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969B1 - 서리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서리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969B1
KR100699969B1 KR1020027004097A KR20027004097A KR100699969B1 KR 100699969 B1 KR100699969 B1 KR 100699969B1 KR 1020027004097 A KR1020027004097 A KR 1020027004097A KR 20027004097 A KR20027004097 A KR 20027004097A KR 100699969 B1 KR100699969 B1 KR 10069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treated
plants
particulate materia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920A (ko
Inventor
데이비드 마이클 글렌
마이클 위스니우스키
게리 제이. 푸터카
데니스 세쿠토우스키
Original Assignee
엥겔하드 코포레이션
미합중국 농무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엥겔하드 코포레이션, 미합중국 농무부 filed Critical 엥겔하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5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3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using agents to prevent the granules sticking together;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otan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한가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물방울을 지지할 수 있는 식물의 부분들 위에 미립상 물질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식물에 인접한 얼음결정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약 -2℃ 이하의 온도까지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약 90 중량% 까지가 약 100 ㎛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은 약 1 ㎛ 내지 약 1,000 ㎛의 두께를 갖는다.
서리 방지, 식물, 과냉각, 소수성 막

Description

서리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for Enhanced Supercooling of Plants to Provide Frost Protection}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1997년 3월 5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08/812,301 호의 부분연속출원인 1997년 11월 18일자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08/972,659 호의 부분연속출원인 1998년 12월 2일자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09/204,643 호의 부분연속출원이며, 이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과 관련된 그들의 기술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결빙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식물의 과냉각 (supercooling)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요시 까지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고,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서리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저렴한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은 1950년대 중반 이래로 지속되어 왔다. 많은 물질들이 시험되었다. 이들은 몇가지 카테고리에 속하지만, 일 반적으로 이들은 식물조직의 빙점을 변화시키거나; 농작물 상에서 얼음-결정생성 박테리아를 감소시킴으로써 얼음 및 서리 형성을 억제하거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즉 연화 또는 몇가지의 '미지의 작용양식'에 의한 효과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는 물질이었다. 우리의 지식에 따르면, 과학적 시험에 의한 검사를 성공적으로 견뎌내어 시판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질은 없었다" (K. B. Perry, 1998, Basics of Frost and Freeze protection for horticultural crops; HortTechnology 8(1):10-15). 또한, 워문트 (Warmund) 등은 문헌 (Advances in Strawberry Research 1994, pages 20-25)에서 역시 서리보호 화학물질의 유의적인 효과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페리 (Perry)(1998)에 의해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서리보호와 관련된 화학적 개발에는 다음의 4가지 영역이 있다: 1) 식물조직 또는 물의 빙점을 변화시키는 물질; 2) 농작물 표면상에서 얼음-결정생성 박테리아의 집단을 감소시킴으로써 농작물 표면상에서 얼음 형성을 억제하는 물질; 3) 연화를 지연시키는 물질; 4) 내냉한성 (cold hardiness)을 증가시키기 의한 유전자조작.
첫번째 기술분야와 관련된 특허에는 서리보호를 위해서 유기화학물질을 적용함으로써 식물을 처리하는데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5,133,891 호 (Barr et al.); 결빙손상에 대한 조직내성을 증가시키는 동결방지제 조성물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5,276,006 호 (Shin et al.); 물의 빙점을 저하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식물 상에서 서리형성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5,653,054 호 (Savignano et al.); 물의 빙점을 저하시키고 결빙온도에 대한 세포손상에 대해 저항하도록 염-기본 용액을 포함하여 식물에 대한 서리손상을 최소화시키는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4,597,883 호 (Lengyel); 서리손상에 대해 보호하기 위하여 염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식물처리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5,618,330 호 (Artozon); 및 냉한손상에 대해 저항성인 키티나제-생성 식물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5,633,450 호 (Suslow et al.)가 포함된다.
두번째 기술분야와 관련된 특허에는 결빙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얼음-결정생성 결핍성 박테리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식물에 대한 서리손상의 미생물적 억제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4,432,160 호 (Lindow); 및 서리보호제로서 식물에 적용하기 위한 얼음-결정생성 결핍성 유기체를 생산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유전자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결정생성 결핍성 미생물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4,766,077 호 (Orser et al.)가 포함된다.
세번째 기술분야는 서리손상을 직접적으로 방지하지는 않으며, 그 대신에 서리-민감성 조직이 노출되는 경우에 서리가 생기지 못하도록 조기성장시기에 서리-민감성 생식조직의 발생을 지연시킨다. 또한, 여기에는 서리보호를 위한 비화학적인 방법이 있는데, 이것에는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과실수의 서리보호용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4,434,345 호 (Muscatell); 및 감귤나무의 줄기를 위한 절연패드를 사용하여 서리손상으로부터 감귤나무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미합중국특허 제 4,901,472 호 (Donohue et al.)가 포함된다. 위스니브스키 (M. Wisniewski)와 훌러 (M. Fuller) (Ice nucleation and deep supercooling: new insights using infrared thermography in: Cold Adapted Organism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Eds. R. Margesin and F. Schinner, Landes BioScience, Austin, TX)는 식물표면에 실리콘 그리스 (grease)를 적용함으로써 얼음이 식물에서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이 과냉각되도록 하여 서리손상을 방지하는 방수필름을 형성시키는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식물에 실리콘 그리스를 적용하는 것은 잎에 대한, 그리고 잎으로부터 가스의 교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식물독성이 된다. 따라서, 가스교환 또는 식물, 특히는 원예용 농작물의 다른 생리적 과정을 저해하지 않아 결빙손상을 방지하는 비용효율이 높은 비독성제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하였다.
네번째 기술분야는 식물을 유전자조작하여 그들의 내냉성을 증가시키는데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특허 제 5,932,697 호 및 미합중국특허 제 5,925,540 호 (Caceci et al.)는 내냉성을 증가시키는 펩타이드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특허 제 5,837,545 호 (Guy et al.)는 내냉성을 증가시키는 폴리펩타이드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한가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물방울을 지지할 수 있는 식물의 부분들 위에 미립상 물질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식물에 인접한 얼음결정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약 -2℃ 이하의 온도까지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약 90 중량% 까지가 약 100 ㎛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며, 실질적 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은 약 1 ㎛ 내지 약 1,000 ㎛의 두께를 갖는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물방울을 지지할 수 있는 원예용 농작물의 부분들 위에 미립상 물질 및 액체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적용하고, 액체가 증발하도록 하여 원예용 농작물 상에 미립상 물질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원예용 농작물에 인접한 얼음결정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약 -3℃ 이하의 온도까지 원예용 농작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약 90 중량% 까지가 약 10 ㎛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은 약 3 ㎛ 내지 약 750 ㎛의 두께를 갖는다.
역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물방울을 지지할 수 있는 원예용 농작물의 부분들 위에 미립상 물질, 액체 및 보조제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적용하고, 액체가 증발하도록 하여 원예용 농작물 상에 미립상 물질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원예용 농작물에 인접한 얼음결정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약 -4℃ 이하의 온도까지 원예용 농작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약 90 중량% 까지가 약 10 ㎛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은 원예용 농작물 표면 ㎠ 당, 약 25 내지 약 5000 마이크로그람의 미립상 물질을 함유한다.
