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721B1 - 안정성 및 용출율이 향상된 s(+)-이부프로펜의 정제 - Google Patents

안정성 및 용출율이 향상된 s(+)-이부프로펜의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721B1
KR100700721B1 KR1020000053291A KR20000053291A KR100700721B1 KR 100700721 B1 KR100700721 B1 KR 100700721B1 KR 1020000053291 A KR1020000053291 A KR 1020000053291A KR 20000053291 A KR20000053291 A KR 20000053291A KR 100700721 B1 KR100700721 B1 KR 10070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buprofen
tablets
amount
solvent
tablet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284A (ko
Inventor
지상철
Original Assignee
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철 filed Critical 지상철
Priority to KR102000005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7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oxamers
    • A61K9/2036Silicones; 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S(+)-이부프로펜을 포함하는 소염진통제의 정제에 관한 것으로, S(+)-이부프로펜을 소량의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 속효성 붕해제를 포함하여 S(+)-이부프로펜 정제 또는 코팅정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S(+)-이부프로펜 정제들은 빠른 용출속도와 함께 충분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S(+)-이부프로펜

Description

안정성 및 용출율이 향상된 S(+)-이부프로펜의 정제 {Tablets of S(+)-Ibuprofen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dissolution rate}
도 1은 실시예 2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S(+)-이부프로펜 정제로부터 시험 개시일 및 40℃, 75% 상대습도에서 8주간 보관 후 인공 위액에서의 약물 용출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S(+)-이부프로펜을 포함하는 소염진통제의 정제에 관한 것이다.
이부프로펜은 유효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프로피온산계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중의 하나로서, 아라키돈산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이 합성되는데 관여하는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제를 가역적으로 억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을 저해하여 항염증작용, 해열작용 및 진통작용 등의 약효를 나타내며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그 관련질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약물은 통상 정제의 형태로 제제화되어 100∼ 800 ㎎의 용량을 경구투여한다.
이부프로펜은 S(+)체와 R(-)체의 두 가지 이성체로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으며, R(-)-이부프로펜은 인체내에서 S(+)-이부프로펜으로 변환되어 약효를 나타내기 는 하지만, S(+)-이부프로펜이 라세믹체 이부프로펜의 약효를 나타내는 주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라세믹체의 이부프로펜 대신 S(+)-이부프로펜만을 함유하는 제제를 사용하면 투여량이 반으로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제제의 크기도 적어질 뿐만 아니라, 부작용도 감소하게 되므로 최근 이 S(+)-이부프로펜을 사용한 제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 4,851,444호, 제 4,980,375호 및 제 5,541,227호에는 라세믹체의 이부프로펜 대신 S(+)-이부프로펜의 사용에 대하여 자세한 처방이나 특별한 제조방법없이 언급하였으며, 미국특허 제 5,240,712호에는 서방성의 S(+)-이부프로펜 제제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
또한, 라세믹체 이부프로펜의 융점은 75∼ 77℃인데 비하여 S(+)-이부프로펜의 융점은 약 50℃ 정도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S(+)-이부프로펜의 낮은 융점으로 인해 제조된 정제의 물리적 안정성이 나쁜 경향을 나타내게 되어 고형제제로 제제화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S(+)-이부프로펜은 해열 진통 효과를 가지고 있는 약물로서, 복용후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약효를 얻기 위한 속효성 제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S(+)-이부프로펜은 라세믹체의 이부프로펜과 마찬가지로 물에 매우 난용성이기 때문에 제제화를 통한 이 약물의 용출율을 향상시킨 내용에 관한 여러 특허들이 있다.
미국특허 제 6,066,332호에는 젤라틴을 사용하여 S(+)-이부프로펜을 미립자로 제조하여 속효성 제제화한 내용이 있으나 그 제조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S(+)-이부프로펜의 속효성 제제를 제제화한 방법으로 WO 제 94/10993호에는 S(+)-이부프로펜을 수용성 연합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기타 통상의 첨가제들을 사용하여 습식 과립압축법으로 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으며, 미국특허 제 5,869,102호에는 S(+)-이부프로펜을 0.01~ 0.3 중량%의 실리카, 30~ 50 중량%의 미세결정셀룰로오스 및 0.01~ 0.3 중량%의 활택제와 혼합하여 직타법으로 정제를 제조한 방법이 나타나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5,631,296호에서는 소량의 염기성 무기물질을 첨가하여 습식법으로 S(+)-이부프로펜 펠렛을 제조함으로서 제제당 주약의 함량을 높이고 이 제제로부터 약물이 신속하게 용출됨을 특허화하였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제조된 S(+)-이부프로펜 정제는 인공 