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579B1 - 수분 유도관을 구비한 의료용 붕대 제품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수분 유도관을 구비한 의료용 붕대 제품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579B1
KR100698579B1 KR1020060022894A KR20060022894A KR100698579B1 KR 100698579 B1 KR100698579 B1 KR 100698579B1 KR 1020060022894 A KR1020060022894 A KR 1020060022894A KR 20060022894 A KR20060022894 A KR 20060022894A KR 100698579 B1 KR100698579 B1 KR 10069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bandage
water
support layer
bandage product
rea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욱
Original Assignee
허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욱 filed Critical 허승욱
Priority to KR102006002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7Plasters use for cosmesis
    • A61F2013/00382Plasters use for cosmesis reconstructing the body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21Plasters form or structure 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97Plasters package for individual plas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 상기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된 지지층을 감싸서 이를 보호하는 보호포장; 및 상기 지지층과 상기 보호포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층의 내부에 묻힌(embedded)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포장 또는 상기 지지층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수분유도관을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이 개시된다. 또한, 보빈; 및 상기 보빈상에 복수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으로서, 상기 보빈은 수분이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수분 유동통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캐스팅 테이프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이 개시된다. 이 붕대제품은 시술이 간편하고 편리하며 강도의 균일성 및 장기보관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수분 유도관을 구비한 의료용 붕대 제품 및 그 사용방법{Medical bandage article having moisture guiding duc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100)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알루미늄 파우치(7)와 같은 밀봉용기의 한 쪽 말단이 개봉되어 있으며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기 위하여 이들을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100)의 알루미늄 파우치(7)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본 구현예에 사용되는 수분유도관(5)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 사용되는 보빈(110)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 사용되는 보빈(110)을 절단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120)의 밀봉된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 대제품(120)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의료용 캐스팅 테이프 및 의료용 부목(splint)을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시술 편리성, 장기보관성, 및 강도가 모두 우수한 의료용 캐스팅 테이프 및 의료용 부목(splint)을 포함하는 의료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거즈(gause)와 같이 헐겁게 직조된 직물에 소석고를 함침시켜 제조한 종래의 소석고붕대(plaster bandage)는, 적용이 불편하며 중량이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X-ray 투과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리섬유 직물, 폴리에스테르 직물, 폴리프로필렌 직물, 또는 상기 재료의 부직포와 같은 지지층에 수경화성 수지를 함침 및/또는 피복시킨 의료용 캐스팅 테이프 및 의료용 부목(splint)가 소석고 붕대를 거의 대체한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의료용 캐스팅 테이프 및 의료용 부목과 같은 의료용 붕대제품은 폴리에스테르 직물, 셀룰로오스 직물, 또는 유리섬유 직물과 같은 유연성 지지층에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전구체와 같은 수경화성 수지를 함침 및/또는 피복시켜서 제조되고 있다. 의료용 부목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지지층이 여러 장의 직물이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경화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반응성 시스템으로 함침 및/또는 피복된 의료용 붕대는 수분과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파우치와 같은 용기에 밀봉된 상태로 제품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료용 붕대제품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먼저, 알루미늄 파우치를 개봉한 후 고무장갑을 착용 또는 착용하지 않은 손을 이용하여 의료용 붕대제품을 꺼내어 약 18℃ 내지 약 25℃의 미지근한 물에 담가 적셔서 물이 붕대제품의 내부에까지 스며들게 하고, 여분의 물을 양손으로 수차례 짜는 방법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캐스팅 테이프 타잎의 경우에는 이를 환자의 상처부위에 감거나 또는 부목 타잎의 경우에는 이를 상처부위에 이 상처부위의 형상에 맞도록 댄 후 이 부목을 일반 붕대로 감는다. 이와 같이 시술한 후 일정시간, 예를 들면 약 10분 내지 약 30분이 경과하면 수경화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수경화성 반응성 시스템이 수분과 중합반응을 완료시킴으로써 경화되어 강성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처부위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사용방법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현재의 의료용 붕대제품의 사용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인식되고 있다.
우선, 환자에게 시술하기 전에 수경화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의료용 붕대제품을 물에 담가 적셔서 물이 붕대제품의 내부에까지 골고루 스며들게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큰 용기에 물을 담아서 준비하여야 하고 또한 여분의 물을 양손으로 짜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귀찮으며, 고무장갑을 착용 또는 착용하지 않은 손에 수경화성 수지가 끈적끈적하게 달라붙을 수 있다.
둘째, 1) 의료용 캐스팅 테이프 타잎의 경우 시술후의 캐스트의 강도를 확보 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상처부위에 여러 겹 중첩하여서 감기 때문에 테이프들끼리는 잘 붙어야 하며, 2) 반면에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로부터 시술을 위하여 캐스팅 테이프가 잘 풀려야 하며 상처부위에 감긴 후에는 잘 미끌어져야 시술하기 편리하며 손에도 잘 달라붙지 않지만, 1) 및 2)는 서로 상충되기 때문에 어느 한 측면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측면은 희생되어야 하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의 딜레마가 있다.
