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891B1 -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891B1
KR100698891B1 KR1020050006711A KR20050006711A KR100698891B1 KR 100698891 B1 KR100698891 B1 KR 100698891B1 KR 1020050006711 A KR1020050006711 A KR 1020050006711A KR 20050006711 A KR20050006711 A KR 20050006711A KR 100698891 B1 KR100698891 B1 KR 10069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rinting
folding
recording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171A (ko
Inventor
구라시나히로야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인쇄 테이프의 기록 테이프층(10)의 기록면에 인쇄하기 위한 캐릭터를 입력하고, 인쇄 테이프의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접는선 위치(B)를 설정한다. 설정한 접는선 위치(B)에 근거하여, 기록면의 인쇄 폭 영역(P)을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폭 영역(P)에 캐릭터를 인쇄한다.
유사 라미네이트층, 인쇄 테이프, 기록 테이프층, 절리, 접는선, 선단마크

Description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TAPE PRINTING APPARATUS AND TAPE PRIN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테이프 인쇄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인쇄 테이프의 횡단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절단 후의 인쇄 테이프의 평면도,
도 6은 라미네이트 인쇄를 할 때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설명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보조선의 종류를 도시한 절단 후의 인쇄 테이프의 평면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작성하는 작성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설 명도,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작성하는 작성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인쇄 영역을 도시한 절단 후의 인쇄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테이프 인쇄 장치 T:인쇄 테이프
10:기록 테이프층 10a:기록 테이프층 상단부
10b:기록 테이프층 하단부 11:인쇄기록편
12:절리편 13:커트선
20:유사 라미네이트층 21: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
22:투명 테이프층 B:접는선 위치
L:접는선 M:접는점
N:맞춤점 P:인쇄 폭 영역
본 발명은, 일부가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 카트리지에는,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 본을 자유롭게 풀어내도록 수용한 것(일본국 특개평 10-217550 공보)과,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인쇄 테이프, 라미네이트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자유롭게 풀어내도록 수용한 것(일본국 특개평 7-61100)이 있다. 이들 2종류의 테이프 카트리지는, 각각 전용 테이프 인쇄 장치에 투입됨으로써, 전자에서는 인쇄 테이프에의 인쇄와 테이프 커트가 행하여져 라벨이 작성되고, 후자에서는, 인쇄 테이프에의 인쇄와 라미네이트 테이프의 맞붙임과 테이프 커트가 행하여져 라미네이트된 라벨이 작성된다.
그런데, 후자의 테이프 인쇄 장치로는, 라미네이트를 생략한 테이프 카트리지를 투입함으로써, 라미네이트가 없는 라벨을 작성 가능하지만, 전자의 테이프 인쇄 장치로는, 인쇄 테이프와 라미네이트 테이프를 맞붙이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테이프를 추가 수용한 테이프 카트리지를 투입하더라도, 라미네이트된 라벨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인쇄 테이프와 라미네이트 테이프를 맞붙이는 기구가 없는 인쇄장치에서, 인쇄용의 기록 테이프와 라미네이트용의 투명 테이프가 적층한 인쇄 테이프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고, 인쇄 후에 투명 테이프를 접어 넣음으로써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작성 가능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 후에 투명 테이프를 접어넣으므로, 접어 넣기 위치에 따라서는, 인쇄면이 라미네이트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거나, 캐릭터의 인쇄 부분의 일부가 접어 넣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설정한 테이프 폭 방향의 접어 넣기 위치에 근거하여, 캐릭터의 인쇄를 적절히 행할 수 있는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장치는, 테이프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한 표면부 커트선에 의해, 한 쪽의 대략 절반부에 표면을 기록면으로 하는 인쇄기록편을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대략 절반부에 절리편을 형성한 기록 테이프층과, 기록 테이프층의 이면에 부착되고, 표면 측의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과 이면 측의 투명 테이프층을 갖는 투명한 유사 라미네이트층을 구비하고,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절리편 측의 부분을, 절리편을 제거한 후 인쇄기록편의 표면에 접어 넣어 부착함으로써 기록면의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시킬 수 있는 인쇄 테이프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로서, 기록면에 인쇄하기 위한 캐릭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는선 위치를 설정하는 접는선 설정 수단과, 설정한 접는선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면의 인쇄 폭 영역을 설정하는 폭 영역 설정 수단과, 설정된 인쇄 폭 영역에 캐릭터를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방법은, 테이프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한 표면부 커트선에 의해, 한 쪽의 대략 절반부에 표면을 기록면으로 하는 인쇄기록편을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대략 절반부에 절리편을 형성한 기록 테이프층과, 기록 테이프층의 이면에 부착되고, 표면 측의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과 이면 측의 투명 테이프층을 갖는 투명한 유사 라미네이트층을 구비하고,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절리편 측의 부분을, 절리편을 제거한 후 인쇄기록편의 표면에 접어 넣어 부착함으로써 기록면의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시킬 수 있는 인쇄 테이프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테이프 인쇄 방법으로서, 기록면에 인쇄하기 위한 캐릭터를 입력하는 입력 공정과,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는선 위치를 설정하는 접는선 설정 공정과, 설정한 접는선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면의 인쇄 폭 영역을 설정하는 폭 영역 설정 공정과, 설정된 인쇄 폭 영역에 캐릭터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설정한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는선 위치에 근거하여 인쇄 폭 영역이 설정되고, 설정된 인쇄 폭 영역 내에 캐릭터가 인쇄됨으로써 캐릭터의 일부가 라미네이트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되어, 캐릭터의 인쇄부분의 일부가 접어 넣어지지 않고, 보기 좋은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는선 위치를 테이프 폭 방향의 중간이 아니라, 그 전후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어 넣기 후의 인쇄 테이프의 폭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테이프에서는,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접어 넣기 전의 테이프 폭의 1/2이 되는 표준 접기 외에, 1/2이상이 되는 겹침 부족 접기와, 1/2이하가 되는 이면 말아넣어 접기가 허용되고, 접는선 설정 수단은,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는선 위치를 지시한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접어 넣기 전의 테이프 폭의 1/2이 되는 표준 접기와 비교하여, 겹침 부족 접기에서는, 테이프 폭을 길게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이면 말아넣어 접기에서는, 테이프 폭을 짧게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에 근거하여 접는선 위치가 설정되므로, 유저가 원하는 테이프 폭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접는선 위치가 설정 가능해진다.
