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321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321B1
KR100702321B1 KR1020050082603A KR20050082603A KR100702321B1 KR 100702321 B1 KR100702321 B1 KR 100702321B1 KR 1020050082603 A KR1020050082603 A KR 1020050082603A KR 20050082603 A KR20050082603 A KR 20050082603A KR 100702321 B1 KR100702321 B1 KR 10070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c
signal
speaker
ear
vo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219A (ko
Inventor
홍도근
박영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321B1/ko
Priority to CN2006101122590A priority patent/CN101072248B/zh
Publication of KR2007002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04M1/4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wherein the setting-operation short-circuits or open-circuits the transmitting mechanism during a variable part of a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코더(vocoder) 및 코덱(codec) 초기화시 소리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 스피커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여 보코더 및 코덱 초기화시 커패시터에 충, 방전되는 직류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보코더(vocoder) 및 코덱(codec)을 초기화하면서,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가 이어-마이크(ear-mic)로 출력되지 않고 오프(off) 상태인 스피커부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피커부 선택 단계;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의 초기화가 완료되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이어-마이크로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이어-마이크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이어-마이크, 코덱 초기화 잡음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method for eliminating codec initialization noise in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SM 및 소리출력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잡음 제거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 입, 출력단 전압, 스피커부 제어 신호 및 스위치 제어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단말기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RF부
140: 소리출력부 141: 커패시터
142: 스위치 143: 이어-마이크 커넥터
144: 스피커부 145: 스피커 증폭기
146: 스피커 150: 저장부
160: MSM 162: 제어부
164: 보코더 166: 코덱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코더(vocoder) 및 코덱(codec) 초기화시 소리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 스피커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여 보코더 및 코덱 초기화시 커패시터에 충, 방전되는 직류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 관련 기술의 발전에 발맞추어 이어-마이크(ear-mic) 등 이동통신단말기용 주변 기기의 종류와 성능이 나날이 다양해지고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 등 소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보코더(vocoder)를 통해 압축된 신호의 압축을 풀고, 코덱(codec)을 통해 압축이 풀린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또는 이어-마이크 등을 통해 출력한다. 종래의 CDMA 단말기의 경우, 보코더 및 코덱은 퀄컴에서 제작된 MSM(mobile station modem) 칩에 내장되며, 보코더 및 코덱의 구동을 위해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가 인가된다. 정상 상태(steady state)에서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는 소리 신호와 함께 코덱에 연결된 커패시터로 출력되며 여기서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는 필터링되고 소리 신호만이 커패시터에서 이어-마이크 또는 스피커 등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보코더 및 코덱을 초기화하는 과도 상태(transient state)에서는 상기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는 필터링되지 못하고 커패시터에 충전되었다가 방전되어 이어-마이크 또는 스피커를 통해 "딱" 하는 상당히 심한 잡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코더 및 코덱 초기화시 소리 신호를 적절하게 스위칭하여 보코더 및 코덱 초기화시 커패시터의 충,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이어-마이크 사용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보다 쾌적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활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은 보코더(vocoder) 및 코덱(codec)을 초기화하면서,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가 이어-마이크(ear-mic)로 출력되지 않고 오프(off) 상태인 스피커부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피커부 선택 단계; 입력부로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 및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의 초기화가 완료되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이어-마이크로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이어-마이크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부 선택 단계 이전에, 이어-마이크 커넥터로부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부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부 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오프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소정 배율로 증폭하는 스피커 증폭기; 및 상기 신호들을 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부 오프 제어 신호를 상기 스피커 증폭기로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는 상기 코덱을 통해 커패시터에 인가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에서 충, 방전되면서 생성된 소리 신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덱 초기화 잡음이 없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코덱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이어-마이크 또는 스피커부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 보코더 및 상기 코덱을 초기화하면서,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가 이어-마이크로 출력되지 않고 오프 상태인 스피커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의 초기화가 완료되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이어-마이크로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을 초기화기 이전에 이어-마이크 커넥터로부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부로 소리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부 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소정 배율로 증폭하는 스피커 증폭기 및 상기 신호를 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부 오프 제어 신호를 상기 스피커 증폭기로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는 상기 코덱을 통해 커패시터에 인가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에서 충, 방전되면서 생성된 소리 신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RF부(130), 소리출력부(140), 저장부(150) 및 MSM(mobile station modem)(16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MSM(160)으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상기 MSM(160)의 표시기능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영상이나 문자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RF부(130)는 상기 MSM(160)의 제어를 받으며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MSM(16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RF부(130)는 상기 MSM(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로 출력한다.
