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840A -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840A
KR20110088840A KR20100008540A KR20100008540A KR20110088840A KR 20110088840 A KR20110088840 A KR 20110088840A KR 20100008540 A KR20100008540 A KR 20100008540A KR 20100008540 A KR20100008540 A KR 20100008540A KR 20110088840 A KR20110088840 A KR 20110088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artificial wetland
landfill
cod
landfill leac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817B1 (ko
Inventor
최의소
윤형희
강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to KR2010000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8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통해 고급산화법과 같은 고비용의 처리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침출수에 포함된 생물분해가 어려운 COD 및 질소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Treatment method of leachates from landfill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산화법과 같은 고비용의 처리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침출수에 포함된 생물분해가 어려운 COD 및 질소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는 매립되는 쓰레기의 종류, 매립쓰레기량, 매립기간, 매립지형, 매립방법, 강우량, 기후조건, 쓰레기 다짐정도 등 많은 환경변수에 따라 수질과 발생량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최근에는 생활수준과 산업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합성물질이 함유된 생활폐기물의 매립으로 인하여 침출수의 질은 더욱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매립초기 침출수에 함유된 유기물질은 대부분이 VFA(Volatile Fatty Acids) 형태의 유기물로 존재하며 매립경과시간이 지남에 따라 VFA성분은 감소되고 Fulvic-Like Material 즉, Carboxyl Group, Aromatic Hydroxyl Group 등이 증가하게 된다. Fulvic-like Material과 같은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함께 침출수처리에 어려움을 유발하는 오염물질은 질소로 침출수에 함유된 질소는 매립초기에 비하여 약 5∼6년 정도 매립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약 5배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농도범위는 대개 300∼4,000 mgN/ℓ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종래 침출수 처리장치는 BOD, COD 등 유기물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대부분 표준 활성슬러지(Activated Sludge)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만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침출수에 고농도로 함유된 질소는 거의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더욱이 침출수에 함유된 질소는 고농도이므로 적정처리가 대단히 어려우며, 매립지내에서의 체류기간동안 생물분해가능한 유기성 질소(Organic Nitrogen)는 대부분 암모니아화(Ammonification)되지만 VFA 농도가 낮아 탈질되지 않고 그대로 방류되고 있는 실정으로, 고농도 질소를 적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처리와 아울러 외부탄소원의 공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위생 매립지 침출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면 “혐기성소화 → 활성슬러지 → 화학응집 → 여과 → 고도처리”로 구성되는 공정에서 각 단위공정을 상황에 따라 약간씩 변경하여 조합하는 형태이다. 그 중 한가지 처리공정은 “혐기성소화 → 폭기식라군 → 침전조 → 회전원판법 → 침전조 → 혼화응집 → 모래여과 → 오존처리(또는 활성탄여과)”로 구성되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97-015493호). 또 한가지 처리공정은 “혐기성소화 → 활성오니 → 펜톤산화 → 입상활성탄처리”로 구성되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97-042328호). 한편, 물리 화학적 처리로써 역삼투막으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97-010662호).
이 중, 생물학적 처리공정중 혐기성 소화공정에서는 주로 종래형의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형 혐기성 소화조는 소화조 내에서 미생물과 폐수를 함께 혼합시키는 방법으로써 혐기성 소화조내 미생물의 농도가 낮다. 따라서, 처리시간이 10 내지 20일 정도로 매우 길게 소요된다. 최근에는 고율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하여 침출수를 처리하려는 시도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한국 폐기물학회지 13권 2호pp.211(1996)). 침출수 처리공정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회전원판법의 경우 운전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동절기에는 거의 처리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침출수는 전처리를 하지 않고 혐기성 소화조로 유입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실제 운전시 침출수에 존재하는 부유물(SS)들이 배관에 스케일(scale)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침출수 처리공정 중에서 펜톤산화법은 약품이 과량 사용되어 약품비가 과다하게 소요된다. 특히 사용 약품중 H2O2은 일반폐수처리용 약품에 비해 고가이다.