또, 이 경우의「표준 접기」란, 테이프 폭 방향 중간의 위치를 접어 넣기 위치로 하여, 접어 넣기편(片)이 피 접어 넣기편을 과부족 없이 덮도록 접어 넣는 것을 의미하고, 「겹침 부족 접기」란, 테이프 폭 방향 중간의 위치로부터 접어 넣기편 측을 접어 넣기 위치로 하여, 피접어 넣기편의 일부가 노출한 상태가 되도록 접어 넣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면 말아넣어 접기」란, 테이프 폭 방향 중간의 위치로부터 피 접어 넣기편 측을 접어 넣기 위치로 하여, 접어 넣기편의 일부(선단부)를 피 접어 넣기편의 이면에 말아넣도록 접어 넣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우, 인쇄 수단은, 겹침 부족 접기로 되는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인쇄면에, 캐릭터와 함께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어 넣기 선단 위치를 지표하는 선단 마크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사 라미네이트층을 접어 넣을 때에,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어 넣기 선단이 되는 위치에 선단 마크가 인쇄되므로, 유저는, 그 마크에 맞추어 라미네이트층의 절리편 측 부분을 접어 넣음으로써, 원하는 폭의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선단 마크는, 캐릭터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인쇄한 점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단 마크가 인쇄된 캐릭터와 겹치는 일이 없고, 또한 눈에 띄기 어렵기 때문에, 테이프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이들의 경우, 인쇄 수단은, 겹침 부족 접기로 되는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절리편의 표면에, 캐릭터와 함께 접는선 위치를 지표하는 접는선 마크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인쇄 수단은, 이면 말아넣어 접기로 되는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인쇄면에, 캐릭터와 함께 접는선 위치를 지표하는 접는선 마크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사 라미네이트층을 접어 넣을 때에, 접는선이 되는 위치에, 접는선 마크가 인쇄되므로, 유저는, 그 마크를 따라서 라미네이트층의 절리편 측 부분을 접어 넣음으로써, 원하는 폭의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접는선 마크는, 잘려진 후 절리편의 박리에 의해 제거되거나, 또는 접어 넣은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일부에 의해, 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의 경우, 접는선 마크는, 인쇄 테이프의 종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는선 위치에 직선이 인쇄되므로, 유저는 그 선을 따라서 라미네이트층의 절리편 측 부분을 접어 넣음으로써, 원하는 폭의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경우, 폭 영역 설정 수단은, 겹침 부족 접기로 되는 접는선 위 치가 설정된 경우에, 커트선 위치와 접어 넣은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어 넣기 선단 사이를 인쇄 폭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트선 위치와,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어 넣기 선단 사이를 인쇄 폭 영역으로서 설정하므로, 접어 넣기 후에 인쇄기록편이 라미네이트되지 않은 부분을 갖는 겹침 부족 접기에 있어서도, 라미네이트되지 않은 부분에는 인쇄가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인쇄된 캐릭터를 확실히 라미네이트하여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의 경우, 폭 영역 설정 수단은, 이면 말아넣어 접기로 되는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인쇄기록편의 피 접어 넣기 선단과 접어 넣어진 인쇄기록편의 접어 넣기 기단 사이를 인쇄 폭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어 넣기 후의 인쇄 테이프에서, 인쇄기록편의 피 접어 넣기 선단과, 인쇄기록편의 접어 넣기 기단 사이를 인쇄 폭 영역으로서 설정하므로, 인쇄기록편 측에 접는선 위치를 갖는 이면 말아넣어 접기에서도, 이면에 말아넣는 부분이 되는 인쇄기록편의 부분에는 인쇄가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접어 넣기 후에 캐릭터가 감추어지는 것과 같은 일이 없다.
또한, 이들의 경우, 캐릭터의 인쇄 사이즈를 인쇄 폭 영역에 맞추어 설정하는 사이즈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폭 영역에 따라서 인쇄 사이즈가 설정되므로, 사이즈 설정의 수고를 덜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이 우수한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경우, 인쇄 수단은, 절리편에 라미네이트 조작에 관한 조작 설명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조작 설명은, 절리 조작에 우선하여 접어 넣기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조작 설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잘못된 절리나 접어 넣기 조작을 하지 않고, 용이하게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작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장치 케이스(2)에 의해 외각이 형성되고, 장치 케이스(2)의 앞 부분 상면에는 각종 입력 키로 이루어지는 키보드(1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뒷 부분 상면에는, 그 왼쪽 부분에 개폐 뚜껑(3)이 장착되고, 그 오른쪽 부분에는 디스플레이(120)가 설치되어 있다.
