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523B1 - 흡음재 - Google Patents

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523B1
KR100701523B1 KR1020060043275A KR20060043275A KR100701523B1 KR 100701523 B1 KR100701523 B1 KR 100701523B1 KR 1020060043275 A KR1020060043275 A KR 1020060043275A KR 20060043275 A KR20060043275 A KR 20060043275A KR 100701523 B1 KR100701523 B1 KR 10070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height
absorbing material
mold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헌
Original Assignee
이근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헌 filed Critical 이근헌
Priority to KR102006004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 EVA를 재 활용하여 만든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밑창이나 포장재 등으로 사용된 후 폐기처분된 EVA를 수집하여 이를 잘게 부순 후 바인더와 함께 혼합하여 공동주택의 바닥스라브 등에 설치되는 흡음재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페 EVA, 바인더, 흡음재

Description

흡음재 {Sound Absorption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와 혼합공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이 금형에 이송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이 금형에서 압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한 공정에서 제조된 흡음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분쇄기 12 : 혼합기
13 : 혼합물 14 : 금형
15 : 압착기 16 ,17,18,19 : 가열수단
본 발명은 페 EVA(Ethylene-Vinyl Acetate)를 재 활용하여 만든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밑창이나 포장재 등으로 사용된 후 폐기처분된 EVA를 수집하여 이를 잘게 부순 후 바인더와 함께 혼합하여 공동주택의 바닥스라브 상에 설치되는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도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상층의 소음이 하층에 전달되지 않도록 여러 가지 흡음재가 공급되고 있으나 소음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은 원가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음차단효과도 높고 값도 저렴한 흡음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재 신발 밑창, 포장재 등에 사용된 후 그대로 폐기물로 버려지는 폐 EVA를 수집하여 이를 재 활용하여 흡음재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폐 EVA를 잘게 부순후 목공용 접착제의 일종인 바인더와 혼합한 후 혼합물을 가열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으로 이송하여 상부 압착기로 압착함과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우수한 흡음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흡음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동탄성계수가 매우 중요하며, 동탄성계수는 재료와 재료의 밀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흡음재의 동탄성계수가 높으면 그 제품은 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동탄성계수가 낮으면 동적 하중이 가해질 경우 응력에 대한 물리적 저항이 떨어져 상부 하중에 따른 변형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 되어 결국 찢어지게 된다.
따라서 흡음재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크기, 혼합되는 재료의 양, 성형방법 및 성형온도 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동탄성계수에 촛점을 두 고 개발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사용하고 버려진 폐 EVA를 수집하여 이를 분쇄기(11)에 투입, 6 내지 12mm의 크기로 분쇄한다. 분쇄된 폐 EVA의 크기가 5mm 이하가 되면 흡음재의 공극비율이 지나치게 감소하여 치밀하게 되므로 흡음효과가 떨어지고 13mm이상이 될 경우에는 접착비표면적이 적어지게 되므로 접착력이 저하되어 입자간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6 내지 12mm의 크기로 분쇄된 폐 EVA 85 내지 95 중량%와 바인더 5 내지 15 중량%를 혼합기(12)에 투입하여 잘 혼합한다. 바인더의 배합비율이 5중량% 미만이면 흡음재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16중량% 이상이 되면 흡음재가 고무화경향을 띄게 되어 흡음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13)을 금형(14)으로 이송한다.
금형(14)은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1,000mm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과 사방 벽 및 상부 압착기(15)에는 가열수단(16,17,18,19)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수단은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금형(4)에 이송된 혼합물(13)은 금형 상부에 형성된 상부 압착기(15)에 의하여 압착됨과 동시에 금형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열수단(16,17,18,19)에 의하여 50 내지 70℃로 7 내지 15분간 가열되면 혼합물(13)은 가로, 세로의 크기는 그대로이지만 높이는 500mm로 압축됨과 동시에 혼합물(13)은 마치 스폰지와 같은 형상이 된다. 성형온도가 50℃ 미만일 때에는 동탄성계수가 극히 낮아 물리적 저항이 떨어 지므로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성형온도가 70℃ 이상일 때에는 동탄성계수가 너무 높아 제품의 역학적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었지만 물리적 충격에 쉽게 부서진다.
이와 같이 내용물이 스폰지화 됨으로써 소음을 흡수할 수 있어 효과적인 흡음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스폰지화된 혼합물을 성형실(미도시)로 이송하여 특수 절단기로 필요한 높이로 절단한 후 포장하여 시장에 공급하게 된다. 흡음재로 적당한 규격은 가로 1,000mm, 세로 1,000mm , 높이 10mm 또는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높이 20mm지만 이 규격은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20mm인 흡음재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흡음재를 높이 20mm 단위로 절단하면 한 번의 공정에서 규격이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20mm인 흡음재 25매가 생산되게 되어 매우 효율적이다. 한편, 높이 10mm로 절단하면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10mm인 흡음재 50매를 단 한번의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높이의 규격이든 한 번의 공정에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나 이와 유사한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실시예)
폐 EVA를 수집하여 이를 분쇄기에 투입, 6 내지 12mm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이와 같이 분쇄된 폐 EVA 90 중량%와 바인더 10 중량%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잘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1,000mm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과 사방 벽 및 상부 압착기에는 가열기가 형성되어 형성되어 있는 금형으로 이송한 후 상부 압착기로 압착함과 동시에 가열기로 60℃로 10분간 가열하여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500mm의 스폰지화된 물질을 생산한 후 이를 성형실로 이송하여 통상의 절단기로 높이 20mm로 절단하여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20mm의흡음재 25매를 생산하였다.
이 흡음재를 한국방기연구소에 의뢰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33585240-pat00001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흡음재의 시험 결과는 기준치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나 흡음효과가 우수함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신발밑창, 포장재 등으로 사용된 후 폐기처분된 폐EVA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폐EVA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6 내지 12m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6 내지 12mm의 크기로 분쇄된 폐EVA 85 내지 95 중량%와 바인더 5 내지 15 중량%를 혼합기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
이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바닥 및 사방 벽과 상부 압착기에 가열기가 형성되어 있고 규격이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1,000mm인 금형으로 이송하는 단계;
금형에서 상부 압착기로 압착함과 동시에 50 내지 70℃로 7 내지 15분간 가열하여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500mm의 스폰지화된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스폰지화된 물질이 성형실로 이송되어 특수 절단기에 의하여 적당한 규격으로 절단되어 일거에 25매 또는 50매의 흡음재가 제조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신발 밑창이나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고 폐기물로 버려진 폐EVA를 재 활용하여 흡음재를 생산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공해방지에도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공정으로 25매의 흡음재를 한꺼번에 생산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
적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신발밑창, 포장재 등으로 사용된 후 폐기처분된 폐EVA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폐EVA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6 내지 12m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6 내지 12mm의 크기로 분쇄된 폐EVA 85 내지 95 중량%와 바인더 5 내지 15 중량%를 혼합기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혼합된 상기 혼합물을 바닥 및 사방 벽과 상부 압착기에 가열기 가 형성되어 있고 규격이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1,000mm인 금형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서 상부 압착기로 압착함과 동시에 50 내지 70℃로 7 내지 15분간 가열하여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및 높이 500mm의 스폰지화된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스폰지화된 물질이 성형실로 이송되어 특수 절단기에 의하여 적당한 규격으로 절단되어 일거에 25매 또는 50매의 흡음재가 제조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제조방법
KR1020060043275A 2006-05-15 2006-05-15 흡음재 KR10070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75A KR100701523B1 (ko) 2006-05-15 2006-05-15 흡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75A KR100701523B1 (ko) 2006-05-15 2006-05-15 흡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523B1 true KR100701523B1 (ko) 2007-03-30

