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967B1 -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및 변화 통보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및 변화 통보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967B1
KR100707967B1 KR1020050054854A KR20050054854A KR100707967B1 KR 100707967 B1 KR100707967 B1 KR 100707967B1 KR 1020050054854 A KR1020050054854 A KR 1020050054854A KR 20050054854 A KR20050054854 A KR 20050054854A KR 100707967 B1 KR100707967 B1 KR 10070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barrel
blo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523A (ko
Inventor
박득희
박보윤
서화연
신성철
안희영
이경수
조경선
황용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US11/718,16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90070689A1/en
Priority to PCT/KR2005/003626 priority patent/WO2006049410A1/en
Publication of KR2006004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입력정보에 의해 주제별로 분류되는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객체 내에서 포스트를 생성시키는 단계;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특정 내용에 대한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내용이 표시된 영역을 선택하고, 해당 영역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콘텐츠 저장 명령에 따라 별도의 글쓰기 창을 생성하고, 상기 독출된 내용을 상기 생성된 글쓰기 창에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객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웹서버, 객체, 포스트, 통, 관심 분야, 분류, 편집, 변화, 통보

Description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및 변화 통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ETHOD FOR ALARMING THE UPDATE OF THE CLASSIFIED OBJECTS HAVING THE PROPERT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로그에서 이용자들 간의 관계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그에서 이용자의 폴더간의 관계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통들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서비스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속성을 부여한 포스트 분류 통의 연결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프로세스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신의 통에 연결을 당한 사용자의 측면에 서 진행되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인의 통에 연결을 한 사용자의 측면에서 진행되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생성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생성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통 추가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 통의 정보 제공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파도타기 수행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 블로그의 클리핑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티 서버의 세부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티 관리 서버의 세부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생성 메뉴 구성의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통의 메인 메뉴 구성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촌 통으로 설정한 통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촌 통에 생긴 변화를 통지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파도타기의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를 클리핑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5a 내지 도 2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 블로그의 RSS 주소를 얻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소를 클리핑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7a 내지 도 2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캡쳐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8a 내지 도 28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용을 캡쳐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웹사이트 서버 310 : 인터넷
320 : 통서비스 장치 330 : 사용자 PC
400 : 웹서버 410 : 통 서비스 서버
420 : 통 정보 데이터베이스
430 : 버디 정보 데이터베이스 440 :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450 : 범용 통신 버스 460 : 외부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웹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 간의 연결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로그(BLOG)란 인터넷을 의미하는 웹(Web)’과 항해 일지를 뜻하는 '로그(logs)’가 합쳐진 신조어로 인터넷 일기, 또는 인터넷 항해 일지를 의미하며, 네티즌들이 칼럼일기 기사 등을 올려 여론을 형성하는 일종의 온라인 뉴스 사이트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블로그를 만드는 네티즌을 블로거(BLOGER)라고 부른다. 블로그를 쉽게 만들고, 블로거들끼리 서로 묶어 주는 사이트들이 생긴 후 블로그의 인기는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학생과 대학생들이 2001년 만든 비영리단체 웹로그인코리아(wik.ne.kr)가 국내 최초 블로거들의 모임으로 시작된 이래, 2002년 11월 이후 4개월여 만에 7만5000여 명이 <에이블클릭>이 만든 블로그 사이트 (www.blog.co.kr)를 통해 블로거로 탄생, 1인 미디어시대를 열고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블로그가 새로운 사회현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2003년 블로그가 1000만 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상기 블로그는 개인 자격으로 글을 올린다는 점에선 기존의 게시판을 떠올릴 수도 있지만, 1인 미디어로 독특한 콘텐츠를 계속 업데이트해 수준 높은 여론형성의 장을 만든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인 언론사 등의 게시판은 익명성과 일방성 때문에 욕설과 비방이 난무하며, 회원의 80% 이상이 콘텐츠를 올리지 않고 보기만 하는 커뮤니티는 갈수록 콘텐츠가 빈약해진다. 그러나 반면 블로그는 블로그끼리만 연결되어 있어 함부로 답글을 쓰지 않고, ‘1인 미디어’로 자신의 의견을 전하기 위해 계속 업데이트를 하기 때문에 콘텐츠가 강화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웹 서비스 상에서 포스트(post)란 이용자가 생성해낸 하나의 게시물을 의미하는 단위이고, 이용자는 이러한 포스트를 각각의 주제에 맞추어 분류를 하여 웹상에 상술한 블로그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저장, 관리하게 된다.
이때의 분류는 카테고리, 폴더 등으로 지칭되는데 이는 각각의 포스트들을 이용자가 정한 주제, 키워드를 중심으로 이름을 부여, 구분하게 해주는 기능만을 갖게 된다. 이는 이용자에게 해당 포스트가 주제 A에 관한 정보 또는 B에 관한 정보임을 구별하게 해줄 뿐, 이용자 입장에서의 정보 수집, 저장, 관리, 확장 등을 하는 데 있어 한계를 지닌다.
특히 효율적인 정보의 탐색 및 관리를 위한 정보간의 연결 측면에서 기존 서비스들은 콘텐츠 소유자를 중심으로 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연결, 혹은 카테고리와 이용자 간의 연결(예컨대, 일촌 맺기, 이웃 블로그, 북마크) 등을 통해 해당사이트의 카테고리를 다시 찾아가기 쉽게 해주는 즐겨찾기 수준의 기능을 제시해주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블로그 등을 통한 정보의 선택, 수집, 연결의 동기는 콘텐츠의 내용이나 주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생겨나게 된다. 그런데 기존 서비스들의 정보 소유자 중심의 연결은 정보 선택의 동기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찾기 위해 재방문할 경우, 나의 관심사와 상관없는 콘텐츠들까지 함께 열람하여야 하므로 오히려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로그에서 이용자들 간의 관계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평소 자동차, 골프, 인터넷 등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 A(User A)는 자신의 블로그의 폴더(100)를 자동차, 골프, 인터넷 등으로 분류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A는 인터넷 서핑 중 자동차에 대한 좋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B의 블로그를 발견하고 해당 포스트를 복사하여 자신의 블로그의 자동차 폴더로 가져오거나 상기 사용자 B의 블로그를 링크 시켜 놓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 B는 자신의 블로그 폴더(110)를 자동차, 영화, 만화 등으로 구성하고, 각각 영화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 C(120), 자동차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 D(130), 만화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 E(140)의 블로그를 링크 시켜 놓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B의 블로그 상에서는 B의 이웃 블로거(즉, 사용자) C, D, E의 리스트만 있을 뿐, 사용자 B가 C, D, E와 이웃을 무엇 때문에 맺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A가 B를 통해서 자동차에 대해 관 심이 있는 사용자 D를 만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 C, D, E의 모든 블로그를 직접 가서 확인해 봐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것은 곧 사용자 B가 사용자 A의 관계(정보) 확장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부 포털 사이트 등에서는 블로그의 정보 수집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RSS 리더 등의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RSS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간략하게 구현한 포맷을 의미한다. 