키보드(110)에는, 알파벳 키군, 숫자 키군, 히라가나나 가타카나 등의 가나 키군, 및 외부문자를 불러내어 선택하기 위한 외부문자 키군 등을 포함하는 문자 키군(111) 외에, 각종 동작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 키군 등이 배열되어 있다. 기능 키군에는, 인쇄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인쇄 키(112), 캐릭터 입력 시의 데이터 확정이나 행 바꿈 및 선택 화면에 있어서의 각종 모드의 선택 지시를 위한 선택 키(113), 파일 조작이나 인쇄 폼 선택을 위한 파일 폼 키(114), 캐릭터의 서체나 장식 등의 지정을 행하기 위한 문자 모드 키(115), 캐릭터의 사이즈나 레이아 웃의 지정을 행하기 위한 단락 스타일 키(116), 및, 각각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이나 표시 화면(121)의 표시 범위를 이동시키기 위한 4개의 커서 키(117) 등이 포함된다.
개폐 뚜껑(3)의 내측에는,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하기 위한 포켓(131)이 설치되어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C)는 이 개폐 뚜껑(3)을 개방한 상태로 포켓(131)에 대하여 착탈된다. 테이프 카트리지(C)에는, 카트리지 케이스(8)의 내부에 일정한 폭(4.5mm∼48mm 정도)의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수용되어 있고, 서멀 헤드로 이루어지는 인쇄 헤드(132)가 면하는 관통 개구(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C)의 이면에는, 상이한 폭 등의 인쇄용 테이프(이하 간단히 「테이프」라고 기재한다)(T)의 종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작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포켓(131)에는, 이 구멍의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테이프 식별 센서(152)(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어, 테이프(T)의 유무(정확하게는 테이프 카트리지(C)의 장착 여부) 및 테이프(T)의 종별(정확하게는 테이프 카트리지(C)의 종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T)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으나, 그 표면이 되는 기록면에 인쇄가 행하여지는 기록 테이프층(10)과, 라미네이트용의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이 적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a 참조).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은, 관통 개구(5)의 위치에서 서로 겹쳐진 상태로 주행하는 동시에, 테이프(T)의 인쇄된 부분만이 외부로 배출되고, 잉크 리본(R)은 내부에서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헤드 유닛(133)에는 커버로 덮인 인쇄 헤드(132)가 내장되어 있고, 테이프 카트리지(C)가 장착된 상태로, 인쇄 헤드(132)가 관통 개구(5)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잉크 리본(R)의 이면에 닿고, 발열 구동되어 원하는 문자 등이 테이프(T)의 표면에 인쇄된다. 포켓(131)에는,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C)의 피 구동부가 걸어맞춤하는 플래튼 구동축(6) 및 리본 권취 구동축(7) 등이 설치되고, 이들에 의해, 이송 모터(134a)(도 3 참조)를 구동원으로 하여, 테이프 카트리지(C) 내의 테이프(T) 및 잉크 리본(R)의 이송이 행하여지고, 또한 이들에 동기하여 인쇄 헤드(132)가 구동되어, 인쇄가 행하여진다. 또한, 테이프 배출구(4)에는, 테이프(T)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터(142)가 면하고, 인쇄 완료 후, 절단 위치가 테이프 커터(142)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테이프 배출구(4)를 향하여 테이프(T)의 이송이 속행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유저가, 그 포켓(131)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한 후,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입력·편집 결과를 확인하면서 키보드(110)에 의해 원하는 문자 등(문자, 숫자, 기호, 간이도형 등의 캐릭터)의 인쇄 정보를 입력하여, 인쇄를 지시하면, 테이프 이송부(134)(도 3 참조)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C)로부터 테이프(T)를 풀어내어, 인쇄 헤드(132)에 의해 테이프(T)에 원하는 인쇄를 행하고, 인쇄된 부분은 테이프 배출구(4)로부터 수시로 외부로 송출된다. 원하는 인쇄가 완료하면, 테이프 이송부(134)는, 여백분을 포함하는 테이프 길이의 위치까지 테이프(T)의 이송을 행한 후, 그 이송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제어 블록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은, 유저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조작부(100), 인쇄용 테이프(T)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130), 인쇄 후 의 테이프(T)의 절단을 행하는 절단부(140), 각종 센서를 가지고 각종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150), 각종 드라이버를 가지고 각 부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부(160), 및 테이프 인쇄 장치(1) 내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장치 케이스(2)의 내부에는, 인쇄부(130), 절단부(140), 검출부(150) 등 외에, 도면 외의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에는, 전원 유닛 외에, 구동부(160)나 제어부(200)의 각 회로 등이 탑재되고, 도면 외의 AC어댑터 접속구나 외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니카드(nicad) 전지 등의 전지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100)는, 키보드(110)와 디스플레이(120)를 구비하고 있다. 키보드(110)는, 다양한 지령 및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입력한다. 디스플레이(120)는, 가로 방향(X방향) 약 6cm×세로 방향(Y방향) 4cm의 직사각형 형상의 내측에, 96dot×64dot의 표시 화상 테이터를 표시 가능한 표시 화면(121)을 가지고, 유저가 키보드(11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여, 캐릭터열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편집하거나, 그 결과 등을 보고 인식하거나, 키보드(110)로부터 각종 지령·선택 지시 등을 입력할 때 등에 이용된다.
인쇄부(130)는, 인쇄 헤드(서멀 헤드)(132)나 테이프 이송부(134)를 가지고, 포켓(131) 내에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C)의 테이프(T)에 인쇄를 행한다.