장액에서의 용출율은 우수하나 인공 위액에서의 용출율이 낮으며, 안정성 시험의 가속조건인 40℃, 75%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보관하면 물리적 안정성이 나빠 경시적으로 노란색으로 착색되어 표면에 반점이 생기거나 경도가 저하되며, 심하면 정제가 물렁물렁해지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정제들은 제조직후에는 신속하였던 인공 장액에서의 용출율이 경시적으로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제는 연중 온도가 높지 않은 시기나 지역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온도가 높아지는 여름이나 고온 다습한 지역에서는 정제에 반점이 생기거나 모양이 변하는 등 제제의 상품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S(+)-이부프로펜을 단순히 부형제와 고체상태에서 물리적으로 혼합하는 것보다 S(+)-이부프로펜에 대하여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 는 용매를 소량 사용하여 용해시킨 후 흡착제에 흡착시키고 이를 정제화함으로서, 결과 용출율 및 안정성이 동시에 우수한 S(+)-이부프로펜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S(+)-이부프로펜을 포함하는 소염진통제의 정제에 관한 것으로, S(+)-이부프로펜을 소량의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 속효성 붕해제를 포함하여 S(+)-이부프로펜 정제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제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S(+)-이부프로펜에 대하여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는 용매를 사용하며, 이에는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저분자량의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있다. 그 사용량은 S(+)-이부프로펜 양에 대하여 1∼ 1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용매들을 사용하지 않고 S(+)-이부프로펜만을 용융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의 사용량이 1% 보다 적을 경우, S(+)-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키기에는 용매량이 부족하여 흡착제에 흡착시킬 때 결정으로 재석출되어 용출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용매의 사용량이 10% 보다 많을 경우, 혼합물의 유동성이 적어지고 제조된 정제의 경도가 낮아지게 된다.
S(+)-이부프로펜을 흡착하는데 사용되는 흡착제로는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탈크 및 스테아린산의 금속염 등이 있다. 흡착제 양은 S(+)-이부프로펜 양에 대하 여 5∼ 50 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 흡착제의 함량이 이보다 적을 경우 S(+)-이부프로펜과 용매의 혼합물이 제대로 흡착되지 않고 성형성이 나쁘며, 이보다 많을 경우 혼합물의 밀도가 낮아져 타정이 어려워지며 타정이 되더라도 제조된 정제의 경도가 낮아지거나 용해 시간을 지연시키게 된다.
기타 S(+)-이부프로펜 정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첨가제들이 필요한데 특히, 속효성 붕해제의 첨가가 필수적이다. 속효성 붕해제로는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카르복시메틸전분 나트륨 등이 있다. 또한, 이 속효성 붕해제는 정제당 0.1∼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 이외에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 제제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부형제, 연합제, 활택제 및 색소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정제는 다시 통상 제제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코팅제를 사용하여 당의정, 필름코팅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이부프로펜 100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2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50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5
유당 13
S(+)-이부프로펜 100 g에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2 g을 가하여 습윤시키고 60℃에서 용융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50 g에 흡착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80호체로 사과하고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5 g과 유당 13 g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8 ㎜ 펀치를 사용하여 1정당 중량이 170 ㎎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실시예 2.
S(+)-이부프로펜 300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5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60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5
유당 40
미세결정셀룰로오스 78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S(+)-이부프로펜 300 g에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5 g을 가하여 습윤시키고 60℃에서 용융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60 g에 흡착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80호체로 사과하고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5 g, 유당 40 g, 미세결정셀룰로오스 78 g을 가하여 잘 혼합하고 다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g을 가한 후 10 ㎜ 펀치를 사용하여 1정당 중량이 500 ㎎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실시예 3.
S(+)-이부프로펜 200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0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40
