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637B1 -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637B1
KR100703637B1 KR1020000039898A KR20000039898A KR100703637B1 KR 100703637 B1 KR100703637 B1 KR 100703637B1 KR 1020000039898 A KR1020000039898 A KR 1020000039898A KR 20000039898 A KR20000039898 A KR 20000039898A KR 100703637 B1 KR100703637 B1 KR 10070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abandoned
protein material
paym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307A (ko
Inventor
웅테오도르엠
싱어데이비드에이
린산타에이취
Original Assignee
솔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레 엘엘씨 filed Critical 솔레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0003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6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hydrolysis, i.e. solvolysi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물질로부터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타아제를 제거함으로써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수성 슬러리는 pH가 약 3 내지 약 6인 식물성 단백질 물질로 형성된다. 이 단백질 물질의 슬러리를, 일정한 온도에서 단백질 물질내의 리보핵산 및 임의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분해시키기에 효과적인 시간 동안 산 포스파타아제 효소 및 임의로 또 다른 피타아제 효소로 처리한다. 그 후, 효소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여 분해된 물질을 제거한다.

Description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ULTRAPURE VEGETABLE PROTEIN MATERIALS}
본 발명은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 및 농축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음식 및 음료 제품은 대두, 강남콩, 완두콩, 기타 콩과 식물과 같은 식물성 물질 및 평지씨 기름과 같은 종자유로부터 유도된 단백질 보충물을 포함한다. 식물성 단백질 물질, 특히 대두는 유아용 조유(infant formula)의 영양가를 높이는 데에 사용된다. 유아용 조유에서 식물성 단백질을 보충하는 목적은 조유의 영양가를 높여서 모유의 단백질 함량에 근접한 단백질 함량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판되는 단백질 농축물 및 분리물은 유아용 조유와 같은 제품에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을 일부 함유한다.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 및 분리물에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의 예로는 피트산(phytic acid), 피트산염(phytate), 리보핵산, 재, 그리고 피트산, 피트산염 또는 리보핵산에 결합된 무기물(mineral)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인, 칼슘, 염화물, 철, 아연 및 구리와 같이 인체 동화작용에 이용할 수 없는 것들이다.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 및 농축물, 특히 유아용 조유와 같은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 및 농축물에 대한 이들 불순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트산(이노시톨 6인산으로도 알려짐) 및 피트산염(피트산의 염)은 단백질 및 다가 금속 양이온과 착물을 형성하여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영양가를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의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에 따라, 식물성 단백질 물질에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농도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248,765호(Mazer 등)는 피트산 함유 물질의 수성 슬러리를 낮은 pH에서 알루미나로 처리함으로써 단백질 및 식이섬유로부터 피트산염 및 망간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 후, 알루미나는 이 알루미나에 부착된 피트산염와 함께 단백질 및 섬유 물질로부터 분리된다. 미국 특허 제2,732,395호(Bolley 등), 미국 특허 제4,072,670호(Goodnight 등), 미국 특허 제4,088,795호(Goodnight 등), 미국 특허 제4,091,120호(Goodnight 등) 및 영국 특허 제1,574,110호(deRham)는 모두 각종 침전법 및 용해도 차에 따른 분리 기법에 의해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단백질 물질로부터 제거하는 다양한 방법을 교수하고 있다.
식물성 단백질 물질에서 피트산 또는 피트산염 농축물을 감소시키는 다른 방법은 피트산 또는 피트산염을 분해하는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다. 유럽 특허 출원 0 380 343 A2는 피트산 및 피트산염 분해 효소(이하, "피타아제"로 일컬음)를 20 내지 60℃ 온도 및 2 내지 6의 pH에서 콩 단백질 분리물 또는 농축물에 첨가하여 단백질 물질내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분해함으로써, 피트산염을 함유하지 않거나 낮은 농도로 함유하는 콩 단백질 분리물 및 농축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미국 특허 제4,642,236호(Friend 등), 미국 특허 제3,733,207호(McCabe)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996-214748호는 모두 피타아제를 사용하여 콩 단백질에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피타아제 효소 제제는 저가이며 쉽게 입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물성 단백질을 정제하는 데 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피타아제 효소는 인산 모노에스테르 히드롤라아제(I.U.B 3.1.3)로서, 대개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및 리조퍼스(Rhizopus) 종과 같은 미생물 또는 진균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다. 통상 사용되는 피타아제 효소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주된 피타아제 효소로서 효소 3-피타아제(미요-이노시톨-헥사키스포스페이트 3-포스포히드롤라아제(I.U.B.3.1.3.8.))를 사용한다. 일부 피타아제 효소 조성물은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분해하기에 충분한 농도의 효소인 산 포스파타아제(오르토인산 모노에스테르 포스포히드롤라아제(I.U.B.3.1.3.2.))를 포함한다.
피타아제 효소 조성물은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 물질 및 관련 무기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지 않다. 왜냐하면 가장 일반적인 피타아제, 특히 3-피타아제가 리보핵산 구조를 분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리보뉴클레아제 효소 조성물은 리보핵산을 분할(cleavage) 및 분해(degradation)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식물성 단백질내 리보핵산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효소 조성물은 매우 비싸서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상업적 제조에 필요한 규모로 사용하기에는 비실용적이다.