추가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물방울을 지지할 수 있는 식물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공기에 의해 비말동반된 미립상 물질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 수성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식물에 인접한 얼음결정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약 -2℃ 이하의 온도까지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약 90 중량% 까지가 약 100 ㎛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은 약 100 ㎛ 내지 약 10,000 ㎛의 두께를 갖는다.
도 1A-1C는 실시예 3에 따라 처리된 잎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A-2C는 실시예 4에 따라 처리된 잎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다양한 물질 및 제제에 의한 잎표면의 피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다양한 물질 및 제제에 의한 잎표면의 피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다양한 물질 및 제제에 의한 잎표면의 피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다양한 물질 및 제제에 의한 잎표면의 피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결빙에 관하여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결빙에 관하여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결빙에 관하여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결빙에 관하여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결빙에 관하여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결빙에 관하여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결빙에 관하여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결빙에 관하여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의 결빙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처리된 잎 및 비처리된 잎의 결빙을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과냉각 (supercooling)"은 액체 물을 얼음의 형성이 없이 0℃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물리적 현상이다. 결빙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얼음핵 (ice nuclei)이 존재하지 않거나 물이 이들 얼음핵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얼음의 형성이 방지된다. 식물에서의 과냉각은 이것이 손상을 야기시키는 결빙온도 그 자체가 아니라, 오히려 세포의 건조 및/또는 물리적 파괴에 의해 식물조직에 손상을 주거나 사멸시키는 식물(들) 상의/내의 얼음결정의 형성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현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식물에는 원예용 농작물 및 특히 활발하게 성장하는 농업용 농작물, 활발하게 성장하는 관상용 농작물, 열매가 맺는 농업용 농작물 및 열매가 맺는 관상용 농작물 및 이들의 산물이 포함된다. 농업용 농작물은 식품생성물, 사료생성물, 섬유생성물 등과 같은 유용한 생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식물이다. 관상용 농작물은 장식 또는 미적인 이유로 사용되는 식물이다.
식물의 일반적인 예로는 과실, 야채, 나무, 꽃, 관목, 수풀, 풀, 뿌리, 종자 및 그밖의 다른 조경식물 및 관상식물이 포함된다. 식물의 일부분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도 있는데, 이들에는 휴지상태나 성장상태에 있든지 아니든지 잎, 가 지, 대, 줄기, 봉오리, 꽃 및 과실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구체적인 예로는 배나무, 사과나무, 오렌지 나무, 그레이프프루트 (grapefruit) 나무, 탄제린 (tangerine) 나무, 승도복숭아 (nectarine) 나무, 복숭아 나무, 체리나무, 플럼 (plum) 나무, 레몬나무, 살구나무, 라즈베리 (raspberry) 식물, 딸기식물, 블루베리 식물, 블랙베리 식물, 토마토 식물, 옥수수, 대두를 포함한 콩류, 스쿼시 (squash), 담배, 장미, 바이올렛, 튤립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과냉각 특징을 제공하거나 증진시키는 미립상 물질을 식물에 적용함으로써 대기압하에 0℃ 이하의 온도에서 식물 위에서 얼음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대기압하에 약 -2℃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된 식물 상에서 얼음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대기압하에 약 -3℃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된 식물 상에서 얼음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역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대기압하에 약 -4℃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된 식물 상에서 얼음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대기압하에 약 -5℃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된 식물 상에서 얼음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대기압하에 약 -6℃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된 식물 상에서 얼음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미립상 물질은 소수성이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그들 자체로는 소수성이다 (예를들어, 광물 탈크),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적합한 소수성 습윤제 또는 커플링제의 외부코팅을 적 용함으로써 소수성으로 되는 친수성 물질이다 (예를들어, 미립상 물질이 친수성 코어 (core) 및 소수성 외부표면을 갖는 구체예의 경우).
소수성 물질의 예로는 광물 탈크가 포함된다. 적합한 소수성 습윤제 또는 커플링제의 외부코팅을 적용함으로써 소수성으로 되는 미립상 친수성 물질의 예로는 탄산칼슘, 운모, 탈크, 카올린 (수화된 카올린 및 하소된 카올린 둘다, 하소된 카올린이 바람직하다), 벤토나이트, 점토, 피로필라이트, 돌로마이트, 실리카, 장석, 모래, 석영, 백악, 석회석, 침강 탄산칼슘, 규조토 및 중정석과 같은 광물;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레이트, 열분해 실리카 및 이산화티탄과 같은 작용성 충진제가 포함된다.
미립상 친수성 물질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습윤제 또는 커플링제와 접촉시킴으로써 소수성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 복합재, 필름, 유기코팅 또는 고무와 같은 유기시스템에서 산업적인 광물적용분야는 광물 표면에 소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소수성 표면처리방법을 이용한다 (참조예: Jesse Edenbaum, Plastics Additives and Modifiers Handbook,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92, pages 497-500; 이 문헌은 이러한 소수성 표면처리 물질 및 그들의 적용방법에 관한 기술내용의 참고문헌으로 본 명세서 포함되어 있다).
지방산 화합물 및 실란 화합물과 같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고체입자의 표면처리를 행하여 표면에 소수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수성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의 예로는 상품명 틸콤 (Tilcom™; Tioxide Chemicals의 제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기 티타네이트; 유기 지르코네이트 또는 알루미네 이트 커플링제 (Kenrich Petrochemical, Inc.로부터 입수);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 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β-머캅토에틸트리에톡시실란, 및 그밖에 상품명 실퀘스트 (Silquest™; Witco의 제품) 또는 프로실 (Prosil™; PCR의 제품)로 이용할 수 있는 그밖의 물질과 같은 유기작용성 실란; DM-플루이드 (DM-Fluids; Shin Etsu로부터 입수)와 같은 개질된 실리콘 유체; 및 이중압착된 스테아르산 및 삼중압착된 스테아르산 및 그밖에 상품명 하이스트렌 (Hystrene™) 또는 인두스트렌 (Industrene™)(Witco Corporation의 제품) 또는 에머솔 (Emersol™) 제품 (Henkel Corporation의 제품)로 이용할 수 있는 그밖의 다른 물질과 같은 지방산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레이트 염이 입자표면에 소수성을 부여하는데 특히 효과적이다.