절단부(140)는, 테이프 커터(142)와, 이를 절단 동작시키는 커터 모터(141)와, 임의 길이 인쇄 등의 경우에 수동(매뉴얼)에 의해 테이프 커터를 절단 동작시키는 커트 버튼(1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정 길이 인쇄 등의 경우에는 자동 (오토)으로 커터 모터(141)를 구동한다. 또한, 이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모드 설정에 의해서, 자동/수동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검출부(150)는, 이송 모터(134a)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 속도 센서(151)와, 전술한 테이프 식별 센서(152)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16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61)와, 헤드 드라이버(162)와, 모터 드라이버(163)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61)는,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그 지시에 따라서, 조작부(100)의 디스플레이(120)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드라이버(162)는, 제어부(200)의 지시에 따라서, 인쇄부(130)의 인쇄 헤드(132)를 구동한다. 또한, 모터 드라이버(163)는, 인쇄부(130)의 이송 모터(134a)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 드라이버(163a)와, 절단부(140)의 커터 모터(141)를 구동하는 커터 모터 드라이버(163b)를 가지고, 마찬가지로, 각 모터를 구동한다.
제어부(200)는, CPU(210), ROM(220), 캐릭터 제너레이터 ROM(CG-ROM)(230), RAM(240), 주변 제어 회로(P-CON)(250)를 구비하고, 서로 내부 버스(26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ROM(220)는, CPU(210)에서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 영역(221)과, 후술하는 문자 사이즈 견본 데이터나 선택지 견본 데이터 외에, 색 변환 테이블, 문자 수식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영역(222)을 갖고 있다. CG-ROM(230)은,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준비되어 있는 문자 등(숫자,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한다)의 폰트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어, 문 자 등을 특정하는 코드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에, 대응하는 폰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RAM(240)은, 전원 오프 시의 백업이 되어 있어, 각종 플래그 레지스터군(241), 텍스트 데이터 영역(242), 표시 화상 테이터 영역(243), 인쇄 화상 데이터 영역(244), 묘화(描畵)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45), 외부문자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46), 문자 전개 버퍼, 인쇄 버퍼 등의 각종 버퍼 영역(247) 등의 영역을 가지고, 제어 처리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P-CON(250)에는, CPU(210)의 기능을 보충하는 동시에 주변 회로와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취급하기 위한 논리 회로가, 게이트 어레이나 커스텀LSI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장착되어 있다. 예컨대, 다양한 계시(計時)를 행하는 타이머(251) 등도 P-CON(250) 내의 기능으로서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P-CON(250)는, 검출부(150)의 각종 센서나 키보드(110)와 접속되어, 검출부(150)로부터의 전술한 각종 검출 신호 및 키보드(110)로부터의 각종 지령이나 입력 데이터 등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내부 버스(260)에 취입하는 동시에, CPU(210)와 연동하여, CPU(210) 등으로부터 내부 버스(260)에 출력된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구동부(160)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210)는, 상기 구성에 의해, ROM(220) 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P-CON(250)을 통하여 각종 검출 신호, 각종 지령,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하고, CG-ROM(230)으로부터의 폰트 데이터, RAM(240) 내의 각종 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P-CON(250)를 통하여 구동부(16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인쇄의 위치 제어나 표시 화면(121)의 표시 제어 등을 행하는 동시에, 인쇄 헤드(132)를 제어하여 소정의 인쇄 조건으로 테이프(T)에 인쇄하는 등, 테이프 인쇄 장치(1)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이용하는 테이프(T)에 대하여, 도 4a-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인쇄 테이프(T)는, 표면을 기록면으로 하는 기록 테이프층(10)과, 기록 테이프층(10)의 이면에 부착한 투명한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 테이프층(10)의 표면에는, 테이프 폭 방향 거의 중간 위치에,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커트선(13)이 들어가 있고, 도 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커트선(13)에 의해, 기록 테이프층(10)은 한 쪽의 대략 절반부가 되는 인쇄기록편(11)과, 다른 쪽의 대략 절반부가 되는 절리편(12)으로 절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절리편(12)에는, 접어 넣기 조작을 절리 조작에 우선하여 행하는 취지의 조작 설명이 미리 인쇄되어 있다(도 5 참조). 이에 의해 잘못된 절리나 접어 넣기 조작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은, 그 표면 측에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21)을, 이면 측에 투명 테이프층(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4c는, 절리편(12)을 절리한 후, 투명 테이프층(22)을 인쇄기록편(11)측에 부착시킨 테이프(T)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라미네이트 인쇄 기능에 관해서 설명을 행한다. 라미네이트 인쇄 기능을 실행하려면, 우선,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상적인 인쇄를 행하는 텍스트 입력 화면(화면 T01:이하, 「화면」을 생략)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파일 폼 키(114)를 누르고, 다음에 표시되는 화면(T02)에서, 커서「 ↑」키(117)를 조작하여, 특수 폼을 선택하고 선택 키(113)를 누른다(T03). 또한, 특수 폼 화면(T04)으로부터, 커서「↓」 키(117)를 조작하여 라미네이트 인쇄를 선택하고(T05) 선택 키(113)를 누르면,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을 선택하는 라미네이트 인쇄 초기 화면(T06)이 표시된다.
전술한 대로, 테이프 인쇄 장치(1)에 구비된 테이프 식별 센서(152)는,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C)로부터 테이프(T)의 테이프 폭이 12mm인 것을 식별하므로, 여기에서는 테이프 폭 12mm에 대응하여,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5mm가 되는 「5mm 라벨」, 마찬가지로 「6mm 라벨」, 「7mm 라벨」이 라미네이트 인쇄 초기 화면(T06)에 표시된다. 또, 「5mm 라벨」은 이면 말아넣어 접기, 「6mm 라벨」은 표준 접기, 「7mm 라벨」은 겹침 부족 접기를 각각 의미하고 있다.
