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706B1 - 작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작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706B1
KR100702706B1 KR1020050098832A KR20050098832A KR100702706B1 KR 100702706 B1 KR100702706 B1 KR 100702706B1 KR 1020050098832 A KR1020050098832 A KR 1020050098832A KR 20050098832 A KR20050098832 A KR 20050098832A KR 100702706 B1 KR100702706 B1 KR 10070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upport
crop cultivation
crop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규
조일형
Original Assignee
조병규
조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규, 조일형 filed Critical 조병규
Priority to KR102005009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2009/248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with distillation of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절한 재배용기를 제공하여 최적의 환경에서 작물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다수의 온수관이 구비되면서 하나이상이 연결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양측에 고정되는 커버부재및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장착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살수관 및 온수관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작물에 최적의 재배용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재배용기, 온수관, 살수관, 저수조, 커버부재

Description

작물재배장치{CULTIVATION DEVICE OF PLANT}
도1은 종래의 작물 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장치의 온수관 및 살수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6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조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조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및 결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저수조 114...레일
140...커버부재 150...가이드부재
155...지지홀 170...서브가이드부재
200...재배용기 400...온수관
450...살수관
본 발명은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관수나 양액을 공급하여 각종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다수의 온수관이 구비되면서 하나이상이 연결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양측에 고정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살수관 및 온수관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작물에 최적의 재배요건을 제공하도록 하는 작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상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발생되는 토양의 오염이나 균 등에 의한 작물의 고사를 방지하도록 인위적인 수경재배나 양액재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재배법중 수경재배는 온실의 지면 바닥을 평평하게 다듬어서 그 바닥면에 재배용 판넬을 연결 설치하거나,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판넬을 연결 설치한 다음 지하수가 순환 유통되도록 하는 재배법이다.
또한, 양액재배법은, 판넬을 벤취나 콘크리트 구조물위에 연결 설치하고, 별도의 양액 공급시스템을 설치하여 재배식물에 액상의 양액을 분사및 분무 공급하는 재배법이다.
상기와 같은 수경재배 또는 양액재배는, 작물재배시 단기간 내에 많은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자연환경의 지배를 훨씬 덜 받기 때문 에 농경이 불가능한 곳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해당 작물로는 오이·토마토·방울토마토·고추 등의 과채류, 상추·미나리·앤다이브·잎파·들깨 등의 엽채류, 장미·거베라·국화·카네이션·백합 등과 같은 화훼류가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는, 작물재배용기로는 통상 스티로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제작된 상자 형태의 재배용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재배용기의 경우에는 운반과 보관에 따른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여 많은 물류비용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잘 부서지고 폐기처리가 곤란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농작물 재배지에서는 주로 합성수지로 제작된 작물재배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합성수지 재배용기들은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구멍들이 형성되고 독립된 형태를 갖는 일정 크기의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형태의 상자로 구성 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조립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작물재배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양액재배의 경우 용기내부로 공급된 양액 중 식물이 흡수하고 남은 잔량(공급되는 양액의 절반이상)이 상기 용기의 배수구멍들을 통해서 그대로 유실되기 때문에, 값비싼 양액 낭비로 인한 재배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양액 낭비로 인해 농작물 재배에 따른 추가경비가 상당하게 소요됨에 따라서, 양액재배에 따른 다수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수구멍들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양액은 토양 및 수 질을 오염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양액 처리 시스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재배용기들은 작물에 필요한 수분 공급을 위해서 별도의 관수장치를 설치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설 투자비가 상당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겨울철 난방시에는 하우스의 실내온도를 조절하여 