상업적인 규모로 사용하기에 실용적인 가격으로 식물성 단백질 내 리보핵산 물질과 관련 무기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식물성 단백질 물질로부터 리보핵산 및 리보핵산에 결합한 무기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단백질 물질은 수용액 상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상태로 슬러리화된다. 이 슬러리를 일정 pH 및 일정 온도에서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 농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시간 동안 산 포스파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처리한다. 그 후,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여 리보핵산 농도가 감소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무기물 함량은 식물성 단백질 물질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처리함으로써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은 콩 단백질이고, 슬러리를 효소 제제로 처리할 때의 pH는 약 3 내지 약 6이며, 슬러리를 효소 제제로 처리할 때의 온도는 약 20 내지 약 70℃이고, 슬러리를 효소 제제로 처리하는 시간은 약 30 분 내지 약 4 시간이다. 효소 제제로 처리한 후,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효소 처리 및 세척 후 슬러리를 열 처리하고, 열처리된 슬러리를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피트산, 피트산염, 리보핵산, 및 식물성 단백질 물질로부터의 피트산, 피트산염, 리보핵산에 결합된 무기물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단백질 물질은 수용액 상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상태로 슬러리화된다. 이 슬러리를 일정 pH 및 일정 온도에서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피트산, 피트산염 및 리보핵산 농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시간 동안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처리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설명
본 발명은 뜻밖에 산 포스파타아제 효소가 리보핵산을 분할하므로,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 물질을 분해하여 그 농도를 상업적인 규모로 감소시킬뿐 아니라, 리보핵산 물질에 결합된 무기물 및 재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발견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는 특정의 피타아제 효소 제제가 산 포스파타아제를 함유하기는 하나, 산 포스파타아제가 리보핵산의 분해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산 포스파타아제 처리에 의해 식물성 단백질 물질 중의 리보핵산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은 종래에는 인식되지 않았던 것이다. 산 포스파타아제는 피트산 및 피트산염뿐 아니라 리보핵산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피트산, 피트산염뿐 아니라 리보핵산을 분해하여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기타 피타아제와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출발 물질은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 또는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 및 이들 용어의 종래의 정의에 따르면,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이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을 65% 내지 90% 함유하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이며,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이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을 90% 이상 함유하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이다.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 및 분리물은 용이하게 구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콩 단백질 분리물은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한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에서 등록 상표명 SUPRO 500E 및 SUPRO 620으로 시판한다.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 및 분리물은 종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통상,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은 (i) 단백질 등전점의 pH 부근의 일정 pH를 갖는 수용액으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걸러내거나, (ii)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수성 알코올로 추출하거나, 또는 (iii)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습열로 변성시킨 후 변성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물로 추출함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콩 단백질 농축물을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제조한다. 시판용 탈지된 콩 플레이크(탈피 및 탈지시킨 대두)를 콩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의 일정 pH,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5의 pH,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4 내지 약 4.6의 pH를 갖는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산성 수용액은 수용성 탄수화물, 무기물, 페놀계 물질, 및 그 등전점에서 상기 수용액에 녹지 않는, 콩 단백질 이외의 기타 비단백질계 물질을 걸러내므로, 콩 단백질 농축물이 남는다.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은 단백질 물질을 용해하는 알칼리 수용액으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추출함으로써 형성된다. 용해된 단백질 물질 추출물을, 그 후 불용성 식물성 물질, 예컨대 셀룰로오스 및 기타 식물성 섬유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단백질 추출물의 pH를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으로 조정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다. 침전된 단백질은 여과법 또는 원심분리법에 의해 상기 용액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수용성 탄화수소, 무기물, 페놀계 물질 및 용액 중에 남아 있는 기타 비단백질계 물질로부터 단백질 물질이 분리된다. 그 후, 이 분리된 단백질을 물로 세척하여 단백질 분리물을 형성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콩 단백질 분리물을 제조한다. 탈지된 시판용 콩 플레이크를 출발 물질로 사용한다. 이 콩 플레이크를 유동성 및 미생물 제어 성능의 개선을 위해 아황산염(예, 아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콩 플레이크를 알칼리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pH가 약 8 내지 약 11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추출한다. 추출물 대 콩 플레이크 물질의 중량비는 약 5:1 내지 약 16: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콩 섬유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불용성 물질로부터 여과 또는 원심분리한 후, 불용성 물질로부터 상청 추출액을 경사 분리함으로써 분리된다. 분리된 추출물의 pH를 적당한 산,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아세트산으로 콩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 바람직하게는 pH 약 4 내지 약 5,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약 4.4 내지 약 4.6으로 조정하여 콩 단백질 물질을 침전시킨다. 침전된 단백질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원심분리법 또는 여과법으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다. 이 분리된 단백질 물질을 물로, 바람직하게는 물 대 단백질 물질의 중량비가 약 5:1 내지 약 12:1가 되도록 물을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콩 단백질 분리물을 생성한다.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 또는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이하, 일반적으로 "단백질 물질"로 일컬음)의 수성 슬러리는, 단백질 물질을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슬러리는 단백질 물질을 약 2 내지 약 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5 내지 약 2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약 10 내지 약 18 중량%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후,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오르토인산 모노에스테르 포스포히드롤라아제(I.U.B.3.1.3.2.))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일정한 산 포스파타아제 농도, 일정한 온도, 일정한 pH에서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농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시간 동안 처리한다. 산 포스파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는 미생물 또는 진균 공급원, 예를 들면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및 리조퍼스(Rhizopus) 종으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산 포스파타아제의 바람직한 공급원은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lus niger) 진균이다. 아스퍼질러스 나이저로부터 유도되었으며 산 포스파타아제를 함유하는 피타아제 효소 제제가 시판된다.
