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045B1 -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045B1
KR100699045B1 KR1020050025378A KR20050025378A KR100699045B1 KR 100699045 B1 KR100699045 B1 KR 100699045B1 KR 1020050025378 A KR1020050025378 A KR 1020050025378A KR 20050025378 A KR20050025378 A KR 20050025378A KR 100699045 B1 KR100699045 B1 KR 100699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notebook
guide
guide rails
lif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606A (ko
Inventor
류동선
원종훈
Original Assignee
류동선
원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동선, 원종훈 filed Critical 류동선
Priority to KR102005002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04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트북본체(10)의 양측면 일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양단부에 가이드돌부(22)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0);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0) 사이에서 그 양단부가 각각의 가이드레일(20)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모니터(30)의 양측 전후면에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가이드돌부(22)가 삽입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가이드홈(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니터가 노트북본체에 대해서 일정높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눈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컴퓨터 작업에 따른 목 등의 신체적 피로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가이드레일, 스프링, 지지볼, 덮개

Description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Apparatus for going up and down of notebook computer's moni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모니터가 노트북본체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의해 모니터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이 배면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트북본체 20 : 가이드레일
21: 승강지지홈 22 : 가이드돌부
23 : 걸림턱 30 : 모니터
31 : 가이드홈 32 : 걸림돌기
33 : 스프링수용홈 40 : 승강지지돌부
41 : 스프링 42 : 지지볼
43 : 덮개 43a : 노출공
50 : 스크류 52 : 케이블
본 발명은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가 노트북본체에 대해서 분리되어 그 높낮이를 일정높이까지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사각판재 형상의 노트북본체와 사각판재 형상의 모니터의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노트북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모니터를 펼쳐도 이 모니터의 높이는 사용자가 고개를 약간 숙이고 시선을 하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높이밖에 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노트북은 모니터가 노트북본체에 고정되어 그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한 관계로 사용자들은 항상 고개를 숙이고 시선을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작업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목 등의 피로도가 상당히 심하고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가 노트북본체에 대해서 일정높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 게 눈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노트북본체의 양측면 일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양단부에 가이드돌부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서 그 양단부가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모니터의 양측 전후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돌부가 삽입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승강지지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모니터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승강지지홈으로 삽입 지지되는 승강지지돌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돌부는, 모니터의 일측면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 상기 스프링수용홈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지지볼; 및 상기 지지볼의 일부분만 외부로 탄성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이 형성되고, 스프링수용홈을 덮어 씌워 모니터에 고정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홈은 양측 가이드레일에 각각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승강지지돌부가 모니터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모니터의 하단부 일측에는 이 모니터가 상승하다가 소정높이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노트북본체(10)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레일(20)과, 이 가이드레일(20) 사이에 모니터(30)의 양측면이 지지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모니터(30)의 양측 단부를 감싸는 막대 형상으로, 그 일단부가 노트북본체(10)의 양측면 후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모니터(30)의 양측 단면과 맞닿는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승강지지홈(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모니터(30)의 양측 전후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31)으로 삽입되어 가이드레일(20)과 모니터(30)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가이드돌부(22)가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부 후면 일측에는 모니터(30)가 상승하다가 소정높이에서 모니터(30)의 걸림돌기(32)가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2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지지홈(21)은 양측 가이드레일(20)에 각각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지지돌부(40)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양단부가 각각의 가이드레일(2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모니터(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이 모니터(30)의 승강 중에 상기가이드레일(20)의 내측면과 승강지지홈(21)을 경우하는 동안 이들의 굴곡에 따라 탄력적으로 출몰되면서 모니터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소정 높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승강지지홈(21)으로 삽입 지지되어 모니터(30)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지지돌부(4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니터(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33)과, 이 스프링수용홈(33)에 배치되는 스프링(41)과, 이 스프링(41)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지지볼(42) 및 이 지지볼(42)의 일부분만 외부로 탄성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43a)이 형성되고 스프링수용홈(33)을 덮어씌워 스크류(50) 등으로 체결 고정되는 덮개(4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41)의 강도는 사용자가 모니터(30)를 손으로 잡고 승강시킬 수 있을 정도의 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지지돌부(40)는 양측 가이드레일(20)의 승강지지홈(21)에 각각 대응되도록 모니터(3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30)의 양측 전후면에는 가이드레일(20)의 가이드돌부(22)가 삽입되어 모니터(30)와 가이드레일(2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동시에 가이드레일(20)에 대한 모니터(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가 이드홈(31)이 상하방향에 대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30)의 하단부 일측에는 이 모니터(30)가 상승하다가 소정높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걸림턱(23)에 걸려 모니터(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32)가 구비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52는 노트북본체(10)와 모니터(3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모니터(30)의 양측 하단부의 수용홈(33)으로 스프링(41)과 지지볼(42)을 투입시킨 후 덮개(43)의 노출공(43a)으로 지지볼(42)이 일부분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스크류(50) 등으로 덮개(43)를 모니터(30)에 체결 고정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20)을 모니터(30)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시키고 나서 그 일단부를 다시 노트북본체(10)와 힌지 결합시켜 모니터 승강장치를 완성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가이드돌부(22)가 모니터(30)의 가이드홈(31)에 삽입되고, 모니터(30)의 걸림돌기(32)는 가이드레일(20)의 걸림턱(23)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30)를 원하는 높이만큼 상하로 승강시키면 모니터의 승강에 따라 승강지지돌부(40)의 지지볼은(42)은 가이드레일(20)의 내면과 승강지지홈(21)을 경유하는 동안 탄성적으로 출몰되다가 소정 위치의 승강지지홈(21)에 삽입되면 모니터(30)는 이 지점에서 정지하여 하방으로 자연 낙하됨이 없이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지지돌부(40)는 모니터(3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 가이드레일(20)의 승강지지홈(21)과 모니터(30)의 승강지지돌부(40) 간의 지지 결합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30)를 상방으로 계속해서 상승시키게 되면 가이드레일의 상단부 일정 지점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턱(23)에 모니터(30)의 걸림돌기(32)가 걸려 모니터(30)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모니터(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언제라도 모니터(30)를 원하는 높이만큼 승강 조작하여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모니터가 노트북본체에 대해서 일정높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눈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컴퓨터 작업에 따른 목 등의 신체적 피로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5)