시판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바람직한 미립상 물질의 예로는 상품명 트란스링크 (Translink™; Engelhard Corporation, Iselin, NJ의 제품)로 이용할 수 있는 실옥산 처리된 하소된 카올린; 및 상품명 슈퍼코트 (Supercoat™)로 이용할 수 있는 탄산칼슘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미립상 물질은 미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미분된 (finely divided)"은 미립상 물질이 약 100 미크론 이하의 중앙 개별입자크기 (평균직경)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미 립상 물질은 약 10 미크론 또는 그 미만의 중앙 개별입자크기를 갖는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약 3 미크론 또는 그 미만의 중앙 개별입자크기를 갖는다. 추가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약 1 미크론 또는 그 미만의 중앙 개별입자크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입자크기 및 입자크기분포는 마이크로메리틱스 세디그라프 (Micromeritics Sedigraph) 5100 입자크기분석기 (Particle Size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은 친수성 입자의 경우에는 탈이온수 중에서 기록한다. 건조샘플 4 그람을 플라스틱 비이커에 평량하여 넣고 적합한 분산제를 가하고, 80 ㎖ 표선까지 탈이온수로 희석함으로써 분산액을 제조한다. 그후, 슬러리를 교반하고 초음파욕 (ultrasonic bath)중에서 290초 동안 유지시킨다. 전형적으로는 0.5% 테트라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를 카올린에 대한 분산제로서 사용하며; 1.0% 칼곤 (Calgon) T는 탄산칼슘에 대하여 사용된다. 다양한 분말에 대한 대표적인 밀도는 세디그라프 (sedigraph)에 프로그래밍되는데, 예를들어 카올린의 경우에는 2.58 g/㎖이다. 샘플 셀을 샘플슬러리로 충진하고 X-선을 기록한 다음 스톡스 식 (Stokes equation)에 의해서 입자크기분포곡선으로 전환시킨다. 중앙 입자크기는 50% 레벨에서 결정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적어도 약 90 중량%가 약 100 미크론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갖는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적어도 약 90 중량%가 약 10 미크론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갖는다. 역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적어도 약 90 중량%가 약 3 미크론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갖는다. 추가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입자의 적어도 약 90 중량%가 약 1 미크론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갖는다.
식물의 표면은 식물의 과냉각 특징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립상 물질의 적합한 양으로 처리한다. 미립상 물질의 양은 미립상 물질의 특성, 식물의 형태, 얼음결정의 형성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온도 (예를들어, -2℃ 또는 -4℃) 등과 같은 다수의 인자들에 따라 달라진다. 과냉각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식물에 적용되는 미립상 물질의 양은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미립상 물질은 식물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피복되도록 식물에 적용된다. 예를들어, 식물의 하부표면 (이슬과 같이 결빙할 수 있는 물의 공급원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부분)은 어떤 것도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식물의 단지 일부분 만을 피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전체식물의 피복은 얼음 결정생성이 일어날 수 있는 부위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식물의 완전한 피복은 몇몇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식물의 상부표면의 적어도 상당부분을 피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립상 물질의 적용으로 식물표면 상에 미립상 물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의 잔류물 (residue), 포움 (foam), 막 또는 필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몇몇 경우에 용어 잔류물, 포움, 막 또는 필름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은 다른 세가지 용어를 포함하는 것이다. 미립상 물질의 양은 식물표면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피복시켜 식물표면이 방수성이 되도록 만들기에 충분하다. 바람 및 비와 같은 다양한 환경적 조건은 식물 상의 미립상 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특정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하는 서리방지효과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식물의 서리-성장 경향이 있는 계절 중에는 입자를 일회 또는 그 이상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상 물질을 식물에 적용한 후에, 미립상 물질이 슬러리를 통해서 적용되는 구체예에서는 슬러리를 건조시켜 (휘발성 액체를 증발시킴) 미립상 물질의 연속적이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 필름을 형성시킨다. 연속적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란 적용된 곳에서 건조필름이 연속적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과실의 상부 삼분의 일이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상 물질로 피복되는 구체예에서는, 과실의 상부 삼분의 일을 피복시킨 필름은 연속적이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반면에 식물의 하부 삼분의 이는 미립상 물질로 피복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잎의 상부표면 또는 하늘을 향한 부분이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상 물질로 피복되는 구체예의 경우에는 잎의 상부표면 또는 하늘을 향한 부분을 피복시킨 필름은 연속적이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반면에 잎의 하부면 또는 땅을 향한 부분은 미립상 물질로 피복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피복되거나 처리된 식물표면의 부분들은 물방울들을 지지할 수 있어서 물과 식물표면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고/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식물표면 상에서 물방울의 존재 또는 축적을 방지함으로써 얼음결정 및/또는 얼음 결정생성 부위의 형성이 최소화되고/되거나 배제된다.
식물표면의 피복된 부분에서 미립상 물질 필름은 표면적의 약 75% 내지 약 100%를 피복시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며, 따라서 개방부 또는 불연속적 영역으로서 미립상 물질 필름은 표면적의 약 0% 내지 약 25%를 차지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 필름은 코팅된 표면적의 약 90% 내지 약 99.9%를 피복시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며, 따라서 개방부 또는 불연속적 영역으로서 미립상 물질 필름은 코팅된 표면적의 약 0.1% 내지 약 10%를 차지한다. 역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 필름은 코팅된 표면적의 약 95% 내지 약 99%를 피복시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며, 따라서 개방부 또는 불연속적 영역으로서 미립상 물질 필름은 코팅된 표면적의 약 5% 내지 약 1%를 차지한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미립상 물질 필름에서 필름내의 개방부, 공극 또는 불연속적 영역의 최대평균크기 (평균직경)는 일반적으로 약 100 ㎛ 미만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 필름내의 개방부 또는 불연속적 영역의 최대평균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10 ㎛ 미만이다. 역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 필름내의 개방부 또는 불연속적 영역의 최대평균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5 ㎛ 미만이다.
적용된 미립상 물질 필름의 두께는 약 1 ㎛ 또는 100 ㎛ 내지 약 10,000 ㎛의 범위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 필름의 두께는 약 3 ㎛ 내지 약 1,000 ㎛의 범위이다. 역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 필름의 두께는 약 5 ㎛ 내지 약 500 ㎛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의 양은 피복된 식물표면의 부분이 외관상 백색이거나 투명하도록 적용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약 2-3 g/㎤의 비밀도를 갖는 입자로 식물표면의 ㎠ 당, 미립상 물질 약 25 내지 약 5000 마이크로그람을 적용하여 식물표면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피복시킨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약 2-3 g/㎤의 비밀도를 갖는 입자로 식물표면의 ㎠ 당, 미립상 물질 약 50 내지 약 3000 마이크로그람을 적용하여 식물표면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피복시킨다. 역시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약 2-3 g/㎤의 비밀도를 갖는 입자로 식물표면의 ㎠ 당, 미립상 물질 약 100 내지 약 500 마이크로그람을 적용하여 식물표면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피복시킨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미립상 물질은 물, 저비점 유기용매 또는 저비점 유기용매/물 혼합물과 같은 휘발성 액체 중의 미분된 입자의 슬러리로서 식물에 적용함으로서 미립상 물질을 식물과 접촉시킨다. 슬러리는 미립상 물질, 액체 및 그밖의 다른 임의의 성분 (예를들어, 분산제)을 배합시키고, 성분들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고전단 혼합을 이용하여 성분들을 혼합시켜 슬러리를 형성시킨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미립상 물질을 분제 (dust)(실질적으로 건조상태로)로서 식물에 적용함으로써 미립상 물질을 식물과 접촉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에 유용한 미립상 물질은 물, 저비점 유기용매 또는 저비점 유기용매/물 혼합물과 같은 휘발성 액체 중의 미분된 입자의 슬러리로서 적용하고, 공기에 의해 비말동반됨으로써 포움을 생성시킬 수도 있다. 공기에 의해서 비말동반된 본 발명의 미립상 물질의 수성 슬러리의 제조시에는 계면활성제, 분산제 또는 전착제 (spreader)/스티커 (sticker)와 같은 보조제가 혼입될 수도 있다. 이 슬러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움으로써 식물표면에 분무하거나 다른 식으로 적 용할 수 있다. 휘발성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포움의 코팅 사이에서 증발하게 된다.
