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있어서,
초기 우수유출수의 모래 및 부유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침사지와;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생물막이 형성된 메디아가 구비된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의 하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 라인;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침사지와 반응기로 구분하여 각각의 비점오염원의 처리 대상물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침사지는 비점오염원 중에 함유되어 있는 생물학적 분해가 불가능한 모래, 흙 등과 같은 비중이 높은 물질이 침강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어진다. 침사지의 형태는 장방형 구조로서, 유입되는 계획 비점오염원 유량과 비교하여 45~90초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둘째로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는 본 발명의 주요 핵심 구조로서, 반응기의 내부에 생물막이 형성된 메디아를 설치하고, 이 메디아에 부착된 생물막의 미생물들의 증식을 위해 비점오염원이 함유된 유입수를 처리시에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 시키면 반응기 내부에 충진된 메디아의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은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반응기 내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활성화되면서 유입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반응기 내부에 설치하는 메디아의 충전율은 5~30%(V/V)가 바람직하며, 메디아 충전율이 5%(V/V)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생물막이 형성되는 메디아 표면적이 부족하여 미생물 수의 부족으로 인해 유입수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화합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메디아 충전율이 30%(V/V)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입수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의 제거 효율은 높아지나 반응기의 처리 용적률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나머지 공간의 빈 용적에 대해서는 우수에 대한 저류지의 기능이 약화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메디아는 생물막이 형성된 메디아 층을 잘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면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그 설치 위치도 반응기 내부에 유입된 유입수가 메디아 층을 통과하면서 생물막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메디아는 그 표면에 형성된 미생물은 초기에는 일반적인 활성슬러지 공정에서 발견되는 Pseudomonas fluorescens(Acession No. AF094731), uncultured bacterium(Acession No. DQ419742), uncultured soil bacterium (Acession No. DQ702752), uncultured bacterium(Acession No. DQ838095), uncultured proteobacterium(Acession No. DQ105621) 등이 우점종화 경향을 보였으나, 휴지기간이 길어질수록(10일, 15일), bacterium DR2A-7G21(Acession No. AB127860), uncultured bacterium(Acession No. AY711255) 등의 일반적으로 침전물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이 우점화 되어 이루어진 생물막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메디아의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의 미생물들은 반응기 내부에 비점오염물질이 15일 정도까지 유입되지 않은 건조된 상태(휴지기간) 동안에도 반응기 내부에서 미생물이 활성이 유지되고,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될 경우 미생물의 정상적인 활동에 의해 유입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 및 질소화합물 등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에서 비점오염원에 함유되어 있는 암모니아성 질소(NH4 +-N)는 수계 부영 양화의 원인물질로 최근 하폐수처리장의 규제대상 물질로 방류수질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그리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 메카니즘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거되어진다.
첫째 질산화 단계로써, 호기성 조건에서 NH4 +-N → NO2 --N →NO3 --N
둘째 탈질 단계로, 혐기성 조건에서 NO3 --N →NO2 --N →N2O → N2 gas
의 과정을 거쳐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유기물의 제거가 종속영양미생물에 의해 일어남에 비해서, 질산화는 독립영양미생물에 의해 일어남에 따라, 독립영양미생물의 성장속도가 느려 질산화 정도는 유기물제거의 척도로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총질소 규제이기 때문에 질산화 정도가 법적 규제와는 연관성이 별로 없지만 외국의 경우, 질산화를 법적 규제로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생물막 내부 탈질의 개연성이 높고, 수계 방류시, 환경에 대한 부담이 적기 때문에 이러한 질산화 정도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에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로 초기 강우시에 유입되는 유입수가 도시지역의 먼지와 분진 또는 지표면에 낙하한 대기오염물질 등과 같은 다양한 오염물질들을 함유한 주된 오염원인 초기 강우 유입수를 일정량만 본 발명의 처리장치에 유입시키고, 적정 용적 이상의 추가적인 후기 강우는 초기 강우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오염물질이 소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적정 용적 이상의 추가적인 강우에 대해서는 우회 흐름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침사지 전방에 우회 흐름 방류구를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메디아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원을 처리하는 공정을 첨부된 도면인 도 2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디아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초기 우수유출수 및 합류식하수관거 유출수(CSOs)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유입수(A)가 먼저 침사지(1) 내에 유입되면, 유입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생물학적 분해가 불가능한 모래, 흙 등과 같은 비중이 높은 물질이 침강 포집하여 제거되어진다.
상기 침사지(1)에서 이송되어 반응기(2)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는 반응기 내부에서 적절한 시간 동안 체류하면서 메디아(3)의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과 접촉하면서 유입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 등이 제거되어진다. 이때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송풍기(5)를 이용하여 반응기(2)의 하부 바닥으로부터 메디아(3)의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을 향해 공기를 불어넣어 폭기시킨다.