상기 소리출력부(140)는 커패시터(141), 스위치(142), 이어-마이크(ear-mic) 커넥터(143) 및 스피커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부(144)는 스피커 증폭기(145)와 스피커(146)를 포함한다. 상기 소리출력부(140)는 상기 MSM(160)으로부터 소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위치(14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 또는 상기 스피커(146)를 통해 상기 소리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MSM(160)의 제어시에 필요한 동작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에는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대기시간, 제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라 함은 상기 MSM(160)을 통해 상기 커패시터(141)에 인가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141)에서 충, 방전되면서 생성된 소리 신호를 말한다.
상기 MSM(16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RF부(130) 또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상기 소리출력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MSM(160)은 상기 소리 신호 출력을 위해 상기 MSM(160)에 내장된 보코더(vocoder)(164) 및 코덱(codec)(166)을 초기하는 경우, 상기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142)를 제어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MSM(160)은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로부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146)로 소리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 증폭기 오프(off) 제어신호를 상기 스피커 증폭기(145)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MSM(160)은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상기 키 입력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보코더(164) 및 코덱(166)이 초기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를 통해 상기 이어-마이크로 소리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 선택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142)로 출력한다. 그 후, 상기 MSM(160)은 상기 보코더(164) 및 코덱(166)이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보코더 준비 신호를 상기 보코더(164)로부터 입력받으면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이어-마이크로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이어-마이크 선택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142)로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SM 및 소리출력부의 상세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 입, 출력단 전압, 스피커부 제어 신호 및 스위치 제어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MSM(160)은 제어부(162), 보코더(164) 및 코덱(166)을 포함하고 소리출력부(140)는 커패시터(141), 스위치(142), 이어-마이크 커넥터(143) 및 스피커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부(144)는 스피커 증 폭기(145)와 스피커(146)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로부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146)로 소리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 증폭기 오프 제어신호를 도 2에 도시된 GPIO(general port input output)1 핀을 통해 스피커 증폭기(144)로 출력한다. 상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는 상기 MSM(160)의 GPIO 핀을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에 이어-마이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GPIO3 핀 상의 전압 레벨은 하이(high) 상태에 있으며, 상기 이어-마이크가 연결되면 저항 값의 변화에 의해 상기 전압 레벨이 로우(low)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전압 레벨 변화를 통해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에 이어-마이크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키 입력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코더(164) 및 코덱(166)이 초기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어-마이크로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 선택 제어 신호를 도 2에 도시된 GPIO2 핀을 통해 스위치(142)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 또는 키 입력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는 등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보코더(164) 및 코덱(166)에서 소리 신호 출력을 위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보코더(164) 및 코덱(166)에 전원, 즉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한 다. 이 경우, 상기 코덱(166)에 연결된 상기 소리출력부(140)의 커패시터(141)에, 상기 소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라인을 통해 약 2.6 [V]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가 인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가 상기 커패시터(141)에 인가되면, 제1 과도 상태(transient state), 즉 도 4에 도시된 a 내지 b 구간 동안은 상기 커패시터(141)에 전압이 충전되게 되며 상기 커패시터(141)의 입력단에서의 전압, 즉 입력단 전압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커패시터(141)의 출력단에서의 전압, 즉 출력단 전압 또한 상기 입력단 전압을 따라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그 이후, 상기 보코더(164) 및 코덱(166)의 초기화가 완료되어 상기 코덱(166)에서 상기 커패시터(141)로 인가되는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안정 상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141)는 제2 과도 상태, 즉 도 4에 도시된 b 내지 c 구간에 진입하게 되며, 상기 커패시터(141)는 제1 과도 상태에서 충전된 전압을 상기 출력단을 통해 방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코덱(166)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인 입력단 전압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단 전압은 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상기 커패시터(141)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됨에 따라 상기 이어-마이크 또는 스피커(146)에는"딱"하는 상당히 심한 잡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스피커 선택 제어 신호를 스위치(142)로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 증폭기(145)는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방전에 의한 전압 신호는 상기 스피커(146)로 출력되지 않으며 상기 스위치(142), 상기 스 피커 증폭기(145) 및 상기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라인에 있는 션트 커패시터(미도시)(shunt capacitor)에 의해 자연 방전되게 된다.
