 닫혀있는 경우에는 이동매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별도의 보조패널을 추가하여 이동매체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시계와 같은 간단한 기능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국내공개특허 2004-0085684호에는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부품을 구비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기판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는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에 각각 구동회로가 배열되는 경우 사공간이 증가하여 화상표시에 필요한 유효표시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의 구동회로를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중 하나에 배열하여 메인패널의 화상표시면적을 증대시키고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도 1은 종래의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평판표시장치(10)는 메인패널(200)과 보조패널(100) 그리고 메인패널(200)과 보조패널(100)사이에 배열된 FPC(flexible printed circuit)기판(250)을 구비한다. 메인패널(200)은 화상표시부(210)에는 다수의 화소가 배열되며, 구동회로(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각 화소로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패드, 예를 들어 애노드전극 단자부(225)와, 캐소드전극 단자부(221)가 상기 화상표시부(210)의 일측에 배열된다.
또한, 메인패널(200)의 화상표시부(21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회로로부터 상기 보조패널(100)로 제공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보조패널의 단자부(230)가 배열된다. 상기 메인패널(200)의 화상표시부(210)의 일측, 즉 상기 단자부(221, 225, 230)의 대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단자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FPC 기판(250)을 통해 보조패널(100)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단자부(250)가 배열된다. 보조패널의 단자부(230)와 연결단자부(2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라인(235)이 화상표시부의 좌측 및 우측에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한 종래의 평판표시장치는 보조패널(100)과 메인패널(200)을 하나의 구동회로(one-chip driver IC)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위해서 메인패널의 FPC 기판과 연결되는 부분 및 구동회로로터 신호가 전달되는 부분에 각각 보조패널을 위한 단자부들이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라인이 화상표시부(210)의 외곽부에 배열되므로, 화상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사공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조패널에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라인을 메인패널의 화상표시부에 배열하여 메인패널의 사공간을 줄여 유효화상 표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평판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는 다른 해상도를 갖으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2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회로를 구비한다.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중 제2표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 일측에는 상기 제2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전극단자부가 배열된다.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중 제1표시패널의 제1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가 상기 제2표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제2화상표시부의 상기 연결회로에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제2전극단자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제1표시패널로 제공하기 위한 제3전극단자부가 배열된다.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이 상기 제2표 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에 배열된다.
상기 제2표시패널은 제1표시패널에 비해 높은 해상도를 갖으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중 적어도 제2표시패널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제2표시패널은 전면발광구조를 갖으며, 상기 연결라인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표시패널은 배면발광구조를 갖으며, 상기 연결라인은 Cr, Cu, Al, Ag 및 이들의 합금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막을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표시패널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화상표시부와, 상기 제2화상표시부 일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2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전극단자부와, 제2화상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제1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화상표시부의 다른 일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2전극단자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제1표시패널로 제공하기 위한 제3전극단자부와,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을 구비하는 제2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회로를 구비한다.
제2표시패널은 기판의 화상표시부에 배열된 칼라필터층과; 상기 칼라필터층을 분리시켜 주기 위한 광차단막과; 상기 칼라필터층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제1전극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광차단막은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으로 작용한다. 상기 광차단막은 적어도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막은 Cr, Cu, Al, Ag 및 이들의 합금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막을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차막은 적어도 광흡수층과 저저항 도전막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갖으며, 상기 광흡수층은 CrOx 또는 카본블랙과 같은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저저항 도전막은 Cr, Cu, Al, Ag 및 이들의 합금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막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칼라필터층과 유기발광소자사이에 개재된 버퍼막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버퍼막은 투명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버퍼막으로는 산화막 또는 질화막과 같은 무기절연막 또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막층을 구성하는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기판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발광구조를 갖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표시패널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화상표시부와, 상기 제2화상표시부 일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2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전극단자부와, 제2화상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제1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화상표시부의 다른 일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2전극단자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제1표시 패널로 제공하기 위한 제3전극단자부를 구비하는 제2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회로를 구비한다.