이때 반응기 내부에서 수위 센서(7)(Level Sensor)를 수면위에 띄워 반응기 내부에 유입된 강우 유입수가 메디아 위치까지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면, 이를 PLC 레벨제어(4)에 전달하고, 이 PLC 레벨제어(4)의 제어에 의해 송풍기(5)에서 공기가 반응기 내부로 공급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 내부에 유입된 유입수는 생물학적 처리가 완료된 후, 펌프(6)를 이용하여 반응기 내부의 처리수(B, B')를 하천으로 방류하고, 비가 오지 않는 비강우기에는 우수저류조 및 비상저류조로 사용하기 위해 반응기 내부를 비워두게 된다. 이때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메디아의 표면에 형성된 미생물막은 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되면서 휴지기간을 갖게 되며, 다시 강우가 유입될 경우 강우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미생물의 활동이 활성화된다.
또한, 초기 강우유출수 중에 다량의 오염원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초기 강우 유출수의 일정량만 반응기 내에 유입시키고, 초기 강우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오염물질이 소량 함유되어 있는 후기 강우가 반응기의 적정 처리능력 이상으로 유입될 경우 우회 흐름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침사지 전방에 우회 흐름 방류구(C)를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반응기의 운전
메디아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처리 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물막이 부착된 세라믹 메디아(Ceramic Media)를 이용하여 유효용적 5.6L를 가지는 반응기 내부에 메디아 충전율 5%(V/V), 용존산소농도 7 ㎎/ℓ를 유지하면서 실시하면서,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제거능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강우기간을 고려하여 휴지기간은 0일, (1일), 5일, 10일, 15일로 수행하였다. 세라믹 메디아에 미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도시하수처리장 활성슬러지에 일반적인 하수 농도의 유입수를 공급하면서 20일 동안 순화되었다.
그리고 반응기의 운전은 배치(Batch) 형태로 운전되었고, 운전시간에 따른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및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를 측정하고, 휴지기간 동안의 미생물의 활성도(Activity) 측정을 위하여 INT-탈수소효소 활성도 시험(INT-dehydrogenase activity test)을 통하여, 단위시간당 미생물이 사용하는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2. 운전 결과
가 유기물의 제거능력
수리학적체류시간(Hydraulic Retention Time, HRT)에 따른 유기물의 제거능력은 첨부된 도면인 도 3(충전율 5%) 및 도 4(충전율 15%)의 도시된 그래프의 내용과 같이 메디아의 표면에 미생물을 식종한 후 (1일 경과), 5일 경과, 10일 경과 및 15일 경과한 후 처리한 각각의 유기물의 제거능력을 합산하여 산출한 평균제거능력은 [표 1](충전율 5%) 및 [표 2](충전율 15%)의 내용과 같다.
[표 1]
(단위 : 중량%)
구분 |
수리학적 체류시간 |
2 hr |
4 hr |
6 hr |
8 hr |
10 hr |
12 hr |
평균제거능력 |
46 |
64 |
76 |
81 |
81 |
82 |
[표 2]
(단위 : 중량%)
구분 |
수리학적 체류시간 |
3 hr |
6 hr |
9 hr |
12hr |
24 hr |
평균제거능력 |
31 |
49 |
74 |
80 |
83 |
상기 [표 1] 및 [표 2]의 내용에 따르면, 유기물의 평균제거능력은 반응기 내부에 유입되는 유입수가 반응기 내부에 체류하는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길수록 유기물의 평균제거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의 내용에 따르면, 메디아에 미생물을 식종한 후 휴지기간에 따른 유기물의 제거능력은 수리학적 체류시간(반응시간)이 길수록 유기물의 제거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으나, 휴지기간에 따른 유기물의 제거능력을 살펴보면,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반응기의 휴지기간과 유기물 제거와의 상관관계는 미미하다. 한편, [표 1] 과 [표 2]를 비교하였을 때, 메디아의 충전율이 높을수록 반드시 유기물의 제거율이 높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기물의 제거 측면에서 본다면, [표 1]의 충전율 5%와 수리학적 체류시간 6시간이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메디아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처리 우수성이 증명되었다.
나.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능력
휴지기간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능력은 첨부된 도면인 도 5(충전율 5%) 및 도 6(충전율 15%)의 도시된 그래프의 내용과 같이 메디아의 표면에 미생물을 식종한 후 (1일 경과), 5일 경과, 10일 경과 및 15일 경과한 후 처리한 각각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수리학적 체류시간 8시간에서의 평균제거능력인 [표 3](충전율 5%) 및 수리학적 체류시간 9시간에서의 평균제거능력인 [표 2](충전율 15%)의 내용과 같다.
