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717B1 -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717B1
KR100698717B1 KR1020050112094A KR20050112094A KR100698717B1 KR 100698717 B1 KR100698717 B1 KR 100698717B1 KR 1020050112094 A KR1020050112094 A KR 1020050112094A KR 20050112094 A KR20050112094 A KR 20050112094A KR 100698717 B1 KR100698717 B1 KR 10069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weight data
classification system
start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국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717B1/ko
Priority to US11/425,952 priority patent/US20070118265A1/en
Priority to CN2006100989368A priority patent/CN197034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safety devices, e.g. airba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60R2021/01184Fault detection or diagnost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체중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차량의 시동 시 전원을 인가하는 시동 전원부와, 상기 시동 전원부를 통해 전원이 인가 될 시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체중 데이터에 따라 에어백 크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동 시 일정한 시동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일정한 시동 전원으로 인해 체중 분류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신뢰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승원 분류 시스템, IGN 전원, 에어백, 센서

Description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Advanced Classification System with ignition power use and its controll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부 20 : 시동 전원부
30 : 제어부 31 : 전원 판단부
32 : 전원 변환부 33 : 데이터 처리부
34 : 동작 상태 판단부 35 : 메모리
40 : 에어백 제어부
본 발명은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시동 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승원 분류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감지되는 체중 데이터를 산출 및 분류하여, 상기 산출 및 분류된 체중 데이터에 따라 에어백을 제어하도록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도장된 차체에 3천 여종에 이르는 내장, 계기판, 시트, 창유리, 전장품 등 실내외 의장·전장부품과 엔진, 트랜스미션, 차축 등의 유니트류를 조립·장착하며 배선·배관작업을 하여 차량으로서 완성하고 품질확인(品質確認)을 하여 상품으로서 생산된다.
또한, 자동차는 전자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자동차의 성능 향상을 위해 많은 부분에서 전자장치의 제어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엔진의 성능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의 센서가 사용되어 최적의 엔진 효율을 발생시키고 있어 차량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장치의 발달은 실제적인 엔진 구동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편의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성을 위해 승원 분류 시스템(Advanced Classification System) 또는 에어백 등이 설치되어 차량의 탑승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원 분류 시스템(Advanced Classification System)는 상기 차량의 시트에 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체중 데이터를 측정 및 분류하는 것으로서, 상기 측정 및 분류된 체중 데이터에 따라 차량 충돌 시 동작하는 에어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승원 분류 시스템(Advanced Classification System)는 탑승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센서를 동작시킬 경우 차량의 배터리 또는 시동 후 인가되는 전원(ING 전원)을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시동이 꺼진 후 배터리만으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차량의 배터리 소모가 많을 시 배터리 전원이 불안정하면 상기 탑승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센서의 오동작이 발생하여, 상기 센서의 신뢰성이 떨어지며, 배터리 소모 및 불안정한 시스템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 시동 시 인가되는 시동 전원에 따라 승원 분류 시스템을 초기화하여 감지되는 체중 데이터를 산출 및 분류하고, 상기 산출 및 분류된 체중 데이터에 따라 에어백을 제어함으로서, 시동 시 인가되는 일정한 시동 전원으로 인해 체중 분류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신뢰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은 체중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차량의 시동 시 전원을 인가하는 시동 전원부와, 상기 시동 전원부를 통해 전원이 인가 될 시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체중 데이터에 따라 에어백 크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전원부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여 자동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판단부와, 상기 전원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전원에 따라 감지부에서 감지된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데이터와 상기 에어백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 체중 데이터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동이 꺼지면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시동 시 전원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시동 전원에 따라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체중 데이터와, 에어백 크기에 따라 설정된 체중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원 분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체중 