제2표시패널은 기판의 화상표시부에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제1전극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열된 칼라필터층과; 상기 칼라필터층을 분리시켜 주기 위한 광차단막과;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을 더 구비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칼라필터층과 유기발광소자사이에 개재되어 기판표면을 평탄화시켜 주기 위한 평탄화막과; 상기 반사막 패턴과 유기발광소자사이에 개재된 버퍼막을 더 구비한다. 상기 평탄화막과 버퍼막은 투명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평탄화막은 폴리이미드 또는 아크릴과 같은 유기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막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과 같은 무기절연막 또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라인은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형태의 도전막패턴을 포함하며,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반사시켜 주기 위한 반사막으로 작용한다. 상기 연결라인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반사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중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은 ITO, IZO 및 In2O3 로부터 선택되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막층을 구성하는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기판방향으로 방출되 는 배면발광구조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평판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평판표시장치(20)는 메인패널(400)과 보조패널(300) 그리고 메인패널(400)과 보조패널(400)사이에 배열된 FPC(flexible printed circuit)기판(250)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패널(200)은 상기 메인패널(400)보다 해상도가 낮은 화상표시부(310)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패널(300)은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수의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그리고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보조패널(300)은 상기 FPC 기판(350)의 패드부와 이방성 도전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통해 접착되는 패드부(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메인패널(400)은 상기 보조패턴(300)의 화상표시부(310)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화상표시부(410)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표시부(410)에는 다수의 애노드전극이 일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애노드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캐소드전극이 배열되며,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유기막층이 개재되어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화상표시부(410)의 일측에는 구동회로(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각 화소로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패드, 예를 들어 애노드전극 에 연결되는 애노드전극 단자부(425)와, 캐소드전극에 연결되는 캐소드전극 단자부(421)가 배열된다.
또한, 메인패널(400)의 화상표시부(41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회로로부터 상기 보조패널(300)로 제공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보조패널의 단자부(430)가 배열된다. 이때, 하나의 구동회로로부터 상기 메인패널(400)의 전극단자부(421), (425)와 보조패널(300)의 단자부(430)에 전기적인 신호가 용이하게 제공되도록, 상기 보조패널의 단자부(430)는 상기 메인패널(400)의 단자부(421, 425)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패널(400)의 화상표시부(410)의 상기 FPC 기판에 인접한 일측, 즉 상기 단자부(421, 425, 430)의 대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단자부(430)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FPC 기판(450)을 통해 보조패널(300)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단자부(450)가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패널의 단자부(430)와 연결단자부(3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라인(도 3의 435)이 화상표시부에 배열된다. 이때, 상기 연결라인(435)은 화상표시부(410)에 배열된 화소가 화상을 표시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종래의 보조패널의 단자부(230)와 연결단자부(2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interconnection, 435)이 메인채널(200)의 외곽부에 배열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보조패널(300)의 단자부(430)와 연결단자부(4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435)이 메인패널(400)의 화상표시부(410)에 배열되므로, 화상표시부(410)에 배열된 화소가 화상을 표시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메인패널(400) 의 사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메인패널의 유효화상표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배면발광구조로서 화상표시부에 연결단자부와 보조패널 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이 배열되는데, 일 실시예에서는 칼라필터의 혼색 등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를 따라 배열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401)의 화상표시부(410)에 R, G, B 칼라필터(441, 443, 445)가 배열되고, 이웃하는 R, G, B 칼라필터(441, 443, 445)사이에는 블랙매트릭스(450)가 배열되며, 블랙매트릭스(450)는 보조패널 단자부(430)와 연결단자부(40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435)을 포함한다. 따라서, 블랙매트릭스(450)는 R, G, B 칼라필터(441, 443, 445)의 블랙매트릭스로서의 본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라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블랙매트릭스(450)는 절연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막에 의해 연결라인(435)이 감싸지며 상기 연결라인은 도전막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막은 CrOx 또는 카본블랙과 같은 광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막은 Cr, Cu, Al, Ag 및 이들의 합금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랙매트릭스(450)를 구성하는 절연막이 연결라인(435)을 구성하는 도전막을 감싸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전막으로 된 연결라인(435)상부에 절연막으로 된 블랙매트릭스(450) 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블랙매트릭스(450)와 연결라인(435)이 광흡수층/저저항층/광흡수층의 적층구조로서, 절연막/도전막/절연막의 적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기판상에는 버퍼막(460)이 형성되고, 버퍼막(460)상에 상기 R, G, B 칼라필터(441, 443, 445)에 대응하여 다수의 애노드전극(470)이 배열되고, 다수의 애노드전극(47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캐소드전극(480)이 배열되며, 애노드전극(470)과 캐소드전극(480)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유기막층(475)이 개재된다. 상기 유기막층(475)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정공장벽층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유기막을 포함한다.