상기 RSS를 이용하면 자신의 블로그 콘텐츠를 쉽게 배포(Syndication)하거나 다른 블로그의 콘텐츠를 쉽게 구독(Aggregation)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RSS 리더를 통해 프로그램에 다른 블로그의 RSS 주소를 등록해 놓으면, 해당 블로그의 콘텐츠가 업데이트 되었을 경우 이를 소정의 'RSS 리더'를 통해 편리하게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 A와 사용자 B의 상호 작용(interaction)에 대한 강화를 위해 사용자 B의 변화된 정보가 사용자 A에게 갈 때, 자동차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영화 또는 만화에 대한 변화의 정보가 계속적으로 사용자 A에게 공지된다. 따라서, 사용자 A의 관심이 없는 사용자 B의 영화, 만화에 대한 정보는 둘 간의 네트워크에 노이즈(noise)로 작용되고, 이것은 곧 양자 간의 상호 작용의 약화로 작용된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RSS 리더와 같은 효과적인 콘텐츠 수집 수단이 제공된다 할지라도 해당 블로그의 소유자 중심의 연결에 의한 정보 수집은 나의 관심사와 상관없는 콘텐츠들까지 함께 수집되므로 오히려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웹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방법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지원되는 스크랩을 통해 동일 서비스내의 콘텐츠를 그대로 복사하여 저장하는 방법과 이용자가 직접 선택영역을 지정하여 복사 및 붙여넣기(copy & paste) 혹은 직접 저장하는 방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최근 엠파스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툴바의 경우, 위의 두 기능에서 나아가, 동일 서비스가 아닌, 외부의 웹페이지도 개인 저장공간인 블로그로 이동, 저장시켜주는 기능과 전체 화면을 캡쳐하여 컴퓨터 로컬 영역에 저장해주는 기능을 구현해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점 및 문제점으로는 첫째, 외부 정보의 단순 복사로 인한 저작권과 사용권의 남용, 둘째, 서핑중이던 웹사이트와 저장 공간을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윈도우 창을 열고 로그인하여 저장해야하는 불편함의 발생 등이 있다. 또한 동일 서비스내에서 제공해주는 원클릭 스크랩 기능의 경우, 이용자가 자신이 스크랩한 정보를 재검색, 확인할 때 서비스별로 분산되어 있어 재활용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히 식별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블로그의 폴더 등과 같은 기존의 분류 체계에 상태 및 행위의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간의 효과적인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 간의 연결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사용자들의 관심 카테고리들을 상호 연결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의 효과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 간의 연결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사용자들의 관심 카테고리들을 상호 연결하고 각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포스트만을 통보함으로써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의 효과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 간의 연결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사용자들의 관심 카테고리들을 상호 연결하고 각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포스트를 리모컨 또는 툴바를 통해 통보함으로써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의 효과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및 변화 통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사용자들의 관심 카테고리들을 상호 연결하고 각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포스트를 용이하게 편집 및 스크랩이 가능하도록 편집 수단을 제공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의 효과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및 변화 통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정보에 의해 주제별로 분류되는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객체 내에서 포스트를 생성시키는 단계;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특정 내용에 대한 입력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내용이 표시된 영역을 선택하고, 해당 영역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콘텐츠 저장 명령에 따라 별도의 글쓰기 창을 생성하고, 상기 독출된 내용을 상기 생성된 글쓰기 창에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객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종래의 블로그 등에서 사용자와 사용자 간의 연결만을 제공하여 비효율적인 정보의 교류가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각 사용자별로 분류한 객체(예컨대, 폴더 또는 디렉터리 또는 카테고리)를 연결 단위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관계 설 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각 사용자들의 관심 카테고리들을 상호 연결하고 각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포스트를 리모컨 또는 툴바를 통해 통보함으로써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의 효과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아니라, 각 사용자들의 관심 카테고리들을 상호 연결하고 각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포스트를 용이하게 편집 및 스크랩이 가능하도록 편집 수단을 제공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의 효과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서비스에서는 식별(identity)의 속성만을 지닌 기존의 분류체계에 대해, 상태(state)와 행위(behavior)의 속성을 부여하여 객체(object)로서의 '통'이라는 단위를 도입한다. 상기 '통'은 블로그의 폴더(folder) 또는 디렉터리(derectory)와 같은 개념으로서 각 사용자마다 관심 분야에 따라 분류한 분류 단위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블로그 등에서 도입하고 있는 폴더나 디렉터리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들 간의 관심 분야에 따라 분류한 분류 단위별로 구성된 통의 개념을 도입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개별 포스트들을 자신이 판단, 선택, 결정한 주제, 혹은 관심사에 따라 분류를 하면, 상기 통들은 이용자의 활동과 방문자 등의 영향을 받아 각각의 상태를 지니고, 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그러한 각각의 속성에 해당되는 요소들을 개발하여 다양한 메뉴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이용자의 정보의 수집, 저장, 관리 및 네트워크 형성 등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통은 객체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 및 기능들을 갖게 된다.
1) 서비스 내에서의 통들은 이용자가 선택한 관심사에 따른 타이틀, 카테고리, 대표 이미지를 지니게 되고 이는 분야별 검색을 통해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2) 각각의 통들은 통 주인과 방문자, 연결된 통들에 의해 생성일, 자료 수, 분류, 평판 스크랩 수, 연결된 통의 수, 연결된 블로그 수 등의 값을 지니게 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3) 이용자의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한 타인의 통을 연결통(또는 일촌통)으로 등록하면, 연결통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자신의 공간으로 연결통의 변화 내용을 가져와서 노출시켜주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가 발생할 경우 연결통들에게 변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객체(즉, 통)에 포스트를 등록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용이한 편집 수단을 제공한다. 즉, 이용자가 임의로 선택 영역을 지정하여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저장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웹 상에서 제공되는 모든 페이지에 대하여 선택 영역을 지정하여 손쉽게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미지, HTML 등의 파일 형식을 이용자가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게 하며, 저장 공간을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늘 띄워놓지 않아도 수시로 손쉽게 접속,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원 출처 정보를 결합하여 저장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콘텐츠가 원래 저장되어 있던 위치에 대한 정보가 결합하여 자동으로 저장되고, 링크를 통해 바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정보의 원 출처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표기됨으로써 스크랩하는 사람의 의견과 구분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콘텐츠를 이어 붙여서 단일 포스트로 작성할 수도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툴바 메뉴를 바탕화면과 마우스 우클릭 메뉴, 웹브라우저 메뉴에 상주하게 하여 사이트 접속과는 별도로 수시로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주소 담기와 선택 영역 담기, 이어담기를 통해 원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편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쉽고 다양한 편집을 통해 이용자는 정보를 선택한 동기나 맥락에 대해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부여, 제시해줄 수 있다. 