이 슬러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은 식물표면에 분무되거나 다른 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이 슬러리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층이 식물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층이 슬러리를 사용하여 적용된 경우에, 휘발성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코팅들 사이에서 증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로 생성된 잔류물은 소수성이다. 입자를 분제로 적용하는 것은 표류 및 흡입의 위험으로 인해서 반드시 대규모로 상업적 실용성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식물에 미립상 물질을 적용하기 위해 슬러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체방법이다.
계면활성제, 분산제 또는 전착제/스티커 (접착제)와 같은 첨가제 또는 보조제가 미립상 물질의 슬러리에 혼입될 수 있다. 예를들어, 식물 상에 균일하게 분무처리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소수성 미립상 물질 (일반적으로 물중에 고체 3%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하는 슬러리 형태로)과 혼합시킬 수 있는 스티커에는 면실유와 같은 식물유 기본물질, 및 그밖의 다른 시판 비습윤성 스티커가 포함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사용된 첨가제의 양은 미립상 물질의 약 0.01 내지 약 50 중량%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사용된 첨가제의 양은 미립상 물질의 약 0.1 내지 약 25 중량%이다.
저비점 유기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수혼화성이며, 1 내지 약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저비점은 일반적으로 약 100℃ 이하의 비점을 갖는 유기액체를 의미하여야 한다. 이들 액체는 현저한 응집이 없이 미분된 상태로 잔류하는 미립상 물질의 능력을 촉진시킨다. 저비점 유기액체의 예로 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i-프로판올, 부탄올, i-부탄올 등과 같은 알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과 같은 케톤, 및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사이클릭 에테르가 포함된다. 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상기 언급한 액체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탄올이 바람직한 저비점 유기액체이다.
저비점 유기액체는 미립상 물질을 식물 상에 분무하여 적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비점 유기액체는 미립상 물질의 분산액을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저비점 유기액체의 양은 분산액 (슬러리)의 약 0% 내지 약 30% (용적 퍼센트)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저비점 유기액체의 양은 분산액의 약 3% 내지 약 5% (용적 퍼센트)이다. 역시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저비점 유기액체의 양은 분산액의 약 3.5% 내지 약 4.5% (용적 퍼센트)이다.
저비점 유기액체가 사용되는 구체예에서는, 미립상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저비점 유기액체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형성시킨 다음에, 슬러리를 물로 희석하여 수성분산액을 형성시킨다. 생성된 슬러리는 미분된 형태로 입자를 보유하며, 여기에서 대부분 (적어도 약 90 중량%)의 입자들은 약 100 미크론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로 분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미립상 물질은 불활성이고 비독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불활성 미립상 물질은 식물독성이 없는 입자이다. 미립상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비독성이며, 이것은 결빙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 인 증진된 과냉각에 필요한 양에서 미립상 물질이 동물, 환경, 적용자 및 궁극적인 소비자에게 무해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표면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립상 물질로 처리되어 있는 처리된 식물 및 특히는 처리된 원예용 농작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처리는 처리된 식물의 표면 상에서 가스교환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입자처리 (또는 입자처리로부터 유도된 잔류물)를 통해서 통과한 가스는 일반적으로 살아있는 식물의 표면을 통해서 교환된 가스이다. 이러한 가스의 예로는 수증기, 이산화탄소, 산소, 질소 및 휘발성 유기물이 포함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다른 식으로 지적되지 않는 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기준이며, 온도는 섭씨온도이고 압력은 대기압이거나 대기압에 가까운 것이다.
실시예 1
'홍델리셔스 (Red Delicious)' 사과나무에 다음의 처리를 행하였다: 식물이 휴지상태에 있을 때, 1) 경제적 레벨의 해충의 존재에 따른 통상적인 살충제의 적용 (Virginia, West Virginia and Maryland Cooperative Extension 1997 Spray Bulletin for Commercial Tree Fruit Growers publication 456-419 이용); 2) 비처리; 및 3) 3월 11일에 시작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의 주 1회 적용. 처리 (3)은 메탄올 4 갤론에 현탁되고 물 100 갤론에 첨가된 물질 25 파운드를 적용하였다. 이 처리는 과수용 분무기를 사용하여 125 갤론/에이커의 비율로 적용하였다. 처리는 4회 반복 및 3개의 나무/플롯 (plot)으로하여 무작위화된 완전 블럭디자인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으로 준비하였다. 처리는 관수되지 않았으며, 5월부터 8월 30일 까지 (동일 년도) 21.58 ㎝의 강수량이 있었다. 과실은 완숙되었을 때 수확하였으며, 수확시에 과실의 수를 측정하였다. 데이타는 무작위화된 완전 블럭디자인을 사용한 분산의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 과실 수/나무
1) 통상의 처리 322
2) 대조군 246
3)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382

발아가 일어나고 최소온도 20℉로 4월 9일 (동일 년도)에 심한 서리가 발생하기 전에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을 적용함으로써 통상적인 대조군 (322) 및 비처리 대조군 (246)에 비해 완숙에 도달한 과실의 수가 더 많은 것 (382)으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서리손상이 완화되었다. 비처리 대조군의 과실수는 질병 및 해충손상으로 인해서 야기된 추가의 낙과에 의해서 통상적인 수보다도 감소되었다.