따라서, 애노드전극(470)과 캐소드전극(480)이 교차하는 부분이 하나의 화소로 작용한다. 일 실시예의 유기발광소자는 배면발광구조를 가지므로, 애노드전극(470)은 투과전극을 포함하고, 캐소드전극(480)은 불투과전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조패널(300)은 128x96의 해상도를 갖고, 메인패널(400)은 220x176의 QCIF의 해상도를 갖는다면, 메인 패널(400)의 R, G, B 칼라필터의 블랙매트릭스(450)는 220x3=660의 컬럼(column) 라인을 구비하고, 보조패널(300)은 128+(96x3)=416의 컬럼라인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메인패널(400)의 가용 컬럼라인은 660 라인이고, 보조패널을 위한 연결라인에 필요한 컬럼라인은 416라인이므로, 일 실시예에서처럼 블랙매트릭스가 칼라필터의 혼색방지 및 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결라인(435)이 이웃하는 애노드전극(470)사이 에 배열되어 하나의 보조패널 단자부(430)에 대응하도록 배열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메인 패널(400)의 가용컬럼라인의 수가 필요한 연결라인의 수보다 충분히 많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연결라인(435)의 길이가 가능한 한 짧게 되도록 이웃하는 애노드전극(470)사이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스캔라인 즉 캐소드전극의 배선저항이 중요하므로, 캐소드전극이 배선저항을 갖도록 연결라인을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웃하는 2개 이상의 연결라인(435)을 연결하여 하나의 보조패널 단자부(430)에 연결구성하므로써 캐소드전극의 배선저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때, 연결라인(4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애노드전극(470)과 나란하게 배열되는데, 이웃하는 연결라인(435)은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캐소드배선라인을 따라 블랙매트릭스에 연결라인을 배열하여 연결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캐소드전극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401)상에 R, G, B 칼라필터(441, 443, 445)가 배열되고, R, G, B 칼라필터(441, 443, 445)사이에는 블랙매트릭스(450)가 배열되며, 블랙매트릭스(450)는 보조패널 단자부(435)와 연결패드부(40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405)을 구비한다. 칼라필터(450) 상부에 버퍼막(460)이 배열되는데, 상기 버블랙매트릭스(450)의 최상부에는 절연막이 존재하므로, 애노드전극(470) 및 캐소드전극(480)와 연결라인(435)사이에는 쇼트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버퍼막(460)을 형성하지 않고 유기발광소자가 바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막(460)은 투명절연 막으로서 산화막 또는 질화막과 같은 무기절연막 또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절연막을 포함한다.
버퍼막(460)상에 애노드전극(470), 유기막층(475) 및 캐소드전극(480)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열되며, 캐소드전극(480)은 캐소드전극 단자부(421)에 연결된다. 상기 칼라필터(441, 443, 445) 및 유기발광소자는 봉지수단(490)에 의해 시일재(495)를 통해 봉지되어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배면발광구조를 가지므로, 기판(401)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투명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수단(490)은 유리기판 또는 메탈캡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401)상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R, G, B 칼라필터(441, 443, 445)와 블랙매트릭스(450)를 형성한다. 이때 블랙매트릭스(450)는 저저항 도전막을 증착한 다음 광흡수층을 증착하여 적층구조로 형성하거나 광흡수층, 저저항 도전막 및 광흡수층의 적층구조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저저항 도전막은 보조패널 단자부와 연결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저저항 도전막을 덮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감싸도록 형성된다.
