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398B1 - 파장 분할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 Google Patents

파장 분할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398B1
KR100703398B1 KR1020050070935A KR20050070935A KR100703398B1 KR 100703398 B1 KR100703398 B1 KR 100703398B1 KR 1020050070935 A KR1020050070935 A KR 1020050070935A KR 20050070935 A KR20050070935 A KR 20050070935A KR 100703398 B1 KR100703398 B1 KR 10070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division
waveguide
mode coupling
light source
receiv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345A (ko
Inventor
송정환
오윤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398B1/ko
Priority to US11/497,040 priority patent/US7248766B2/en
Priority to CNA2006101084014A priority patent/CN1909425A/zh
Publication of KR2007001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5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 G02B6/29352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in a light guide
    • G02B6/29353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in a light guide with a wavelength selective element in at least one light guide interferometer arm, e.g. grating, interference filter, reson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83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2B2006/12121La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는 제1 및 제2 단을 구비한 제1 도파로와,
제3 및 제4 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3 및 제4 단 사이의 일부 구간이 상기 제1 도파로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입력된 광을 분할 또는 결합시키기는 모드 커플링 구간을 형성하는 제2 도파로와, 상기 제1 및 제2 도파로의 모드 커플링 구간을 형성하는 일 부분에 형성된 브래그 격자가 형성된 브래그 영역과, 상기 제3 단에 위치된 레이저 광원과, 상기 제2 단에 위치된 아날로그 방식의 제1 수광 소자와, 상기 제4 단에 위치된 디지털 방식의 제2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모드 커플링, 방향성 결합기, 파장