결국, 매립장 침출수를 재처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역삼투막법 및 오존처리법의 경우 운전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초기시설비 및 운전관리비가 과도하게 커서 경제성이 낮으며 약품에 의한 화학산화법(특히 advanced oxidation process)은 약품비용이 많이 들고 슬러지 발생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펜톤산화의 경우에는 H2SO4 먼지가 공기중으로 퍼지면서 침출수 처리장치의 부식을 초래하며 운전자에게 건강상 위해를 끼치는 등의 부작용이 심각하다. 특히 O3의 경우에는 대기중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침출수는 초기에 유기물질의 농도가 높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질소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초기에는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그 이후에는 질산화와 탈질과정을 수행하여 결국 유기물질 및 질소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인공습지는 침출수에서 유기물질의 제거 및 질산화시키는 기능은 높지 않으나 습지내의 식물체는 탈질에 이용되는 탄소원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또한 토양은 퇴비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 등을 흡착시켜 식물이 잘 성장할 수 있는 구조(토양의 성상)를 만들어 준다. 한편 침출수를 별도의 정화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인공습지에 넣으면 침출수에 함유된 다량의 생물분해 유기물질 등에 의해 식물의 생장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량의 침출수만을 인공습지에 넣어야 하므로 결국 인공습지가 매우 넓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첫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급산화법과 같은 고비용의 처리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침출수에 포함된 생물분해가 어려운 난분해성 COD의 처리 및 탈질공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공습지를 혐기성 및/또는 무산소 조건으로 조절하여 난분해성 COD의 처리 및 탈질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첫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1) 유량 조정조에 매립장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단계; 2) 상기 유량 조정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무산소-호기조건이 교호되는 생물반응조에 이송하여 침출수를 질산화시켜 유기물과 질소부하를 저감하는 단계; 3) 상기 생물반응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집수조로 이송하여 부유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상기 집수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하향류 인공습지에 이송하여 난분해성 COD 및 NOXN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는 무산소-호기조건이 1 ~ 2 시간마다 교호되면서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 단계에서 부유물 및 침전물을 매립장으로 반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향류 인공습지는 순차적으로 표층 40 ~ 60㎝ 및 자갈층 20 ~ 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층은 평균입경이 0.0005 ~ 0.002㎜인 점토질 10 ~ 20%, 평균입경이 0.005 ~ 0.02㎜인 실트 15 ~ 25% 및 평균입경이 0.5 ~ 3㎜인 모래 55 ~ 75%로 이루어진 사양토(砂壤土(모래참흙), sandy loam)이고, 상기 자갈층은 평균입경이 5 ~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4)단계 이후 인공습지를 통과한 침출수를 인공습지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관을 통해 수로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관의 선단인 배수구에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인공습지 내부에 침출수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개폐수단으로 배수구를 막아 인공습지의 내부를 혐기 또는 무산소 조건에서 난분해성 COD 및 NOXN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은 인공습지의 하부에서는 지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통되며 수로에서는 지면을 향하여 인공습지에서 연장된 지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굴곡되는 부분에 개폐수단을 구비한 제1배수구가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 제2배수구가 형성되어 침출수가 제2배수구를 통해 수로로 방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습지는 그 둘레를 따라 침출수의 유출을 막기 위한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1) 매립장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조, 2) 상기 유량 조정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무산소-호기조건을 교호시켜 침출수를 질산화시키고 유기물과 질소부하를 저감하는 생물반응조, 3) 상기 생물반응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에서 부유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는 집수조, 4) 상기 집수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에서 난분해성 COD 및 NOXN를 제거하기 위하여 표층 40 ~ 60㎝ 및 자갈층 20 ~ 40㎝로 구성되며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격벽을 구비한 하향류 인공습지, 및 5) 상기 하향류 인공습지의 자갈층에 형성되며 선단인 배수구에 개폐수단을 구비한 배수관을 통해 침출수가 방류되는 수로를 포함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관은 인공습지의 내부에서는 지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통되며
수로에서는 지면을 향하여 인공습지에서 연장된 지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굴
곡되어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굴곡되는 부분에 개폐수단을 구비한 제1배수구가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 제2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구는 인공습지에서 연장된 지표면으로부터 10 ~ 30㎝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은 생물반응조를 통한 전처리 공정과 하향류 인공습지를 통한 후처리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약품의 첨가 없이도 우수한 탈질효과 및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어려운 난분해성 COD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관을 통한 인공습지 내부로의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인위적으로 무산소 또는 혐기조건으로 형성하므로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어려운 COD 및 NOXN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침출수의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류 인공습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류 인공습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류 인공습지의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매립장 침출수를 재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역삼투막법 및 오존처리법의 경우 운전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초기시설비 및 운전관리비가 과도하게 커서 경제성이 낮으며 약품에 의한 화학침전법(특히 advanced oxidation process)은 약품비용이 많이 들고 슬러지 발생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1) 유량 조정조에 매립장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단계, 2) 상기 유량 조정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무산소-호기조건이 교호되는 생물반응조에 이송하여 침출수를 질산화시켜 유기물과 질소부하를 저감하는 단계, 3) 상기 생물반응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집수조로 이송하여 부유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상기 집수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하향류 인공습지에 이송하여 난분해성 COD 및 NOXN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을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를 통해 별도의 약품의 첨가 없이도 우수한 탈질효과 및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어려운 COD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향류 인공습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향류 인공습지의 상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매립장 침출수는 쓰레기장 등 각종 매립장에서 빗물 또는 지하수 등과 섞여 발생하는 액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매립장 침출수에는 협잡물 또는 부유성 고형물 및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포함될 수 있다.