여기서 이어 담기 기능은 함께 저장되는 다른 정보와의 연관성 부여를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아울러, 원문 출처를 반드시 함께 제시하여 저작권과 사용권의 침해를 방지하고, 나아가 제3의 이용자에게는 원문과 함께 스크랩을 통해 이용자가 가공한 2차적 정보까지 두 가지 맥락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기능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의해 스크랩된 포스트 등을 관리하며, 스크랩 기능을 지원하는 상술한 통 시스템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에서 이용자의 폴더 간의 관계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A(200)가 사용자 B(210)의 블로그와 직접 연결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B(210)의 폴더들 중 사용자 A(200)의 관심 분야와 동일한 폴더를 연결 설정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 A(200)가 자동차, 골프, 인터넷에 관심이 있어 각 분야에 해당되는 폴더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사용자 B(210)가 자동차, 영화, 만화에 관심이 있어 각 분야에 해당되는 폴더를 생성하여 관리하게 될 경우, 상기 사용자 A(200)는 상기 사용자 B(210)와 블로그 단위로 연결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 관심 분야인 사용자 A(200)의 자동차 폴더와 사용자 B(210)의 자동차 폴더 간의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가 아닌 정보 중심의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더와 같은 개념으로서 각 관심 분야별로 분류된 객체를 통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B(210)는 각 관심 분야에 따른 폴더별로 다른 사용자의 동일 또는 유사 분야의 폴더들과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 B의 자동차 폴더는 사용자 D(230)의 자동차 폴더와 연결하고, 영화 폴더는 사용자 C(220)의 영화 폴더와 연결하며, 만화 폴더는 사용자 E(240)의 만화 폴더와 연결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 B의 블로그 상에서는 각 폴더별로 연결 폴더 리스트가 제공되며, 상기 제공된 연결 폴더 리스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 A(200)가 사용자 B(210)의 자동차 폴더를 방문하여 상기 사용자 B(210)의 자동차 폴더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D(230)의 자동차 폴더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방법을 상호 작용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사용자 B의 자동차의 변화 정보만이 사용자 A에게 공지되며, 사용자 A가 관심을 가지지 않는 사용자 B의 영화 또는 만화의 변화 정보는 공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 중심의 네트워크에서 발생하였던 노이즈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블로그의 폴더 간 연결을 중심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하 설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별 관심 분야에 따라 분류한 분류 단위별로 구성된 통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에서의 다양한 통의 기능들은 종래의 블로그에 형성된 폴더 또는 디렉터리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 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웹사이트 서버(300), 인터넷(310), 통 서비스 장치(32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310)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330)를 통해 웹사이트 서버(300)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웹사이트 서버(30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예컨대, 인터넷상에서 블로그 기능들을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등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즉, 상기 웹사이트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30)로 홈페이지 등을 통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통서비스 장치(320)는 본 발명에 따라 각 사용자별로 블로그의 폴더와 유사한 개념인 객체로서의 통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각 사용자별 관심 분야에 따라 하나 이상의 통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각 사용자들의 관심 분야에 따라 사용자 상호 간에 상기 통의 단위로 연결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즉, 상기 각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330)를 통해 웹사이트 서버(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각 관심 분야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통서비스 장치(320)를 통해 생성한 각 통 내에 포함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각 사용자들이 생성한 통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따라 형성된 폴더의 개념으로서 사용자 간의 연결 설정이 아닌, 상기 통들 간의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포스트의 변화만을 효과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사용자들은 각 관심 분야별로 하나 이상의 통을 생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사용자별로 생성한 통들의 집합을 '마이통(My Tong)'이라고 정의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정의된 마이통은 하나 이상의 폴더를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블로그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별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하나의 마이통을 제공받고, 상기 마이통에서 관심 분야에 따라 하나 이상의 통들을 생성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통서비스 장치(320)에서 처리되는 각 기능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서비스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서비스 장치(320)는 웹서버(400), 통 서비스 서버(410), 통 정보 데이터베이스(420), 버디 정보 데이터베이스(430),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440), 범용 통신 버스(450) 및 외부 인터페이스(4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서비스 장치(320)를 통한 데이터의 수행 처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서비스 상의 ‘연결통 업데이트’의 메뉴 제공이며, 다른 하나는 리모컨을 통한 알림의 기능이다.
상기 업데이트된 연결통의 메뉴 제공은 데이터베이스 커리(Database Query)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특정 사용자가 연결한 통의 인식자(Identifier)를 토대로 해당 통의 변화 사항을 가져와 페이지에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에는 모든 통의 변화 사항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현 관점에서는 상기와 반대의 흐름을 가질 수가 있다. 첫 번째로, 개별 통은 스스로 이웃으로 등록됨과 관계없이 변화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며, 해당 통을 이웃으로 등록한 통이 상기 해당 통의 변화 사항을 단순히 가져가서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두 번째는 형태적으로 푸쉬(Push)의 형태이다. 즉, 사용자의 데스크톱에 소정의 통보 수단으로서 '알리미'를 띄워 놓으면 상기 알리미에게 별도의 알리미 서버가 그 사용자의 모든 연결통의 변화 사항을 통지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의 흐름은 다시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첫 번째 측면은 알리미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노티 서버(Notification Server)이다. 상기 노티 서버는 먼저 알리미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면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고 서비스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사용자의 연결통의 정보를 가져와서 노티 서버 전용 데이터베이스에 복사하게 된다.
두 번째 측면으로는 웹 서비스로부터 쏘아져 오는 변화 사항을 받는 노티 로직 서버(Notification Logic Server)이다. 상기 노티 로직 서버는 해당 변화 사항을 판별하여 현재 접속된 사용자에게 보내야 하는 정보일 경우 노티 서버로 접속된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보내도록 명령한다. 이때, 판별의 근거는 먼저 노티 서버가 복사해 놓은 노티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결정하게 된다. 웹 서비스는 노티를 보내기 위한 어떠한 판단도 하지 않은 채 모든 변화 사항을 노티 로직 서버로 보내게 된다. 상기 노티 서버를 통한 세부적인 통 정보 제공 절차는 도 15 및 도 16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서비스 장치(320)의 웹서버(400)를 통해 통서비스 제공 시스템(즉, 통서비스 장치)에 접속하고, 통 서비스 서버(410)에 의해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통의 생성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통에 대한 정보는 통 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다. 또한, 각 사용자별로 생성한 통의 내용 정보(예컨대, 포스팅 정보)들은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된다.
이때, 특정 사용자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460) 및 범용 통신 버스(450)를 통해 통서비스 장치(32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통과 연결된 통(즉, 연결통)에 대한 포스팅 변화 정보 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통 서비스 서버(410)에서 특정 사용자의 접속을 확인하면, 통 정보 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연결통 정보를 가져와서 버디 정보 데이터베이스(430)에 복사하게 된다.
