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981B1 -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981B1
KR100707981B1 KR1020050083765A KR20050083765A KR100707981B1 KR 100707981 B1 KR100707981 B1 KR 100707981B1 KR 1020050083765 A KR1020050083765 A KR 1020050083765A KR 20050083765 A KR20050083765 A KR 20050083765A KR 100707981 B1 KR100707981 B1 KR 10070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ll
electrolyte
cell
heating element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955A (ko
Inventor
박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to KR102005008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9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37Electrical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전지만을 국부적으로 가열시키도록 함으로써 단전지를 고온으로 유지하되, 단전지 이외의 부분은 단전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전해질층과 전극층들을 구비하는 단전지로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단전지 내부에는 상기 단전지를 가열시키는 발열체가 설치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단전지, 저항전극, 면상발열체

Description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making method for unit cell of fuel cell with inner heater }
도 1은 연료전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택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개략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전해질을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전체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연료전지에 탑재되는 단전지를 내부히터로 가열하여 국부적으로 온도를 높인 내부발열체를 장착한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체산화물연료전지는(SOFC)는 650~1000℃범위의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전지로써 연료극에 공급되는 수소의 산화와 공기극에 공급되는 산소의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기존의 전지나 동력기관에 비해 발전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이며, 폐열을 이용한 열병합 발전이 가능하여 건설과 증설이 용이하고, 다양한 용량이 가능하며, 수소, 석탄가스, 천연가스등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연료전지에 탑재되는 단전지와 스택이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단전지(10)는 전해질층(1)과, 전해질층(1)의 양면에 형성되는 전극층(2), (3)으로 이루어지며, 전극층(2), (3)은 촉매층과, 촉매층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가스확산층으로 이루어진다.
단전지(10)의 외측으로는 단전지(10)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며, 수소와 산소를 주입하기 위한 한 쌍의 인터커넥터(20)가 배치되고, 인터커넥터(20)의 단전지(10)와 접촉하는 대향면에는 전극층(2), (3)에 반응가스를 공급하고, 전극 반응생성물, 연료가스를 전극층 외부로 운반하기 위한 가스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단전지로 수배mA/cm2의 전류밀도로 통전시에 0.7 ~ 0.8V 정도의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압을 얻기 위하여 단전지를 필요로 하는 개수만큼 적층시켜 직렬로 연결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택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연료전지에 적용되는 단전지는 고온에서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택에 인접하여 히터를 설치하고 스택 전체를 가열시켜 스택전체를 고온으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를 고온으로 장기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인터커넥터를 열에 견딜 수 있는 고가의 세라믹소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전지를 다른 장치들과 함께 설치되는 공간에서는 다른 장치들에 대하여 연료전지의 열을 단열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전지의 단전지들은 각 단전지간에 가스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각 단전지들은 밀봉구조로 이루어져 우수한 기밀성을 유지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고온에서는 고가의 밀봉재료가 요구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전지만을 국부적으로 가열시키도록 함으로써 단전지를 고온으로 유지하되, 단전지 이외의 부분은 단전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커넥터를 비롯한 연료전지 구성재료를 저온에서 동작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가인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전지만을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요소의 재료의 선택폭을 증가시키고, 스택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며, 타 장치에 대한 단열의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해질과 전극들로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의 단전지를 단전지 형성방법에 있어서: 제 1 전해질 쉬트를 형성하는 제 1 전해질 쉬트 형성단계; 상기 제 1 전해질 쉬트 위에 발열체 페이스트를 프린팅하여 건조하는 발열체 패턴 형성단계; 상기 발열체 패턴이 형성된 제 1 전해질 쉬트 위에 전해질을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제 2 전해질 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해질 쉬트 형성단계 후에 상기 제 1 전해질 쉬트와 상기 제 2 전해질 쉬트는 가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전지의 단면도이다.
전해질층(1)의 외측면에는 음극(2), 양극(3)의 전극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전해질층(1)의 중심에는 발열체(4),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원에 가열되는 저항체, 특히 면적분포가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가 설치되어져 있다.
발열체(4)는 단전지(10)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어 전해질층(1)을 가열시킨다. 도시된 실시예는 전해질층(1)에 발열체(4)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음극(2), 양극(3)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발열체(4)에 의하여 가열되는 단전지의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체(4)에 공급되는 전기를 온/오프시켜 단전지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는 열감지수단 및 스위칭 수단, 예를 들어 바이메탈(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의 발열체의 구조 또한 도 3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전해질층(1)과 발열체(4) 사이에 완충층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전해질층을 형성하기 위한 개략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건조된 전해질 쉬트(11)의 표면에 전해질층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 기기를 사용하여 프린팅하여 소정 패턴의 발열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른 전해질을 도포, 형성하여 건조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바인더와 전해질 분말을 알루미나 볼과 함께 포트에 넣어 24시간 동안 혼합하여 닥터브레이드를 이용하여 전해질 쉬트를 제작한다(S1).
제작된 쉬트를 10×10cm로 절단 후 발열체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스크린 프린팅 기기를 사용하여 제작한 전해질 쉬트 위에 인쇄 후 건조한다(S2), (S3).
발열체가 인쇄된 전해질 쉬트위에 발열체가 인쇄되지 않은 전해질 쉬트를 놓고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80℃에서 가압, 가열시킨다(S5).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전해질을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과정은 전해질 분말을 이용하여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전해질 분말을 금형에 일부 채워넣고, 바람직하게는 금형내의 반 충진시킨 후에 가압한다(S11).
반 충진된 전해질 분말상에 발열체 쉬트를 배치시키고, 전해질 분말을 만 충진 시킨 후 200kg/㎠ 압력으로 성형을 한다(S12), (S13).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의 스택전체가 가열되는 방식이 아닌 반응이 발생하는 단전지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인하여 스택을 제작할 경우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단전지의 작동온도가 높을지라도 단전지의 외부에 설치되는 인터커넥터 등을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 스테인레스(SUS)등의 다양한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밀봉재로서 테프론과 같은 고분자 가스켓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단전지 외부의 온도를 낮출 수가 있고, 단전지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안정성이 있는 다양한 구조의 스택을 설계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해질층과 전극층들로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에 있어서:
    제 1 전해질 쉬트를 형성하는 제 1 전해질 쉬트 형성단계;
    상기 제 1 전해질 쉬트위에 발열체 페이스트를 프린팅하여 건조하는 발열체패턴 형성단계;
    상기 발열체 패턴이 형성된 제 1 전해질 쉬트위에 전해질을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제 2 전해질 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해질 쉬트 형성단계 후에 상기 제 1 전해질 쉬트와 상기 제 2 전해질 쉬트는 가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KR1020050083765A 2005-09-08 2005-09-08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KR10070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765A KR100707981B1 (ko) 2005-09-08 2005-09-08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765A KR100707981B1 (ko) 2005-09-08 2005-09-08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955A KR20070028955A (ko) 2007-03-13
KR100707981B1 true KR100707981B1 (ko) 2007-04-16