먼저, 1) 단계로서 상기 매립장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유량조정조(110)에서 집수한다. 이를 통해 생물반응조(120)에 투입되는 침출수의 양 및 성상을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 2) 단계로서 상기 유량조정조(110)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무산소-호기조건이 교호되는 생물반응조(120)에 이송하여 침출수를 질산화시켜 유기물과 질소부하를 저감한다. 상기 생물반응조(120)은 생물반응조로써 단일 반응조에서 무산소 조건과 호기조건이 교호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산소 조건과 호기조건은 통상의 SBR 반응조를 통해 전원을 온-오프시켜 교호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국특허출원 2002-49988호에 개시된 단일 반응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특허는 본 발명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무산소 조건은 반응조에서 공기를 제거하여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이를 통해 침출수의 질산성 질소(NOx-N)를 탈질 미생물과 활발하게 접촉시켜, 이 질산성 질소를 아질산성 질소로, 아질산성 질소는 질소(N2) 가스로 각각 환원시켜 대기중으로 방출함으로써 침출수 중에 산화된 NOxN 질소를 제거(탈질공정)하게 된다..
그 뒤 반응조에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조건에서 반응을 수행한다. 호기성 단계에서는 1차적으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침출수의 유기물질이 산화되고, 암모니아가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로 산화되는 질산화 작용이 일어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질산성 질소의 축적을 위하여 상기 호기조건에서 용존산소량을 1∼3mg/L으로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용존산소량의 조절은 폭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존산소량을 1∼3mg/L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질산화 세균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산화반응을 아질산화 반응단계에서 종료되도록 하여 아질산성 질소의 축적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생물반응조(120)에 사용될 수 있는 미생물은 통상의 무산소 조건과 호기조건에서 사용되는 미생물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호기성 조건하에서 질산성 질소로 산화시키는 나이트로조모나스와 나이트로박터, 산화된 질산성 질소를 혐기 혹은 무산소 조건하에서 질소가스로 환원시키는 슈도모나스, 마이크로코쿠스, 바실러스 등의 탈질소화균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통성 미생물들에 의하여 폭기시, 즉 호기조건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는 산화가 일어나며, 무산소 조건에서는 생물반응조(120)에 포함된 미생물 중 탈질소화에 관련된 미생물에 의해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환원하면서 질소를 제거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술한 방법은 내부 반송없이 공간적, 시간적 변화에 따라 단일의 반응조내에서 무산소-호기조건이 유지되어 연속적으로 침출수 내의 영양염류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무산소-호기조건이 1 ~ 2 시간마다 교호되면서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적정한 체류시간은 유입되는 침출수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침출수에서 유기물질의 농도에 비해 질소농도가 높다면 무산소 조건의 비중이 높아지고 반대로 유기물 농도가 높고 질소농도가 낮다면 호기조건이 길어지게 된다.
침출수가 생물반응조에 체류하는 기간은 유입되는 유기물 (COD)과 질소(N)농도에 따라 상이하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단일반응조의 조건을 따를 수 있다. 즉 농도가 높을수록 기간이 길어지며 낮을 수로 짧아진다. 또한 유기물과 질소의 비 즉 COD/N비에 클수록 무산소기간이 짧아지며, COD/N비가 작을수록 호기기간이 길어지고 무산소-호기조건의 교호는 1일 24시간 계속될 수 있다.
다음, 3) 단계로서 상기 생물반응조(120)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집수조(130)로 이송하여 부유물 및 침전물을 제거한다. 상기 집수조(130)는 유량조정조(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생물반응조(120)에서 유기물과 NH4N이 제거된 침출수를 집수조(130)에서 집수한다. 이를 통해 하향류 인공습지(140)에 투입되는 침출수의 양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침출수에서 부유물 및 침전물을 다시 한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발생한 부유물 및 침전물은 매립장으로 반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집수조(130)를 통과한 침출수는 부유물질 및 분해가능한 COD 및 BOD가 제거된 상태로서 생물분해가 어려운 COD(NBD) 및 NOXN이 남아있게 된다.