상기 웹서버(400)는 모든 사용자들의 각 통들에 발생하는 모든 변화 사항을 상기 통 서비스 서버(410)로 제공하고, 이때 상기 통 서비스 서버(410)는 상기 버디 정보 데이터베이스(430)에 복사된 연결통의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접속된 사용자에게 보내야 하는 정보인지를 판별하고 전달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속성을 부여한 포스트 분류 통의 연결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각 사용자는 하나의 통 시스템(즉, 마이통)을 제공받게 된다. 즉, 사용자 A와 사용자 B에게는 각각 하나씩의 마이통(500, 530)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각 마이통에는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따라 하나 이상의 통들을 생성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 A는 자신의 마이통(500)에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통 1(510) 및 통 2(520)를 생성시키고, 사용자 B는 자신의 마이통(530)에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통 1(540) 및 통 2(550)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A의 통 1(510)은 분야가 자동차인 통으로, 통 2(520)는 분야가 골프인 통으로 생성하며, 사용자 B의 통 1(540)은 분야가 자동차인 통으로, 통 2(550)는 분야가 영화인 통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은 블로그 및 폴더의 확장된 개념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은 사용자의 관심 분야별로 수집 또는 작성된 정보(즉, 포스트)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 단위이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통의 기능을 종래의 블로그 및 폴더(또는 디렉터리)에 적용할 수가 있다.
상기 통들 간의 연결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 마이통 내에서(즉, 동일 사용자 내에서) 다른 통으로의 연결을 설정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마이통에 포함된 동일 또는 유사한 분야의 통으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은 연결을 시도한 사용자와 연결을 당한 사용자 간에 단방향 성을 가지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의 연결을 할 경우에는 양방향성을 가질 수도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통은 동일 유형의 블로그와 연결할 수도 있으며, 외부 블로그(560)와의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통 시스템에서의 통과 '엠파스 블로그'와 같은 다른 외부 블로그의 폴더 등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프로세스(process)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각 프로세스들로는 통 생성(610), 콘텐츠 생성(620), 통 연결(630), 연결통 변경(640) 및 검색/서핑(650) 등의 프로세스들이 고려될 수 있다.
먼저, 통 생성 프로세스(610)는 자신의 마이통 내에서 신설되는 통에 대한 이름, 대표 이미지, 분류 카테고리, 통 소개 정보 등을 입력함으로써 특정 분류의 성격을 가지는 새로운 통을 생성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통의 대표 이미지 생성을 위해 이미지 편집기 등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생성 프로세스(620)는 사용자가 포스트를 직접 작성하거나, 사진을 업로드 하거나, 멀티미디어를 스크랩 또는 클리핑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포스트에 공감을 검사함으로써 생성된 자신의 통에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로컬 파일에 대해서는 편집기로 편집하거나 파일을 업로드하고, 타인의 통에 있는 콘텐츠를 가져올 경우, 내통에 담기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외부 웹사이트 등으로부터 가져올 경우에는 클리핑 기능 등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콘텐츠 생성 작업등과 같은 사용자의 활동은 해당 사용자의 레벨 및 지수를 상승시킴으로써 활발한 활동을 유발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통 연결 프로세스(630)는 상기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신의 통으로부터 이웃통 또는 이웃 블로그 등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작업이다. 이때, 타인의 통에는 이웃이 추가되며, 외부 블로그로부터 연결 설정은 상술한 RSS 리더 등의 수단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자신의 마이통에는 수집 블로그의 목록, 통에 대한 평가, 연결통의 상세 정보, 연결하기 탭 등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 연결 작업은 타인의 통과의 연결을 통한 관심의 확장 효과를 가져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연결통 변경 프로세스(640)는 자신이 연결한 해당 통의 콘텐츠 변동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자신의 마이통에 포함된 연결통의 내용이 업데이트되며, 상기 변동 사항은 후술할 리모컨의 전광판 알리미 등을 이용하여 통보할 수가 있게 된 다. 이러한 연결통 변경 통지 작업은 변화의 인식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검색/서핑 프로세서(650)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마이통에서 통을 생성(700)하고, 상기 생성된 통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자신의 통에 직접 글을 입력하거나, 타인의 글을 스크랩함으로써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축적(720)할 수가 있으며, 나아가 외부 웹사이트(730)에 등록된 글들을 클리핑하여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종래와 같은 외부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 열람 및 RSS 리더툴을 이용한 구독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타인의 통을 방문(750)하여 정보를 열람하거나, 스크랩할 수 있으며, 자신의 통과 연결추가를 통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문한 타인의 통과 연결된 제3자의 통을 방문(760)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간의 연결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자신의 관심 분야와 동일 또는 유사한 통간의 연결을 통해 의의를 가지므로, 타인의 통에서 연결된 제3자의 통도 상기 자신의 통과 동일 또는 유사한 관심 분야의 통이 될 확률이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간의 연결 관계를 추적함으로써 관심 네트워크의 무한한 확장이 용이하게 가능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신의 통에 연결을 당한 사용자의 측면에 서 진행되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통 정보를 입력하여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분류되는 통을 생성(S801)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생성된 통에서 정보 수집 또는 작성을 하여 포스트를 생성(S802)시킨다.
이때, 상기 해당 통의 변화 상황은 서비스 서버로 통보(S803)되며, 자신의 통과 연결을 한 타인의 통으로 통보된다. 즉, 상기 포스트 생성을 통해 변화가 발생된 자신의 통과 연결된 통이 있을 경우(S804), 상기 연결된 이웃 통(연결통)의 사용자에게 상기 변화 내용을 통보(S805)해주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인의 통에 연결을 한 사용자의 측면에서 진행되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마이통에서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분류된 통을 생성(S901)하고, 이웃 통 방문(S902)하게 된다. 만약, 이웃 통이 자신이 생성한 통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분야로 분류되었을 경우, 연결 설정(S903)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연결 설정 시도에 따라 자신의 통은 타인의 통과의 링크가 생성(S904)된다. 그런 다음, 상기 연결을 설정한 이웃 통에 변화가 발생(S905)할 경우, 상기 연결이 설정된 이웃 통(연결통)의 변화 상황을 자신에게 통보(S906)해 주게 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 생성 및 연결 설정을 위한 절차들의 구현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다른 방법 또는 툴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며, 특정 용어 및 명칭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생성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클라이언트)(1000)들은 인터넷(1010)을 통해 통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부(1020)로 각종 통 생성 및 연결 등의 요청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통 서비스 시스템에서 처리된 결과는 상기 제어부(1020)를 통해 상기 각 사용자(1000)들에게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통 서비스 시스템은 제어부(1020), 각 기능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부(1030), 화면을 구성하는 템플릿(1040), 데이터베이스와의 액세스를 수행하는 DAO(Data Access Objects)(105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060) 등으로 구성도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20)는 상기 사용자(1000)의 요청을 받고 해석하여 각 기능을 담당하는 관리부(1030)에 위임하고, 상기 해당 관리부(1030)로부터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1000)에게 응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1030)는 각 소 기능을 직접 담당하며 사용자(1000)의 요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추가 및 조회 등과 같은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DAO(1050)는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1060)의 내용을 조합 반영하여 개발 언어에 맞는 구조체 형태로 구성하게 되며, 이는 상기 관리부(1030)에 의해서 만들어지게 된다.