이 효소 제제는, 단백질 물질 내에 존재하는 리보핵산을 분해하여 리보핵산 농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산 포스파타아제 농축물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슬러리에 첨가된다. 초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에 존재하는 리보핵산의 적어도 대부분은 산 포스파타아제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대부분이란 용어는 50% 이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산 포스파타아제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에 존재하는 리보핵산의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물질 내 존재하는 리보핵산의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물질 내 존재하는 리보핵산의 8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물질 내 존재하는 리보핵산을 실질적으로 전부 분해한다.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리보핵산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효소 제제가 충분한 양의 산 포스파타아제 또는 산 포스파타아제와 또 다른 피타아제, 예를 들면 3-피타아제(미요-이노시톨-헥사키스포스페이트 3-포스포히드롤라아제(I.U.B.3.1.3.8.))의 배합물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로써 리보핵산을 분해하여 실질적으로 리보핵산의 농도가 감소된다. 효소 제제는 산 포스파타아제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 물질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 물질의 약 0.3 내지 약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 물질의 약 0.5 내지 약 3 중량%로 슬러리 내에 존재하도록 첨가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효소 제제는 리보핵산뿐 아니라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분해하여 리보핵산뿐 아니라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효소 제제는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적어도 대부분을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대부분이란 50% 이상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7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8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실질적으로 전부가 효소 제제에 의해 분해된다.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효소 제제가 충분한 양의 산 포스파타아제, 또는 산 포스파타아제와 또 다른 피타아제, 예를 들면 3-피타아제(미요-이노시톨-헥사키스포스페이트 3-포스포히드롤라아제(I.U.B. 3.1.3.8.))의 배합물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로써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분해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효소 제제는 산 포스파타아제 및 3-피타아제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 물질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 물질의 약 0.3 내지 약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 물질의 약 0.5 내지 약 3 중량%로 슬러리 내에 존재하도록 첨가된다.
효소 제제의 활성은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분해하여 그 농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어야 한다. 효소 제제는 단백질 고형물 1 ㎏ 당 약 400 내지 약 1400 킬로 피타아제 단위(KPU)의 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백질 고형물 1 ㎏ 당 약 600 내지 약 1200 KPU의 활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단백질 고형물 1 ㎏ 당 약 1000 KPU의 활성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 킬로 피타아제 단위는 1000 피타아제 단위와 동일하며, 여기서 1 피타아제 단위란 표준 조건(40℃, pH 5.5에서 15 분간 항온 처리) 하에서 1 분간 피트산나트륨으로부터 무기 포스페이트 1 나노몰(nmole)을 유리시키는 효소의 양을 말한다. 효소 제제의 활성이란 산 포스파타아제 활성 및 효소 제제에 포함된 임의의 기타 피타아제 효소의 활성을 포함한다.
효소 제제로 처리된 슬러리의 pH는 효소 제제가 리보핵산을 분해시키기에 효과적인 pH여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효소 제제가 피트산 및 피트산염은 또한 분해시키기에 효과적인 pH이다. 산 포스파타아제 효소는 pH 약 4.5에서 식물성 단백질 물질 중의 리보핵산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피타아제 효소는 pH 약 5.3에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한다는 사실이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효소 제제로 처리된 슬러리의 pH는 약 3 내지 약 6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 5.5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5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4 내지 약 4.6이다. 필요에 따라, 적당한 산성 시약,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아세트산, 또는 적당한 염기성 시약,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암모늄으로 슬러리의 pH를 조정하여 소정의 pH를 얻을 수 있다.
효소 제제로 처리된 슬러리의 온도는 효소 제제 내의 효소가 리보핵산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온도, 바람직하게는 피트산 및 피트산염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온도여야 한다. 슬러리의 온도는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효소적 분해를 최대화하기에 충분히 높아야 하나, 효소(들)를 불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슬러리 내 단백질 물질을 분해시킬 정도로 높지는 않아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산 포스파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슬러리를 처리하는 온도는 약 2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55℃이다.