다음, 4) 단계로서 상기 집수조(130)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하향류 인공습지(140)에 이송하여 난분해성 COD 및 NOXN을 제거한다. 인공습지란 자연습지와는 달리 유향, 유량, 유속을 인공적으로 결정하는 습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향류 인공습지란 침출수가 인공습지의 표면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침출수가 여과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향류 인공습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향류 인공습지(200)는 집수조로부터 이송된 침출수가 유출되는 유출관(210), 상기 유출관(210)으로부터 유출된 침출수가 통과하는 인공습지(220, 230) 및 상기 인공습지(220, 230)를 통과한 침출수가 배출되는 배수관(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유출관(210)은 하향류 인공습지(200)는 집수조로부터 이송된 침출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유출관의 개수, 직경,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출관은 가로 12m, 세로 5m 당 직경 10㎝의 유출관을 1개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하향류 인공습지에 대한 상단면도로서 유출관(41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유출관의 일정구간(3 ~ 6m)마다 유출공(420, 42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침출수가 인공습지에 고르게 유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길이가 다른 유출관을 복수개를 구비하여 각각의 유출관의 단부에서 침출수가 유출되도록 구성하면 침출수가 인공습지에 고르게 유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출관(210)을 통과한 침출수는 인공습지(220, 230)를 통과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공습지는 순차적으로 표층(220) 40 ~ 60㎝, 및 자갈층(230) 20 ~ 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표층(220)은 습지식물이 생장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엽토와 모래 등이 일정한 비율로 구성되어 습지식물의 착상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층(220)에 식재되는 습지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갈대일 수 있다. 즉, 유출관(210)을 통해 유출된 침출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표층(220)에 식재되는 습지 식물은 오염원의 조성 및 상태에 따라 그 종을 선별하여야 하며, 그 중 가장 중요한 조건은 기후조건에 맞는 것으로써 식물의 성장 속도 및 뿌리의 발달이 빨라야 하고, 토양 속 또는 물이 잠겨있는 곳에서도 자랄 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습지 식물로는 건조한 지역 뿐만 아니라, 염분에 대한 빠른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갈대가 가장 적합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표층(220)에는 각종 미생물이 존재하고, 상기 미생물은 크게 호기성 미생물, 혐기성 미생물 및 무산소 미생물로 이루어진다. 즉, 습지에서의 오염 물질 분해 및 제거는 식물의 뿌리 또는 침전 토양 내에서 대부분 일어나고, 이는 미생물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습지 식물의 뿌리는 식재되는 토양층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습지 식물의 뿌리털 주위에 근권역(Rhizosphere)를 형성하여 호기성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며, 그 이외의 지역은 혐기성 내지 무산소 상태로 존재함으로써 죽은 식물의 뿌리를 탄소원으로하여 침출수의 탈질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환경을 통해 난분해성 COD 및 토양에 흡착시켜 이를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하향류 인공습지 구조에 의한 수질 정화에 있어 미생물의 역할은 식물에 의한 정화 효과보다 더 높은 효율성을 가진다. 즉, 미생물은 그 종에 따라 영양원을 달리하기 때문에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함으로써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통하여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다. 여기서, 혐기성 미생물 또는 무산소 미생물에 의한 NOXN을 질소 가스로 변환되는 과정을 그 일 예로 들 수 있다.
탈질과정(탈질미생물, 혐기성 또는 무산소 미생물)
2CH2O(식물뿌리 또는 침출수의 난분해성 물질) + NO3(침출수) → 2CO2 + H2O + 1/2N2
Humus와 같은 침출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은 그 입자가 커서 토양에 부착여과되며, 혐기 및 탈질 미생물 등이 이를 분해시키는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혐기성 또는 무산소 미생물에 의해 탈질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퇴비가 물에 젖으면 검은색의 물이 침출되나 퇴비를 농지에 넣으면 토양을 좋게 변화시키고 각종 미생물을 번식시켜 식물성장에 도움을 주는 원리이다. 그러므로 호기성 상태에서는 유기물질과 질소(NH4N)를 산화시키고 무산소 상태에서는 탈질소화 작용을 유도하여 NOXN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출관(210)을 통해 인공습지로 유입되는 침출수는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질과 NH4N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NOXN 및 난분해성 COD의 제거가 매우 중요하므로 인공습지의 내부를 무산소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이 NOXN 및 난분해성 COD의 제거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한편, 호기성 미생물은 표층(220) 뿐만 아니라 자갈층(230)에도 서식할 수 있으며, 표층(220)에 가까울수록 호기성 미생물의 생장이 왕성하고 표층(220)과 멀수록 혐기성 미생물 및 탈질 미생물의 생장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층이 두껍게 형성될수록 표층(220)이라도 혐기성 및 탈질 미생물이 성장될 수 있다.