다음으로 라미네이트 인쇄의 흐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테이프 폭이 12mm인 테이프(T)가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이하에 기재하는 설명은,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접어 넣기 전의 테이프 폭의 1/2이상이 되는 겹침 부족 접기를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한 제1 실시형태,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접어 넣기 전의 테이프 폭의 1/2이하가 되는 이면 말아넣어 접기를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한 제2 실시형태의 순서로 행한다.
처음에, 도 7을 참조하여 겹침 부족 접기를 행하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라미네이트 인쇄 초기 화면에서, 커서 「↓」키(117)를 조작하여, 「7mm 라벨」을 반전 표시시키고(T12), 선택 키(113)를 누르면, 캐릭터 입력 화면 (T13)이 표시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7mm 라벨」인 것에 근거하여, 접는선 위치(B)(도 9a 참조)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으나, 기록면의 인쇄 폭 영역(P)(도 9a 참조)를 설정한다. 또한, 캐릭터 입력 화면(T13)에 표시되는 입력 가이드(‘1행 째[’의 부분)은, 설정한 인쇄 폭 영역(P)에 근거하여 입력 가능한 행 수만 표시된다.
다음으로 표시된 캐릭터 입력 화면에서, 「ABCDE」의 입력을 행한다(T14). 또한, 이 때에 문자 모드 키(115)(도 2 참조) 또는 단락 스타일 키(116)(도 2 참조)를 누르면, 굵은 글씨나 이탤릭체와 같은 캐릭터의 수식이나, 「대」「소」 등의 사이즈의 지정이 가능하다.
캐릭터 「ABCDE」의 입력 후, 인쇄 키(112)를 누르면, 보조선 선택 화면(T15)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보조선 인쇄의 필요 여부 및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보조선 인쇄의 화면에서는, 1.보조선 없음 2.접는선 있음 3.접는점 있음 4.맞춤점 있음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할 수 있다. 또, 접는선 위치(B)가 절리편(12) 상에 위치하는 겹침 부족 접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2.접는선 있음 및 3.접는점 있음을 선택 불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도 8은 보조선의 종류를 도시하고 있다. 1.보조선 없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기록면에 그대로 캐릭터의 인쇄가 행하여진다(도 8a). 2.접는선 있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접는선 위치(B)에 직선 형상의 접는선(L)이 인쇄된다(도 8b). 또한, 3.접는점 있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접는선 위치(B)가 되는 직선 상의 2개소에 접어 넣 기 점(M, M)이 인쇄된다(도 8c). 또한, 4.맞춤점 있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접어 넣은 유사 라미네이트층(20)(도 4c 참조)의 접어 넣기 선단이 되는 위치의 직선 상의 2개소에, 맞춤점(N, N)이 인쇄된다(도 8d). 또, 「4.」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2.」 또는 「3.」의 복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접는선(L)이나 접어 넣기 점(M)은, 인쇄 폭 영역(P)에는 포함되지 않는 절리편(12)의 기록면에도 인쇄가 가능하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맞춤점(N, N)을 인쇄하는 것으로 하고, 보조 인쇄 선택 화면(도 7(T15))에서, 커서 「↓」키(117)를 조작하여, 맞춤점 있음을 반전 표시시키고(도 7(T16)), 인쇄 키(112) 또는 선택 키(113)를 누르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입력된 「ABCDE」의 캐릭터의 인쇄 사이즈를, 설정한 인쇄 폭 영역(P)에 맞추어 설정한 후, 테이프(T)의 기록 테이프층(10)의 기록면에 대하여 테이프 폭 방향의 센터링을 행하여 인쇄를 시작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인쇄를 시작하기 전에, 입력된 「ABCDE」의 캐릭터의 인쇄 사이즈를 설정한 인쇄 폭 영역(P)에 맞추어 설정하는 동시에 인쇄 폭 영역(P) 내에서, 테이프 폭 방향의 센터링을 행하므로, 유저가 인쇄 폭 영역(P)을 의식하여 사이즈를 지정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겹침 부족 접기의 접어 넣기의 흐름에 관해서 도 9a-9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라벨(R)은, 제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ABCDE」의 캐릭터 및 보조선이 테이프(T)의 기록 테이프층(10)의 기록면에 대하여 인쇄되고, 원하는 길이로 절단된 라벨(R)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을 7mm로 지정하였기 때문에, 접는선 위치(B)는,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도시에서는 하단부)(10a)로부터 5mm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맞춤점(N, N)은,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10mm의 위치에 인쇄되어 있다(도 9a).
우선,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를, 맞춤점(N, N)과 겹치도록 맞추어 구부려, 접는선 위치(B)에 접어 넣기 자국을 만들어 둔다(도 9b). 다음으로 접어 구부린 라벨(R)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 절리편(12)이 되는 기록 테이프층(10)의 대략 절반부를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21)으로부터 떼어낸다(도 9c). 그 후, 앞서 만들어둔 접어 넣기 자국에 근거하여 다시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을 접어 넣고, 노출한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21)을 인쇄기록편(11)의 기록면에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기록 테이프층(10)의 기록면의 인쇄기록편(11) 측에 인쇄된 「ABCDE」의 각 캐릭터가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투명 테이프층(22)에 의해서 라미네이트된, 테이프 폭이 7mm가 되는 라벨(R)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도 9d).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이면 말아넣어 접기를 행하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라미네이트 인쇄의 초기 화면에서 커서「↑」 키(117)를 조작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는「5mm 라벨」을 반전 표시시키고(T22), 선택 키(113)를 누르면, 캐릭터 입력 화면(T23)이 표시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5mm 라벨」인 것에 근거하여, 접는선 위치(B)(도 11a 참조)를 설정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기록면의 인쇄 폭 영역(P)(도 11a 참조)을 설정한다. 또한, 설정한 인쇄 폭 영역(P)에 근거하여 입력 가능한 행 수만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에서, 「ABCDE」의 입력을 행한다(T24).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이 때에 문자 모드 키(115)(도 2 참조) 또는 단락 스타일 키(116)(도 2 참조)를 누르면, 굵은 글씨나 이탤릭체와 같은 캐릭터의 수식이나 「소」「대」 등의 사이즈의 지정이 가능하다.
