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216B1 - Road and rail vehicles - Google Patents
Road and rail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1216B1 KR100701216B1 KR1020050024768A KR20050024768A KR100701216B1 KR 100701216 B1 KR100701216 B1 KR 100701216B1 KR 1020050024768 A KR1020050024768 A KR 1020050024768A KR 20050024768 A KR20050024768 A KR 20050024768A KR 100701216 B1 KR100701216 B1 KR 1007012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wheel
- railway
- rail
- wheel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41001669679 Eleo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1/00—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04—Wagons or vans with movable floors, e.g. rotatable or floors which can be raised or low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도로용 차륜과 및 철도용 차륜을 구비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에 있어서, 도로용 전륜(1)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철도용 전륜(11)과, 상기 철도용 전륜(11)의 상방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전륜(11)을 승강시키는 전륜승강부(12)로 이루어진 철도용 전륜부(10)와; 도로용 후륜(2)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철도용 후륜(21)과, 상기 철도용 후륜(21)의 상방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후륜(21)을 승강시키는 후륜승강부(22)로 이루어진 철도용 후륜부(20)와; 상기 도로용 후륜(2)과 철도용 후륜(21) 사이에 설치되어, 도로용 후륜(2)의 동력을 마찰접촉에 의해 철도용 후륜(21)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와; 상기 철도용 전륜(1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철도용 전륜(11)을 제동하는 제동부(40)와; 차체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어, 도로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교체를 위해 차체를 승강시키는 차체승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having a road wheel and a road wheel, the front wheel 11 for a rail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behind the front wheel 1 for roads, and the upper body of the front wheel 11 for railroads. A front wheel portion 10 for a rail, which is fixed to a frame and includes a front wheel lifting portion 12 for elevating the front wheel 11 of the rail; The rear wheel 21 for railway which is installed to the rear of the road rear wheel 2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nd the rear wheel lifting part 22 which is fixed to the upper-body frame of the said rear wheel 21 for elevating the said railway rear wheel 21 And a rear wheel part 20 for railway; A power transmission unit 30 installed between the road rear wheels 2 and the rail rear wheels 21 to transmit power of the road rear wheels 2 to the rear wheels 21 by frictional contact; A braking unit (40) installed above the railway front wheels (11) to brake the railway front wheels (11); It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lifting section 50 for elevating the body for the replacement of the road wheels and rail wheels,
철도 레일의 높이 조정 및 도상훼손을 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의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철도레일로 자갈의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도로와 철도에 복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도료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acilitates the maintenance of the gravel road of railway tracks used to adjust the height of railroad rails and repair of road damage, facilitates the transport of gravel by railroad rails, and is applicable to the road and railway in combination, and to the paint wheel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wheel for railway.
철도, 도로, 자갈도상, 차량 Railway, Road, Gravel Road, Vehicl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후륜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도. Figure 2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wheel portion of the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차체승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lifting unit of the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철도용 전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wheel portion for the railroad of both road and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철도용 후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wheel portion for railroad road and railroad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철도용 후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wheels for railway of the combined road and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철도용 차륜의 제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raking unit of a wheel for railway of a combined road and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도로용 전륜 2 : 도로용 후륜1: road front wheel 2: road rear wheel
10 : 철도용 전륜부 11 : 철도용 전륜10: front wheel portion for railroad 11: front wheel for railroad
12 : 전륜승강부 13 : 로드12: front wheel lifting unit 13: rod
14 : 캡 15 : 차체용 브래킷14
16 : 전륜용 브래킷 17 : 브래킷용 핀16: bracket for front wheel 17: pin for bracket
18 : 로드용 핀 19 : 회전축18: rod pin 19: rotation axis
20 : 철도용 후륜부 21 : 철도용 후륜20: rear wheel part for railroad 21: rear wheel for railroad
21a : 볼트 22 : 후륜승강부21a: bolt 22: rear wheel lift
23 : 종동휠 23a : 볼트23: driven
24 : 구동축 24a, 24b : 베어링24:
25 : 차체용 브래킷 26 : 후륜용 브래킷25
27 : 브래킷용 28 : 후륜용 핀27: bracket 28: rear wheel pin
29 : 하우징 29a, 29b : O-링29
30 : 동력전달부 31 : 아이들링 휠30: power transmission unit 31: idling wheel
32 : 회동축 33 : 휠용 브래킷32: rotating shaft 33: wheel bracket
40 : 제동부 41 : 브레이크 패드40: braking part 41: brake pad
42 : 홀더 43 : 회전핀42: holder 43: rotary pin
44 : 홀더용 브래킷 45 : 패드용 브래킷44: holder bracket 45: pad bracket
46 : 실린더핀 47 : 브래이크용 브래킷46: cylinder pin 47: bracket for the brake
48 : 실린더 49 : 실린더용 브래킷48
50 : 차체승강부 51 : 실린더50: body lifting unit 51: cylinder
52 : 실린더 브래킷 53 : 로드52: cylinder bracket 53: rod
54 : 플레이트 55 : 힌지54 plate 55 hinge
56 : 컬럼 60 : 데크부56
70 : 데크승강부 80 : 제어부70: deck lifting unit 80: control unit
100 : 레일100: rail
본 발명은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레일의 높이 조정 및 도상훼손시에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의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철도레일로 자갈의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도로와 철도에 복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차륜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and railway combined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gravel road of the railway track at the tim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ailway rail and damaging the railroad, and to facilitate the transport of the gravel by the railway r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and railroad combined vehic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railway and can be easily replaced with wheels.