효소 제제로 슬러리를 처리하는 시간은 효소(들)가 리보핵산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리보핵산 농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 중의 피트산 및 피트산염도 분해하여 그 농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이어야 한다. 슬러리를 효과적인 pH 및 온도에서 약 30 분 내지 약 4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 분 내지 약 3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시간 내지 약 2 시간 동안 효소 제제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단백질 물질 슬러리를 효소 제제로 처리한 후,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세척하여 분해된 물질, 재 및 무기물을 제거한다. 식물성 단백질 물질 슬러리를 물로 희석하고, 그 희석된 슬러리를 원심분리하는 것에 의해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단백질 물질 슬러리를 물로 희석하고, 그 희석된 슬러리를 디스크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한 후, 슬러리를 보울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하는 것에 의해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2회 세척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세척 단계에서 슬러리의 pH는 세척 시 단백질 물질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분해 후,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등전점 부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이 분해되면 단백질 물질의 등전점이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비롯한 콩 단백질은 pH 약 4.5의 등전점을 가지나, 이들 물질이 효소적으로 분해된 후에는 pH 약 5.1의 등전점을 갖는다. 슬러리의 pH는 단백질 물질을 세척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적당한 산성 또는 염기성 시약을 사용하여 단백질 물질의 등전점 부근까지 조정될 수 있다.
충분한 양의 세척수, 바람직하게는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으로 pH가 조정된 세척수를 사용하여 세척을 수행함으로써, 분해된 리보핵산, 바람직하게는 분해된 피트산 및 피트산염도 식물성 단백질 물질로부터 제거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초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에 존재하는 분해된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적어도 대부분이 본 발명 방법에 따라 제거되는데, 여기서 상기 용어 대부분이란 50% 이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에 존재하는 분해된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에 존재하는 분해된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7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에 존재하는 분해된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8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에 존재하는 분해된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실질적으로 전부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세척 후, 상기 단백질 물질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슬러리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종래의 분무 건조 기법에 따라 단백질 물질을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회수한다.
리보핵산 농도가 감소된, 바람직하게는 피트산 및 피트산염 농도까지 감소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필요에 따라 더 가공하여, 작용성이 변형된 정제된 단백질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단백질 물질의 슬러리를 열 처리하여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단백질 물질을 멸균할 수 있다. 종래의 분사식 조리 기법(jet cooking technique)에 따라 분사 조리하여 슬러리를 열처리하고, 이를 분사식 조리기로부터 진공 챔버로 분출시킴으로써 급속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단백질 물질의 슬러리를 약 14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가압하에 약 1 초 내지 약 15 초간 열 처리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슬러리를 열 처리하기 전, 적당한 염기 시약,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단백질 슬러리의 pH를 약 6 내지 약 8로 중화시켜서 열 처리된 단백질 물질의 가공을 돕는다.
또한, 열처리하거나 또는 열처리하지 않은 정제된 단백질 물질을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하여 단백질 물질의 점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효소적 가수분해는 단백질 물질의 열 처리 후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변성된 단백질 물질은 열처리되지 않은 유사한 단백질 물질보다 점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정제된 단백질 물질의 슬러리를 일정 pH, 일정 온도, 일정한 효소 농도 및 효소 활성 하에 단백질 물질을 가수분해하기에 효과적인 시간 동안 종래의 시판용 프로테아제 효소를 사용하여 처리한다.
효소적 가수분해를 수행할 때의 pH는 사용된 특정의 프로테아제 효소에 좌우된다.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공지된 pH 범위의 가수분해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테아제 효소를 선택하여야 하며, 정제된 단백질 물질의 가수분해는 효소의 공지된 효과적인 pH 범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프로테아제 효소인 브로멜라인(Bromelain)은 pH 약 4 내지 약 9에서 이용된다.
프로테아제의 농도 및 활성은 단백질을 소정의 정도로 가수분해하는 데 충분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단백질 물질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 중량%로 존재하도록 정제된 단백질 물질의 슬러리에 첨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는 약 1000 내지 약 4000 티로신 단위/g("TU/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약 3000 TU/g의 활성을 지녀야 하는데, 여기서 1 TU/g란 단백질 물질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프로테아제의 최적 pH에서 15 분간 항온 처리한 후 30℃에서 분당 1 μ㏖ 티로신을 유리하는 효소 활성에 해당한다.
프로테아제로 처리된 슬러리의 온도는 프로테아제가 정제된 단백질 물질을 가수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온도여야 한다. 슬러리의 온도는 단백질 물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를 최대화하기에 충분히 높은 것이 바람직하나, 효소를 불활성화시킬 정도로 높지는 않아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프로테아제로 슬러리를 처리하는 온도는 약 15 내지 약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6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55℃이다.
슬러리를 프로테아제로 처리하는 시간은 이 효소가 단백질 물질을 소정의 가수분해 정도로 가수분해시키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효과적인 pH 및 온도에서 약 15 분 내지 약 2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 내지 약 1.5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5 분 내지 약 1 시간 동안 슬러리를 프로테아제로 처리한다. 효소적 가수분해 완료 후, 상기 슬러리를 프로테아제의 불활성화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예를 들면 75℃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킨다.
단백질 물질이 미리 열처리되지 않은 경우, 필요에 따라, 가수분해되고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열 처리하여 단백질 물질을 멸균하고 가수분해된 단백질 물질을 변성시킬 수 있다. 종래의 분사식 조리 기법에 따라 분사식 조리 기법으로 슬러리를 열처리하고, 이를 분사식 조리기로부터 진공 챔버로 분출시킴으로써 급속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되고 정제된 단백질 물질 슬러리를 약 14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가압하에 약 1 초 내지 약 15 초간 열 처리한다.