지온을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난방효율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난방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걸리게 되고 난방비를 크게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작물재배장치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348803호로 제시된 바 있으며 그 기술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저수부(12)를 가지며, 이 저수부(12)에는 그 양단에 형성되는 측판삽입홀(15)을 통하여 고정되는 측판(14)에 의해 관수나 양액이 저수되는 장방형의 저수용기(10)와; 내부에 식물배양용 상토(上土)가 충진되어, 상기 저수용기(10)의 저수부(12)에 하부측이 침수되고, 저수부(12)의 관수나 양액을 상토에 공급하는 다수의 관통공(10a)을 적어도 일측면에 가지며, 외측면은 저수용기(10)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상단부에 형성되면서 통공(22a)을 갖는 플랜지(22a)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수단(22)을 통하여 저수용기(10)의 장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재배용기(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재배용기(20)는 양측에 측판(24)이 구비되며, 상기 저수용기(10)는 상단에 레일(13)이 측면에 보강재(19)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물재배장치는, 상기 재배용기(20)에 흙등이 충진될 때 중량물이 되어 그 상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22a)만으로 레일(13)에 지지될 때 쉽게 파손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상기 저수용기(10)에 공급되는 물만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함으로써 최적의 재배용기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고, 수경재배나 양액재배시 그 상부에 설치되는 살수관이 고정되지 못하여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를 필요로 하며, 각 저수용기(10)의 긴밀한 결합이 힘들어 누수의 염려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이동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작물 생장에 따른 여러가지 환경을 개선하여 줌으로써 작물의 성장 발육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재배용기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저수조의 연결에 따른 누수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며, 살수관의 고정이 손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최적의 재배용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면 저부에 다수의 온수관이 구비되면서 연결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이 연결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양측에 누수를 방지토록 고정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지지면을 통하여 슬라이딩가능토록 장착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저수조(100)와 상기 저수조(100)에 고정되는 커버부재(140)및 상기 저수조(100)의 내측에 장착되는 재배용기(2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저수조(100)는, 상부 일면만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몸체(110)의 내측면 저부에 가이드부재(150)를 개재하여 하나 이상의 온수관(400)이 구비되면서 양단에 상호 대응토록 설치되는 제1,2연결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이상 연결되어 소정의 저수량(W)을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0)는, 상단부에 소정의 면적을 갖는 레일(1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를 보강토록 둘레에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1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10)의 내측면 양측에 서브가이드부재(170)가 각각 돌출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복수개 돌출 설치되어 그 내측에 온수관(400)이 밀착지지되는 제2지지홀(155)을 형성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제1,2연결수단은, 상기 제1몸체(110)의 일측단부 내측에 하나이상의 제1밀착홈(115a)을 갖도록 형성되는 지지돌기(115)와 상기 지지돌기(115)에 대응토록 상기 제1몸체(110)의 타측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17)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기(117)는 그 외측에 지지돌기에 대응토록 제2밀착홈(113a)이 내측에는 커버부재(140)가 지지되는 제1지지홀(113)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140)는 제1몸체(110)에 일체로 연결되어도 좋다.
삭제
또한, 상기 온수관(400)는, 밸브(420)의 조작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온수및 증기가 유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상기 저수조(10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누수를 방지토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40)는, 상부면 일측에 살수관(450)을 지지토록 일면이 개방되는 장착홀(145)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40)는, 저면에 온수관(400)이 노출토록 수납홀(146)이 형성되면서 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토록 실링부재(143)가 더 연결된다.