그 이후,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이어-마이크로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이어-마이크 선택 제어 신호를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스위치(142)로 출력한다.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커패시터(141)의 용량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상기 커패시터(141)의 용량에 의해 충, 방전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상기 커패시터(141)의 방전이 완료되어 정상 상태(steady state), 즉 도 4에 도시된 c 이후 구간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커패시터(141)의 출력단으로는 상기 코덱(166)으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신호 중 고주파의 소리신호 성분만이 출력되고 저주파의 직류 바이어스 성분은 제거된다. 즉, 상기 소리신호만이 상기 이어-마이크로 출력되게 된다.
상기 보코더(164)는 상기 제어부(16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코덱(166)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부(150)로부터 상기 코덱(166)을 통해 불러온 키 톤 음원 데이터 또는 상기 RF부(130)로부터 상기 코덱(166)을 통해 입력된 소리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코덱(166)으로 전달한다.
상기 코덱(166)은 상기 보코더(164) 및 상기 제어부(162)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보코더(164)로부터 복호화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아날로그 소리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와 함께 상기 소리출력부(140)로 전달한다.
상기 커패시터(141)는 상기 코덱(166)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소리 신호와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를 필터링한 후 상기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상기 스위치(142)로 전달한다. 즉, 상기 코덱(166)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저주파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를 제거하고 고주파의 아날로그 소리 신호만을 전달하는 고대역 통과 필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141)는 상기 직류 바이어스 전압 신호가 상기 코덱(166)에 인가되면 바로 상기 스위치(142)로 상기 전압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막아 급격한 전압 변화에 따른 하드웨어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142)는 상기 커패시터(141)로부터 상기 소리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62)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 또는 상기 스피커 증폭기(145)로 상기 소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는 상기 스위치(142)로부터 상기 소리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이어-마이크 커넥터(143)에 접속된 이어-마이크로 상기 소리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스피커 증폭기(145)는 상기 스위치(142)로부터 상기 소리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배율로 상기 소리 신호를 증폭한 후에 상기 스피커(146)로 전달한다.
상기 스피커(146)는 상기 스피커 증폭기(145)로부터 증폭된 전기 소리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전기 소리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음파 신호로 바꾸어 외부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잡음 제 거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2)는 이어-마이크 커넥터(143)로부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를 입력받고 스피커 증폭기(145)로 스피커 증폭기 오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00).
그 후, 상기 제어부(162)는 입력부(110)로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S110 단계 판단결과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스위치(142)로 스피커 선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20).
그 후, 상기 제어부(162)는 보코더(164)로부터 보코더 준비 완료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S130 단계 판단결과 상기 보코더(164)로부터 보코더 준비 완료 신호가 입력된 경우, 대기 시간 타이머를 온(on) 시키고(S140),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상기 S150 단계 판단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스위치(142)로 이어-마이크 선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절차를 종료한다(S160).
한편, 상기 S110 단계 판단결과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S110 단계로 다시 이동한다.
한편, 상기 S130 단계 판단결과 상기 보코더(164)로부터 보코더 획득 완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S130 단계로 다시 이동한다.