이하, 상술한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통 생성, 추가 및 통 파도타기 수행 절차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생성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새로운 통 생성을 위하여 브라우저(Browser)를 통해 통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브라우저는 제어부(Controller)로 통 생성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S1101 단계)하고, 상기 제어부는 관리부(Manager)로 상기 수신된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S1102 단계)한다. 상기 관리부는 통 정보의 저장을 위해 DAO(Data Access Objects) 생성을 요청(S1103 단계)하고, 생성된 상기 DAO를 전달받아, 통 정보를 설정하여 통 객체를 생성(S1104 단계)한다. 계속하여, 상기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생성된 통 객체를 저장(S1105 단계)시키고 고유키를 제공(S1106 단계)받게 된다. 상기 관리부는 다시 제어부로 생성 상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S1107 단계)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표시부로 결과 페이지 구성 요청(S1108 단계)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표시부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결과 페이지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S1109 단계)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브라우저로 상기 수신된 결과 페이지(S1110 단계)를 전송함으로써 생성된 통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통 추가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타인의 통을 방문하여 브라우저를 통해 연결추가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클릭된 정보가 제어부로 전송(S1201 단계)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관리부로 새 연결 생성을 위해 사용자의 통 리스트를 요구(S1202 단계)한다. 상기 관리부에서는 상기 요구에 따라 요청자의 통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DAO를 생성(S1203 단계)하고, 각각의 상기 DAO는 해당 객체에 적합한 내용을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로 커리(Query)를 전송(S1204 단계)하여 사용자의 통 정보를 저장(S1205 단계)하고, 이를 상기 관리부로 리턴(S1206)한다. 상기 관리부는 각각의 DAO를 모아 리스트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S1207)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에서는 표시부로 연결추가 정보 입력 페이지를 생성할 것을 요청(S1208 단계)한다. 상기 표시부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른 결과로서 연결추가 정보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여 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S1209 단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결과 페이지를 브라우저로 전송(S1210 단계)하여 상기 결과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다.
한편, 상기 브라우저상에서 사용자는 연결할 사용자의 통을 지정(S1211)하고 제어부로 다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S1212 단계)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관리부로 '내통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S1213 단계)하고, 상기 관리부에서는 방향성 릴레이션을 생성하기 위해 먼저 DAO 생성을 요청(S1214 단계)하여 데이터 객체(Value Object)를 생성(S1215 단계)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릴레이션 정보 값들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1216 단계)시키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고유한 키 값을 피드백(S1217 단계)받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어부로 상기 링크 설정에 따른 생성 상태를 전송(S2118 단계)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표시부로 연결추가 결과 페이지를 생성할 것을 요청(S1219 단계)한다. 상기 표시부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른 결 과로서 연결추가 결과 페이지를 생성하여 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S1220 단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결과 페이지를 브라우저로 전송(S1221 단계)하여 상기 결과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의 변화 정보 제공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클라이언트(즉, 사용자)는 제어부(즉, 프런트 앤드 서버(Front End Server))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로그인(S1301 단계)하게 되며, 상기 로그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입력된 사용자 ID를 전송(S1302 단계)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S1303 단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출력(S1304 단계)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ID를 관리부(즉, 백 앤드 서버(Back End Server))로 전송(S1305 단계)한다.
이때, 상기 관리부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관심통의 정보를 요청(S1306 단계)하고, 요청한 통 정보를 피드백(S1307 단계)받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관리부에서는 수신된 통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S1308 단계)함으로써, 상기 통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S1309 단계)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부에서는 상기 수신된 통 정보를 로컬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저장(S1310 단계)시키게 된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이벤트가 발생(S1311 단계)할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한 ID를 상기 관리부로 전달(S1312 단계)한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로 관련 사용자(user) 검색을 요청(S1313 단계)하고, 검색 결과로서 관련 사용자 정보를 수신(S1313 단계)하게 된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관련 사용 자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S1315 단계)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즉,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벤트를 제공(S1316 단계)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클라이언트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이벤트 보기를 요청(S1317 단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S1318 단계)함으로써 절차가 종료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파도타기 수행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임의의 통을 선택하여 통 파도타기를 수행할 경우, 시스템에서는 상기 선택된 통과 연결한 통(즉, 일촌통)에 대한 목록을 제공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된 통들 중 하나의 통을 다시 선택함으로써 상기 통과 연결된 또 다른 통들에 대한 목록을 제공해주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연속하여 찾아갈 수가 있게 된다.
먼저,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제어부로 통 파도타기를 요청(S1401)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관리부로 선택된 통에 대한 정보를 요청(S1402)한다. 이때, 상기 관리부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DAO로 해당 통에 대한 정보를 요청(S1403)하게 된다. 상기 DAO에서는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요청(S1404)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공받게 되며(S1405), 상기 제공된 데이터는 DAO에서 관리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S1406, S1407)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통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선택된 통을 일촌으로 맺은 통에 대한 목록을 관리부로 요청(S1408)한다. 이때, 상기 관리부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DAO로 상기 요청된 목록 정보를 요청(S1409)하게 된다. 상기 DAO에서는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요청(S1410)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공받게 되며(S1411), 상기 제공된 데이터는 DAO에서 관리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S1412, S1413)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통을 일촌으로 맺은 통에 대한 목록뿐만 아니라, 선택된 통이 일촌으로 맺은 통에 목록을 관리부로 요청(S1414)한다. 이때, 상기 관리부에서는 상술한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요청에 따라 DAO로 상기 요청된 목록 정보를 요청(S1415)하게 된다. 상기 DAO에서는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요청(S1416)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공받게 되며(S1417), 상기 제공된 데이터는 DAO에서 관리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S1418, S1419)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생성한 통이 다른 사용자의 동일 관심분야에 따라 연결된 통과의 관계에 의해 해당 분야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임의의 통 A를 선택하여 통 파도타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통 A의 정보(예컨대, 통 제목, 설명, 이미지 등)를 가져오게 되며, 아울러 상기 통 A를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 및 상기 통 A가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을 가져오게 된다.
이때, 상기 통 A를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은 일촌 통 연결 정보 테이블에서 연결한 대상 식별자가 통 A의 고유 식별자인 목록을 가져옴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통 A가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은 일촌 통 연결 정보 테이블에서 연결한 주체 식별자가 통 A의 고유 식별자인 목록을 가져옴으로써 가능해진 다.