통상, 도상(道床)이란 철도에 열차하중이 열차, 레일, 침목, 자갈, 노반의 전달경로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므로 이 열차하중을 고르게 전달키 위한 중간매체 역할, 침목을 움직이지 않고 적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 열차하중으로 처지거나 변형 발생시 보수를 위한 재료로 활용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철도에서 사용되는 기초바닥을 말하며, 크게 자갈도상과 콘크리트도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In general, roads are trains that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rains, rails, sleepers, gravel, and roadbeds, so that the train loads are fixed to the proper position without moving the sleepers. It refers to the foundation floor used in railways to play the role of to make, to serve as a material for repair in case of sag due to train load or deformation. It is divided into gravel and concrete.
즉, 자갈도상(gravel ballast)이란 철도의 침목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궤도 구조의 구성요소로 자갈을 이용한 도상을 말하며, 특히, 자갈도상은 열차의 고속주행에 의한 진동수반과 무거운 차량을 지지하는데 비교적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뛰어나며, 또한 건설비가 콘크리트 도상보다 저렴하여 일반적인 철도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철도상에서 자갈이 손실된 경우에는 자갈을 보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화차를 이용하여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심야 시간에 자갈 보충하는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In other words, the gravel ballast (gravel ballast) refers to the image using the gravel as a component of the track structure that serves to distribut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sleeper of the rail to the roadbed and to secure the sleepe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Gravel statues are relatively reasonable and economically superior in supporting vibration entrainment and heavy vehicles by high-speed driving of trains,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cheaper than concrete statues, so they are used in general railways. However, when gravel is lost on the railroad, in order to replenish the gravel, the conventional work was performed to replenish gravel at night time when trains do not operate by using a wagon.
따라서, 종래에 자갈도상을 보수하기 위해 화차에 자갈을 싣고 도상 위치에 자갈을 운반하여 놓으면, 바레스트 레귤레이터(ballast regulator)용 장비가 주행하면서 설포한 자갈을 고르게 밀어서 표준 도면상의 많은 개소의 자갈을 밀어서 운반하고, 브러쉬로 레일 저부 및 체결부, 침목의 상면의 청소를 행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repair gravel in the prior art, if the gravel is placed on the wagon and the gravel is transported in the drawing position, the equipment for the ballast regulator (ballast regulator) drives the gravel in many places on the standard drawing evenly while driving the gravel. It pushed and carried, and the rail bottom part, the fastening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per were cleaned with a brush.
이러한 작업을 하기 전에 자갈을 도상 하는 위치에 옮기는 데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철도의 화차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옮겨놓고 도상 작업을 행하였다.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화차를 불러오는 문제와 이동하는 위치의 거리까지 자갈을 운반하여 도상위치까지 가는 과정이 여러 번의 작업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증대되고 작업시간도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Prior to this work, there was no separate device to move the gravel to the location where the gravel was placed. In this work process, there is a problem of bringing the wagon and moving the gravel up to the distance of the moving position to go to the moving position, so that the work process is increased and the working time is delayed.