실시예 2
'세컬 (Seckel)' 배나무에 다음의 처리를 행하였다: 1) 경제적 레벨의 해충의 존재에 따른 통상적인 살충제의 적용 (Virginia, West Virginia and Maryland Cooperative Extension 1997 Spray Bulletin for Commercial Tree Fruit Growers publication 456-419 이용); 2) 비처리; 3) 4월 29일에 시작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의 주 1회 적용; 4) 4월 29일에 시작한 하소된 카올린 (Satintone™ 5HP)의 주 1 회 적용; 5) 4월 29일에 시작한 처리된 탄산칼슘 (Supercoat™; English China Clay로부터 입수)의 주 1 회 적용; 및 6) 4월 29일에 시작한 트란스링크 (Translink™) 37의 주 1 회 적용 (여기에서 모든 4월 29일은 동일 년도이다). 처리 3, 5 및 6은 메탄올 4 갤론에 현탁되고 물 100 갤론에 첨가된 물질 25 파운드를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처리 (4)에는 27 oz의 니넥스 (Ninex™) MT-603 및 톡시물 (Toximul™) 2 핀트 (pint)를 첨가한 물 100 갤론 중에 현탁된 물질 25 파운드를 적용하였다. 이들 처리는 과수용 분무기를 사용하여 125 갤론/에이커의 비율로 적용하였다. 처리는 2회 반복 및 4개의 나무/플롯으로하여 무작위화된 완전 블럭디자인으로 준비하였다. 25℉의 결빙은 10월 23일 (동일 년도)에 일어났으며, 잎의 결빙손상은 10월 28일 (동일 년도)에 평가하였다. 결빙손상은 플롯 (각 나무로부터 10개) 당, 40개의 잎을 수집하여 평가하였다. 잎의 가장자리부터 잎의 배축성면까지 이어지는 주간엽맥 까지에서 괴사가 있는 잎은 결빙손상을 나타내었다. 손상되지 않은 잎은 이들 괴사가 결여되어 있다. 각각의 잎은 손상되었거나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플롯으로부터 손상되지 않은 비율을 이미지 분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데이타는 무작위화된 완전 블럭디자인을 사용한 분산의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 잎의 손상 (총면적의 %)
1) 통상의 처리 63
2) 비처리 대조군 83
3)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21
4) 사틴톤 (Satintone™) 5HB 61
5) 슈퍼코트 (Supercoat™) 18
6) 트란스링크 (Translink™) 37 19
소수성 입자 (Translink™ 77, Translink™ 37 및 Supercoat™)의 적용은 비처리 대조군 또는 통상적인 처리에 비해 결빙손상을 감소시켰다. 친수성 물질 (Satintone™ 5HB)의 적용은 통상적인 처리에 비해서 결빙손상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3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 (Pseudomonas syringae)를 함유하는 물방울 5 ㎕를 두개의 토마토 잎 (Lycopersicon esculentum) 각각에 위치시켰다. 하나의 잎은 비처리 상태로 놓아두었으며, 다른 잎은 물방울을 첨가하기 전에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의 현탁액으로 코팅하였다. 현탁액은 9 g의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을 메탄올 12 ㎖와 배합시키고, 이 혼합물을 물 88 ㎖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토마토 잎에 이 현탁액을 흐르도록 분무하고 건조시켰다. 잎을 환경챔버에 넣고, 잎과 공기온도가 0℃로 평형화할 때 까지 온도를 8℃/시간의 비율로 냉각시켰다. 인프라메트릭스 (Inframetrics) 760 적외선 비데오카메라 및 기록계를 사용하여 온도가 저하함에 따른 공기, 잎 및 물방울의 온도를 기록하였다. 얼음이 형성되면, 물의 융해열에 기인하여 열이 방출되고 따라서 결빙조직 또는 물의 온도는 상승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결빙은 얼음 형성과 연관된 발열이 일어나는 것으로 정의되며, 결빙조직은 비결빙조직에 비해서 더 높은 온도를 갖는다. 0℃ 미만의 온도에서 결빙하지 않은 조직은 과냉각이 일어난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3에서, 공기온도는 -5.5℃로 저하하였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토마토 잎의 결빙을 차단하는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의 능력을 나타낸다. 도 1A는 -6.0℃에 노출시킨 후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처리된 잎 (우측)을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손상으로 인해서 완전히 물로 적셔졌으며, 반면에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처리된 잎은 손상되지 않았다. 도 1A에서, 좌측의 비처리된 잎은 결빙손상으로 인한 침수 (watersoaking)를 나타내며, 그 반면에 세척하여 입자를 제거한 처리된 잎은 결빙손상이 없음을 나타낸다. 물방울은 약 -1.5℃에서 결빙하였다.
도 1B는 잎의 온도를 상승시킨 비처리된 잎의 결빙 및 발열 (좌측)을 나타내는 비처리 (좌측) 및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처리된 (우측) 잎의 적외선 이미지 (infrared image)를 나타낸 것이다. 처리된 잎 (우측)은 증진된 과냉각으로 인하여 -3.2℃에서 결빙되지 않았다. 각각의 잎 위의 검은 반점은 잎 표면에 적용된 물방울을 나타낸다. 도 1B에서, 비처리된 잎 (좌측) 위의 결빙된 물방울의 존재는 잎 전체에 걸친 결빙을 유도하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잎 위에서 얼음형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좌측의 잎은 결빙 발열로 인해서 과냉각되어 결빙되지 않은 우측의 잎 보다 더 따뜻하다.
도 1C는 잎의 온도를 상승시킨 비처리된 잎의 결빙 및 발열 (좌측)을 나타내는 비처리 (좌측) 및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처리된 (우측) 잎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처리된 잎 (우측)은 증진된 과냉각으로 인하여 -5.5℃에서 결빙되지 않았다. 각각의 잎 위의 검은 반점은 잎 표면에 적용된 물방울을 나타낸다. 도 1C는 또한, 처리된 잎 (우측)은 얼음 형성이 없이 -5.5℃ 까지 냉각되는 반면에, 비처리된 잎 (좌측)은 결빙하여 더 따뜻한 온도 (약 -3.5℃)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전체 토마토 식물을 실시예 3에 기술한 바와 같이 트란스링크 (Translink™) 77로 처리하였다. 처리 및 비처리 식물에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을 분무하여 환경챔버에 넣고, 잎과 공기온도가 0℃로 평형화할 때 까지 온도를 8℃/시간의 비율로 냉각시켰다. 인프라메트릭스 (Inframetrics) 760 적외선 비데오카메라 및 기록계를 사용하여 온도가 저하함에 따른 공기, 잎 및 물방울의 온도를 기록하였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전체 토마토 식물의 결빙을 차단하는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의 능력을 나타낸다. 도 2A는 -6.1℃에 노출시킨 후의 비처리된 식물 (좌측) 및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처리된 식물 (우측)을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식물은 결빙손상으로 인해서 완전히 물로 적셔져 흐늘거렸으며, 그 반면에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처리된 식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도 2A는 비 처리된 식물 (좌측)은 결빙으로 인하여 사멸한 반면에 처리된 식물 (우측)은 -6.1℃에 노출시킨 후에 손상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설명한다.
도 2B는 식물의 온도를 상승시킨 비처리된 식물의 결빙 및 발열 (우측)을 나타내는 비처리 (우측) 및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처리된 (좌측)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처리된 잎 (좌측)은 증진된 과냉각으로 인하여 -2℃에서 결빙되지 않았다. 도 2B는 비처리된 식물 (우측)은 약 -2℃에서 결빙하며 결빙 발열로 인하여 처리된 식물 (좌측) 보다 더 따뜻함을 나타낸다.