Description

파장 분할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WAVELENGTH DIVISION COUPLER AND OPTICAL TRANSCEIVE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결합 계수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의 파장 분할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장 분할 결합기의 각 부분에서의 광 손실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 결합 영역으로 인한 궤환 손실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셋 이상의 파장의 광들을 결합 또는 분기시킬 수 있는 광학 소자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방향성 결합기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결합기에 관한 발명이다.
양방향 송수신을 위해서는 각 가입자 장치나 중앙 기지국은 상향 및 하향의 서로 다른 광을 분할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소자를 포함하는 광 송수신기를 필요로 한다. 광 송수신기 내에 실장 가능한 파장 분할 또는 결합을 위한 소자로는 3 파장 분할 광학 필터 등이 있다.
상술한 3파장 분할 광학 필터는 이 분기 도파로의 일 부분을 절단하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특정 파장에 대한 선택적 투과 또는 반사가 가능한 광학 필터를 삽입 고정시킨 형태를 갖는다. 그 외에는 광도파로열 격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광도파로열 격자나, 이 분기 도파로의 일 부분에 홈을 형성하고 광학 필터 등을 삽입시키는 등의 3파장 분할 광학 필터는 부피가 커지고, 특히 광학 필터는 결합 효율로 인한 손실 증가와, 부피가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 외에도 공정의 복잡성 가증 및 부품비 증가로 인한 생산 원가 상승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손실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생산비 절감이 가능한 3 이상의 파장 분할 및 결합이 가능한 파장 분할 결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는,
제1 및 제2 단을 구비한 제1 도파로와;
제3 및 제4 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3 및 제4 단 사이의 일부 구간이 상기 제1 도파로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입력된 광을 분할 또는 결합시키기는 모드 커플링 구간을 형성하는 제2 도파로와;
상기 제1 및 제2 도파로의 모드 커플링 구간을 형성하는 일 부분에 형성된 브래그 격자와;
상기 제3 단에 위치된 레이저 광원과;
상기 제2 단에 위치된 아날로그 방식의 제1 수광 소자와;
상기 제4 단에 위치된 디지털 방식의 제2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100)는 제1 및 제2 단(110a, 110b)을 구비한 제1 도파로(110)와, 제3 및 제4 단(120a, 120b)을 구비한 제2 도파로(120)와, 상기 제1 및 제2 도파로(110, 120)의 일 부분에 형성된 모드 커플링 구간(130)과, 상기 제3 단(120a)에 결합된 레이저 광원(160)과, 상기 제2 단(110b)에 결합된 아날로그 방식의 제1 수광 소자(140)와, 상기 제4 단(120b)에 결합된 디지털 방식의 제2 수광 소자(150)와, 상기 레이저 광원(160)에서 생성된 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3 수광 소자(17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 (130)은 상기 제1 도파로(110)의 제1 및 제2 단(110a, 110b)과, 상기 제2 도파로(120)의 제3 및 제4 단(120a, 120b) 사이의 일부 인접하게 위치된 구간으로서, 브래그 격자(180)가 형성된 브래그 영역(L2)과, 상기 브래그 격자(180)가 형성되지 않은 비 격자 영역(L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도파로(110)의 제1 단(110a)은 일종의 공통 입출력 단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제2 단(110b)은 출력단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도파로(120)는 상기 제3 및 제4 단(120a, 120b) 사이의 일부 구간이 상기 제1 도파로(110)의 일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도파로(110)와 함께 입력된 광을 분할 또는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13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도파로(120)의 제3 단은 입력단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고, 제4 단은 출력단으로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도파로(120)의 제3 단(120a)을 통해 입력된 광은 상기 브래그 격자(180)에서 반사된 후 상기 제1 단(110a)을 통해서 출력되고, 상기 제1 단(110a)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광은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130)에서 각각의 파장으로 분할된 후 상기 제2 단(110b)과 제4 단(120b)을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수광 소자(140, 150) 각각으로 출력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상기 레이저 광원(160)에서 생성된 1.49㎛의 광은 상기 브래그 격자(180)에서 반사된 후 상기 제1 단(110a)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상기 제1 단(110a)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파장을 갖는 광은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130)에서 각각 1.31㎛와, 1.55㎛의 파장으로 분할된 후 제2 및 제4 단(110b, 120b)을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수광 소자(140, 150) 각각으로 출력된다. 1.49㎛ 파장의 광은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130)의 브래그 영역(L2)에 형성된 브래그 격자(180)와의 사이에서 발진되며 상기 제1 수광 소자(140)의 타 측에 위치된 상기 제1 단(110a)을 통해서 외부로 출력된다.
브래그 격자의 대역 폭은 매우 좁기 때문에 기존 3파장 분할 필터의 대역폭과 약 20㎚의 차이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기 레이저 광원(160)의 입력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를 극복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130)의 브래그 영역(L2)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고, 비 격자 구간(L1)은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3646750-pat00013
(R : 브래그 격자의 반사율 , L2 : 격자 영역의 길이, κ : 브래그 격자의 결합 강도, κab는 모드 커플링 구간의 결합 계수, s ; |κ|와 |κab| 차의 제곱근)
Figure 112005042858613-pat00002
(L1 : 비 격자 영역의 길이, s : |κ|와 |κab| 차의 제곱근)
상기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기재된 s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42858613-pat00003