효소적 가수분해 및 임의의 열 처리 후, 상기 단백질 물질을 건조시킴으로써 가수분해되고 정제된 단백질 물질을 슬러리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종래의 분무 건조 기법에 따라 단백질 물질을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가수분해되고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회수한다 .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나, 예시된 방법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형성하였다. 콩 단백질 분리물 243 파운드를 2959 파운드의 물에 첨가하여 고형물 함량이 7.6%인 콩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염산으로 슬러리의 pH를 4.5로 조정하였으며, 슬러리의 온도를 50℃로 상승시켰다.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며, 커드(curd) 고형물 1 ㎏당 1000 KPU의 활성을 지닌 효소 제제를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효소 제제로 2 시간 동안 처리하였으며, 이후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의 가성 알칼리 혼합물로 슬러리의 pH를 5.1로 조정하였다. 그 후, 슬러리를 고형물 농도가 4.2%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고, 이것을 보울 원심분리기에서 세척하였다. 세척된 슬러리 275 파운드를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의 가성 알칼리 혼합물로 중화시켰다. 중화된 물질을 분사식 조리 기법으로 150℃에서 열 처리하고, 압력이 약 26 torr인 진공 챔버내로 분출시킴으로써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이 열 처리된 슬러리를 분무 건조시켜 정제된 콩 단백질 분리물 15.5 파운드를 회수하였다.
실시예 2
가수분해되고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형성하였다. 고형물 함량이 15.5%인 정제된 콩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 1015 파운드(정제된 콩 단백질 물질 약 157 파운드)를 수산화나트륨/수산화칼륨 배합물 1400 ㎖로 pH를 7.4로 조정하였다. 그 슬러리를 150℃의 온도로 9 초간 분사 조리하고, 진공 챔버에 분출시킴으로써 급속 냉각시켰다. 그 슬러리 725 파운드를 프로테아제 효소인 브로멜라인으로 처리하였는데, 이 효소는 효소 활성이 2500 TU/g이며,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슬러리 내 단백질 물질의 0.29% 농도로 슬러리에 첨가된다. 효소 처리된 슬러리의 온도는 효소 처리하는 동안, 즉 40 분간 약 50℃로 유지하였다. 효소 처리 후, 슬러리를 16℃로 냉각하고, 이 슬러리에 수산화나트륨/수산화칼륨 배합물 190 ㎖를 더 첨가하였다. 그 후, 슬러리를 150℃에서 9 초간 분사 조리하고, 진공 챔버로 분출시킴으로써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슬러리를 분무 건조하여 가수분해되고 정제된 콩 단백질 분리물 75 파운드를 회수하였다.
실시예 3
효소 활성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정제된 콩 단백질 분리물의 리보핵산 농도 및 피트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상기 콩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는, 콩 단백질 분리물을 염산으로 pH를 4.5로 조정한 물과 배합함으로써 형성된, 슬러리 내 총 고형물이 슬러리의 약 8.5 중량%로 존재하는 슬러리이다. 이 슬러리를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리보핵산 및 피트산의 효소적 분해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로부터 두개의 슬러리 시료를 제조하였다. 하나는 중량이 1530 파운드이고, 총 고형물 함량이 8.66 중량%이며, 다른 하나는 중량이 1510 파운드이고, 총 고형물 함량이 8.66 중량%였다.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 효소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를 각각의 슬러리 시료에 첨가한다. 커드 고형물 1 ㎏ 당 800 KPU의 활성을 갖는 효소 제제를 첫번째 시료에 첨가하였다. 커드 고형물 1 ㎏ 당 1400 KPU의 활성을 갖는 효소 제제를 두번째 시료에 첨가하였다. 시료들을 효소 제제와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시료의 효소 처리 후, 시료를 철저히 세척하고, 150℃의 온도에서 분사 조리함으로써 효소를 열적으로 불활성화시켰다. 그 시료를 진공 챔버로 분출시킴으로써 50℃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냉각된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비교의 목적으로 총 고형물 함량이 7.6%인 대조군 시료를 처음의 단백질 슬러리로부터 마련하였다. 이 대조군 시료를 1 시간 동안 50℃로 가열한 후, 철저히 세척하였다. 세척된 대조군 시료를 150℃에서 분사 조리한 후, 진공 챔버에서 52℃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대조군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시료를 분석하여 시료의 리보핵산 함량 및 피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수록하였다.