도 2C는 잎의 온도를 상승시킨 비처리된 식물의 결빙 및 발열 (우측)을 나타내는 비처리 (우측) 및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처리된 (좌측)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처리된 잎 (좌측)은 증진된 과냉각으로 인하여 -6.1℃에서 결빙되지 않았다. 도 2C는 처리된 식물 (좌측)이 비처리된 식물 (우측)에 비해서 -6.1℃에서 결빙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5
두개의 소수성 물질 (Translink™ 77 및 Supercoat™), 두개의 친수성 물질 (Satintone™ 5HB 및 Supermite™), 및 결빙조절을 목적으로하는 시판제품 (Frost Shield™)을 비교하였다. 소수성 입자는 4가지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 물질을 식물 상에 산분한다; 2) 물질 3 g을 물 100 ㎖와 함께 격렬히 교반하고, 교반하면서 식물 상에 분무한다; 3) 물질 3 g을 면실유 0.5 ㎖를 함유하는 물 100 ㎖와 함께 격렬히 교반하고,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식물 상에 분무한다; 4) 물질 3 g을 메탄올 4 ㎖와 혼합시키고, 이 혼합물을 물 96 ㎖에 첨가한다. 친수성 물질은 상기 1), 2) 및 3)과 유사하게 제조하여 적용하였다. 하나의 잎은 비처리된 채로 남겨두고, 다른 잎은 물질 처리 중의 하나에 의해서 코팅하였다. 토마토 잎에 현탁액을 흐르도록 분무하고 건조시켰다.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 (Pseudomonas syringae)를 함유하는 물방울 5 ㎕를 두개의 토마토 잎 (Lycopersicon esculentum) 각각에 위치시켰다. 잎을 환경챔버에 넣고, 잎과 공기온도가 0℃로 평형화할 때 까지 온도를 8℃/시간의 비율로 냉각시켰다. 인프라메트릭스 (Inframetrics) 760 적외선 비데오카메라 및 기록계를 사용하여 온도가 저하함에 따른 공기, 잎 및 물방울의 온도를 기록하였다. 공기온도는 -5.0℃로 저하하였다. 모든 경우에, 소수성 입자로 처리된 잎은 결빙하지 않았으며, 그 반면에 비처리된 잎 및 친수성 처리된 잎은 결빙하였다.
도 3 내지 6은 다양한 물질 및 제제에 의한 잎 표면 상의 피복을 나타낸 것이다. 불완전한 피복이 소수성 처리에서 일어났지만, 이것은 0 내지 -5.0℃ 범위의 과냉각을 감소시키지 않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7 내지 14는 소수성 입자로 처리된 잎은 결빙하지 않은 반면에 비처리된 잎은 결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 및 16은 친수성 입자로 처리된 잎 및 프로스트쉴드 (FrostShield™)(프로스트쉴드 (FrostShield™ 4 oz/물 2 쿼트를 흐르도록 적용하였다)가 비처리된 잎과 유사하게 결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일반적으로 슈퍼코트 (Supercoat™) 제제의 평가를 나타낸다. 도 3A는 분제로 적용된 슈퍼코트 (Supercoat™)로 처리된 식물을 나타내며, 도 3B는 수 현탁액으로 적용된 슈퍼코트 (Supercoat™)로 처리된 식물을 나타내고, 도 3C는 0.5% 면실유를 함유하는 수현탁액으로 적용된 슈퍼코트 (Supercoat™)로 처리된 식물을 나타내며, 도 3D는 우선 메탄올에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물에 첨가한 3% 슈퍼코트 (Supercoat™)로 처리된 식물을 나타낸다.
도 4는 일반적으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 제제의 평가를 나타낸다. 도 4A는 분제 제제로 처리된 식물을 나타내며, 도 4B는 수현탁액으로 적용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로 처리된 식물을 나타내고, 도 4C는 0.5% 면실유를 함유하는 수현탁액으로 적용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로 처리된 식물을 나타내며, 도 4D는 우선 메탄올에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물에 첨가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로 처리된 식물을 나타낸다.
도 5는 일반적으로 슈퍼마이트 (Supermite™) 제제의 평가를 나타낸다. 상부의 식물은 분제 제제로 처리된 것이며, 중간의 식물은 수현탁액으로 적용된 슈퍼마이트 (Supermite™)로 처리된 것이고, 하단의 식물은 0.5% 면실유를 함유하는 수현탁액으로 적용된 슈퍼마이트 (Supermite™)로 처리된 것이다.
도 6은 일반적으로 사틴톤 5HB (Satintone 5HB™) 제제의 평가를 나타낸다. 상부의 식물은 분제 제제로 처리된 것이며, 중간의 식물은 수현탁액으로 적용된 사틴톤 5HB (Satintone 5HB™)로 처리된 것이고, 하단의 식물은 0.5% 면실유를 함유하는 수현탁액으로 적용된 사틴톤 5HB (Satintone 5HB™)로 처리된 것이다.
도 7은 일반적으로 분제로 적용된 슈퍼코트 (Supercoat™)로 처리된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 빙 프로토콜 중에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결빙되지 않았다. 하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현상 중에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되었으며 결빙 발열을 나타내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5.0℃에서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다. 각각의 잎 위의 원형 반점은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방울이다.
도 8은 일반적으로 메탄올 및 물에 현탁된 고체 (3% w/w)로 적용된 슈퍼코트 (Supercoat™)로 처리된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 프로토콜 중에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결빙되지 않았다. 하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현상 중에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되었으며 결빙 발열을 나타내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2.5℃에서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다. 각각의 잎 위의 원형 반점은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방울이다.
도 9는 일반적으로 0.5% 면실유를 함유하는 물 중에서 적용된 슈퍼코트 (Supercoat™)로 처리된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 프로토콜 중에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결빙되지 않았다. 하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현상 중에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되었으며 결빙 발열을 나타내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4.5℃에서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다. 각각의 잎 위의 원형 반점은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방울이다.
도 10은 일반적으로 물 중에서 적용된 슈퍼코트 (Supercoat™)로 처리된 식 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 프로토콜 중에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결빙되지 않았다. 하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현상 중에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되었으며 결빙 발열을 나타내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2.8℃에서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다. 각각의 잎 위의 원형 반점은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방울이다.
도 11은 일반적으로 메탄올에 현탁되고 물에 첨가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로 처리된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 프로토콜 중에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결빙되지 않았다. 하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현상 중에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되었으며 결빙 발열을 나타내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4.5℃에서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다. 각각의 잎 위의 원형 반점은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방울이다.
도 12는 일반적으로 0.5% 면실유를 함유하는 물 중에서 적용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로 처리된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 프로토콜 중에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결빙되지 않았다. 하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현상 중에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되었으며 결빙 발열을 나타내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4.5℃에서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다. 각각의 잎 위의 원형 반점은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방울이다.
도 13은 일반적으로 물 중에서 적용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로 처리된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 프로토콜 중에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결빙되지 않았다. 하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현상 중에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되었으며 결빙 발열을 나타내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4℃에서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다. 각각의 잎 위의 원형 반점은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방울이다.
도 14는 일반적으로 분제로 적용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로 처리된 식물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 프로토콜 중에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결빙되지 않았다. 하부의 비처리된 잎 (좌측) 및 처리된 잎 (우측)은 결빙현상 중에 나타낸 것이다. 비처리된 잎은 결빙되었으며 결빙 발열을 나타내는 반면에, 처리된 잎은 -5℃에서 결빙되지 않고 남아 있다. 각각의 잎 위의 원형 반점은 얼음 결정생성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물방울이다.