기판상에 버퍼막(460)으로 투명절연막을 형성한다. 버퍼막(460)중 화상표시부(410)에 대응하는 부분에 애노드전극(470)을 형성하고, 상기 화상표시부(410)의 일측에 상기 애노드전극(470)에 연결되는 애노드전극 단자부(425), 캐소드전극 단 자부(425), 상기 연결라인(435)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는 연결단자부(405) 및 보조패널 단자부(430)를 형성한다.
이어서, 유기막층(475)을 형성하고 상기 캐소드전극 단자부(421)에 연결되는 캐소드전극(480)을 형성한다. 이어서, 시일재(495)를 이용하여 봉지기판(490)과 상기 기판(410)을 합착시켜 봉지공정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도 6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캐소드전극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전면발광구조로서 화상표시부에 연결단자부와 보조패널 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이 배열되는데, 다른 실시예에서는 애노드전극 하부에 배열되는 반사막을 이용하여 연결라인을 구성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전면발광형이므로 기판(401)상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열되고, 유기발광소자의 상부에 칼라필터가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판상에는 버퍼막(560)이 형성되고, 버퍼막(560)상에 다수의 애노드전극(570)이 배열되고, 다수의 애노드전극(57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캐소드전극(580)이 배열되며, 애노드전극(570)과 캐소드전극(580)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유기막층(575)이 개재된다. 상기 유기막층(475)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정공억제층으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유기막을 포함한다. 따라서, 애노드전극(570)과 캐소드전극(580)이 교차하는 부분이 하나의 화소로 작용한다.
일 실시예의 유기발광소자는 전면발광구조를 가지므로, 애노드전극(570)은 반사전극을 포함하고, 캐소드전극(580)은 투과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애노드전극(570)은 투과전극물질을 포함하고, 애노드전극(570)의 하부에 반사막패턴(435)을 배열하여 반사전극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상기 애노드전극(570)으로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막패턴(435)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반사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막패턴(43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애노드전극(570)의 하부에 배열되어 내부광을 반사시켜 주는 역할하며, 뿐만 아니라 보조패널 단자부(430)에 연결되어 보조패널 단자부(430)와 연결단자부(405)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라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사막패턴(435)은 애노드전극(570)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라인형태의 패턴을 가지며,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사막패턴(435)은 이웃하는 반사막패턴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상표시부(410)에서는 그의 폭을 최대한 크게 하며, 화상표시부(410)의 외곽부에서는 상기 보조패널 단자부(430)와의 연결을 위하여 보조패널 단자부(430)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갖도록 패터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사막패턴(435)은 애노드전극(570)의 하부에 배열되어 반사막으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으므로, 애노드전극(570)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전극(570)과 반사막패턴(435)사이에는 버퍼막(560)이 개재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배열되는 화상표시부(410)에 R, G, B 칼라필터(541, 543, 545)가 배열되고, 이웃하는 R, G, B 칼라필터(541, 543, 545)사이에는 블랙매트릭스(550)가 배열된다. 상기 R, G, B 칼라필터(541, 543, 545)는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애노드전극(570)과 캐소드전극(580)의 교차부분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랙매트릭스(550)는 R, G, B 칼라필터(541, 543, 545)의 혼색방지역할을 하므로 절연막 또는 도전막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Cr/Cr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매트릭스(550)는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연막과 도전막의 적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R, G, B 칼라필터(541, 543, 545)는 바람직하게 평탄한 기판상에 형성되어야 하는데,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501)의 표면을 소정의 단자를 갖게 되므로 R, G, B 칼라필터(541, 543, 545)와 유기발광소자사이에 평탄화막(565)이 개재된다. 상기 평탄화막은 투명절연막으로서, 폴리이미드, 아크릴 등과 같은 유기절연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보조패널보다 메인패널의 해상도가 높으므로, 에노드전극을 따라 나란하게 반사막패턴을 배열하여 보조패널 단자부(430)와 연결패드부(40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435)으로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화상표시부(410)에 배열되는 반사막패턴을 보조패널 단자부와 연결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으로 사용하므로, 메인패널의 사공간을 줄여 유효화상 표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라인(435)이 애노드전극(570)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하나의 보조패널 단자부(430)에 대응하도록 배열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메인 패널(400)의 가용컬럼라인의 수가 필요한 연결라인의 수보다 충분히 많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연결라인(435)의 길이가 가능한 한 짧게 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스캔라인 즉 캐소드전극의 배선저항이 중요하므로, 캐소드전극이 배선저항을 갖도록 연결라인을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웃하는 2개 이상의 연결라인(435)을 하나의 연결하인으로 패터닝하여 하나의 보조패널 단자부(430)에 연결구성하므로써 캐소드전극의 배선저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칼라필터(541, 543, 545) 및 유기발광소자는 봉지수단(590)에 의해 시일재(595)를 통해 봉지되어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전면발광구조를 가지므로, 기판(501)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투명기판이나 금속기판과 같은 불투명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수단(590)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투명기판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501)의 화상표시부(410)에 라인형태의 도전막 패턴(435)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막 패턴(435)은 후속공정에서 형성되는 애노드전극의 반사막과 보 조패널 단자부(435)와 연결단자부(405)를 영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으로 작용한다. 상기 도전막 패턴(435)을 덮도록 기판상에 투명 절연막으로 된 버퍼막(560)을 형성한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한다. 즉, 기판(501)중 화상표시부(410)에 대응하는 부분에 애노드전극(570)을 형성하고, 상기 화상표시부(510)의 일측에 상기 애노드전극(570)에 연결되는 애노드전극 단자부(425), 캐소드전극 단자부(425), 상기 도전막패턴(435)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는 연결단자부(405) 및 보조패널 단자부(430)를 형성한다.