캐릭터 「ABCDE」의 입력 후, 인쇄 키(112)를 누르면, 보조선 선택 화면(T25)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보조선 인쇄의 필요 여부 및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보조선 인쇄 화면에서는, 1.보조선 없음 2.접는선 있음 3.접는점 있음 4.맞춤점 있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접는선을 인쇄하는데, 보조선 선택 화면(T25)에서는 디폴트로 2.접는선 있음을 반전 표시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인쇄 키(112) 또는 선택 키(113)를 누르면, 인쇄 장치(1)는, 테이프(T)의 기록 테이프층(10)의 기록면에 대하여 인쇄를 시작한다. 또, 제1 실시형태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인쇄를 시작하기 전에, 입력된 「ABCDE」의 캐릭터의 인쇄 사이즈를 설정한 인쇄 폭 영역(P)에 맞추어 설정하는 동시에, 테이프(T)의 기록 테이프층(10)의 기록면에 대하여 테이프 폭 방향의 센터링을 행하므로, 유저가 인쇄 폭 영역을 의식하여 사이즈를 지정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다음으로 이면 말아넣어 접기의 접어 넣기의 흐름에 관해서 도 11a-11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하는 라벨(R)은, 제2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캐릭터 및 보조선 인쇄가 인쇄 테이프(T)의 기록 테이프층(10)의 기록면에 대하여 행하여지고, 원 하는 길이로 절단된 라벨(R)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을 5㎜로 지정하였기 때문에, 접는선 위치(B)는,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7mm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접는선(L)은, 테이프(T)의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7mm의 위치에 인쇄되어 있다(도 11a).
먼저, 기록 테이프층(10)의 절리편(12), 및 인쇄기록편(11)의 일부분을, 접는선(L)을 따라서 접어 구부려, 접어 넣기 자국을 만들어 둔다(도 11b). 다음으로 접어 구부린 라벨(R)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 절리편(12)이 되는 대략 절반부를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21)으로부터 떼어낸다(도 11c).
그 후, 앞서 만들어둔 접어 넣기 자국에 근거하여, 접는선(L)을 따라서 접어 넣기를 행하고,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표면에 있는 노출한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21)을 기록 테이프층(10)의 인쇄기록편(11) 기록면에 부착시킨다(도 11d). 또한,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21)이 노출한 상태의 미 부착 부분(x)을, 라벨(R)의 이면에 부착한다. 이에 의해, 기록 테이프층(10)의 기록면의 인쇄기록편(11) 측에 인쇄된 「ABCDE」의 캐릭터가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투명 테이프층(22)에 의해서 라미네이트된, 라벨 폭이 5mm인 라벨(R)을 작성할 수 있다(도 11e). 또, 이면 말아넣어 접기가 되는 테이프 폭이 지정된 경우는,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21)이 노출한 상태의 미 부착 부분(x)의 접어 넣기 기단, 즉 접어 넣어진 인쇄기록편(11)의 피 접어 넣기 기단이 되는 위치에 접는선을 인쇄하여도 된다.
여기서, 전술한 인쇄 폭 영역(P)의 설정에 관해서 도 12a-12c를 참조하여 설 명한다.
인쇄 장치(1)는, 입력된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에 근거하여, 접는선 위치(B)를 설정하고, 설정한 접는선 위치(B)에 따라서 인쇄 폭 영역(P)을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테이프 폭 12mm인 테이프(T)에 대하여,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을 7mm로 하는 경우에는, 겹침 부족 접기가 되고, 접는선 위치(B)는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5mm의 위치에 설정된다(도 12a). 한편, 인쇄 폭 영역(P)은, 커트선(13)의 위치와, 접어 넣은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접어 넣기 선단이 되는 위치, 즉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10mm의 위치 사이인 4mm 부분(도 12a)이 인쇄 폭 영역(P)으로서 설정된다.