도 15는 일반적으로 결빙 프로토콜 중의 토마토 잎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에서는, 실제의 결빙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을 때인 결빙의 초기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a) 비처리, (b) 프로스트쉴드 (FrostShield™), (c) 분제로 적용된 슈퍼마이트 (Supermite™), (d) 물 중에서 적용된 슈퍼마이트 (Supermite™), (e) 0.5% 면실유를 함유하는 물 중에서 적용된 슈퍼마이트 (Supermite™), (f) 메탄올 및 물 중에 현탁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에 의한 잎을 나타내었 다. 하부에서는 -4.2℃에서 결빙하지 않은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을 제외하고는 모든 잎이 결빙하였다.
도 16은 일반적으로 결빙 프로토콜 중의 토마토 잎의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에서는, 실제의 결빙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을 때인 결빙의 초기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a) 비처리, (b) 프로스트쉴드 (FrostShield™), (c) 분제로 적용된 사틴톤 5HB (Satintone 5HB™), (d) 물 중에서 적용된 사틴톤 5HB (Satintone 5HB™), (e) 0.5% 면실유를 함유하는 물 중에서 적용된 사틴톤 5HB (Satintone 5HB™), (f) 메탄올 및 물 중에 현탁된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에 의한 잎을 나타내었다. 하부에서는 -4.2℃에서 결빙하지 않은 트란스링크 (Translink™) 77을 제외하고는 모든 잎이 결빙하였다.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구체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그의 다양한 변형은 명세서를 읽음으로써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 명백해질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러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7)

  1. 입자의 90 중량% 까지가 100 ㎛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미립상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미립상 물질이, 물방울을 지지할 수 있는 식물의 부분들 위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소수성막을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막의 두께가 1 ㎛ 내지 1,000 ㎛인, -2℃ 이하의 온도까지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미립상 물질이 소수성인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미립상 물질이 90 중량% 까지의 입자가 10 ㎛ 또는 그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미립상 물질이 친수성 코어 및 소수성 외부표면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코어가 탄산칼슘, 운모, 카올린, 벤토나이트, 피로필라이트, 실리카, 장석, 모래, 석영, 백악, 석회석, 규조토, 중정석,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레이트 및 이산화티탄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외부표면이 유기 티타네이트, 유기 지르코네이트 또는 알루미네이트 커플링제, 유기작용성 실란, 개질된 실리콘 유체 및 지방산 및 그의 염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상 물질이 3 ㎛ 또는 그 미만의 중앙 개별입자크기를 갖는 조성물.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상 물질이 소수성 처리된 탄산칼슘 및 소수성 처리된 하소된 카올린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1항의 조성물을 자체 상에 포함하는 식물.
KR1020027004097A 1999-09-30 2000-09-12 서리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KR100699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10,283 1999-09-30
US09/410,283 US6235683B1 (en) 1997-03-05 1999-09-30 Method for enhanced supercooling of plants to provide frost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920A KR20020051920A (ko) 2002-06-29
KR100699969B1 true KR100699969B1 (ko) 2007-03-28

Family

ID=2362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097A KR100699969B1 (ko) 1999-09-30 2000-09-12 서리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235683B1 (ko)
EP (1) EP1235479B1 (ko)
JP (1) JP2003516120A (ko)
KR (1) KR100699969B1 (ko)
CN (1) CN1167322C (ko)
AR (1) AR025903A1 (ko)
AT (1) ATE254835T1 (ko)
AU (1) AU7370600A (ko)
CA (1) CA2385060A1 (ko)
DE (1) DE60006856T2 (ko)
DK (1) DK1235479T3 (ko)
ES (1) ES2211604T3 (ko)
NO (1) NO318512B1 (ko)
NZ (1) NZ517744A (ko)
PL (1) PL197401B1 (ko)
PT (1) PT1235479E (ko)
RU (1) RU2002111550A (ko)
TR (1) TR200200836T2 (ko)
WO (1) WO2001022803A1 (ko)
ZA (1) ZA2002021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0097A1 (en) * 1998-10-27 2007-08-16 Schrader Lawrence 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Cracking and Water Loss from Cherries
WO2000024264A1 (en) 1998-10-27 2000-05-04 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Use of clay and lipid formulations to protect horticultural crops from sunburn and insect damage
US20050113255A1 (en) * 1998-10-27 2005-05-26 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Use of lipid formulations to protect horticultural crops
US7222455B2 (en) * 1998-10-27 2007-05-29 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cracking and water loss from cherries
EP1465492A4 (en) * 2002-01-15 2009-09-23 Kwang-Soo Choi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PLANT GROWTH CONTAINING NANOPARTICULAR TITANIUM DIOXIDE
US8188005B2 (en) * 2002-01-15 2012-05-29 Kwang-Soo Choi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plant growth containing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US6877275B2 (en) * 2002-02-19 2005-04-12 Engelhard Corporation Method of weed control
US20040121442A1 (en) * 2002-05-05 2004-06-24 Ilan Chet Fungal chitinase, poly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same, promoters of same, and uses thereof
DE10231757A1 (de) * 2002-07-13 2004-01-22 Creavis Gesellschaft Für Technologie Und Innovation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ensidfreien Suspension auf wässriger basis von nanostrukturierten, hydrophoben Partikeln und deren Verwendung
US7516573B1 (en) * 2004-04-07 2009-04-14 David Michael Glenn Method for reducing freeze and chill damage in plants
US8637091B2 (en) * 2005-05-03 2014-01-28 Tessenderlokerley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rticles resulting from processing in a slurry mix
CA2622474A1 (en) * 2005-08-11 2007-02-22 Tessenderlo Kerley, Inc. Volumizing agents
WO2008157555A1 (en) * 2007-06-18 2008-12-24 The University Of Alabama Plant cryoprotect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090064894A1 (en) * 2007-09-05 2009-03-12 Ashland Licens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Water based hydrophobic self-cleaning coating compositions
US20090156404A1 (en) * 2007-12-18 2009-06-18 Crop Microclimate Management,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Stress in Plants
RU2463782C2 (ru) * 2010-10-20 2012-10-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ЗАОЧ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толерантности пчел к переохлаждению
CN103084072A (zh) * 2013-01-19 2013-05-08 南昌航空大学 一种利用钽铌尾矿砂制备中空纤维陶瓷膜的方法
RU2522522C1 (ru) * 2013-04-05 2014-07-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Северо-Кавказский зон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адоводства и виноградарства Россельхозакадем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адовых деревьев и винограда для защиты от низких температур и весенних заморозков
US20170183101A1 (en) * 2014-03-20 2017-06-29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Pagophobic coating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s of use