상기 재배용기(200)는, 작물(470)을 식재토록 토양(S)이 충진되는 다공상의 제2몸체(210)가 저수조(100)의 내측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면을 통하여 슬라이딩가능토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재배용기(200)는, 양측면에 가이드돌기(230)가 상단부 양측에 지지레일(220)이 돌출설치되며, 양측면에 살수관을 지지하는 제3지지홀(245)이 더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제1,2연결수단의 결합력을 상승토록 상기 제1몸체(110)의 양단부에 테이퍼상의 고정홀(375)을 각각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어 고정토록 복수의 고정턱(371)(373)을 갖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37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370)은, 열융착에 의한 용접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그리고, 상기 재배용기(200)의 지지레일(220)에 작물의 식재부를 표시하는 제2마커(220a)가 저수조(100)의 측면에 토양의 매립정도를 표시하는 제1마커(116a)가 더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수조(100)가 상부일면 및 그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토록 설치되어 길이방향 양측에 커버부재(140)를 연결하면 제1몸체(110)의 내측에 소정의 물을 충진토록 하여 저수조의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00)는 제1몸체(110)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부재(116)를 통하여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100)는 상기와 같은 개체의 제1몸체(110)가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호 대응토록 각각 형성되는 제1,2연결수단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때 소정의 부피를 갖는 저수조의 형성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와 같이 소정의 부피를 갖도록 제1몸체(110)를 각각 연결할 때 전체를 하나의 저수조로 사용하여도 좋으나 각각의 제1몸체(110) 양단에 커버부재(140)를 결합하여 구분되는 저수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저수조에는 상이한 영양액이 충진토록 하면 배양되는 각각의 작물(470)에 최적의 재배용기건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40)는 그 상단부에 형성되는 장착홀(145)을 통하여 저수조(100)에 지지되는 재배용기(200)의 상부에서 영양액을 소정 시간간격으로 소량 공급하거나 살수하는 살수관(450)의 지지 및 고정이 용이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커버부재(140)는 제1몸체(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지지홀(113)에 밀착될 때 저수조(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온수관(400)이 수납홀(146)에 각각 대응되어 지지되며, 이때 상기 수납홀(146)의 둘레에 장착되는 실링부재(430)를 통하여 저장되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복수개 돌출 설치될 때 그 내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홀(155)을 통하여 온수관(400)이 탄성지지되어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양단에 커버부재(140)가 고정되는 저수조(100)에 물(W)을 충진한 후 토양(S)이 충진되는 재배용기(200)를 장착하면 상기 재배용기(200)는 그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230)및 저면이 저수조(10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재(170)및 가이드부재(150)의 상단에 지지되어 하중이 분산토록 됨으로써 지지레일(2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저수조(100)의 길이방향이 이송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체의 저수조(100)를 연결하기 위한 제1,2연결수단은, 상기 제1몸체(110)의 일측단부 내측에 하나이상의 제1밀착홈(115a) 갖도록 형성되는 지지돌기(115)와 상기 지지돌기(115)에 대응토록 상기 제1몸체(110)의 타측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17)로서 이루어져 하나의 제1몸체(110) 일단을 다른하나의 몸체 타단에 상부에서 압입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호 연결이 가능토록 된다.
한편, 상기 제1,2연결수단의 둘레에는 테이퍼상의 고정홀(375)을 각각 형성한 후 이에 고정턱(371)(373)을 갖는 고정판을 삽입하면 그 결합력이 더욱 상승되는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는 제1몸체(110)의 일단에 돌출되는 형상의 고정돌기(117b)이고 타단에 위치한 지지돌기는 고정돌기(117b)에 대응되는 제3밀착홈(115b)이 구비되어 상호 밀착된다.
그리고, 도6b에서와 같이 제1몸체(110)의 양측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제1걸림턱(372) 및 제2걸림턱(374)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370)으로 통하여 상호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연결토록 되고,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밀착홈(113a)및 제1밀착홈(115a)에는 커버부재(140)가 장착된다.
또한, 도7에서와 같이 본원 발명은, 상호 대응되는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대응되는 양단을 열융착에 의해 상호 대응되는 제1몸체(110)의 양단을 직접용접하는 연결수단을 통하여 연결하여도 그 효과는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작물재배용기는, 작물이 식재된 재배용기를 저수용기 내측으로 삽입하여 간편하게 이동·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작물재배에 따른 인건비와 노동력을 절감시키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작물재배에 필요한 관수나 양액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순환 유통시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인해서, 양액 유출에 따른 토양 및 수질의 오염방지는 물론 영농비의 효과적인 절감과 설치구조물의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공기유통 및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고품종의 작물을 다수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재배용기의 하중이 저수조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이동이 손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최적의 재배용기건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13)

  1. 상부 일면만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몸체(110)의 내측면 저부에 복수의 가이드부재(150)가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110)의 양단에 상호 대응토록 설치되는 연결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이상 연결되어 소정의 저수량(W)을 갖도록 설치되는 저수조(100);
    상기 가이드부재(150)에 지지되면서 밸브(420)의 조작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온수 및 증기가 유동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온수관(400);
    상기 저수조(10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온수관(400)을 지지하면서 누수를 방지토록 설치되는 커버부재(140); 및,