KPU/㎏ 커드 고형물 피트산(%) 리보핵산(㎎/㎏) 리보핵산 감소(%)
0(대조군) 1.4 9143 --
800 0.43 1784 80.5
1400 0.18 1769 80.7

상기 결과는,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며, 커드 고형물 1 ㎏당 800 KPU 및 1400 KPU의 활성을 갖는 효소 제제가 콩 단백질 분리물 내의 리보핵산 함량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실히 보여준다. 또한, 상기 결과는 효소 제제가 단백질 분리물 내의 피트산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도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4
pH가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 효소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정제된 콩 단백질 분리물내 리보핵산 및 피트산의 효소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상기 콩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는, 콩 단백질 분리물을 염산으로 pH를 4.5로 조정한 물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콩 단백질 분리물이 약 8 중량% 함유되어 있는 슬러리이다. 이 슬러리를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리보핵산 및 피트산의 효소적 분해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로부터 총 고형물 함량이 약 8 중량%인 두개의 슬러리 시료를 제조하였다. 제1 시료의 pH를 수산화칼륨/수산화나트륨 배합물로 5.1로 조정하였다. 제2 시료의 pH는 4.5로 두었다. 그 후, 이들 시료를 2 시간 동안 산 포스파타아제 효소 및 피타아제 효소를 함유하며, 효소 활성이 커드 고형물 1 ㎏ 당 1400 KPU인 효소 제제로 처리하였다. 시료의 효소 처리 후, 시료를 철저히 세척하고, 150℃의 온도에서 분사 조리함으로써 효소를 열적으로 불활성화시켰다. 그 시료를 진공 챔버로 분출시킴으로써 50℃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냉각된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비교의 목적으로 총 고형물 함량이 7.6%인 대조군 시료를 처음의 단백질 슬러리로부터 마련하였다. 이 대조군 시료를 1 시간 동안 50℃로 가열한 후, 철저히 세척하였다. 세척된 대조군 시료를 150℃에서 분사 조리한 후, 진공 챔버에서 52℃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대조군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시료들을 분석하여 시료의 리보핵산 함량 및 피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하기 표 2에 수록하였다.
pH 피트산(%) 리보핵산(㎎/㎏) 리보핵산 감소(%)
4.5(대조군 시료) 1.4 9143 --
5.1(시료 1) 0.08 3180 65.3
4.5(시료 2) <0.07 1386 84.9

상기 결과는,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가 pH 4.5 및 5.1에서 콩 단백질 분리물 내의 피트산 함량 및 리보핵산 함량 모두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특히, pH 4.5에서 단백질 분리물 내의 리보핵산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5
효소 처리 시간이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 효소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정제된 콩 단백질 분리물 내 리보핵산 및 피트산의 효소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상기 콩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는, 콩 단백질 분리물을 염산으로 pH를 4.6으로 조정한 물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콩 단백질 분리물이 약 8 중량% 함유되어 있는 슬러리이다. 이 슬러리를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리보핵산 및 피트산의 효소적 분해를 알아보기 위해 두개의 슬러리 시료를 제조하였다. 제1 슬러리 시료는 중량이 3202 파운드이며, 총 고형물 함량이 7.6 중량%이다. 제2 시료는 중량이 1530 파운드이며, 총 고형물 중량이 8.6%이다. 이들 제1 시료 및 제2 시료에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며, 효소 활성이 커드 고형물 1 ㎏ 당 1400 KPU인 효소 제제를 첨가하였다. 제1 시료를 효소 제제로 1 시간 동안 처리하고, 제2 시료를 효소 제제로 2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들 시료의 효소 처리 후, 시료를 철저히 세척하고, 150℃의 온도에서 분사 조리함으로써 효소를 열적으로 불활성화시켰다. 그 시료를 진공 챔버로 분출시킴으로써 50℃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냉각된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비교의 목적으로 총 고형물 함량이 7.6%인 대조군 시료를 처음의 단백질 슬러리로부터 마련하였다. 이 대조군 시료를 1 시간 동안 50℃로 가열한 후, 철저히 세척하였다. 세척된 대조군 시료를 150℃에서 분사 조리한 후, 진공 챔버에서 52℃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대조군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시료들을 분석하여 시료의 리보핵산 함량 및 피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하기 표 3에 수록하였다.
효소 처리 시간 피트산(%) 리보핵산(㎎/㎏) 리보핵산 감소(%)
t = 0(대조군) 1.41 9143 --
t = 1 시간 0.18 1769 80.7
t = 2 시간 <0.06 1759 80.7

이로써,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1 시간 또는 2 시간 동안 콩 단백질 분리물을 처리하는 것은 콩 단백질 분리물 내의 리보핵산 함량 및 피트산 함량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2 시간의 처리는 1 시간의 처리에 비해 콩 단백질 분리물 내의 피트산 함량 감소를 증가시키나, 콩 단백질 내 리보핵산 함량 감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6
온도가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 효소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정제된 콩 단백질 분리물 내 리보핵산 및 피트산의 효소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상기 콩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는, 콩 단백질 분리물을 염산으로 pH를 4.5로 조정한 물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콩 단백질 분리물이 약 8 중량% 함유되어 있는 슬러리이다.
리보핵산 및 피트산의 효소적 분해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로부터 고형물 함량이 총 8 중량%인 제1 시료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제1 시료를 50℃의 온도로 조정하였다. 고형물 함량이 총 4 중량%인 제2 시료를 상기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로부터 제조하였다. 이 제2 시료를 38℃의 온도로 조정하였다. 그 후, 이들 시료를 산 포스파타아제 효소 및 피타아제 효소를 함유하며, 효소 활성이 커드 고형물 1 ㎏ 당 1400 KPU인 효소 제제로 2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들 시료의 효소 처리 후, 시료를 철저히 세척하고, 150℃의 온도에서 분사 조리함으로써 효소를 열적으로 불활성화시켰다. 그 시료를 진공 챔버로 분출시킴으로써 53℃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냉각된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비교의 목적으로 총 고형물 함량이 7.6%인 대조군 시료를 처음의 단백질 슬러리로부터 마련하였다. 이 대조군 시료를 1 시간 동안 50℃로 가열한 후, 철저히 세척하였다. 세척된 대조군 시료를 150℃에서 분사 조리한 후, 진공 챔버에서 52℃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대조군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시료들을 분석하여 시료의 리보핵산 함량 및 피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하기 표 4에 수록하였다.