폴리비닐피롤리돈 1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6
미세결정셀룰로오스 42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S(+)-이부프로펜 200 g에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0 g을 가하여 습윤시키고 60 ℃에서 용융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40 g에 흡착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80호체로 사과하였다. 따로 이소프로판올 10 ㎖에 폴리비닐피롤리돈 1 g을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연합하여 18호체로 과립화하였다. 다음 35℃에서 5시간동안 건조하고 다시 20호체로 사과한 후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6 g과 미세결정셀룰로오스 42 g을 가하고 잘 혼합하고 추가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g을 가한 후 10 ㎜ 펀치를 사용하여 1정당 중량이 300 ㎎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실시예 4.
S(+)-이부프로펜 3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24
탈크 40
카르복시메틸전분 나트륨 10
전분 121
스테아린산 5
S(+)-이부프로펜 300 g에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을 24 g 가하여 습윤시키고 60℃에서 용융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탈크 40 g에 흡착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80호체로 사과하고 카르복시메틸전분 나트륨 10 g, 전분 121 g, 스테아린산 5 g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10 ㎜ 펀치를 사용하여 1정당 중량이 500 ㎎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실시예 5.
S(+)-이부프로펜 600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60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30
카르복시메틸전분 나트륨 12
유당 50
미세결정셀룰로오스 44
스테아린산마그네슘 4
S(+)-이부프로펜 600 g에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60 g을 가하여 습윤시키고 60℃에서 용융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30 g에 흡착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80호체로 사과하고 카르복시메틸전분 나트륨 12 g, 유당 50 g, 미세결정셀룰로오스 44 g을 가하고 잘 혼합하고 다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4 g을 가한 후 15 ㎜ 펀치를 사용하여 1정당 중량이 800 ㎎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실험예 1. 물리화학적 안정성 및 용출 시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S(+)-이부프로펜 정제의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공지 기술(미국 특허 제 5,631,296호)에 따라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는 S(+)-이부프로펜 정제(상품명: 덱스옥티펜(DexOptifen 300, lot No. 7001, 스위스 스피리그(Spirig)사 제품)를 사용하였다. 이들 시료들을 온도 40℃, 75%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2, 4 및 8주일째에 채취하여 제제의 성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시료중 S(+)-이부프로펜의 함량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량하였다. 또한 시험시작 및 보관 8주째에는 다음과 같이 제제로부터의 S(+)-이부프로펜의 용출양상을 측정하여 약물의 용출속도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즉,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제 2법(패들법)에 따라 3정을 가지고 용출시험하되 시험액으로는 붕해시험법의 제 2액(pH 6.8)을 사용하였다. 시험액 900 ㎖를 용기에 넣고 패들을 100 rpm의 속도로 회전시킨 다음 1정씩을 용기에 넣고 5, 10, 15, 20, 30 및 40분 후에 각각 용출액 2 ㎖를 취하여 0.45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였다. 검액 중 S(+)-이부프로펜의 함량은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표 1과 같으며, 이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가지 S(+)-이부프로펜 정제 모두 함량에서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S(+)-이부프로펜 정제가 공지 기술에 따른 S(+)-이부프로펜 정제보다 물리적 안정성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이부프로펜 정제가 공지 기술에 따라 제조한 S(+)-이부프로펜 정제보다 신속한 용출율을 나타내었으며, 공지 기술에 따라 제조한 S(+)-이부프로펜 정제가 시험 시작시와 보관 8주째의 용출양상에 큰 차이를 보인 반면 본 발명의 S(+)-이부프로펜 정제는 시험시작시와 보관 8주째의 용출양상에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제제로부터 약물의 용출속도가 매우 안정함을 알 수 있다.
40℃, 75% 상대습도에서 8주간 보관한 S(+)-이부프로펜 정제의 안정성 시험 결과*
시료명 시험항목 경 과 시 간
시험시작 2주 4주 8주
실시예 2 외관 백색 정제 변화없음 약한 황색을 띤 백색 정제 약한 황색을 띤 백색 정제
함량(%) 100 100.3±0.6 98.8±1.1 99.5±1.2
공지기술 성상 백색 정제 황색의 물러진 정제 황색의 물러진 정제 황색의 물러진 정제
함량(%) 100 98.3±1.7 98.6±1.3 97.1±1.9
*평균치(±표준편차), n=3
**공지기술: 미국특허 제5,631,296호의 S(+)-이부프로펜 정제
본 발명은 경구용으로 강력한 해열진통을 나타내는 S(+)-이부프로펜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정제로서, 기존의 S(+)-이부프로펜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형제제보다 안정성이 우수하고 용출속도도 신속하다.