Family

ID=4156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275A KR100701523B1 (ko) 2006-05-15 2006-05-15 흡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3807A1 (de) * 2018-11-15 2020-05-20 REGUPOL BSW GmbH Bodenbela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odenbela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812A (ko) * 2000-09-07 2002-03-13 손종채 바닥충격소음 방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20021857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의 순차 오류 검출/보정 방법
KR20030005725A (ko) * 2001-07-10 2003-01-23 냉열 주식회사 크린 냉온장고
KR20030013495A (ko) * 2003-01-14 2003-02-14 이주형 폐타이어 고무칩과 콜크 분말을 이용한 공동주택층간의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812A (ko) * 2000-09-07 2002-03-13 손종채 바닥충격소음 방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20021857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의 순차 오류 검출/보정 방법
KR20030005725A (ko) * 2001-07-10 2003-01-23 냉열 주식회사 크린 냉온장고
KR20030013495A (ko) * 2003-01-14 2003-02-14 이주형 폐타이어 고무칩과 콜크 분말을 이용한 공동주택층간의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3807A1 (de) * 2018-11-15 2020-05-20 REGUPOL BSW GmbH Bodenbela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odenbela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4651B (zh) 地质聚合物和地质聚合物的骨料
CA26341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waste materials
CN105331294A (zh) 阻燃环保胶黏剂和植物纤维板的制造方法
CN108752969A (zh) 改性生活垃圾固废物防火防水复合板及其生产工艺
CN109571703A (zh) 一种用于秸秆人造板的助剂及秸秆人造板的制备方法
KR100701523B1 (ko) 흡음재
KR102044658B1 (ko)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친환경 불연성 가구재 제조 방법
US20150114542A1 (en) Biomass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3025312A (ja) 板材組成物,板材の製造方法,板材
KR100754424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천매암을 함유한 탄성 바닥재,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972371B1 (ko) 숯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608724A1 (en) Coir pith
CN106939092A (zh) 一种无沥青高强度磁性环保汽车阻尼垫及生产方法
KR100346092B1 (ko) 미세기공 보존 활성탄 및 이를 활용한 황토 보드 및모르타르 제조방법
KR102233210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방법
CN107322727A (zh) 一种以竹刨花为基础材质的模压托盘的加工方法
JP7327679B1 (ja) 固形バイオマス燃料の製造方法
KR100647424B1 (ko) 장석을 이용한 건축용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및 장석을이용한 건축용 인조석 판재
KR101749257B1 (ko) 폐플라스틱 및 폐지를 이용한 육묘상자 제조방법
KR102122155B1 (ko)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친환경 불연성 가구재
KR20160111219A (ko) 냄새 제거 및 수분 조절 기능을 보유한 축사용 깔개의 제조방법
JPH11302655A (ja) 耐火材とその製造方法
JP3663512B2 (ja) 紙類−ポリウレタン複合再生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228622A (ja) 木炭粉ブリケツト製造法
JP3622088B2 (ja) 古紙を利用した板状再生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