상기 표층(220)은 바람직하게는 점토질 10 ~ 20%, 실트 15 ~ 25% 및 모래 55 ~ 75%로 이루어진 사양토(sandy loam)일 수 있다. 평균입경은 점토질이 0.0005 ~ 0.002㎜, 실트는 0.005 ~ 0.02㎜, 모래는 0.5 ~ 3㎜일 수 있다. 만일 점토질이 너무 많으면 난분해성 COD 부착제거능력이 뛰어나나 곧 폐쇄된다. 또한 모래의 양이 너무 많으면 투수는 우수하나 난분해성 COD의 제거능력이 저하된다.
결국 표층(220)에서는 표층을 구성하는 사양토 입자에 난분해성 COD가 흡착제거되며 무산소 조건을 통해 NOXN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표층(220)을 통과한 침출수는 자갈층(230)을 통과한다. 상기 자갈층(230)은 배수관(240)으로 모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혐기성 및 탈질 미생물을 부착시켜 침출수의 NOXN을 질소 가스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사용되는 자갈의 입경에는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5 ~ 30㎜를 갖는 자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갈층(230)의 두께는 20 ~ 40㎝일 수 있으며, 만일 자갈층(230)의 두께가 20㎝ 미만이면 모래가 쉽게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0㎝를 초과하면 효과에 비하여 제작비용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다음, 상기 자갈층(230)을 통과한 침출수는 배수관(240)을 통해 인공습지 밖으로 이송되며 이 경우 배수관(240)의 끝에 수로(미도시)를 설치하여 침출수를 외부로 이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수의 인공습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수로(250) 역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배수관(240)의 개수, 직경,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배수관(240)은 바람직하게는 자갈층(230)의 가장 밑부분 또는 자갈층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지표면으로부터 70 ~ 80㎝ 떨어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40)은 외부에서 침출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공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극의 크기는 물은 통과하나 모래 또는 자갈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관(240)을 통해 침출수가 외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배수관(240)은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출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격벽(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침출수의 유출이 차단되므로 배수관(240)을 막는 경우 인공습지가 침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습지에서 탈질 및 난분해성 COD의 제거효과를 현저하게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인공습지를 최대한 혐기성 및/또는 무산소 조건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하지만, 통상의 인공습지에 형성된 배수관은 이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인공습지의 내부(특히 인공습지의 밑부분)에 유입되므로 인공습지가 호기성 조건을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인공습지의 하부는 혐기성 및/또는 무산소 조건이어야 하지만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므로 인공습지의 상부 및 하부가 호기성 조건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NOXN 및 난분해성 COD의 제거효과를 현저하게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은 바람직하게는 배수관의 선단인 배수구에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인공습지 내부에 침출수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개폐수단으로 배수구를 막아 인공습지의 내부를 혐기 또는 무산소 조건에서 난분해성 COD 및 NOXN을 제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 마개 형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개폐수단을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침출수가 배출되는 수로영역에 형성된 배수구를 막게되면 배수구를 통해 공기가 인공습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인공습지에서 침출수가 배출되지 못하므로 인공습지의 내부가 침출수에 잠기게 된다. 그 결과 인공습지의 내부는 대부분 무산소 조건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NOXN 및 난분해성 COD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뒤 인공습지의 내부에서 침출수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배수구를 개방하여 침출수를 수로로 방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340)은 인공습지의 하부에서는 지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통되며 수로에서는 지면을 향하여 인공습지에서 연장된 지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굴곡되는 부분에 개폐수단을 구비한 제1배수구(341)가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 제2배수구(342)가 형성되어 침출수가 제2배수구를 통해 수로(350)로 방류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배수관(340)은 "L"자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공습지 내부에서는 배수관(340)이 수평을 유지하다가(침출수가 흐를수 있도록 약간의 경사가 있음) 인공습지 외부 즉 수로부분(350)에서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공습지의 내부에서는 상기 배수관(340)이 지표면에 대하여 수평으로(실제로는 물이 흐를수 있도록 약간의 경사를 형성하여) 설치되다가 인공습지를 지나 수로(350)부분에서는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굴곡부를 형성하면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배수관(340)의 굴곡부에 제1배수구(34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으로 연장된 선단에 제2배수구(3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제1배수구(341)에는 별도의 개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배수구(342)는 인공습지에서 연장된 지표면으로부터 10 ~ 30㎝ 아래에 형성(도 3의 A)될 수 있다.