이어서, 유기막층(575)을 형성하고 상기 캐소드전극 단자부(421)에 연결되는 캐소드전극(580)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형성에 따른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판상에 평탄화막(565)을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막(565)은 투명 절연막을 포함한다. 이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R, G, B 칼라필터(541, 543, 545)와 블랙매트릭스(550)를 형성한다. 이어서, 시일재(595)를 이용하여 봉지기판(590)과 상기 기판(510)을 합착시켜 봉지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제시된 칼라필터의 배열구조 및 유기발광소자의 구조는 도 3 내지 도8에 제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패널과 메인패널을 구비하는 패시브 매트릭스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보조패널 단자부와 연결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을 메인패널의 화상표시부에 배열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연결라인의 배열구조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뿐만 아니라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패널과 메인패널이 모두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보조패널과 메인패널중 하나의 패널이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패널과 메인패널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패널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표시부의 외곽부를 따라 배열되는 캐소드전극 단자부의 길이증가에 따른 배선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랙매트릭스 또는 반사막패턴을 캐소드전극 단자부에 연결구성하여 저저항 캐소드전극 단자부를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화상표시부에 배열되는 블랙매트릭스나 반사막을 보조패널 단자부와 연결단자부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라인으로 구성하므로써, 메인패널의 사공간을 줄여 유효화상 표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는 다른 해상도를 갖으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2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회로를 구비하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중 제2표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 일측에는 상기 제2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전극단자부가 배열되며,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중 제1표시패널의 제1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가 상기 제2표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2화상표시부의 상기 연결회로에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제2전극단자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제1표시패널로 제공하기 위한 제3전극단자부가 배열되고,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이 상기 제2표시패널의 제2화상표시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패널은 제1표시패널에 비해 높은 해상도를 갖는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중 적어도 제2표시패널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패널은 전면발광구조를 갖으며,
    상기 연결라인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패널은 배면발광구조를 갖으며,
    상기 연결라인은 Cr, Cu, Al, Ag 및 이들의 합금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막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6.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표시패널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화상표시부와, 상기 제2화상표시부 일측에 배열되 어 상기 제2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전극단자부와, 제2화상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제1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화상표시부의 다른 일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2전극단자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제1표시패널로 제공하기 위한 제3전극단자부와,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을 구비하는 제2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회로를 구비하며,
    제2표시패널은 기판의 화상표시부에 배열된 칼라필터층과;
    상기 칼라필터층을 분리시켜 주기 위한 광차단막과;
    상기 칼라필터층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제1전극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광차단막은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필터층과 유기발광소자사이에 개재된 버퍼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투명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과 같은 무기절연막 또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막은 적어도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Cr, Cu, Al, Ag 및 이들의 합금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막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막은 적어도 광흡수층과 저저항 도전막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CrOx 또는 카본블랙과 같은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저저항 도전막은 Cr, Cu, Al, Ag 및 이들의 합금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막층을 구성하는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기판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발광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패널이 제1표시패널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6.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화상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표시패널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화상표시부와, 상기 제2화상표시부 일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2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전극단자부와, 제2화상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제1화상표시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화상표시부의 다른 일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2전극단자부로부터 제 공되는 제2전기적 신호를 제1표시패널로 제공하기 위한 제3전극단자부를 구비하는 제2표시패널과;