도 2는 결합 계수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의 파장 분할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상기 레이저 광원(160)이 1.49㎛ 파장의 광신호를 생성할 경우에 κab 값을 이용한 설계 예이다. 도 2의 실험에 적용된 모드 커플링 구간(130)의 길이는 6.32㎜를 적용했으며, 이 경우에 1.31㎛ 및 1.55㎛ 파장의 광이 분할 출력될 수 있다. L1이 1.35㎜의 길이이고, 그 이후 지점에 브래그 격자(180)가 형성될 경우에 상기 제1 도파로(110)의 제1 단으로 1.49㎛ 파장으로 발진 된 광이 출력된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c)는 도 1에 도시된 파장 분할 결합기(100)의 각 부분에서의 광 손실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브래그 격자(180)에서 반사된 1.49㎛ 광의 궤환 손실을 나타내며 2㏈의 손실을 갖는다. 도 3의 b)는 제2 단을 통해서 제1 수광 소자(140)에서 검출된 광의 출력을 나타내고, 도 3의 c)는 제4 단을 통해서 제2 수광 소자(150)에서 검출된 광의 출력을 나타내고 각각의 경우는 0.2㏈ 미만으로 손실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파장 분할 결합기(200)는 제1 및 제2 단(210a, 210b)을 구비한 제1 도파로(210)와, 제3 및 제4 단(220a, 220b)을 구비한 제2 도파로(220)와, 상기 제1 및 제2 도파로(210, 220)의 일 부분에 형성된 모드 커플링 구간(250)과, 레이저 광원(260)과, 아날로그 방식의 제1 수광 소자(240)와, 디지털 방식의 제2 수광 소자(250)와, 상기 레이저 광원(260)에서 생성된 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3 수광 소자(27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230)은 상기 제1 도파로(210)와 상기 제2 도파로(220) 사이의 일부 인접하게 위치된 구간으로서, 브래그 격자(280)가 형성된 브래그 영역(L2±α)과, 상기 브래그 격자(280)가 형성되지 않은 비 격자 영역(L1±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비 격자 영역(L1±α)과, 상기 브래그 영역(L2±α)이 상기의 <수학식 1> ~ <수학식 3>에 의해 최적화되지 않은 실시 예이다. 도 5는 비 격자 영역(L1±α)과 브래그 영역(L2±α)의 길이에 따른 상기 파장 분할 결합기(200)의 궤환 손실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점선은 도 4와 같이 비 격자 영역(L1±α)의 길이가 최적화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실선에 비해서 궤환 손실이 크게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궤환 손실은 상기 레이저 광원(260)과 상기 브래그 영역(L2±α)의 사이에서 발생되며, 궤환 손실이 발생된 광은 상기 레이저 광원(260) 과 상기 브래그 영역(L2±α)의 사이에서 발진되며 상기 제1 수광 소자(240)에 대면하는 상기 제1 도파로(210)의 제1 단(210a)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브래그 영역(L2±α)에 형성된 브래그 격자(280)는 절대 반사율이 ~30㏈ 이상으로 형성되야 각각의 파장을 갖는 광을 분할 출력할 수 있고, 궤환 손실된 광이 발진되지 못하고 제1 및 제2 수광 소자(240, 250)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궤환 손실에 의해서 상기 격자 영역(L1±α)과 상기 레이저 광원(260)의 사이에서 발진된 광은 SMSR(Side mode suppression ratio)이 크게 향상됨으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 수광 소자(240, 250)를 출력되는 광의 누화 손실 역시 감소됨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300)는 제1 및 제2 단(310a, 310b)을 갖는 제1 도파로(310)와, 제3 및 제4 단(320a, 320b)을 갖는 제2 도파로(320)와, 상기 제1 및 제2 도파로(310, 320)의 일 부분에 형성된 모드 커플링 구간(370)과, 상기 제2 단(320)과 결합된 레이저 광원(350)과, 상기 제2 단(310b)에 결합된 아날로그 방식의 제1 수광 소자(330)와, 상기 제2 도파로(320)의 일 단에 위치된 디지털 방식의 제2 수광 소자(340)와, 상기 레이저 광원(350)에서 생성된 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3 수광 소자(360)와, 공진 격자(390)를 포함한다.
상기 공진 격자(390)는 상기 제2 도파로(320) 상의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 (370)과 상기 레이저 광원(35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광원(350)에서 생성된 광을 공진시켜서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370)으로 출력한다.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370)은 상기 제1 도파로(310)와 상기 제2 도파로 사이의 인접하게 위치된 일부 구간으로서, 브래그 격자(380)가 형성된 브래그 영역(L2)과, 상기 브래그 격자(380)가 형성되지 않은 비 격자 영역(L1)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370)은 상기 공진 격자(390)로부터 입력된 광을 상기 제1 단(310a)을 통해서 외부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1 단(310a)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서 상기 제1 수광 소자 및 제2 수광 소자(330, 340) 각각으로 분할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400)는 제1 및 제2 단(410a, 410b)을 구비한 제1 도파로(410)와, 제3 및 제4 단(420a, 420b)을 구비한 제2 도파로(420)와, 상기 제1 및 제2 도파로(410, 420)의 일 부분에 형성된 모드 커플링 구간(430)과, 상기 제3 단(420a)에 결합된 레이저 광원(460)과, 상기 제2 단(410b)에 결합된 아날로그 방식의 제1 수광 소자(440)와, 상기 제4 단(420b)에 결합된 디지털 방식의 제2 수광 소자(450)와, 상기 레이저 광원(460)에서 생성된 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3 수광 소자(470)와, 공진 격자(491)와, 제1 및 제2 반사 격자들(492, 493)을 포함한다.
상기 공진 격자(491)는 상기 제2 도파로(420) 상의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 (430)과 상기 레이저 광원(46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광원(450)에서 생성된 광을 공진시켜서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430)으로 출력한다.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430)은 상기 제1 도파로(410)와 상기 제2 도파로(420) 사이의 인접하게 위치된 일부 구간으로서, 브래그 격자(480)가 형성된 브래그 영역(L2)과, 상기 브래그 격자(480)가 형성되지 않은 비 격자 영역(L1)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430)은 상기 공진 격자(491)로부터 입력된 광을 상기 제1 도파로(410)의 상기 제1 단(410a)을 통해서 외부로 발진시킨다. 그 외에도,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430)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1 단(410a)을 통해 입력받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파장들로 구성된 광을 각 파장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반사 격자(492, 493) 각각으로 분할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반사 격자(492, 493)는 누화 손실을 최소화시키며,해당 광에 대한 파장 선택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결합기는 저가이고, 제작의 용이성과 부피의 슬림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궤환 손실을 최소화시킴으로서 SMSR이 향상된 송신 장치의 구성이 가능해지고, 장거리 전송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