온도 피트산(%) 리보핵산(㎎/㎏) 리보핵산 감소(%)
대조군 1.41 9143 --
50℃ <0.07 1386 84.9
38℃ 0.4 3848 58.0

이로써,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38℃ 및 50℃에서 콩 단백질 분리물을 처리하는 것은 콩 단백질 분리물 내의 리보핵산 함량 및 피트산 함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50℃에서의 처리는 38℃에서의 처리에 비해 콩 단백질 분리물 내의 피트산 함량 및 리보핵산 함량의 감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7
단백질 내 무기물 함량이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에 의한 콩 단백질 분리물 내 피트산 및 리보핵산의 효소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특히, 상기 콩 단백질 분리물 내의 칼슘, 철, 마그네슘, 나트륨, 아연, 구리, 칼륨, 망간 및 인 농도가 효소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상기 콩 단백질 분리물 슬러리는, 콩 단백질 분리물을 염산으로 pH를 4.6으로 조정한 물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콩 단백질 분리물이 약 8 중량% 함유되어 있는 슬러리이다. 피트산 및 리보핵산의 효소적 분해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슬러리로부터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 시료의 무게는 3202 파운드였으며, 총 고형물 농도는 7.6 중량%였다. 이 시료를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이들 시료를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며, 효소 활성이 커드 고형물 1 ㎏ 당 1400 KPU인 효소 제제에 첨가하여, 그 시료를 상기 효소 제제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들 시료의 효소 처리 후, 시료를 철저히 세척하고, 150℃의 온도에서 분사 조리함으로써 효소를 열적으로 불활성화시켰다. 그 시료를 진공 챔버로 분출시킴으로써 53℃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냉각된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비교의 목적으로 총 고형물 함량이 7.6%인 대조군 시료를 처음의 단백질 슬러리로부터 마련하였다. 이 대조군 시료를 1 시간 동안 50℃로 가열한 후, 철저히 세척하였다. 세척된 대조군 시료를 150℃에서 분사 조리한 후, 진공 챔버에서 52℃로 급속 냉각시켰다. 그 후, 대조군 시료를 분무 건조시켰다.
시료들을 분석하여 시료의 칼슘, 철, 마그네슘, 나트륨, 아연, 구리, 칼륨, 망간 및 인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하기 표 5에 수록하였다.
시료 Ca Fe Mg Na Zn Cu K Mn P
대조군 1820 149 587 9070 33 12.4 8225 9.9 7991
시료 1617 113 508 5988 26.8 11.7 5714 6.4 2583

이로써,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콩 단백질 분리물을 처리하는 것은 콩 단백질 분리물 내의 칼슘, 철, 마그네슘, 나트륨, 아연, 구리, 칼륨, 망간 및 인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이 효소적 처리는 단백질 물질 내 나트륨, 칼륨 및 인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이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식물성 단백질 내 리보핵산 물질과 관련 무기물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개시된 본 발명의 내용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으로 기술한 실시태양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된 청구의 범위 및 이것의 균등물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80)

  1.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20℃ 내지 70℃의 온도, 3 내지 6의 pH에서, 30 분 내지 4 시간 동안, 산 포스파타아제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여 리보핵산 농도가 감소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보핵산 농도가 낮은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은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 또는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인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은 콩 단백질 농축물 또는 콩 단백질 분리물인 것인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2 중량% 내지 30 중량% 함유하는 것인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5 중량%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인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10 중량% 내지 18 중량% 함유하는 것인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5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의 5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6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의 6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7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의 7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8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의 8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을 모두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이 모두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피트산 및 피트산염(phytate)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제거하여 피트산 및 피트산염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pH 3.5 내지 5.5에서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pH 4 내지 5에서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pH 4.4 내지 4.6에서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23. 삭제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40℃ 내지 55℃의 온도에서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되, 상기 산 포스파타아제는 커드(curd) 고형물 1 g 당 600 KPU 내지 1400 KPU의 활성을 갖는 것인 방법.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되, 상기 산 포스파타아제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상기 슬러리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되, 상기 산 포스파타아제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3 중량% 내지 5 중량%로 상기 슬러리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28. 삭제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45 분 내지 3 시간 동안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되고 세척된 슬러리를 건조시켜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되고 산 포스파타아제 처리된 식물성 단백질 슬러리를, 15℃ 내지 75℃의 온도, 4 내지 9의 pH에서, 15 분 내지 2 시간 동안, 프로테아제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 효소는 상기 슬러리 내 단백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슬러리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단백질 슬러리를 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후,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단계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내 무기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37.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20℃ 내지 70℃의 온도, 3 내지 6의 pH에서, 30 분 내지 4 시간 동안, 산 포스파타아제 효소 및 피타아제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여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 농도가 감소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보핵산, 피트산 및 피트산염 농도가 낮은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은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 또는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인 것인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은 콩 단백질 농축물 또는 콩 단백질 분리물인 것인 방법.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2 중량% 내지 30 중량% 함유하는 것인 방법.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5 중량%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인 방법.