    토양(S)이 충진되는 다공상의 제2몸체(210)가 저수조(100)의 내측에서 하나이상의 지지면을 통하여 슬라이딩가능토록 지지되는 재배용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40)는, 상기 몸체에서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1몸체(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지지홀(113)에 누수를 방지토록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0)는, 상기 제1몸체(110)를 보강토록 둘레에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1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10)의 내측면 양측에 서브가이드부재(170)가 돌출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복수개 돌출 설치되어 그 내측에 온수관(400)이 밀착지지되는 제2지지홀(15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몸체(110)의 일측단부 내측에 하나이상의 제1밀착홈(115a)을 갖도록 형성되는 지지돌기(115)와 상기 지지돌기(115)에 대응토록 상기 제1몸체(110)의 타측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17)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기(117)에 제2밀착홈(113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몸체(110)의 양단부에 테이퍼상의 고정홀(375)을 각각 형성한 후 이에 대응되어 고정토록 복수의 고정턱(371)(373)을 갖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3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열융착에 의한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40)는, 상부면 일측에 살수관(450)을 지지토록 일면이 개방되는 장착홀(145)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40)는, 저면에 온수관(400)이 노출토록 수납홀(146)이 형성되면서 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토록 실링부재(143)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200)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레일(220)이 저수조(100)의 상단에 지지될 때 저면이 저수조의 가이드부재(150) 상단에 지지토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200)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레일(220)이 저수조(100)의 상단에 지지될 때 그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230)가 저수조(100)에 더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재(170)에 지지되면서 그 저면이 저수조의 가이드부재(150) 상단에 지지토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200)는, 양측에 살수관(450)을 지지하는 제3지지홀(245)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200)의 지지레일(220)에 작물의 식재부를 표시하는 제2마커(220a)가 저수조(100)의 측면에 토양의 매립정도를 표시하는 제1마커(116a)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KR1020050098832A 2005-10-19 2005-10-19 작물재배장치 KR100702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32A KR100702706B1 (ko) 2005-10-19 2005-10-19 작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32A KR100702706B1 (ko) 2005-10-19 2005-10-19 작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706B1 true KR100702706B1 (ko) 2007-04-02

Family

ID=3816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832A KR100702706B1 (ko) 2005-10-19 2005-10-19 작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43B1 (ko) * 2012-03-19 2014-03-06 (주) 셀모코리아 다년생 작물 재배를 위한 토양 교환형 다단 재배시스템
KR20180011674A (ko) * 2016-07-25 2018-02-02 박경철 농업용 다용도 저수탱크
KR20220128782A (ko) * 2021-03-15 2022-09-22 오현민 식물 재배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43B1 (ko) * 2012-03-19 2014-03-06 (주) 셀모코리아 다년생 작물 재배를 위한 토양 교환형 다단 재배시스템
KR20180011674A (ko) * 2016-07-25 2018-02-02 박경철 농업용 다용도 저수탱크
KR101864435B1 (ko) 2016-07-25 2018-06-04 박경철 농업용 다용도 저수탱크
KR20220128782A (ko) * 2021-03-15 2022-09-22 오현민 식물 재배 용기
KR102652374B1 (ko) * 2021-03-15 2024-03-27 오현민 식물 재배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96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ir conditioning of closed environments, in particular for vertical farms
KR101314657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KR100702706B1 (ko) 작물재배장치
KR100570729B1 (ko) 작물재배장치
JP2006042775A (ja) 植物栽培容器を用いた立体型植物育成装置
KR101936616B1 (ko) 수경재배용 화분 모듈
US20180064041A1 (en) Growing system
CN210406552U (zh) 一种植物立体栽培装置
KR100789472B1 (ko) 수경재배장치
KR100504938B1 (ko) 양액 재활용 시스템 및 양액재배용기의 구조
US7823325B2 (en) Water-saving watering and fertilizing device and method
US3842535A (en) Method of growing plants hydroponically
KR200348803Y1 (ko) 작물재배장치
KR100441163B1 (ko) 양액 재배용 재배용기
JP2516083B2 (ja) 植物栽培装置
JP6705795B2 (ja)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KR101611973B1 (ko) 식물 재배장치용 재배조
WO2018055665A1 (ja)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JPH10113081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木棚
WO2023058257A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KR101224707B1 (ko) 플로팅 수경재배 방법 및 시스템
KR100343003B1 (ko)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KR960001079Y1 (ko) 연조립식 다기능 수경재배기
KR200288831Y1 (ko) 음료수 페트병을 재활용하여 실내에서 식물을 저면관수 방식으로 재배하는 무배수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