한편, 상기 가져온 목록들은 그래픽 등의 수단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조합하여 팝업 형태의 브라우저 창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신을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과 자신이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은 IFRAME 등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에서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며, 좌측에는 상기 통 A를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inbound list)을, 우측에는 통 A가 일촌 통을 맺은 통들의 목록(outbound list)을 보여줄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각 목록의 특정 통을 선택 및 클릭하게 될 경우, 해당 통을 중심으로 다시 상기 클릭된 통을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 및 해당 통이 일촌 통으로 맺은 통들의 목록이 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통에서 바로 가기를 클릭할 경우에는 메인 페이지가 해당 통의 메인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통 생성 및 편집 장치 및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외부 블로그 또는 웹사이트에 게재된 글 또는 이미지 등을 용이하게 클리핑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정의 소프트웨어, 즉 클리퍼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컴퓨터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된 클리퍼 프로그램은 형태적으로 브라우저의 밴드(band) 영역에 상주하며, 브라우저 후킹(hooking)을 통해 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내용과 구조를 파악할 수 가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클리핑을 위하여 웹브라우저 상에서 찍거나 긁어서 선택한 웹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클리퍼 에디터 창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영역을 HTML 문서로 추출할 것인지 아니면 선택된 영역 전부를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HTML 문서로 추출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HTML 문서로 추출을 선택한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클리퍼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내용을 DOM(Document Object Model) 구조로 분석하여 해당 영역의 HTML 정보(element outer HTML)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클리퍼 프로그램은 해당 콘텐츠의 CSS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여 원본과 최대한 동일하게 보이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기 클리퍼 프로그램은 자바 스크립트나 주석 등의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에디터 창에는 각각의 수행 내용이 개별 항목으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항목에는 별도의 HTML 태그(TAG)를 추가하여 출처 정보를 추출하여 기록해 둘 수 있다. 이때, 출처 정보는 원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document.title)와 주소 정보(document.location.href) 등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에디터 창을 통해 각 클리핑 항목의 순서를 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 클리핑 되고 조정된 각 항목은 하나의 HTML 구조로 변환하여 포스트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때, 변환 방식은 하나의 BODY 태그에 DIV 단위로 생성하게 된 다. 상기 만들어진 포스트에 제목, 공개 여부 등 기타 운영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 뒤 서버측으로 상기 포스트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서버측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클래핑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브라우저에서는 제어부로 클리핑 요청 메시지(즉, 포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달(S1501)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서는 관리부로 포스트 생성을 요청(S1502)하게 되며, 상기 관리부는 DAO로 포스트 객체를 생성(S1503)하여 DAO로부터 'Value Object'값을 받게 된다(S1504). 그런다음, 상기 관리부는 상기 리턴된 'Value Object'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1505)하고, 해당되는 고유키 값을 리턴(S1506)받게 된다.
상기 관리부는 제어부로 생성 상태를 통보(S1507)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로 결과 페이지 구성을 요청(S1508)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결과 페이지를 제어부로 전송(S1509)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결과 페이지 데이터를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S1510)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함에 있어, 동일한 데이터의 복사본을 별도의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이를 원 포스트와 연결시켜 둠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게시물을 수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원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클리핑 절차에서 이미지 추출을 선택한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그대로 캡쳐하여 저장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리퍼 프로그램은 브라우저 상의 콘텐츠의 DOM 정보에서 body.elementFromPoint, elementGetBoundingClientRect 등의 스크립트 함수(script function)을 이용하여 선택한 영역의 크기를 얻어온 후, 웹 브라우저의 DC(Device Context)에서 해당 영역만큼을 비트맵 추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비트맵 데이터는 소정의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하게 되며, 최적의 이미지 데이터 상태로 변환한 후, 해당 이미지를 콘텐츠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에디터 창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HTML 태그를 추가하여 출처 정보를 추출할 수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 블로그의 클리핑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관심 블로그 추가 요청을 하게 되면, 먼저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는 블로그를 수집할 것인지, 서비스에서 미리 제공하는 유명 블로그 사이트의 RSS 주소를 수집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는 RSS 주소일 경우에는 입력창에 직접 입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명 사이트는 시스템 관리자가 서비스 시스템에서 미리 조사, 발췌하여 사용자에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내부에서 각 서비스의 RSS 구조를 파악하여 저장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수집할 블로그의 주인 아이디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해당 사이트의 블로그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클리핑 프로그램이 웹브라우저 상의 현재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되고 있는 내용의 서비스가 RSS를 지원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고 있는 내용의 서비스가 RSS를 지원한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 라 별도의 입력이나 선택의 절차 없이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수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정된 RSS 주소를 가지고 상기 도 16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절차는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된다. 즉, 각 블로그 사이트로 RSS 규약에 맞게 XML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정보를 가져온 후 RSS 채널(Channel) 객체를 만드는 과정과, 상기 만들어진 RSS 채널 객체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결과 페이지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상술한 서비스 전체의 다른 기능들과는 달리 RSS 수집 기능은 외부 사이트에 서비스 운용 서버가 직접 접속하여 정보를 가져와야 하므로 서비스 운용 서버 외부 게이트웨이(outbound gateway)가 열려 있어야 하며, 각 외부 서비스의 불안정함과 보안 정책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예외 상황에 대한 처리기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수집한 특정 블로그를 선택하여 자신의 통의 내용을 갱신할 수가 있다. 이때, 관심 블로그 갱신 요청에 대한 처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로그 갱신 요청이 서버(즉, 제어부 및 관리부)로 전달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블로그의 정보에서 RSS 주소 정보를 조회한다. 그런다음, RSS 구독기(RSS Feeder)를 통해 조회된 RSS 주소의 내용을 구문 분석한다.
상기 구문 분석이 성공하면 해당 통에 관심 블로그 정보(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입력 중 기 입력된 내용에서 현재 입력되는 포스트 정보가 동일할 경우에는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심 블로그 정보에 데이터베이스 등록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나 면 해당 관심 블로그 포스트 목록 처음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브라우저에서 제어부로 관심 블로그 수집 요청 메시지를 전달(S1601)하면, 제어부에서는 관리부로 RSS 등록을 요청(S1602)하게 된다. 그런다음, 상기 관리부에서는 RSS 구독기로 RSS XML을 요청(S1603)하게 된다.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RSS 구독기에서는 해당 사이트로 RSS XML을 요청(S1604)하게 된다. 상기 해당 사이트로부터 RSS XML 정보를 획득(S1605)한 RSS 구독기는 RSS 채널 오브젝트(RSS Channel Object)를 관리부로 제공(S1606)하게 된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RSS 구독기로부터 제공받은 RSS 채널 오브젝트를 DAO로 전송(S1607)하고, 상기 DAO는 상기 RSS 채널 오브젝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1608)한 후 해당 고유 키 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턴(S1609)받게 된다. 상기 DAO는 해당 고유 식별자를 관리부로 제공(S1610)하게 되고, 상기 관리부에서는 제어부로 생성 결과를 전송(S1611)함으로써 브라우저를 통해 결과 페이지를 출력(S1612)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생성, 추가, 통 파도타기 및 클리핑 수행 절차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노티 서버를 통한 통 변화 사항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티 서버의 세부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는 노티 서버(Notification Server; NotiSrv)의 다이어그램으로서, 상기 노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연결 정보를 백엔드 서버(즉, 노티 관리 서버(Notification Manager; NotiMgr))로 전달하 고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오게 됨을 알 수 있다.