  42.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10 중량% 내지 18 중량% 함유하는 것인 방법.
  43.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5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44.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의 5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45.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6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46.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의 6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47.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7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48.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의 7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4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의 8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의 8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1. 청구항 5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리보핵산을 모두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2. 청구항 5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리보핵산을 제거하여 리보핵산이 모두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3. 청구항 5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4. 청구항 5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제거하여 피트산 및 피트산염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5. 청구항 5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적어도 50%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6. 청구항 5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제거하여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적어도 50%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7. 청구항 5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75%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8. 청구항 5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제거하여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75%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59. 청구항 5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85% 이상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60. 청구항 6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제거하여 피트산 및 피트산염의 85% 이상이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61. 청구항 6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상기 슬러리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내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모두 분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62. 청구항 6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것은 상기 분해된 피트산 및 피트산염을 제거하여 피트산 및 피트산염이 모두 제거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63. 삭제
  64. 청구항 6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pH 3.5 내지 5.5에서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65. 청구항 6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pH 4 내지 5에서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66. 청구항 6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pH 4.4 내지 4.6에서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67. 삭제
  68. 청구항 6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40℃ 내지 55℃의 온도에서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69. 청구항 6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처리하되, 상기 효소 제제는 커드 고형물 1 g 당 600 KPU 내지 1400 KPU의 활성을 갖는 것인 방법.
  70. 청구항 7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제제로 처리하되, 상기 효소 제제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상기 슬러리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71. 청구항 7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제제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3 중량% 내지 5 중량%로 상기 슬러리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72. 삭제
  73. 청구항 7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45 분 내지 3 시간 동안 상기 효소 제제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74. 청구항 7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되고 세척된 슬러리를 건조시켜 정제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75. 청구항 7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처리된 슬러리를 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76.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되고 효소 처리된 식물성 단백질 슬러리를, 15℃ 내지 75℃의 온도, 4 내지 9의 pH에서, 15 분 내지 2 시간 동안, 프로테아제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77. 청구항 7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 효소는 상기 슬러리 내 단백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상기 슬러리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78.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단백질 슬러리를 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79. 청구항 7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후, 가수분해된 단백질 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80. 청구항 8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 물질 슬러리를 산 포스파타아제 및 피타아제로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슬러리를 세척하는 단계는 식물성 단백질 물질내 무기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KR1020000039898A 2000-07-12 2000-07-12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KR10070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898A KR100703637B1 (ko) 2000-07-12 2000-07-12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898A KR100703637B1 (ko) 2000-07-12 2000-07-12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307A KR20020006307A (ko) 2002-01-19
KR100703637B1 true KR100703637B1 (ko) 2007-04-05

Family

ID=3746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898A KR100703637B1 (ko) 2000-07-12 2000-07-12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50934A (en) * 2007-08-14 2014-03-14 Mci Bio Peptide Sdn Bhd A process to produce polypeptides from soybea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522A (ko) * 1981-03-31 1983-12-10 안드르제이 레드치온 단백질이 풍부한 산성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522A (ko) * 1981-03-31 1983-12-10 안드르제이 레드치온 단백질이 풍부한 산성음료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8300085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307A (ko)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5514B2 (ja) 大豆ペプチド混合物の製造法
EP0380343A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phytate-free or low-phytate soy protein isolate and concentrate
US20010018197A1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pure vegetable protein materials
JPH0669345B2 (ja) 低フイチン酸塩大豆タンパク質アイソレ−トを製造する方法
JP5682697B1 (ja) 植物性分離蛋白およびその製造法
NO754410L (ko)
US20090011083A1 (en) Modified Vegetable Protein Having Low Levels of Phytic Acid, Isoflavones and Ash
US20060159826A1 (en) Soy protein for infant formula
EP0083175B1 (en) Aluminium treated proteins
EP1181869B1 (en) Method for producing a purified vegetable protein material having low concentration of ribonucleic acids
KR100703637B1 (ko) 초정제 식물성 단백질 물질의 제조 방법
EP0408063B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s and the product therefrom
JP3813055B2 (ja) 高純度植物タンパク材料の製造方法
KR20010072780A (ko) 피테이트를 무기 포스페이트로 전환시키는 방법
US20020127288A1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pure vegetable protein materials
KR20040104509A (ko) 비소화성 올리고당 함량이 낮은 대두 단백질 농축물 및그의 제조방법
CA2311193C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pure vegetable protein materials
EP0495390B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proteins
US20020123090A1 (en) Ultrapure vegetable protein materials
AU750447B2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pure vegetable protein materials
JP2000300185A (ja) 大豆蛋白の製造方法
RU220355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льтрачистог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бел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варианты)
MXPA00006376A (es) Metodo para producir materiales ultrapuros de proteina vegetal.
EP0466524B1 (en) Enzyme modified protein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CN1334020A (zh) 制备超纯植物蛋白材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