그 결과 인공습지를 통과한 침출수는 배수관(340)을 따라 제1배수구(341)로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 제1배수구(341)에 구비된 개폐수단을 폐쇄하는 경우(제1배수구를 막는 경우) 침출수는 수로(350)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수관(240)의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까지 차오르게 된다. 인공습지 역시 침출수가 배출되지 못하므로 인공습지의 하부부터 침수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배수구(342)는 지면보다 10 ~ 30㎝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침출수가 제2배수구(342)까지 도달하면 수로(350)로 방출된다. 만일 제2배수구(342)가 지면보다 20㎝ 하단에 형성되었다면 침출수가 제2배수구(342)에 도달하면 방출되므로 인공습지 역시 지면보다 20㎝ 하단까지 침수가 발생하고 상기 수위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공습지의 밑바닥부터 지면하단 20㎝까지는 침출수가 차있게 되므로 상기 부위는 혐기 또는 무산소 조건을 만족하게 되므로 배수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통상의 인공습지에 비하여 NOXN 및 난분해성 COD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수구에 단순히 개폐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는 배수구의 개폐수단의 개폐동작을 반복하여야 하지만 상술한 도 3의 배수관을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개폐동작을 반복하지 않아도 인공습지를 무산소 및/또는 혐기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효율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인공습지는 난분해성 COD 및 NOXN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설계된다. 이 경우 난분해성 COD는 인공습지 1㎡ 당 최대 70g/day, NOXN은 7g/day의 비율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본 발명의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은 생물반응조에서 1차로 처리침전되지 않은 불용성 COD 등을 인공습지에서 2차적으로 여과하게 되므로 이들 각각에서 수처리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값비싼 약품 등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NOXN 및 난분해성 COD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배수관을 사용하여 인공습지의 내부를 무산소 또는 혐기조건으로 형성하면 NOXN 및 난분해성 COD의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도 1에 대응하여 침출수를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유량조정조, 생물반응조(생물반응조) 및 집수조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파일롯 플랜트를 이용하여 매립장 침출수를 처리하였다.
먼저 매립장 침출수를 매립장에서 유량조정조로 운반하여 25℃에서 상기 유량조정조의 상징액을 생물반응조에 유입시켜 5일 동안 체류시켰다. 이 때 생물반응조에서는 2시간마다 무산소 조건과 호기성 조건을 교호적으로 적용하였다. 생물반응조를 거친 침출수를 집수조에 저장하였다. 이 때 상기 유량조정조의 부피는 3.6㎥이고, 생물반응조의 부피는 6㎥이며 집수조의 부피는 1㎥이다. 상기 파일롯 플랜트 내의 온도는 공정 동안 25℃로 유지되었다.
상기 집수조에 집수된 침출수를 도 2와 같은 인공습지에 방류하였다. 인공습지는 가로 1m, 세로 2m, 높이 0.5m이고 바닥경사도는 2%로 수면상면고로 축조하였다. 인공습지는 표층에는 점토질 15%, 실트 20%, 모래 65%인 토양을 50㎝ 높이로 구성하였으며 표층에는 갈대를 식재하였다. 상기 표층의 하부에는 자갈층을 30㎝ 두께로 구성하였다. 그 뒤 집수조에서 이송된 침출수는 인공습지 1㎡에 대하여 30ℓ/day 로 투입하였으며 인공습지를 통과한 침출수는 배수관(자갈층 하부로부터 15㎝상에 직경 10㎝로 형성됨)을 통해 수로로 배출되었다.
< 실시예 2>
도 3과 같은 배수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침출수를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수관(자갈층 하부로부터 15㎝상에 직경 10㎝로 형성됨)은 수로부분에서 수직으로 굴곡되어 지면대비 10㎝ 하단까지 연장시켰다. 상기 배수관의 굴곡부에 제1배수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구의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의 선단에 제2배수구를 구비하고 제1배수구를 마개로 막아 제2배수구를 통해 침출수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 비교예 1>
인공습지에 침출수를 여과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매립장 침출수를 처리하였다.
< 비교예 2>
파일롯 플랜트에서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매립장 침출수를 직접 인공습지에서 여과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매립장 침출수를 처리하였다.
< 평가예 >
상기 실시예 1 ~ 2 및 상기 비교예 1 ~ 2에 따라 침출수를 처리한 후의 CCOD, BOD, SS, NH4N, NOxN의 농도(㎎/ℓ)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COD는 중크롬산 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측정한 것이고, BOD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NH4N은 암모니아성 질소, NOxN은 아질산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의 농도, SS는 부유물질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로 미국의 Standard Methods에 의해 분석된 값이다. 우리나라의 환경오염물질 공정 시험법에서는 COD측정을 과망간산 칼륨으로 측정되어 상기 방법에 의한 COD값보다 매우 작다. NBD (난분해성 COD)는 COD= COD- 1.7BOD 로 계산에 의해서 결정된다. 여기서 COD는 역시 중크롬산 칼륨에의한 측정치를 말한다.