반대로, 테이프 폭 12mm인 테이프에 대하여,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을 5mm로 하는 경우에는, 이면 말아넣어 접기가 되고, 접는선 위치(B)는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7㎜의 위치에 설정된다. 한편, 인쇄 폭 영역(P)은, 인쇄기록편(11)의 피 접어 넣기 선단이 되는 위치(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12mm의 위치)와, 인쇄기록편(11)의 접어 넣기 기단이 되는 위치, 즉 접는선 위치(B)와의 사이인 5mm 부분이 인쇄 폭 영역(P)으로서 설정된다(도 12b). 이와 같이, 접는선 위치에 근거하여 인쇄 폭 영역(P)이 설정되므로, 캐릭터의 일부가 라미네이트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되거나, 캐릭터의 인쇄 부분의 일부가 접어 넣어지지 않고, 외관이 우수한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작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릭터가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투명 테이프층 (22)에 의해서 완전히 라미네이트되는 범위를 인쇄 폭 영역(P)으로서 설정하고 있으나, 라미네이트되지 않은 범위도 포함시켜 인쇄 폭 영역(P)을 설정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테이프(T)의 접어 넣기 전의 테이프 폭에 대응한,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되는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접어 넣기 전의 테이프 폭의 1/2이 되는 표준 접기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테이프 폭이 12mm인 테이프(T)에 대하여,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6mm인 테이프 폭이 선택된 경우에는, 접는선 위치(B)는 커트선(13)의 위치, 즉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6mm의 위치에 설정되고, 인쇄 폭 영역(P)은, 접는선 위치(B)와, 기록 테이프층(10)의 접어 넣기 선단부(10a)로부터 12mm의 위치 사이의 부분이 인쇄 폭 영역(P)으로서 설정된다(도 12c 참조). 그리고,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같이 라미네이트 인쇄의 화면이 천이하여 간다(도 7 또는 도 10 참조). 또한, 이 경우에는 보조선 선택 화면(T15 또는 T25 참조)을 표시하지 않고 인쇄를 행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설정한 유사 라미네이트층(20)의 접는선 위치(B)에 근거하여 인쇄 폭 영역(P)을 설정하고, 설정한 인쇄 폭 영역(P) 내에 캐릭터 및 접는선(L)을 인쇄하므로, 캐릭터의 일부가 라미네이트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되거나, 캐릭터의 인쇄 부분의 일부가 접어 넣어지지 않고, 외관이 우수한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C)에 장착되어 있는 테이프(T)가 라미네이트용 인쇄 테이프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설치하여, 라미네이트용 인쇄 테이프가 테 이프 카트리지(C)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자 사이즈 등을 지정하는 화면에서, 자동적으로,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을 지정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설정한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는선 위치에 근거하여 인쇄 폭 영역이 설정되고, 설정된 인쇄 폭 영역 내에 캐릭터가 인쇄됨으로써 캐릭터의 일부가 라미네이트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되어, 캐릭터의 인쇄부분의 일부가 접어 넣어지지 않고, 보기 좋은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하는 인쇄 테이프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3)

  1. 테이프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한 표면부 커트선에 의해, 한 쪽의 절반부에 표면을 기록면으로 하는 인쇄기록편을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절반부에 절리편을 형성한 기록 테이프층과,
    상기 기록 테이프층의 이면에 부착되고, 표면 측의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과 이면 측의 투명 테이프층을 갖는 투명한 유사 라미네이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상기 절리편 측의 부분을, 상기 절리편을 제거한 후 상기 인쇄기록편의 표면에 접어 넣어 부착함으로써 상기 기록면의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시킬 수 있는 인쇄 테이프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로서,
    상기 기록면에 인쇄하기 위한 캐릭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는선 위치를 설정하는 접는선 설정 수단과,
    설정한 접는선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면의 인쇄 폭 영역을 설정하는 폭 영역 설정 수단과,
    설정된 인쇄 폭 영역에 캐릭터를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테이프에서는,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이 접어 넣기 전의 테이프 폭의 1/2이 되는 표준 접기 외에, 1/2이상이 되는 겹침 부족 접 기와, 1/2이하가 되는 이면 말아넣어 접기가 허용되고,
    상기 접는선 설정 수단은, 상기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는선 위치를 지시한 상기 접어 넣기 후의 테이프 폭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겹침 부족 접기로 되는 상기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인쇄면에, 캐릭터와 함께 상기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어 넣기 선단 위치를 지표하는 선단 마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마크는, 상기 캐릭터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인쇄한 점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겹침 부족 접기로 되는 상기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절리편의 표면에, 캐릭터와 함께 상기 접는선 위치를 지표하는 접는선 마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이면 말아넣어 접기로 되는 상기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인쇄면에, 캐릭터와 함께 상기 접는선 위치를 지표하는 접는선 마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는선 마크는, 상기 인쇄 테이프의 종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겹침 부족 접기로 되는 상기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커트선 위치와 접어 넣은 상기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어 넣기 선단과의 사이를 상기 인쇄 폭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이면 말아넣어 접기로 되는 상기 접는선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인쇄기록편의 피(被) 접어 넣기 선단과 접어 넣어진 상기 인쇄기록편의 접어 넣기 기단과의 사이를 상기 인쇄 폭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캐릭터의 인쇄 사이즈를 상기 인쇄 폭 영역에 맞추어 설정하는 사이즈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절리편에 라미네이트 조작에 관한 조작 설명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설명은, 절리 조작에 우선하여 접어 넣기 조작을 행한다는 취지의 조작 설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13. 테이프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한 표면부 커트선에 의해, 한 쪽의 절반부에 표면을 기록면으로 하는 인쇄기록편을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절반부에 절리편을 형성한 기록 테이프층과,
    상기 기록 테이프층의 이면에 부착되고, 표면 측의 라미네이트용 점착제층과 이면 측의 투명 테이프층을 갖는 투명한 유사 라미네이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상기 절리편 측의 부분을, 상기 절리편을 제거한 후 상기 인쇄기록편의 표면에 접어 넣어 부착함으로써 상기 기록면의 라미네이트 테이프로서 기능시킬 수 있는 인쇄 테이프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테이프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면에 인쇄하기 위한 캐릭터를 입력하는 입력 공정과,
    상기 유사 라미네이트층의 접는선 위치를 설정하는 접는선 설정 공정과,
    설정한 접는선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면의 인쇄 폭 영역을 설정하는 폭 영역 설정 공정과,
    설정된 인쇄 폭 영역에 문자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방법.