또한, 자갈의 운반 및 수송을 위하여 별도의 자갈 채집지나 정차장을 이용하여 자갈선을 깔아서 이용하는 구간도 있었으나, 별도의 자갈선을 이용하는 경우는 구간이동이 효율적이지 않을뿐더러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section using a gravel line using a separate gravel collecting site or a stop for transporting and transporting gravel, but when using a separate gravel line, the section movement is not efficient and the cost increases.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차량을 개조하여 철도궤도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철도레일과 휠의 접촉부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구동력을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일반 도로와 철로를 구분하여 변경하는 변경시스템 및 차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general vehicle was modified and applied to railway tracks,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due to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rail rail and the wheels. It was difficult to apply due to the structural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bal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철도 레일의 높이 조정 및 도상훼손시에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의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철도레일로 자갈의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도로와 철도에 복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도료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gravel road of the railway track at the time of height adjustment and damage of the railway rail, and facilitate the transportation of gravel by the railway rai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ad and railroad combined vehicle that can be applied to a road and a railroad in a complex manner, and that the wheels for paint and rail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용 차륜과 및 철도용 차륜을 구비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에 있어서, 도로용 전륜(1)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철도용 전륜(11)과, 상기 철도용 전륜(11)의 상방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전륜(11)을 승강시키는 전륜승강부(12)로 이루어진 철도용 전륜부(10)와; 도로용 후륜(2)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철도용 후륜(21)과, 상기 철도용 후륜(21)의 상방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후륜(21)을 승강시키는 후륜승강부(22)로 이루어진 철도용 후륜부(20)와; 상기 도로용 후륜(2)과 철도용 후륜(21) 사이에 설치되어, 도로용 후륜(2)의 동력을 마찰접촉에 의해 철도용 후륜(21)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와; 상기 철도용 전륜(1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철도용 전륜(11)을 제동하는 제동부(40)와; 차체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어, 도로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교체를 위해 차체를 승강시키는 차체승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provided with a road wheel and a wheel for rail, the front rail for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철도의 도상보수용 자갈을 적재하는 데크부(60)와; 상기 데크부(6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부(60)를 경사지게 올리는 데크승강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above invention, th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30)는 상기 철도용 후륜(21)을 지지하는 후륜용 브래킷(26)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된 아이들링 휠(31)과, 상기 철도용 후륜(21)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후륜(21)과 함께 회전하는 종동휠(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링 휠(31)과 종동휠(23)은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며, 양측의 마찰접촉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후륜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차체승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철도용 전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철도용 후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철도용 후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의 철도용 차륜의 제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ad and railroad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ar wheel portion configuration of a road and railroad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lifting unit of the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wheel portion for the railroad,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wheel portion of the railroad for both road and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ar wheel for a railway of a combined road and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ed road and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eft of the Eastern wheel.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은 철도용 전륜부(10), 철도용 후륜부(20), 동력전달부(30), 제동부(40) 및 차체승강부(50)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로 및 철도에서 복합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이다.As shown in FIG. 1, the road and rail combi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도용 전륜부(10)는 차량의 도로용 전륜(1)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철도용 전륜(11)과, 상기 철도용 전륜(11)의 상방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전륜(11)을 승강시키는 전륜승강부(12)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4, the railway