  1. 노트북본체(10)의 양측면 일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양단부에 가이드돌부(22)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0)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0) 사이에서 그 양단부가 각각의 가이드레일(20)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모니터(30)의 양측 전후면에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가이드돌부(22)가 삽입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가이드홈(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승강지지홈(2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모니터(30)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승강지지홈(21)으로 삽입 지지되는 승강지지돌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돌부(40)는,
    모니터(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33);
    상기 스프링수용홈(33)에 배치되는 스프링(41);
    상기 스프링(41)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지지볼(42); 및
    상기 지지볼(42)의 일부분만 외부로 탄성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43a)이 형성되고, 스프링수용홈(33)을 덮어씌워 모니터(30)에 고정되는 덮개(43);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홈(21)은 양측 가이드레일(20)에 각각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승강지지돌부(40)가 모니터(3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모니터(30)의 하단부 일측에는 이 모니터(30)가 상승하다가 소정높이에서 상기 걸림턱(23)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KR1020050025378A 2005-03-28 2005-03-28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KR10069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378A KR100699045B1 (ko) 2005-03-28 2005-03-28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378A KR100699045B1 (ko) 2005-03-28 2005-03-28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260U Division KR200392476Y1 (ko) 2005-05-30 2005-05-30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606A KR20060103606A (ko) 2006-10-04
KR100699045B1 true KR100699045B1 (ko) 2007-03-27

Family

ID=3762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378A KR100699045B1 (ko) 2005-03-28 2005-03-28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489B1 (ko) * 2009-11-18 2011-02-22 강봉수 파티션에 장착되는 모니터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606A (ko)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0207A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US9414670B2 (en) Collapsible table having interlocking assembly
KR20060011222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100199428A1 (en) Patient bed with a retractable side barrier
KR100699045B1 (ko)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KR200392476Y1 (ko)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US7367066B1 (en) Pivotally adjustable toilet lid
KR100688445B1 (ko)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
US6925944B1 (en) Multiple-use table
KR100879401B1 (ko) 다기능 테이블
KR100911663B1 (ko) 실험실습기기 및 컴퓨터용 모니터가 자동 승하강되는 다목적 실험대
US7232195B2 (en) Drawer stop device
JP4430147B2 (ja) Oa機器収納型机
JP3669267B2 (ja) 昇降天板付きワゴンデスク
KR101762298B1 (ko)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걸림장치
CN210076914U (zh) 一种折叠桌及可升降折叠桌
KR20060035180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43788Y1 (ko) 가변형 책상을 구비한 의자
KR200476259Y1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JP3541341B2 (ja) 情報処理装置用卓のキーボード収容装置
KR0132569Y1 (ko) 컴퓨터용 키보드
JP2002253362A (ja)
KR20100000289U (ko) 도어 열림상태 유지 장치
KR20110000209U (ko) 컴퓨터용 책상
JP4656321B2 (ja) 画像読取り装置における原稿カバーの開閉装置および画像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