COD(㎎/L) BOD(㎎/L) SS(㎎/L) NH4N(㎎/L) NOxN(㎎/L) NBD
COD(mg/L)
유입수 3350 1830 300 585 0 240
실시예 1 50 5 5 3 40 40
실시예 2 35 10 5 5 20 15
비교예 1 220 50 50 10 50 120
비교예 2* 2500 1330 20 550 0 240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물반응조와 인공습지를 거친 매립장 침출수(실시예 1, 2)가 그렇지 않은 비교예 1, 2에 비하여 COD, BOD, SS, NH4N, NOxN 및 NBD의 제거능력이 탁월하였다. 또한 배수관을 수직방향으로 연장한 실시예 2의 구성이 그렇지 않은 실시예 1의 구성에 비하여 NBD의 제거능력이 현저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매립장 침출수를 저비용 고효율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수처리 산업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110 : 유량 조정조 120 : 생물반응조
130 : 집수조 140 : 하향류 인공습지

Claims (11)

1) 유량 조정조에 매립장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단계;
2) 상기 유량 조정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무산소-호기조건이 교호되는 생물반응조에 이송하여 침출수를 질산화시켜 유기물과 질소부하를 저감하는 단계;
3) 상기 생물반응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집수조로 이송하여 부유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상기 집수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하향류 인공습지에 이송하여 난분해성 COD 및 NOXN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무산소-호기조건이 1 ~ 2 시간마다 교호되면서 반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부유물 및 침전물을 매립장으로 반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류 인공습지는 순차적으로 표층 40 ~ 60㎝ 및 자갈층 20 ~ 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은 평균입경이 0.0005 ~ 0.002㎜인 점토질 10 ~ 20%, 평균입경이 0.005 ~ 0.02㎜인 실트 15 ~ 25% 및 평균입경이 0.5 ~ 3㎜인 모래 55 ~ 75%로 이루어진 사양토(sandy loam)이고, 상기 자갈층은 평균입경이 5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 이후 인공습지를 통과한 침출수를 인공습지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관을 통해 수로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관의 선단인 배수구에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인공습지 내부에 침출수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개폐수단으로 배수구를 막아 인공습지의 내부를 혐기 또는 무산소 조건에서 난분해성 COD 및 NOXN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인공습지의 하부에서는 지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통되며 수로에서는 지면을 향하여 인공습지에서 연장된 지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굴곡되는 부분에 개폐수단을 구비한 제1배수구가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 제2배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배수구를 막아 침출수가 제2배수구를 통해 수로로 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는 그 둘레를 따라 침출수의 유출을 막기위한 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1) 매립장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조;
2) 상기 유량 조정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무산소-호기조건을 교호시켜 침출수를 질산화시키고 유기물과 질소부하를 저감하는 생물반응조;
3) 상기 생물반응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에서 부유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는 집수조;
4) 상기 집수조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에서 난분해성 COD 및 NOXN를 제거하기 위하여 표층 40 ~ 60㎝ 및 자갈층 20 ~ 40㎝로 구성되며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격벽을 구비한 하향류 인공습지; 및
5) 상기 하향류 인공습지의 자갈층에 형성되며 선단인 배수구에 개폐수단을 구비한 배수관을 통해 침출수가 방류되는 수로;를 포함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인공습지의 내부에서는 지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통되며 수로에서는 지면을 향하여 인공습지에서 연장된 지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굴곡되는 부분에 개폐수단을 구비한 제1배수구가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 제2배수구를 포함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장치.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는 인공습지에서 연장된 지표면으로부터 10 ~ 30㎝ 아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침출수 처리장치.