상기 철도용 전륜(11)은 용접이나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차체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 차체용 브래킷(15)과 브래킷용 핀(17)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전륜용 브래킷(16)에 베어링을 개재해서 회전축(19)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또한, 상기 전륜승강부(12)로는 예를 들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는 차체의 하부프레임에 힌지 등의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차체용 브래킷(15)의 중간부에 캡(14)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실린더의 로드(13)의 단부는 로드용 핀(18)을 개재해서 전륜용 브래킷(16)의 측부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13)의 이송에 의하여 전륜용 브래킷(16)이 브래킷용 핀(17)을 기준으로 회동하므로 철도용 전륜(11)이 승강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for example,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as the front
도 2 및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도용 후륜부(20)는 도로용 후륜(2)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철도용 후륜(21)과, 상기 철도용 후륜(21)의 상방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후륜(21)을 승강시키는 후륜승강부(22)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and FIG. 5, the railway rear wheel part 20 includes a railway
상기 철도용 후륜(21)은 상기 철도용 전륜(11)과 마찬가지로 용접이나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차체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 차체용 브래킷(25)과 브래킷용 핀(27)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륜용 브래킷(26)에 베어링을 개재해서 구동축(24)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Like the
또한, 상기 후륜승강부(22)로는 상기 전륜승강부(1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는 차체의 하부프레임에 힌지 등의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차체용 브래킷(25)의 중간부에 캡(14)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실린더의 로드의 단부는 후륜용 핀(28)을 개재해서 후륜용 브래킷(26)의 측부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 기 실린더의 로드의 이송에 의하여 후륜용 브래킷(26)이 브래킷용 핀(27)을 기준으로 회동하므로 철도용 후륜(21)이 승강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for example,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such as the front
본 실시예의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은 구동방식이 후륜구동 방식을 적용한 구성이므로 도로용 후륜(2)의 동력을 철도용 후륜(21)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30)가 설치되어 있다.The road and railroad combined vehicle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pply a rear wheel drive method of the drive system is provided with a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부(30)는 상기 도로용 후륜(2)과 철도용 후륜(21) 사이에 설치되어, 도로용 후륜(2)의 동력을 마찰접촉에 의해 철도용 후륜(21)으로 전달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상기 동력전달부(30)는 상기 철도용 후륜(21)을 지지하는 후륜용 브래킷(26)의 일단부에 휠용 브래킷(33) 및 회동축(32)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된 아이들링 휠(31)과, 상기 철도용 후륜(21)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후륜(21)과 함께 회전하는 종동휠(23)로 이루어진다.The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휠(23)은 상기 철도용 후륜(21)이 볼트(21a)와 같은 체결결합수단을 개재해서 고정결합된 하우징(29)의 측단부에 볼트(23a)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동휠(23)과 철도용 후륜(21)은 함께 하우징(29)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 the driven
상기 하우징(29)은 구동축(24)상에 베어링(24a, 24b) 및 O-링(29a, 29b)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철도용 후륜(21)도 서로 대칭형태로 상기 구동축(24)의 양단부에 하우징(29)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따라서, 차량의 엔진의 구동력이 도로용 후륜(2)에 전달되면, 상기 도로용 후륜(2)과 마찰접촉하는 아이들링 휠(31)이 구동되고, 상기 아이들링 휠(31)이 구동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링 휠(31)과 마찰접촉하는 종동휠(23)이 구동하게 되어, 상기 종동휠(23)과 동일한 구동축(24)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철도용 후륜(21)이 구동하게 되어 본 실시예의 차량이 철도상으로 주행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road
예를 들면, 도로용 후륜(2)이 고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마모량의 감소 및 마찰력의 증대를 위해 상기 아이들링 휠(31)과 종동휠(23)도 동일한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아이들링 휠(31)과 종동휠(23)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양측의 마찰접촉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example, since the road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도용 전륜(11)의 상측에 제동부(40)를 설치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11)을 제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로용 차륜의 제동장치를 사용하여 제동할 경우, 서로 마찰접촉되어 있는 철도용 후륜(21) 및 동력전달부(30)에 제동부하가 집중되므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제동력의 저하가 우려되므로 상기 철도용 전륜(11)에 별도의 제동부(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제동부(40)는 브레이크용 브래킷(47)을 개재해서 전륜용 브래킷(16)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용 브래킷(47)에는 실린더용 브래킷(49)을 개재해서 실린더(48)가 회동가능하게 실린더(48)의 일단부가 핀으로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48)의 타단부는 실린더핀(46)으로 홀더(42)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The
상기 홀더(42)는 일단부가 실린더(48)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패드용 브래킷(45)을 개재해서 브레이크 패드가 고정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회전핀(43) 및 홀더용 브래킷(44)을 개재해서 전륜용 브래킷(16)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 (42)는 회전핀(43)을 기준으로 실린더(48)의 작동에 의해서 회동되므로 브레이크 패드(41)가 철도용 전륜(11)과 마찰접촉하여 제동역할을 하게 된다.One end of the