먼저, 클라이언트가 노티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노티 서버의 'ClientListener'는 새로 연결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세션(Session) 클래스를 만들고, 'FDChannelContainer'에 연결된 세션 ID를 가진 FD 채널 인스턴스를 넘기게 된다. 상기 'FDChannelContainer'에서는 수신된 FD를 가지고 있다가 'ProActor'가 요청할 때마다 상기 'ProActor'로 넘겨주게 된다. 상기 'ProActor'는 FD 관리자로서 n개가 병렬로 동작하며, FD 등록(Register) 및 삭제(Delete)의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DataHandler'에서는 상기 'ProActor'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맞게 분석하여 해당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객체를 만들어 프로세싱을 하게 된다. 그런 다음, 'ProcessbyCommand'에서는 프로토콜에 맞추어 패킷을 처리하면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거나, 노티 관리 서버(NotiMgr)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티 관리 서버의 세부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노티 관리 서버(NotiMgr)는 통 서비스의 노티 이벤트를 받아서 클라이언트로 보내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연결된 노티 서버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통 웹 서버(Tong Web Server)로부터 사용자에게 알림 이벤트(예컨대, 방명록 추가 등)가 발생하면, 상기 노티 관리 서버로 해당 이벤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노티 관리 서버에서는 상기 통 웹 서버로부터 이벤트를 통보받고, 상술한 노티 서버와 유사한 방법으로 FD를 처리하여 노티 서버로 이벤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티 서버에서는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이벤트 결과를 통보해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 서비스를 실제 구현한 웹페이지 화면을 설명하며,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방법들을 구현한 웹페이지 화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생성 메뉴 구성의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각 사용자별로 마이통을 생성한 후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각 관심 분야별 통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통의 이름을 기록하고 통의 분야별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통에 대한 소개 글 및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신 또는 타인이 상기 생성된 통의 메인 화면을 통해 통의 분야 및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통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그의 폴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을 생성한 사용자는 해당 통 내에서 다양한 글 또는 사진을 게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각 통은 다른 사용자들의 동일 또는 유사 분야의 통들과 연결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연결된 다른 통에서 일어난 변화(예컨대, 새로운 글의 게시 등)를 자동으로 통보받을 수가 있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통의 메인 메뉴 구성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9와 같은 방법에 의해 통을 생성하면 상기 도 20과 같은 마이 통의 메인 메뉴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좌측 메뉴에는 자신이 생성한 통들에 대한 목록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 통들의 선택에 의해 용이하게 해당 통 메뉴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마이통 내에서 생긴 일 또는 일촌통에서 생긴일을 통지함으로써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새로 올라온 글들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촌 통으로 설정한 통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촌 통으로 연결한 다른 사용자들의 통들을 일목요연하게 디스플레이할 수가 있다. 이때, 자신의 통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자신을 연결한 일촌 통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오른쪽에는 자신이 연결한 일촌 통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관심 분야에 따라 상호 연결된 통들에 의해 해당 분야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촌 통에 생긴 변화를 통지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분야와 유사 또는 동일한 다른 사용자의 통을 일촌 통으로 연결할 경우, 해당 일촌 통에 대한 변화를 실시간으로 통보받을 수가 있게 된다. 즉, 일촌 통 소식에 의해 해당 일촌 통에 글 또는 사진 등이 등록될 경우 이를 자신의 통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매번 일촌 통을 직접 방문하여 새로운 글이 등록되었는 지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획득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 파도타기의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 면이다. 상기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도 2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신이 일촌 통으로 연결한 다른 통들을 일목요연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자신의 통에 연결한 통과 자신이 연결한 다른 사람의 통을 좌우측에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때 디스플레이된 다른 통들 중에서 하나의 통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통을 중심으로 다시 선택된 통을 연결한 통과 상기 선택된 통이 연결한 통을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통들은 사용자의 관심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분야간에 연결된 통이므로 사용자는 연결된 통을 계속하여 추적해 감으로써 동일 분야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클리핑 방법의 구현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방법으로는 외부 블로그를 클리핑 하는 방법,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통해 포스트를 클리핑하는 방법, 웹페이지의 이미지를 캡쳐하여 클리핑하는 방법 및 웹페이지의 내용을 캡쳐하여 클리핑하는 방법 등이 제안될 수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를 클리핑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그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포털 사이트(예컨대, 네이트, 엠파스, 이글루스, 네이버, 블로그인, 야후 블로그, 파란, 미디어몹, 인티즌 블로그, yes24 블로그 등)들에서 클리퍼의 블로기 담기를 실행함으로써 자동으로 아이디와 블로그가 선택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해당 사이트에서 어렵게 RSS 주소를 찾아 복사하여 붙여 넣기를 함으로써, 잘못된 정보를 복사하거나 복사 과정의 오류로 인해 클리핑이 되지 않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 24a를 참조하면, 해당 사이트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 담기를 실행함으로써 RSS 주소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선택된 블로그를 담을 자신의 통을 선택하여 클리핑한 블로그를 자신의 특정 통에 용이하게 저장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도 2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통의 관심 블로그 메뉴에서 상기와 같이 클리퍼로 저장한 블로그들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외부 블로그의 RSS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블로그가 RSS/XML 기능을 지원하는 블로그인지를 확인한 후, 해당 블로그에서 RSS 또는 XML이라고 표시된 버튼 또는 텍스트를 찾아야 한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 블로그의 RSS 주소를 얻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5a를 참조하면, 해당 블로그에서 XML 버튼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XML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도 25b에서와 같이 XML 소스로 구성된 새로운 창이 생성되며, 해당 창에 입력되어 있는 주소가 RSS 주소가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주소를 복사하여 관심 블로그의 등록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새로운 창에 의해 RSS 주소를 알려줄 수도 있으며, 도 25c에서와 같이 캡쳐한 그림처럼 클립 보드에 주소가 복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심 블로그로 등록할 때 RSS 주소 입력란에 붙여 넣기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소를 클리핑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웹사이트 등을 검색하다가, 유용한 사이트를 발견하였을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주소 담기를 실행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주소 담기를 실행하여 저장된 주소는 저장시 설정한 자신의 특정 통에 저장되게 된다.
예컨대, 도 26a에서와 같이 'www.nate.com'사이트에서 통 클리퍼의 주소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도 26b와 같은 통 에디터가 생성되며, 상기 사이트의 주소가 선택된 통에 저장된다. 이때, 관련 사이트의 주소를 이어담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캡쳐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7a와 같이 통 클리퍼의 캡쳐 버튼을 클릭하고, 이미지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캡쳐될 이미지에 박스가 생성됨으로써 캡쳐할 이미지를 선택하게 된다.
그런다음, 해당 선택된 이미지를 클릭하게 되면, 도 27b와 같이 새로운 클리핑 창이 생성되며,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클리핑되어 저장된다. 이때, 도 27c와 같이 상기 하나의 클리핑 창에서 여러개의 이미지를 클리핑하여 이어 담기할 수도 있다. 그 결과로, 도 27d와 같이 기설정된 자신의 통 내에 상기 하나의 창에 클리핑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하나의 포스트(글)로서 등록된다.
도 28a 내지 도 28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용을 캡쳐하는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웹사이트를 서핑할 때 어떠한 콘텐츠라도 원 클릭으로 원하는 만큼 골라서 저장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도 28a에서와 같이 특정 웹페이지에서 통 클리퍼의 내용 메뉴를 클릭하고 마우스를 움직이게 되면, 해당 영역에 클리핑할 수 있는 테두리가 형성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28b에서와 같이 마우스를 드래그 함으로써 클래핑하기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클리핑한 영역을 설정하여 선택하게 되면, 도 28c와 같이 상기 선택된 내용이 편집 도구에 저장된다.