한편, 상기 S150 단계 판단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62)는 상기 S150 단계로 다시 이동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있는 보코더 및 코덱 초기화시 소리 신호를 적절하게 스위칭하여 보코더 및 코덱 초기화시 커패시터의 충,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이어-마이크 사용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보다 쾌적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보코더(vocoder) 및 코덱(codec)을 초기화하면서,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가 이어-마이크(ear-mic)로 출력되지 않고 오프(off) 상태인 스피커부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피커부 선택 단계;
    입력부로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 및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의 초기화가 완료되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이어-마이크로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이어-마이크 선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 선택 단계 이전에,
    이어-마이크 커넥터로부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부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부 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오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 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소정 배율로 증폭하는 스피커 증폭기; 및
    상기 신호들을 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부 오프 제어 신호를 상기 스피커 증폭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는 상기 코덱을 통해 커패시터에 인가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에서 충, 방전되면서 생성된 소리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6. 코덱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이어-마이크 또는 스피커부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
    보코더 및 상기 코덱을 초기화하면서,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가 이어-마이크로 출력되지 않고 오프 상태인 스피커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의 초기화가 완료되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이어-마이크로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덱 초기화 잡음이 없는 이동통신단말기.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코더 및 코덱을 초기화기 이전에 이어-마이크 커넥터로부터 이어-마이크 접속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부로 소리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부 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덱 초기화 잡음이 없는 이동통신단말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소정 배율로 증폭하는 스피커 증폭기 및 상기 신호를 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부 오프 제어 신호를 상기 스피커 증폭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덱 초기화 잡음이 없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덱 초기화 잡음 신호는 상기 코덱을 통해 커패시 터에 인가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에서 충, 방전되면서 생성된 소리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덱 초기화 잡음이 없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82603A 2005-09-06 2005-09-06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603A KR100702321B1 (ko) 2005-09-06 2005-09-06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N2006101122590A CN101072248B (zh) 2005-09-06 2006-08-29 移动通信终端及其编解码器初始化噪音消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603A KR100702321B1 (ko) 2005-09-06 2005-09-06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219A KR20070027219A (ko) 2007-03-09
KR100702321B1 true KR100702321B1 (ko) 2007-03-30

Family

ID=3810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603A KR100702321B1 (ko) 2005-09-06 2005-09-06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2321B1 (ko)
CN (1) CN1010722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455B1 (ko) * 2014-12-10 2016-05-30 (주)와이솔 단말에 포함된 전압 공급 회로
CN108234727B (zh) * 2017-11-29 2020-04-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降噪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455A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오디오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장치
KR20020078387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잡음 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2143A (en) * 1992-10-29 1998-03-24 Andrea Electronics Corp. Noise cancellation apparatus
GB2322746A (en) * 1997-02-26 1998-09-02 Thomson Multimedia Sa Preventing pop noise in TV sound
EP1148639A1 (en) * 2000-04-19 2001-10-24 THOMSON multimedia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an audio amplifier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uch electronic devices
DE60224985T2 (de) * 2002-05-10 2009-01-29 Texas Instruments Inc., Dall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terbinden von Einschaltgeräuschen am Ausgang eines Funktelefonhör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455A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오디오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장치
KR20020078387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잡음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219A (ko) 2007-03-09
CN101072248B (zh) 2012-07-04
CN101072248A (zh)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467B1 (ko)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8111842B2 (en) Filter adaptation based on volume setting for certification enhancement i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EP1229747A3 (en) Mobile phone terminal, and peripheral unit for acoustic test of mobile phone terminal
KR10070232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덱 초기화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74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클릭 노이즈 제거 장치와 방법
WO2007049696A1 (ja) 電話端末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5777154B2 (ja) 携帯端末装置
US7227484B2 (en) Startup apparatus and technique for a wireless system that uses time domain isolation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WO2001008379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t dispositif de commande d&#39;affichage
US6268773B1 (en) Power system
JPH0823366A (ja) 携帯電話機用音響信号制御装置
KR100273970B1 (ko) 무선 단말기의 에코 억제 장치
KR2005001424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및방법
KR20040028029A (ko)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JP2000253131A (ja) 音声通信装置
JPH05344595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KR200100585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신시 절전방법
KR19980065536A (ko) 핸드셋 전화기의 오디오 신호 절환 장치
JP3919697B2 (ja) Vox制御無線通信装置
KR100268711B1 (ko) 휴대형 이동 전화기
KR20060057262A (ko) 이동 단말에 있어서 하울링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0179483Y1 (ko) 피지티를 이용하여 골도청각을 자극할 수 있는 보청기
KR1007133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모드에서 수신된 콜을 종료하는장치 및 방법
KR100400560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