Claims (8)

  1. S(+)-이부프로펜을 소량의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 속효성 붕해제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매가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저분자량의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된 것이며,
    상기 흡착제가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탈크 및 스테아린산의 금속염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S(+)-이부프로펜 정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용매가 S(+)-이부프로펜 양에 대하여 1∼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이부프로펜 정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S(+)-이부프로펜 양에 대하여 5∼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이부프로펜 정제.
  6. 제 1항에 있어서, 속효성 붕해제가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카르복시메틸전분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S(+)-이부프로펜 정제.
  7. 제 6항에 있어서, 속효성 붕해제가 정제당 0.1∼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이부프로펜 정제.
  8. 제 1항에 있어서, 부형제, 연합제, 활택제 및 색소로 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이부프로펜 정제.
KR1020000053291A 2000-09-08 2000-09-08 안정성 및 용출율이 향상된 s(+)-이부프로펜의 정제 KR10070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291A KR100700721B1 (ko) 2000-09-08 2000-09-08 안정성 및 용출율이 향상된 s(+)-이부프로펜의 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291A KR100700721B1 (ko) 2000-09-08 2000-09-08 안정성 및 용출율이 향상된 s(+)-이부프로펜의 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284A KR20020020284A (ko) 2002-03-15
KR100700721B1 true KR100700721B1 (ko) 2007-03-27

Family

ID=1968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291A KR100700721B1 (ko) 2000-09-08 2000-09-08 안정성 및 용출율이 향상된 s(+)-이부프로펜의 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7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7793A1 (de) * 1993-02-10 1994-08-18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buprofen enthaltenden tablette
KR970000226A (ko) * 1995-06-13 1997-01-21 S-이부프로펜의 경구용 제형
KR19980073629A (ko) * 1997-03-17 1998-11-05 김선진 투명액상 이부프로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연질캅셀제
US5869102A (en) * 1994-06-17 1999-02-09 Zambon Group, S.P.A.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2-(4-isobutylphenyl) propionic acid active ingredient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colloidal silica as excipients
US5869101A (en) * 1994-01-28 1999-02-09 Gebro Borschek Gesellschaft 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ibuprofen-particl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7793A1 (de) * 1993-02-10 1994-08-18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buprofen enthaltenden tablette
US5560926A (en) * 1993-02-10 1996-10-01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S-ibuprofen-containing tablet
US5869101A (en) * 1994-01-28 1999-02-09 Gebro Borschek Gesellschaft 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ibuprofen-particles
US5869102A (en) * 1994-06-17 1999-02-09 Zambon Group, S.P.A.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2-(4-isobutylphenyl) propionic acid active ingredient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colloidal silica as excipients
KR970000226A (ko) * 1995-06-13 1997-01-21 S-이부프로펜의 경구용 제형
KR19980073629A (ko) * 1997-03-17 1998-11-05 김선진 투명액상 이부프로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연질캅셀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284A (ko) 200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827A (en) Effervescent ibuprofen preparations
US5980942A (en) Zero-order sustained release matrix tablet formulations of carbamazepine
US628427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n effervescent acid-base couple
EP0710653B1 (en) Salts of nefazodone having improved dissolution rates
WO1998029137A1 (fr) Compositions medicinales immediatement desintegrables
EP0758889B1 (en)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2-(4-isobutylphenyl)propionic acid active ingredient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colloidal silica as excipients
JPH02268178A (ja) 3―ホルミルアミノ―7―メチルスルホニルアミノ―6―フェノキシ―4h―1―ベンゾピラン―4―オンまたはその塩を含有する抗炎症製剤
EP0361354A1 (en) Dispersable dihydroergotoxin tablets
US4758427A (en) Enhanced absorption of psychoactive 2-aryl-pyrazolo quinolines as a solid molecular dispersion in polyvinylpyrrolidone
KR100736024B1 (ko) 신규한 클로피도그렐 우선성 광학이성체의 이온교환수지착체와 그 제조방법
US4428951A (en) Long ac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200200517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n effervescent acid-base couple
RU2199318C2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в отношении рацемизаци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лекарственные формы силанзетрона
CA2412464A1 (en) Dextromethorphan tannate
EP0505180B1 (en) High-content ibuprofen lysinate pharmaceutical formulation
KR100700721B1 (ko) 안정성 및 용출율이 향상된 s(+)-이부프로펜의 정제
FI82377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med baser bildat piroxicamsalt utfaellt pao en farmaceutiskt godtagbar baerare.
NZ207768A (en) Sustained release tablets comprising dipyridamole
KR100523242B1 (ko) 이부프로펜을 함유하는 정제 조성물
KR20210071242A (ko) 제약 조성물
EP0519371B1 (en) Stabilized solid dosage forms of choline metal carboxymethylcellulose salicylate compositions
KR100479367B1 (ko) 이트라코나졸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항진균제 조성물
JP2568783B2 (ja) 2−エトキシ安息香酸を含有する鎮痛解熱消炎剤
BG65553B1 (bg) Фармацевтичен състав и неговото получаване
Pimple et al. Formulation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chirally pure S (+) Etodolac extended release tablets for the management of arthr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