또한, 도로용 차륜을 철도용 차륜으로 교체시에 철도용 차륜의 승강부만 사용할 경우에는 차체의 하중이 차륜승강부에 과다하게 부여되므로 손상의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체프레임의 중간부분에 차제승강부(50)를 별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only the lifting part of the railway wheel is used when the road wheel is replaced with the railway wheel,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is excessively applied to the wheel lifting part, so that there is a risk of damage. It is preferable to separately install the vehicle lifting and lowering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승강부(50)는 차체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차체의 하부프레임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실린더 브래킷(52)을 개재해서 실린더(51)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51)는 차체를 승강시키는 역활을 하며 안정된 승강을 위해 통상 적어도 4개의 실린더(5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실린더(51)에는 차체의 하중이 과다하게 부여되므로 유압실린더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실린더(51)의 단부에 형성된 로드(53)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플레이트(54)와 힌지(55)를 개재해서 결합되어 있어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플레이트(54)가 힌지(55)에 의해 회동가능하므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53)의 외측에는 컬럼(56)이 형성되어 차체승강부(50)의 내구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체승강부(50)는 도로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교체를 위해 차체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Since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is excessively applied to the
또한,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을 철도의 자갈도상 보수 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철도의 도상보수용 자갈을 적재하는 데크부(60)를 차량의 후방에 설치하고, 상기 데크부(60)를 경사지게 올리는 데크승강부(70)를 상기 데크부(60)의 전방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use the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repairing gravel road of the railway, a
예를 들면, 상기 데크승강부(70)로는 일단부가 데크부(60)에 핀 또는 회전축 등과 같은 회동고정부재를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도 차체의 프레임에 핀 또는 회전축 등과 같은 회동고정부재를 재재해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유압실린더 등의 이송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본 실시예의 차량 측부에는 제어부(80)를 설치하여 철도용 전륜부(10) 및 후륜부(20)의 승강, 차체승강부(50)의 승강, 데크부(60)의 승강, 비상시의 비상정지 등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높이 조정 및 도상훼손시에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의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철도레일로 자갈의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도로와 철도에 복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도료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maintenance of the gravel road of the railway track during height adjustment and damage of the railway rail, facilitates the transport of gravel by the railway rail, and can be applied to the road and the railway in combin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wheel for painting and the wheel for railwa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4768A KR100701216B1 (en) | 2005-03-25 | 2005-03-25 | Road and rail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4768A KR100701216B1 (en) | 2005-03-25 | 2005-03-25 | Road and rail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2809A KR20060102809A (en) | 2006-09-28 |
KR100701216B1 true KR100701216B1 (en) | 2007-03-29 |
Family
ID=3762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4768A KR100701216B1 (en) | 2005-03-25 | 2005-03-25 | Road and rail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1216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02894A2 (en) * | 2008-07-01 | 2010-01-07 |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Of New York | Propulsion vehicle which travels along a soft, porous track |
KR101273317B1 (en) * | 2012-11-15 | 2013-06-11 | 주식회사 광림 | Multipurpose aerial lift vehicle |
WO2015120215A1 (en) * | 2014-02-06 | 2015-08-13 | Harsco Corporation | Railroad trailer chassis |
KR102548617B1 (en) | 2022-10-19 | 2023-06-28 | 대동이앤티(주) | Road-rail vehicles |
KR102548619B1 (en) | 2022-10-19 | 2023-06-28 | 대동이앤티(주) | Apparatus for rear rail unit of the road-rail vehicles |
KR102609078B1 (en) | 2023-06-27 | 2023-12-04 | (주)미래로 | Work Vehicles for 2 way |
KR20240054551A (en) | 2022-10-19 | 2024-04-26 | 대동이앤티(주) | Apparatus for front rail unit of the road-rail vehicl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26406A (en) * | 2011-01-25 | 2011-07-20 | 北京交通大学 | Road-rail amphibious comprehensive detection vehicle |
KR101230840B1 (en) * | 2011-12-14 | 2013-02-07 | 화성궤도 주식회사 | Bogie for rail which can move on a general road |
KR101426363B1 (en) * | 2013-11-27 | 2014-08-07 | (주)금강오토텍 | Moving apparatus for mono rail |
KR101654430B1 (en) | 2014-11-26 | 2016-09-05 | 임우근 | Excavator for railroad repair with emergency towing device |
CN109795523B (en) * | 2019-02-21 | 2023-12-22 | 路仁电子科技河北有限公司 | Railcar with track multiple metadata integration detection mechanism |