KR20100008540A 2010-01-29 2010-01-29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241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8540A KR101241817B1 (ko) 2010-01-29 2010-01-29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8540A KR101241817B1 (ko) 2010-01-29 2010-01-29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40A true KR20110088840A (ko) 2011-08-04
KR101241817B1 KR101241817B1 (ko) 2013-03-14

Family

ID=4492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8540A KR101241817B1 (ko) 2010-01-29 2010-01-29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8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9484A1 (zh) * 2014-03-21 2015-09-24 南大(常熟)研究院有限公司 人工湿地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污水的方法
CN105399205A (zh) * 2015-12-15 2016-03-16 华东师范大学 一种填埋场原位去除渗滤液中抗生素和抗性基因的设备和方法
CN109395574A (zh) * 2018-12-25 2019-03-01 苏州德华生态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城镇垃圾转运站的生态系统及处理方法
CN109970205A (zh) * 2019-03-15 2019-07-05 山东省环科院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脱氮的透气防渗潜流人工湿地及其运行方法
CN110563276A (zh) * 2019-09-26 2019-12-13 沈阳环境科学研究院 一种垃圾渗滤液尾水的深度处理方法
CN111115837A (zh) * 2020-02-12 2020-05-08 苏州德华生态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人工湿地系统、组合及控制方法
CN112759200A (zh) * 2021-01-13 2021-05-07 中国科学院城市环境研究所 一种垃圾渗滤液全量达标的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69B1 (ko) 2013-10-11 2014-03-13 주식회사 대양환경 분기가능한 분배장치를 가진 침출수 처리장치
CN104176886B (zh) * 2014-09-03 2015-07-29 长兴日月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微动力mbr污水处理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075B1 (ko) * 1997-12-29 2001-02-01 명호근 위생매립지침출수처리방법
KR100468999B1 (ko) 2004-07-29 2005-01-29 주식회사 케이벡코리아 폐기물 매립지에서의 침출수 재순환 및 식생토양층 식재식물의 증발산을 이용한 침출수 무방류 처리방법
JP2007050326A (ja) 2005-08-17 2007-03-01 Ieson 最終処分地運用方法、最終処分施設
KR100735615B1 (ko) 2006-09-01 2007-07-04 한경구 생활오수를 정화한 지속적 수경조경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9484A1 (zh) * 2014-03-21 2015-09-24 南大(常熟)研究院有限公司 人工湿地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污水的方法
CN105399205A (zh) * 2015-12-15 2016-03-16 华东师范大学 一种填埋场原位去除渗滤液中抗生素和抗性基因的设备和方法
CN109395574A (zh) * 2018-12-25 2019-03-01 苏州德华生态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城镇垃圾转运站的生态系统及处理方法
CN109395574B (zh) * 2018-12-25 2024-03-08 苏州德华生态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城镇垃圾转运站的生态系统及处理方法
CN109970205A (zh) * 2019-03-15 2019-07-05 山东省环科院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脱氮的透气防渗潜流人工湿地及其运行方法
CN110563276A (zh) * 2019-09-26 2019-12-13 沈阳环境科学研究院 一种垃圾渗滤液尾水的深度处理方法
CN111115837A (zh) * 2020-02-12 2020-05-08 苏州德华生态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人工湿地系统、组合及控制方法
CN112759200A (zh) * 2021-01-13 2021-05-07 中国科学院城市环境研究所 一种垃圾渗滤液全量达标的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817B1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817B1 (ko)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Białowiec et al. Nitrogen removal from wastewater in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containing LWA/gravel layers and reed vegetation
Maehlum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in on-site lagoons and constructed wetlands
Yildiz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Biological processes
WO2004087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using plants
EP2102115B1 (de) Vertikal-horizontal-filteranlage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schmutzwässern
Yeh et al. Pollutant removal within hybrid constructed wetland systems in tropical regions
Kinsley et al. Nitrogen dynamics in a constructed wetland system treating landfill leachate
Kucuk et al. Removal of ammonia from tannery effluents in a reed bed constructed wetland
Selvaraj et al. Sustainable ecological engineering systems for the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using emerging, floating and submerged macrophytes
Nasr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edimentation followed by constructed wetlands for drainage water treatment
Lester et al. Sewage and sewage sludge treatment
Sil et al. Landfill leachate treatment
JP2005074407A (ja) 水質浄化施設
Minaksh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vertical constructed wetland units with hydraulic retention time as a variable operating factor
Randerson Constructed wetlands and vegetation filters: an ecological approach to wastewater treatment
Farooqi et al. Constructed wetland system (CWS) for wastewater treatment
Heyer et al. Leachate management: leachate generation, collection, treatment and costs
KR101394403B1 (ko) 이동가능한 침출수 처리장치를 가진 매립장
CN205740653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Jenssen et al. The potential of natural ecosystem self-purifying measures for controlling nutrient inputs
Jia et al. Biological contact oxidation and an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black odorous river purification
Abed Effect of wastewater quality on the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 in an arid region
KR101372569B1 (ko) 분기가능한 분배장치를 가진 침출수 처리장치
Borkar et al. Tidal flow constructed wetland: 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