CA2893563C (en) 2015-01-14 2020-04-07 The Vista Institute LLC Growth of cryo-sprouts
US10501640B2 (en) 2017-01-31 2019-12-1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Nanoporous material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s of use
CN107231908A (zh) * 2017-05-22 2017-10-10 安徽霍山县茗翠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石斛冬季养护方法
CN112005806A (zh) * 2020-09-21 2020-12-01 河北省林业和草原科学研究院 一种抵抗晚霜冻害的树木种植方法及其应用
USD976696S1 (en) 2021-01-22 2023-01-31 Ra Foods Holdings LLC Sprou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3160A (en) 1956-01-31 Solids coated with estersil
US3124505A (en) 1964-03-10 Aerosol concentrates containing a sta-
US2441423A (en) 1945-02-10 1948-05-11 Gen Electric Alkylsilicon sols and gels
US2818340A (en) 1954-04-13 1957-12-31 Du Pont Protecting animal food
US2948632A (en) 1958-04-24 1960-08-09 Minerals & Chemicals Corp Of A Surface modified kaolin clay
US3159536A (en) 1960-04-22 1964-12-01 Monsanto Co Hydrophobic siliceous insecticidal compositions
US3120445A (en) 1961-12-08 1964-02-04 Aluisi Donald Agricultural spray
US3235451A (en) 1962-03-12 1966-02-15 Fmc Corp Silica powder insecticide with glycols to reduce dustiness
BE633180A (ko) 1962-06-04
US3227657A (en) 1962-09-20 1966-01-04 Minerals & Chem Philipp Corp Glycol coated attapulgite clay and compositions including the same
DE2005190A1 (de) 1969-02-07 1970-09-03 Cabot Corp., Boston, Mass. (V.St.A.) Verfahren zur Erzeugung wasserabstoßender Oberflächen
US3964649A (en) 1975-01-30 1976-06-22 Lever Brothers Company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
US4071374A (en) 1975-06-23 1978-01-31 Gripsin Industries, Inc. Friction cosmetic gel
US4098600A (en) 1976-05-24 1978-07-04 Monsanto Company Isocyanoacylamides
US4203864A (en) 1976-06-14 1980-05-20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low temperature dispersions
JPS53127134A (en) 1977-04-12 1978-11-07 Shionogi Seiyaku Kk Antiisun tan agent for citrus fruits
JPS5529524A (en) 1978-08-21 1980-03-01 Toyo Aerosol Kogyo Kk Powdery aerosol composition
DE2844052A1 (de) 1978-10-10 1980-04-30 Degussa Waessrige dispersion einer hydrophoben kieselsaeure
US4279895A (en) 1979-07-13 1981-07-21 Arthur Carle Insecticidal natural bai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82868A (en) 1981-08-13 1983-05-10 Venture Innovations, Inc. Organophilic clay gellants
US4432160A (en) 1981-08-20 1984-02-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rganism inhibition of frost damage to plants
US4484409A (en) * 1982-03-29 1984-11-27 University Patents, Inc. Prevention of freezing at moderate supercooling using synthetic polymeric ice nucleation inhibitors
GB8301794D0 (en) 1983-01-22 1983-02-23 Fbc Ltd Insecticidal composition
US4766077A (en) 1983-09-22 1988-08-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ce nucleation deficient microorganisms by genetic manipulation
US5554521A (en) 1984-03-26 1996-09-10 Dna Plant Technology Corporation Chitinase-producing plants
JPS6136186A (ja) 1984-07-30 1986-02-20 ヤマホ工業株式会社 植物活性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705816A (en) 1984-09-20 1987-11-10 Polysar Limited Liquid mulch
US4597883A (en) 1984-11-01 1986-07-01 Lengyel Albin D Composition and method for minimizing frost damage to plants
JPS6236142A (ja) * 1985-08-09 1987-02-17 Matsushita Refrig Co 冷蔵庫の野菜貯蔵容器
US5223015A (en) 1988-07-07 1993-06-29 Shin Charles C H Cryoprotectant composition
DE3835592A1 (de) 1988-10-19 1990-04-26 Degussa Insektizide
CA1286219C (en) 1989-06-08 1991-07-16 John W. Tucker Insecticidal bait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133891A (en) 1990-04-27 1992-07-28 Rhone Poulenc Ag Co. Treatment of plants for frost protection
WO1992019101A1 (en) 1991-05-02 1992-11-12 Envirosafe Solutions Corporation Surfaces upon which insects cannot climb or alight and methods and means for their establishment
US5414954A (en) 1993-07-20 1995-05-16 Consep, Inc. Selective control of the movement of crawling insects
US5393461A (en) 1993-10-04 1995-02-28 Rtd Corporation Preparation of stable aqueous emulsions of water-insoluble particles
US5455220A (en) 1993-12-03 1995-10-03 Caudill Seed Company, Inc. Concentrated plant growth promoter composition comprising N-6-benzyladenine, an alcohol, and a metal hydroxide
US5480638A (en) 1994-02-25 1996-01-02 Erwin; Barry C. Insecticide bait composition
US5656571A (en) 1995-04-05 1997-08-12 Deerpoint Industries, Inc. Polyolefinic adjuvants
US5653054A (en) 1995-10-31 1997-08-05 Frost-B-Gone, Inc. Process for preventing frost formation on plants
US5618330A (en) 1995-12-20 1997-04-08 Artozon Sylvester; Rosa I. Plant treatment compositions and process
TWI231178B (en) 1997-03-05 2005-04-21 Engelhard Corp Treated horticultural substrates
US6069112A (en) * 1997-03-05 2000-05-30 Englehard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physiological disorders without diminishing photosyn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6120A (ja) 2003-05-13
AR025903A1 (es) 2002-12-18
DK1235479T3 (da) 2004-02-23
ATE254835T1 (de) 2003-12-15
PT1235479E (pt) 2004-04-30
DE60006856D1 (de) 2004-01-08
US6235683B1 (en) 2001-05-22
PL197401B1 (pl) 2008-03-31
TR200200836T2 (tr) 2002-06-21
DE60006856T2 (de) 2004-09-02
NO20021499L (no) 2002-05-30
NO318512B1 (no) 2005-04-04
ES2211604T3 (es) 2004-07-16
CN1377222A (zh) 2002-10-30
WO2001022803A1 (en) 2001-04-05
WO2001022803A9 (en) 2002-11-28
ZA200202186B (en) 2003-08-27
EP1235479A1 (en) 2002-09-04
RU2002111550A (ru) 2004-12-27
CN1167322C (zh) 2004-09-22
KR20020051920A (ko) 2002-06-29
PL354866A1 (en) 2004-02-23
CA2385060A1 (en) 2001-04-05
EP1235479B1 (en) 2003-11-26
NO20021499D0 (no) 2002-03-26
AU7370600A (en) 2001-04-30
NZ517744A (en) 200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969B1 (ko) 서리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식물의 과냉각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US6110867A (en)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photosynthesis
US6069112A (en) Method for preventing physiological disorders without diminishing photosynthesis
TWI283163B (en) Pesticide delivery system
AU2002211330A1 (en) Pesticide delivery system
US7516573B1 (en) Method for reducing freeze and chill damage in plants
AU2005201030A1 (en) Method for enhanced supercooling of plants to provide frost protection
AU764836B2 (en) Method for preventing physiological disorders without diminishing photosynthesis
Dennis USC 154 (b) by 0 days. OTHER PUBLICATIONS
MXPA01005542A (en) Method for preventing physiological disorders without diminishing photosyn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