도 28d를 참조하면, 이때 상술한 이미지 캡쳐 및 주소 캡쳐 등과 마찬가지로 이어 담기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도 2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클리핑한 내용에 자신이 글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재편집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수집 비용의 절감과 간편화를 통해 정보 활용 및 확산, 공유가 더욱 원활해지며, 다양한 출처의 정보의 수집 공간이 특정 서비스별로 제한되지 않고 한곳으로 통일됨으로써 수집하는 주체의 관리 비용을 절감해 주는 효과를 가저온다.
또한, 정보에 대한 이용자의 평가가 반영된 상태로의 수집, 저장함으로써, 두 가지 맥락에서의 정보를 하나의 포스트를 통해 제공해줄 수 있다. 이는 무의미한 복사로 인한 정보 중복과 불필요한 정보 유통의 과부하를 제한해주고, 정보의 가공, 재생산이 원활하게 유도하여 유통되는 정보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게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또한 최근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정보의 저작권과 사용권 침해 문제도 해결해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정보에 의해 주제별로 분류되는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객체 내에서 포스트를 생성시키는 단계;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특정 내용에 대한 입력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내용이 표시된 영역을 선택하고, 그 영역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콘텐츠 저장 명령에 따라 별도의 글쓰기 창을 생성하고, 상기 독출된 내용을 상기 생성된 글쓰기 창에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객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의 데이터 독출은 웹브라우저의 COM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선택 단계는,
    마우스 이벤트 입력에 응답하여 커서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웹페이지의 DOM을 이용하여 커서가 어떤 HTML 오브젝트에 위치하는 지를 검사하는 단계;
    마우스가 위치한 HTML 오브젝트의 영역만큼 사각형의 선택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마우스를 클릭하고, 웹페이지의 DOM을 이용하여 커서가 어떤 HTML 오브젝트 위에 위치하는 지 검사하는 단계; 및
    마우스가 위치한 HTML 오브젝트의 HTML 코드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독출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의 출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출처 정보를 상기 독출된 데이터와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처 정보의 독출은 웹브라우저의 COM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이후에,
    DIV 태그를 이용하여 캡쳐한 내용을 감싸는 단계; 및
    상기 DIV 태그의 유저 기능으로 출처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블로그 내에서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구분된 분야별로 구성한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들간의 연결 정보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연결되는 다른 객체는 동일 사용자 내에 포함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연결되는 다른 객체는 다른 사용자 내에 포함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연결되는 다른 객체는 다른 사용자의 외부 블로그 내에 포함된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독출은 웹페이지에 설치된 툴바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객체의 변화 상황이 자신의 객체와 연결을 한 타인의 객체로 통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상황 통보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54854A 2004-10-30 2005-06-24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및 변화 통보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70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18,169 US20090070689A1 (en) 2004-10-30 2005-10-29 Method for alarming the update of the classified objects having the propert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PCT/KR2005/003626 WO2006049410A1 (en) 2004-10-30 2005-10-29 Method for alarming the update of the classified objects having the propert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613 2004-10-30
KR20040087613 2004-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523A KR20060046523A (ko) 2006-05-17
KR100707967B1 true KR100707967B1 (ko) 2007-04-16

Family

ID=3714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854A KR100707967B1 (ko) 2004-10-30 2005-06-24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및 변화 통보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70689A1 (ko)
KR (1) KR100707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54A1 (ko) * 2012-10-30 2014-05-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관심분야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69B1 (ko) * 2004-10-30 2007-04-16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일치도 제공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8190724B2 (en) * 2006-10-13 2012-05-29 Yaho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or maintaining a personalized trusted social network
US9779173B2 (en) * 2007-07-12 2017-10-03 Go Daddy Operating Company, LLC Recording and transmitting a network user's network session
KR20090020327A (ko) * 2007-08-23 200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자동 수신 및 제공 방법 및 장치
US9430583B1 (en) 2011-06-10 2016-08-30 Salesforce.Com, Inc. Extracting a portion of a document, such as a web page
US9753926B2 (en) * 2012-04-30 2017-09-05 Salesforce.Com, Inc. Extracting a portion of a document, such as a web page
CN103577476B (zh) * 2012-08-06 2016-06-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网页浏览记录的处理方法及网页浏览装置
EP3030988A4 (en) 2013-08-07 2017-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ing and presenting captured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778A (ko) * 1995-12-14 1997-07-29 양승택 객체 지향 dbms에서 무한의 중첩 객체를 갖는 복합 객체의 브라우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6147A1 (en) * 2004-02-10 2005-08-18 Ian Andrew Maxwell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7933958B2 (en) * 2004-06-08 2011-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blog interaction
KR100855754B1 (ko) * 2004-10-30 2008-09-03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 간의 연결 장치,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0707969B1 (ko) * 2004-10-30 2007-04-16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일치도 제공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070050175A1 (en) * 2005-06-16 2007-03-01 Richard Schmelzer Content enhancement based on contextual data within a feed
US20070136201A1 (en) * 2005-12-12 2007-06-14 Google Inc. Customized container document modules using preferences
US8732614B2 (en) * 2005-12-30 2014-05-20 Google Inc. Toolbar document content sharing
US7761436B2 (en) * 2006-01-03 2010-07-20 Yaho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access based on shared annotations for annotated users in a folksonomy scheme
US7565350B2 (en) * 2006-06-19 2009-07-21 Microsoft Corporation Identifying a web page as belonging to a blog
US8781892B2 (en) * 2006-09-29 2014-07-15 Yahoo! Inc. Digital media benefit attachment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778A (ko) * 1995-12-14 1997-07-29 양승택 객체 지향 dbms에서 무한의 중첩 객체를 갖는 복합 객체의 브라우징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1019970049778호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54A1 (ko) * 2012-10-30 2014-05-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관심분야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70689A1 (en) 2009-03-12
KR20060046523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754B1 (ko)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 간의 연결 장치,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0707967B1 (ko)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편집 및 변화 통보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115995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US20070250531A1 (en) System and Method of Web Browser-Based Document and Content Management
US20080306959A1 (en) Semantic web portal and platform
CN105518662A (zh) 对实体扩充内容的访问和管理
CN102982058A (zh) 用于支持播客的技术和系统
JP2001527716A (ja) クライアント側通信サーバ装置及び方法
JP5226784B2 (ja) 動画像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062796B1 (ko) Sns 서버, 이를 이용한 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0541482C (zh) 信息编辑显示设备和方法
KR100707969B1 (ko)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일치도 제공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06651505A (zh) 一种用户端商家信息个性展示系统及方法
JP4543761B2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コンテナ作成方法
CN101611423B (zh) 将结构化数据用于在线调查
CN101203853A (zh) 用于支持播客的技术和系统
KR101248186B1 (ko)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개별 컨텐츠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생성하는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WO20060494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linking the classified objects having the propert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US202002856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earch poster management and delivery
KR101087732B1 (ko)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 및 그 방법
WO2006049410A1 (en) Method for alarming the update of the classified objects having the propert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JP2007156995A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管理方法
JP2006092381A (ja) メディアマイニング方法
JPWO2005006191A1 (ja) 複数種類の情報を登録する装置および方法
WO2004055692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work with multimedia objects posted on the use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