Family

ID=3810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765A KR100707981B1 (ko) 2005-09-08 2005-09-08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52B1 (ko) * 2013-05-15 2014-09-24 국방과학연구소 비축형전지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96A (ko) * 2000-05-08 2002-11-23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
KR20040010259A (ko) * 2002-07-23 2004-01-3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 피 연료 전지 조립체, 연료 전지 가열 방법, 연료 전지 제조방법, 전기 장치 및 전력원
JP2004178950A (ja) 2002-11-27 2004-06-24 Honda Motor Co Ltd 始動暖機機構付き燃料電池
JP2004247173A (ja) 2003-02-13 2004-09-02 Kyocera Corp 燃料電池用容器および燃料電池
US6921603B2 (en) 2002-04-24 2005-07-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fluidic fuel cell systems with embedded materials and structure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96A (ko) * 2000-05-08 2002-11-23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
US6921603B2 (en) 2002-04-24 2005-07-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fluidic fuel cell systems with embedded materials and structures and method thereof
KR20040010259A (ko) * 2002-07-23 2004-01-3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 피 연료 전지 조립체, 연료 전지 가열 방법, 연료 전지 제조방법, 전기 장치 및 전력원
JP2004178950A (ja) 2002-11-27 2004-06-24 Honda Motor Co Ltd 始動暖機機構付き燃料電池
JP2004247173A (ja) 2003-02-13 2004-09-02 Kyocera Corp 燃料電池用容器および燃料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52B1 (ko) * 2013-05-15 2014-09-24 국방과학연구소 비축형전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955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905B1 (ko) 고체전해질 연료전지
JP4794178B2 (ja) 固体電解質燃料電池
US7659021B2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solid oxide fuel cell
EP0442743B1 (en) Solid oxide fuel cells
CN101197453B (zh) 压缩组件、固体氧化物燃料电池堆及其压缩方法和应用
US7449261B2 (en) Holding member for holding an electrochemical cell, a holding substrate for the same, an electrochemical system and a connecting member for electrochemical cells
US5292599A (en) Cell uni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power generators using such cell units
CN101300709A (zh) 带有整体密封和支撑物的陶瓷膜,及包括其的电化学电池和电化学电池堆
JPH03274672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KR20150001402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
CA2577596C (en) Solid oxide fuel cell with a metal bearing structure
Wetzko et al. Solid oxide fuel cell stacks using extruded honeycomb type elements
EP1508932B1 (en) Solid electrolyte fuel-cell device
US7255952B2 (en) Solid oxide fuel cells having gas channel
JPH03219563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5377599B2 (ja) 燃料電池セル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セルスタック装置、燃料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燃料電池装置
KR100707981B1 (ko) 연료전지의 단전지 형성방법
JP2009041044A (ja) 反応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反応システム
RU2417488C1 (ru) Планарный элемент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батаре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JP2531824B2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5373668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単セル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RU196629U1 (ru) Мембранно-электродный блок твердооксидного топл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с контактными слоями
PL220309B1 (pl) Bateria ogniw paliwowych
JP6777669B2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の運転方法および電気化学反応システム
JP4688263B2 (ja)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セルおよびその起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