    상기 제1표시패널과 제2표시패널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회로를 구비하며,
    제2표시패널은 기판의 화상표시부에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제1전극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열된 칼라필터층과;
    상기 칼라필터층을 분리시켜 주기 위한 광차단막과;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3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필터층과 유기발광소자사이에 개재되어 기판표면을 평탄화시켜 주기 위한 평탄화막과;
    상기 반사막 패턴과 유기발광소자사이에 개재된 버퍼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막과 버퍼막은 투명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막은 폴리이미드 또는 아크릴과 같은 유기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막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과 같은 무기절연막 또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형태의 도전막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을 위한 도전막 패턴은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반사시켜 주기 위한 반사막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반사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중 제1전극단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은 ITO, IZO 및 In2O3 로부터 선택되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막층을 구성하는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기판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발광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패널이 제1표시패널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050045194A 2005-05-27 2005-05-27 평판표시장치 KR10070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194A KR100708686B1 (ko) 2005-05-27 2005-05-27 평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194A KR100708686B1 (ko) 2005-05-27 2005-05-27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602A KR20060122602A (ko) 2006-11-30
KR100708686B1 true KR100708686B1 (ko) 2007-04-17

Family

ID=3770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194A KR100708686B1 (ko) 2005-05-27 2005-05-27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1083B2 (en) 2017-09-29 2019-09-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19B1 (ko) * 2007-03-26 2008-05-08 (주)매트릭스 시인성이 향상된 분할구동 이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
KR100965250B1 (ko) * 2008-12-10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994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양면표시 액정표시장치
KR20040011378A (ko) * 2002-07-30 2004-02-0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45376A (ko) * 2002-11-25 2004-06-0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및 표시장치
JP2005070121A (ja) 2003-08-27 2005-03-17 Seiko Instruments Inc 表示装置
KR20050034307A (ko) * 2003-10-09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050042552A (ko) * 2003-11-03 2005-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994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양면표시 액정표시장치
KR20040011378A (ko) * 2002-07-30 2004-02-0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45376A (ko) * 2002-11-25 2004-06-0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및 표시장치
JP2005070121A (ja) 2003-08-27 2005-03-17 Seiko Instruments Inc 表示装置
KR20050034307A (ko) * 2003-10-09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050042552A (ko) * 2003-11-03 2005-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액정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1083B2 (en) 2017-09-29 2019-09-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840321B2 (en) 2017-09-29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76318B2 (en) 2017-09-29 2022-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602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3688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1073447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second metal layer contacting first metal layer at power supply line
KR10136517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4262902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EP417063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2007831B1 (ko) 네로우 베젤 타입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CN110164879B (zh) 阵列基板、显示装置
KR20170140495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9245936B2 (en) Multi-display apparatus
JP2018112859A (ja) 表示装置
WO2014046031A1 (ja) 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CN112447815A (zh) 显示设备
CN113013360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6097663B2 (ja) タッチパネル機能内蔵表示装置
KR20210085902A (ko) 표시장치
KR100708686B1 (ko) 평판표시장치
CN114089873A (zh) 显示面板和电子装置
KR101992909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01359A (ko) 전자패널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210085263A (ko) 표시 장치
CN114725163A (zh) 显示装置
KR20230001078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89777A (ko) 표시 장치
KR20120113942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2466918B1 (ko)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칩 온 필름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