CN113984413B (en) * | 2021-12-07 | 2024-06-21 | 合肥市极点科技有限公司 | Portable small-size car detection line |
KR20230162298A (en) | 2022-05-20 | 2023-11-28 |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 Two-way car equipped with track running unit for railway maintenance |
KR102490826B1 (en) | 2022-05-20 | 2023-01-20 |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 Two-way car to move tracks and roads for railwa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87610A (en) | 1987-05-18 | 1988-11-24 | Marumo Jidosha Kogyo Kk | Automobile with auxiliary wheel for running on rail |
JPH05162516A (en) * | 1991-12-11 | 1993-06-29 | East Japan Railway Co | Tire track |
JPH08121416A (en) * | 1994-10-24 | 1996-05-14 | Tokyo Isuzu Jidosha Kk | Hydraulic system with accumulator |
JPH08300920A (en) * | 1995-04-28 | 1996-11-19 | Aichi Corp | Railway traveling device of working vehicle |
JP2001039132A (en) | 1999-07-31 | 2001-02-13 | Suzuki Shoji:Kk | Lifting and supporting device of working vehicle for track |
-
2005
- 2005-03-25 KR KR1020050024768A patent/KR10070121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87610A (en) | 1987-05-18 | 1988-11-24 | Marumo Jidosha Kogyo Kk | Automobile with auxiliary wheel for running on rail |
JPH05162516A (en) * | 1991-12-11 | 1993-06-29 | East Japan Railway Co | Tire track |
JPH08121416A (en) * | 1994-10-24 | 1996-05-14 | Tokyo Isuzu Jidosha Kk | Hydraulic system with accumulator |
JPH08300920A (en) * | 1995-04-28 | 1996-11-19 | Aichi Corp | Railway traveling device of working vehicle |
JP2001039132A (en) | 1999-07-31 | 2001-02-13 | Suzuki Shoji:Kk | Lifting and supporting device of working vehicle for track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02894A2 (en) * | 2008-07-01 | 2010-01-07 |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Of New York | Propulsion vehicle which travels along a soft, porous track |
WO2010002894A3 (en) * | 2008-07-01 | 2010-05-06 |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Of New York | Propulsion vehicle which travels along a soft, porous track |
US8261668B2 (en) | 2008-07-01 | 2012-09-11 |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 Propulsion vehicle which travels along a soft, porous track |
KR101273317B1 (en) * | 2012-11-15 | 2013-06-11 | 주식회사 광림 | Multipurpose aerial lift vehicle |
WO2015120215A1 (en) * | 2014-02-06 | 2015-08-13 | Harsco Corporation | Railroad trailer chassis |
US9937761B2 (en) | 2014-02-06 | 2018-04-10 | Harsco Technologies LLC | Railroad trailer chassis |
US10946704B2 (en) | 2014-02-06 | 2021-03-16 | Harsco Technologies LLC | Railroad trailer chassis |
KR102548617B1 (en) | 2022-10-19 | 2023-06-28 | 대동이앤티(주) | Road-rail vehicles |
KR102548619B1 (en) | 2022-10-19 | 2023-06-28 | 대동이앤티(주) | Apparatus for rear rail unit of the road-rail vehicles |
KR20240054551A (en) | 2022-10-19 | 2024-04-26 | 대동이앤티(주) | Apparatus for front rail unit of the road-rail vehicles |
KR102609078B1 (en) | 2023-06-27 | 2023-12-04 | (주)미래로 | Work Vehicles for 2 w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2809A (en) | 2006-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1216B1 (en) | Road and rail vehicles | |
CN103332081B (en) | Road and rail dual-purpose tractor | |
DK2892781T3 (en) | Railway Traction Vehicle | |
AU690679B2 (en) | Transport vehicle for track sections | |
US10696113B2 (en) | Railcar-mover vehicle | |
FI79876B (en) | VERKTYGSANORDNING FOER UNDERSTOPPNING, NIVELERING OCH SIDORIKTNING. | |
JP4713017B2 (en) | Orbit changer | |
CN108839527B (en) | Independently driven highway and railway dual-purpose tractor | |
US4103622A (en) | Ballast tamping machine | |
HU176854B (en) | Travelling apparatus for continuous changing track consists of rails and crossties | |
US20130305956A1 (en) | Rail mover with independently pivoting wheel assemblies | |
JP2015067110A (en) | Vehicle and traveling system | |
CN210262535U (en) | Self-walking rail polishing operation system based on rail transit operation | |
CN113086034B (en) | Running gear of sleeper machine is traded to railway | |
RU2411137C1 (en) | Selective travel-gear transport facility | |
CN103806402B (en) | A kind of railway ballast apparatus for work bivector traction dolly | |
US6598538B2 (en) | Rail wheel stop mechanism for road/rail vehicle | |
CN209797414U (en) | Tool vehicle for highway and railway | |
CN113335317A (en) | Single track roof beam fortune frame mobile device in tunnel | |
CN203716103U (en) | Two-way traction trolley for railway roadbed operation device | |
CN215482001U (en) | Track laying device for track traffic construction | |
JP2717123B2 (en) | Railcar | |
CN104724619A (en) | Walking landing leg system of railway rescue crane | |
CN205930209U (en) | Two independent combined tractors that drive | |
KR101774510B1 (en) | Hoist track conneting apparatus for railroad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