Claims (8)

  1. 파장 분할 결합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을 구비한 제1 도파로와;
    제3 및 제4 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3 및 제4 단 사이의 일부 구간이 상기 제1 도파로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입력된 광을 분할 또는 결합시키는 모드 커플링 구간을 형성하는 제2 도파로와;
    상기 제1 및 제2 도파로의 모드 커플링 구간을 형성하는 일 부분에 형성된 브래그 격자가 형성된 브래그 영역과;
    상기 제3 단에 위치된 레이저 광원과;
    상기 제2 단에 위치된 아날로그 방식의 제1 수광 소자와;
    상기 제4 단에 위치된 디지털 방식의 제2 수광 소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결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커플링 구간은 상기 브래그 격자가 형성되지 않은 비 격자 영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결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그 영역의 길이는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라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결합기.
    Figure 112006093646750-pat00014
    (R : 브래그 격자의 반사율 , L2 : 격자 영역의 길이, κ : 브래그 격자의 결합 강도, κab는 모드 커플링 구간의 결합 계수, s ; |κ|와 |κab| 차의 제곱근)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 격자 영역의 길이는 하기의 <수학식 5>에 따라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결합기.
    Figure 112006093646750-pat00005
    (L1 : 비 격자 영역의 길이, s : |κ|와 |κab| 차의 제곱근)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분할 결합기는,
    상기 제3 단과의 사이에 위치된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3 수광 소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결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분할 결합기는,
    상기 레이저 광원에 인접한 상기 제3 단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공진시켜서 외부로 출력시키는 공진 격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결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분할 결합기는,
    상기 제2 단의 일 부에 형성된 제1 반사 격자와;
    상기 제4 단의 일 부에 형성된 제2 반사 격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결합기.
KR1020050070935A 2005-08-03 2005-08-03 파장 분할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KR100703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935A KR100703398B1 (ko) 2005-08-03 2005-08-03 파장 분할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US11/497,040 US7248766B2 (en) 2005-08-03 2006-08-01 Wavelength division coupler and optical transceiver using the same
CNA2006101084014A CN1909425A (zh) 2005-08-03 2006-08-02 波分耦合器和使用其的光收发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935A KR100703398B1 (ko) 2005-08-03 2005-08-03 파장 분할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345A KR20070016345A (ko) 2007-02-08
KR100703398B1 true KR100703398B1 (ko) 2007-04-03

Family

ID=3770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935A KR100703398B1 (ko) 2005-08-03 2005-08-03 파장 분할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48766B2 (ko)
KR (1) KR100703398B1 (ko)
CN (1) CN19094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531A (zh) * 2018-08-06 2018-12-18 上海大学 一种具有波分复用功能的模式耦合器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801A (en) * 1993-10-29 1995-10-17 Rutgers University Coupler used to fabricate add-drop devices, dispersion compensators, amplifiers, oscillators, superluminescent devices, and communications systems
US5940556A (en) * 1997-03-07 1999-08-17 Ifos Fiber-optic mode-routed add-drop filter
JP3183223B2 (ja) * 1997-07-30 2001-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回路
US6522795B1 (en) * 2000-05-17 2003-02-18 Rebecca Jordan Tunable etched grating for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US7356224B2 (en) * 2001-07-03 2008-04-08 Brow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ultiple optical wave lengths
TW493090B (en) * 2001-07-10 2002-07-01 Shiao-Min Tseng Micro-fiber coupl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U2002338822A1 (en) * 2002-09-27 2004-04-19 Pirelli And C. S.P.A. Integrated optical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 Riziotis et al., "Novel Full-Cycle-Coupler-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48766B2 (en) 2007-07-24
KR20070016345A (ko) 2007-02-08
CN1909425A (zh) 2007-02-07
US20070031085A1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2388B2 (ja) 外部共振器型半導体レーザ素子及び光素子
US7929589B1 (en) Diffractive grating coupled whispering gallery mode resonators
US20040258360A1 (en) External gain element with mode converter and high index contrast waveguide
US10608410B2 (en) Single facet laser sources
JP5764875B2 (ja) 半導体光装置
JP2514392B2 (ja) 光共振素子
US20040179797A1 (en) Multi-wavelength optical fiber
US7027476B2 (en) Tunable semiconductor lasers
KR100703398B1 (ko) 파장 분할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US20040062483A1 (en) Optical resonator and laser applications
US6498799B1 (en) Single-mode fiber ring laser
WO2020145173A1 (ja) 波長可変レーザ
CA2138108C (en) Resonant filter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O2020145176A1 (ja) 波長可変レーザ
JPS63299291A (ja) 半導体レ−ザ
US20230089696A1 (en) Optical filter and wavelength tunable laser element
WO2020145174A1 (ja) 波長可変レーザ
US20230231356A1 (en) Fabry-perot based multi resonant cavity tunable laser
US20230048527A1 (en) Apparatus Comprising a Distributed Coupled-Cavity Waveguide Reflector
EP3499657B1 (en) Widely tunable laser with cross-connected ring resonator
KR100276434B1 (ko) 광섬유 라만 증폭기
KR100405968B1 (ko) 모드 변환을 이용한 광결합 시스템
JPH09297231A (ja) 導波路型光分波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963599A (zh) 一种集成光滤波器
JP5524821B2 (ja)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