데이터를 측정하는 감지부(10)와, 차량 시동 시 전원을 인가하는 시동 전원부(20)와, 상기 시동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된 체중 데이터를 산출 및 분류하고, 상기 산출 및 분류된 체중 데이터를 통해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원 분류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에어백의 크기를 체중에 따라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10)는 체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체중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체중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10)는 체중 감지를 위해 차량 시트에 4 개의 센서가 장착되는데, 차량의 시트 앞부분 좌/우와, 뒷부분 좌/우 각각의 센서가 장착되어 탑승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체중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상기 시동 전원부(20)는 차량의 시동 시 시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3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배터리 전원과, 상기 차량의 시동 시 엔진 구동에 의해 차량 내부에 충전되는 시동 전원(IGN 전원)으로 분류되는데, 상기 시동 전원부(20)는 차량 시동 시 차량 내부에 충전되는 시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30)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시동 전원부(20)를 통해 시동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여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판단부(31)와, 상기 전원 판단부(3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인가되는 시동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32)와, 상기 변환된 시동 전원에 따라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데이터와, 상기 에어백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 체중 데이터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제 어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인가되는 전원 변환 여부, 감지부(10)에 인가되는 전원 이상유무, 상기 감지부(10)의 센서 동작 상태 등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동작 상태 판단부(34)와,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34)에서 판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판단부(31)는 상기 시동 전원부(20)에서 시동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또는 인가되지 않은 경우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전원 판단부(31)는 상기 시동 전원부(20)에서 시동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동 리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시동 전원이 인가된 후 정지되는 경우 강제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자동 리셋 신호 또는 강제 리셋 신호는 상기 감지부(10)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승원 분류 시스템을 초기화시킨다.
상기 전원 변환부(32)는 상기 시동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시동 전원을 상기 감지부(10)의 센서를 동작시키기 위해 시동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감지부(10)로 전원을 인가하여 센서를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 변환부(32)는 상기 시동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시동 전원을 5V로 변환하여 상기 감지부(10)의 센서를 동작시킨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33)는 상기 감지부(10)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체중 데이터와, 상기 에어백 크기에 따라 설정된 데이 터 값과 비교하여 체중 데이터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체중 데이터에 따라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에어백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에어백 제어부(40)는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에어백 크기를 제어한다.
상기 동작 상태 판단부(34)는 상기 시동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시동 전원에 따라 자동 리셋 신호 또는 강제 리셋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또는 상기 시동 전원이 5V로 변환되는지 또는 상기 체중을 측정하는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상태 판단부(34)는 상기 감지부(10)의 센서와, 시동 전원부(20)와, 전원 판단부(31)와, 전원 변환부(32)의 동작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각각 진단회로가 연결되어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35)는 상기 동작 상태 판단부(35)의 판단 결과를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상기 승원 분류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동 시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한다.(S1)
예를 들어, 상기 차량 시동 시 시동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또는 인가된 후 정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리셋 신호를 출력하여 승원 분류 시스 템을 초기화한다.(S2)
예를 들어, 상기 시동 시 시동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체중 데이터를 측정 및 산출하기 위해 승원 분류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자동 리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시동 전원이 인가된 후 정지 될 경우 승원 분류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강제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시동 전원이 인가 될 시 상기 센서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인가되는 시동 전원을 변환한다.(S3)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시동 시 인가되는 시동 전원으로 상기 센서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센서에 동작시킬 수 있는 5V로 변환하여 상기 센서를 동작시킨다.