KR1020050006711A 2004-02-12 2005-01-25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 KR100698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5664 2004-02-12
JP2004035664A JP4375040B2 (ja) 2004-02-12 2004-02-12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171A KR20050081171A (ko) 2005-08-18
KR100698891B1 true KR100698891B1 (ko) 2007-03-22

Family

ID=3483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711A KR100698891B1 (ko) 2004-02-12 2005-01-25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49902B2 (ko)
JP (1) JP4375040B2 (ko)
KR (1) KR100698891B1 (ko)
CN (1) CN100387435C (ko)
TW (1) TWI2480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5040B2 (ja) 2004-02-12 2009-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方法
JP4001132B2 (ja) * 2004-07-08 2007-10-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GB0814429D0 (en) 2008-08-06 2008-09-10 Dymo Nv Tape
JP5392542B2 (ja) * 2009-02-27 2014-01-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切断印を有した印刷物の作成方法、切断印を有した印刷物の作成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US20120166547A1 (en) * 2010-12-23 2012-06-28 Sharp Michael A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EP2920651B1 (en) * 2012-11-13 2019-09-18 HP Indigo B.V. Formation of a crease and an image on media
EP3022061B1 (en) * 2013-07-16 2019-06-19 Esselte IPR AB Label printer
JP6277028B2 (ja) * 2014-03-24 2018-02-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D753585S1 (en) 2014-05-08 2016-04-12 Esselte Ipr Ab Battery module for a printer
USD763350S1 (en) 2014-05-08 2016-08-09 Esselte Ipr Ab Cartridge for printer
USD775274S1 (en) 2014-05-08 2016-12-27 Esselte Ipr Ab Printer
JP6577915B2 (ja) * 2015-07-07 2019-09-18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
JP2019043017A (ja) 2017-08-31 2019-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テープロール、及びテープカセット
BE1026785B1 (de) * 2018-11-13 2020-06-16 Phoenix Contact Gmbh & Co Beschriftungsmaterial
JP7455586B2 (ja) * 2020-01-15 2024-03-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及びラベルプリンタ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551A (ja) 1999-03-31 2000-10-10 Brother Ind Ltd ラベルライター用テープ及びラベルライター
JP2001088358A (ja) 1999-09-20 2001-04-03 Muneya Inaba 表示テープ作成装置と表示テープ用テープ材
JP2003105286A (ja) 2001-09-28 2003-04-09 Oji Paper Co Ltd 積層用粘着シートおよび記録物
CN1654225A (zh) 2004-02-12 2005-08-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纸带打印装置及纸带打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097A (ja) * 1992-12-25 1994-07-12 Casio Comput Co Ltd カラー印刷テープの作製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2990480B2 (ja) 1993-08-24 1999-12-13 三菱鉛筆株式会社 ラベル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5562353A (en) * 1993-11-02 1996-10-08 Casio Computer Co., Ltd. Tape printing apparatus that calculates character sizes and line lengths
DE69535836D1 (de) 1994-11-29 2008-10-23 Seiko Epson Corp Banddruckvorrichtung
JP3365242B2 (ja) 1997-02-04 2003-01-08 マックス株式会社 テーププリンタ
JP2002240356A (ja) * 1998-02-02 2002-08-28 Casio Comput Co Ltd テープ印字装置及び印字用テープカセット
US7191023B2 (en) * 2001-01-08 2007-03-13 Cybermusicmix.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 and music mixing on a network
JP2003089242A (ja) * 2001-09-18 2003-03-25 Max Co Ltd テープ印字装置
US7213259B2 (en) * 2001-11-15 2007-05-01 Highwire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ixed-media messaging delivery system
EP1478982B1 (en) * 2002-02-27 2014-11-05 Y Indeed Consulting L.L.C. System and method that facilitates customizing medi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551A (ja) 1999-03-31 2000-10-10 Brother Ind Ltd ラベルライター用テープ及びラベルライター
JP2001088358A (ja) 1999-09-20 2001-04-03 Muneya Inaba 表示テープ作成装置と表示テープ用テープ材
JP2003105286A (ja) 2001-09-28 2003-04-09 Oji Paper Co Ltd 積層用粘着シートおよび記録物
CN1654225A (zh) 2004-02-12 2005-08-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纸带打印装置及纸带打印方法
US20050180795A1 (en) 2004-02-12 2005-08-18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tape prin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7338A (en) 2005-08-16
US7249902B2 (en) 2007-07-31
CN100387435C (zh) 2008-05-14
CN1654225A (zh) 2005-08-17
TWI248042B (en) 2006-01-21
KR20050081171A (ko) 2005-08-18
US20050197917A1 (en) 2005-09-08
JP4375040B2 (ja) 2009-12-02
JP2005225061A (ja) 2005-08-25
US20050180795A1 (en)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891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
JP4459821B2 (ja) 打刻制御方法、プログラム、点字打刻装置および文字情報処理装置
JP4609108B2 (ja) テープ処理装置、テープ処理装置のテープ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23781B1 (ko) 화상 편집 장치, 화상 편집 방법 및 인쇄 장치
KR20060048772A (ko) 인쇄 테이프와 테이프 카트리지, 및 테이프 인쇄 장치
US20090219551A1 (en) Tape Print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For Tape Printing Apparatus, Print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For Print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09039893A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24611B2 (ja) キャラクタ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並びにキャラクタ入力装置のキャラクタ入力方法
JP2007128218A (ja) 印刷画像作成装置、印刷画像作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JP3591385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方法
JP2002211068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100709968B1 (ko) 문자 정보 처리 방법 및 문자 정보 처리 장치
KR20010021250A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길이 설정 방법
US6863458B2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data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for
KR100466760B1 (ko) 라벨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0775693B1 (ko)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및 문자 정보 처리 장치
JP2003103864A (ja) ラベル作成装置およびラベル作成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4470526B2 (ja) 文字列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列表示方法
JP3554210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0203095A (ja) カラ―印刷装置
JP2011104797A (ja) 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087165A (ja) 画像作成方法、画像作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装置
JP2005246700A (ja) テープ印刷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入力方法
JP2000203132A (ja) カラ―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