[표 3]
(단위 : 중량%)
구분 |
휴지기간 |
0일 |
1일 경과 |
5일 경과 |
10일 경과 |
15일 경과 |
제거능력 |
90 |
60 |
37 |
20 |
13 |
[표 4]
(단위 : 중량%)
구분 |
휴지기간 |
0일 |
5일 경과 |
10일 경과 |
15일 경과 |
제거능력 |
98 |
97 |
51 |
49 |
상기 [표 2]의 내용에 따르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능력은 휴지기간 0일, 1일, 5일, 10일, 15일에 따라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능력(질산화율)은 각각 90, 60, 37, 20, 13%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휴지기간이 유기물 제거에 관여하는 종속영양미생물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에 관여하는 독립영양미생물에는 많은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한편, [표 2]와 [표 3]을 비교하면, 충전율 15%일 경우에는 휴지기간이 10일 및 15일이 경과하더라도 각각 51, 49%로 나타나 충전율 5%의 경우보다 매우 우수한 질산화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경제적이고 우수한 설계인자는 메디아 충전율 15% 및 수리학적 체류시간 9시간으로 나타났다.
다. INT-DHA Test에 의한 미생물의 활성도
미생물의 활성도 측정 결과, 도 7(충전율 5%)과 도 8(충전율 15%)에 도시된 그래프의 내용과 같이 15일의 휴지기간에도 불구하고, 활성도의 변화가 미미하였다. 휴지기간 동안의 평균 활성도는 충전율이 5%일 경우 25 mgO2/gVSS/day였고, 15%일 경우 22mgO2/gVSS/day로 나타났다. 이로써 불연속적인 오염물질의 유입이라는 비점오염원의 특성에 따른 메디아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시설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라. PCR-DGGE에 의한 미생물의 종류 및 우점화 경향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기반한 변성 농도 구배 겔 전기영동(DGGE: Denatured gradient gel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메디아에 부착된 미생물의 종류와 우점화 경향을 조사하였다. 16S rDNA(데옥시리보핵산)를 증폭시킬 수 있는 EUB 10F/1400R primer set과 16S rDNA의 V3 지역을 증폭시킬 수 있는 EUB 340F/518R primer set를 이용하여 PCR를 실시하였으며, PCR 산물을 이용해서 DGGE를 실시하였다. 도 9는 휴지기간이 없을 경우(0일), 5일 경과, 10일 경과 및 15일 경과 후의 사진을 보여준다. 도 9의 각각의 미생물에 대한 종류는 [표 5]의 내용과 같다.
[표 5]
삭제
Sample No.
|
Accession
No.
|
Similarity
%
|
Species
|
Source
|
N1 |
AF094732 |
91 |
Pseudomonas fluorescens
|
- |
N2 |
DQ419742 |
97 |
uncultured bacterium |
- |
N3 |
DQ792752 |
97 |
uncultured soil bacterium |
- |
N4 |
AB127860 |
100 |
bacterium DR2A-7G21 |
freshwater sediment |
N5 |
AY711255 |
100 |
uncultured bacterium |
sediment |
N6 |
DQ838095 |
97 |
uncultured bacterium |
synthetic space mission wastewater |
N7 |
DQ105621 |
91 |
uncultured proteobacterium |
activated sludge |
상기 [표 5] 및 도 9의 내용에 따르면, 초기에는 일반적인 활성슬러지 공정에서 발견되는 N1, N2, N3, N6, N7인 반면에 휴지기간이 길어질수록(10일, 15일), N4, N5 등의 일반적으로 침전물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이 우점화 되어 이루어진 생물막이 형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휴지기간이 유기물 제거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에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운전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질산화도 상당히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주로 물리적인 처리방법에 의해 주로 비중이 높은 오염물질인 흙 또는 모래 등만을 제거할 수 있었는데 반해 본 발명은 먼저 침사지에서 종래의 방법과 같이 물리적인 처리방법에 의해 비중이 높은 오염물질인 흙 또는 모래 등을 제거한 후 비점오염원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 질소화합물 등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메디아의 표면에 형성시킨 미생물막은 반응기 내부에서 비가 오지 않는 비강우기에는 반응기 내부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15일 정도의 휴지기간을 갖더라도 강우시에 반응기 내부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이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서 확인될 수 있었다.
그리고 반응기 내부에 설치하는 메디아 충전율 등을 상향 조정하면 비점오염물질의 처리능력을 상기의 실시예보다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이 실험실적 운전 결과 메디아 충전율 5%(V/V)에서 유기물의 76중량% 제거시점은 6시간이었고, 추가적인 실험에서 15%(V/V) 충전율 일 때, 휴지기간이 10일 및 15일 경우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약 50중량% 제거시점이 9시간으로 나타나, 메디아의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반응시간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디아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구성을 상기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성이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