상기 센서를 통해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에어백 크기에 따라 설정된 데이터 값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산출된 체중 데이터를 분류한다.(S4)
상기 산출 및 분류된 체중 데이터에 따라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에어백 크기를 제어한다.(S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차량 시동 시 인가되는 시동 전원에 따라 상기 체중 분류 시스템을 초기화하며, 감지되는 체중 데이터를 산출 및 분류하여 에어백을 제어함으로써, 시동 시 일정한 시동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일정한 시동 전원으로 인해 승원 분류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신뢰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체중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차량의 시동 시 전원을 인가하는 시동 전원부와,
    상기 시동 전원부를 통해 전원이 인가 될 시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체중 데이터에 따라 에어백 크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전원부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여 자동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판단부와, 상기 전원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전원에 따라 감지부에서 감지된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데이터와 상기 에어백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 체중 데이터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동이 꺼지면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에어백의 크기를 체중에 따라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체중을 감지하기 위해 4 개의 센서가 구비되어 시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가되는 전원 변환 여부, 감지부에 인가되는 전원 이상 유무, 상기 감지부의 동작상태 등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동작상태 판단부와,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에서 판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전원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후 시동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동 리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시동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강제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자동 리셋 신호 또는 강제 리셋 신호는 상기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을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
  8.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시동 전원이 인가 될 시 시동 전원을 5V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
  9. 시동 시 전원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시동 전원에 따라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체중 데이터와, 에어백 크기에 따라 설정된 체중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시동 전원이 인가될 시 자동 리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시동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강제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인가되는 시동 전원을 변환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변환된 시동 전원에 따라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체중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산출된 체중 데이터와, 에어백 크기에 따라 설정된 데이터를 비교 판단하여 에어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112094A 2005-11-23 2005-11-23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69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094A KR100698717B1 (ko) 2005-11-23 2005-11-23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1/425,952 US20070118265A1 (en) 2005-11-23 2006-06-22 Occupant classifying system and method of vehicle
CN2006100989368A CN1970349B (zh) 2005-11-23 2006-07-17 车辆的乘客分级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094A KR100698717B1 (ko) 2005-11-23 2005-11-23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717B1 true KR100698717B1 (ko) 2007-03-23

Family

ID=3811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094A KR100698717B1 (ko) 2005-11-23 2005-11-23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8717B1 (ko)
CN (1) CN19703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79B1 (ko) * 2008-12-02 2011-08-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무게 센서를 이용하는 차량의 승객 식별 시스템
KR101081152B1 (ko) * 2010-05-03 2011-1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승객식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4285A1 (en) * 1997-11-12 1999-05-20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weight and position of a vehicle seat occupant
US6246936B1 (en) * 1999-10-05 2001-06-12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occupant characterization method based on sensed occupant weight
US6662094B2 (en) * 2002-02-15 2003-12-09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of initially characterizing an occupant of a vehicle seat based on weight and seat belt tens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436호 *
공개특허공보 제2003-16896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0349A (zh) 2007-05-30
CN1970349B (zh)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5639B2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US8892312B2 (en) Side collision determination apparatus for vehicle and high voltage power supply shut-off apparatus
JP4179771B2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US5802480A (en) Actuation apparatus for actuating the protective devices for the safety of vehicle occupants
US7422086B2 (en) Vehicle impact sensor using both accelerometer and pressure sensing for side impact detection
KR101519665B1 (ko) 차량용 g-센서 회로 장치
JPH11286257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00698717B1 (ko) 시동 전원을 이용한 승원 분류 시스템의 제어방법
US7337048B2 (en) Vehicular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20060155504A1 (en) Device for impact sensing having at least two pressure sensors
CN100366469C (zh) 用于监控一个控制器功能的方法和诊断机构
US67296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occupant safety system based on crash severity
JP4030990B2 (ja) 乗員保護装置の通信制御装置
US91870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ccupant seat weight sensor measurement error
KR100718395B1 (ko) 차량의 승원분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0142311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01076142B1 (ko) 오토 라이트 동작 방법
CN111547002A (zh) 一种汽车安全气囊点爆的判断系统及方法
JP4106388B2 (ja) 車両内の対向したサテライトセンサでの取付けエラーの検出装置
KR20200003479A (ko) 차량용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508337B2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
US20070118265A1 (en) Occupant classifying system and method of vehicle
JP2005247179A (ja) 車両用情報記録装置
JP2000168489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H1035407A (ja) サイドエアバッ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