셋째, 의료용 붕대제품을 시술한 후에 약 30초 내지 약 5분 사이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경화가 어느 정도 완료되어서 캐스트 또는 부목이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상기 수경화성 반응시스템내에는 중합반응을 촉진하는 촉매가 포함되어 있으나 이는 의료용 붕대제품의 장기보관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5-0081471호 및 미국 공개특허공보 2005/0182345호가 있다. 이들은 a) 부목의 형태의 수경화성 정형외과용 캐스팅 재료, 및 b) 수분 함유 겔을 포함하는 작은 용기가 큰 용기내에 밀봉된 상태로 제공되는 통합형 정형외과용 붕대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붕대시스템은 시술에 앞서 상기 큰 밀봉용기를 개봉하여 a) 캐스팅 재료 및 b) 작은 용기를 꺼낸 후, 상기 작은 용기를 또 개봉하여 수분함유겔을 상기 캐스팅 재료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수경화반응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 통합형 붕대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끈적끈적한 수분함유겔이 캐스팅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접촉하기 때문에 캐스팅 재료의 표면과 내부에 함침되는 수분량이 차이가 커서 결과적으로 캐스 팅 재료 표면과 내부의 강도의 차이가 크다.
둘째, 수분함유겔을 제조하기 위하여 겔을 형성할 수 있는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별도의 수지가 필요하며 또한 이를 물에 용해시켜서 상기 b) 수분 함유 겔을 포함하는 작은 용기에 밀봉하는 별도의 제조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 코스트가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한 선행 기술의 의료용 붕대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의료용 붕대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성 및 풀림성의 상충하는 특성이 잘 조화되어 시술이 간편하고 편리한 의료용 붕대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 후의 의료용 캐스트 또는 의료용 부목의 강도의 균일성이 우수한 의료용 붕대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보관성이 우수한 의료용 붕대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한 의료용 붕대제품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구현예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
상기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된 지지층을 감싸서 이를 보호하는 보호포장; 및
상기 지지층과 상기 보호포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층의 내부에 묻힌(embedded)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포장 또는 상기 지지층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수분유도관을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상기 수분유도관은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분유도관의 측면부 또는 상기 주입구측 말단부의 반대측 말단부에는 주입된 물이 상기 지지층 내부로 배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유도관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소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상기 지지층은 하나의 편성포 또는 제직포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편성포 또는 제직포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은 소정 사이즈로 미리 재단되어 있는 프리-컷 타잎의 부목(splint) 또는 의료용도에 적합한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펼쳐진 평면상태로 상기 알루미늄에 의하여 밀봉되어 롤 상(roll 狀)으로 감겨져 있는 롤 타잎의 부목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보빈; 및
상기 보빈상에 복수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으로서,
상기 보빈은 수분이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수분 유동통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캐스팅 테이프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상기 수분 유동통로는 상기 보빈의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유동통로와, 상기 제1 유동통로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의 반지름 방향으로 상기 캐스팅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상기 보빈의 측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유동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은 중심의 알루미늄박층의 양면이 고분자수지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알루미늄 파우치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보빈; 상기 보빈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 및 상기 보빈 및 캐스팅 테이프를 밀봉하는 밀봉용기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으로서,
상기 캐스팅 테이프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 및
상기 밀봉용기를 관통하여 상기 캐스팅 테이프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수분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상기 수분유도관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상기 수분유도관은 상기 밀봉용기의 바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탈착가능한 밀봉수단으로 밀봉되어 있는 수분주입구를 가지며, 또한 그 측면부 또는 상기 주입구측 말단부의 반대측 말단부에는 주입된 물이 상기 지지층 내부로 배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상기 지지층은 편성포 또는 제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상기 반응시스템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의 수분유도관 또는 수분 유동통로의 주입구에 상기 반응시스템의 경화반응을 개시하기 위하여 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용 붕대를 환자의 상처부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물을 주입하는 단계는 시린지, 관장기, 또는 자동주입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주입되는 물은 상기 반응시스템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의 수경화촉매, 0.1 내지 5중량%의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의 소독제, 0.1 내지 5중량%의 항균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붕대는 종래와 같이 의료용 붕대를 물에 담근 후 여분의 물을 양손으로 짜낸 후 시술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경화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만을 상기 수분유도관 또는 수분 유동통로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함으로써 적정량의 수분만이 의료용 붕대의 내부로부터 균일하게 스며들게 한 후 시술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사용하면, 붕대제품을 다량의 물에 담근 후 짜내는 과정이 필요없으며 또한 의료용 붕대제품의 내부에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된 후에 이를 풀어서 시술하거나 또는 밀봉용기로부터 꺼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접착성 및 풀림성의 상충하는 특성이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또한 의료용 붕대제품의 내부로부터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된 상태에서 시술하기 때문에 경화완료후의 의료용 캐스트 또는 의료 용 부목의 강도의 균일성이 우수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되었던 수경화촉매,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약품을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시키지 않고 사용시 물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물에 용해시켜서 의료용 붕대제품 내부로 공급하면 되므로 의료용 붕대제품의 장기보관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100)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알루미늄 파우치(7)와 같은 밀봉용기의 한 쪽 말단이 개봉되어 있으며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기 위하여 이들을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의료용 붕대제품(100)은 지지층(1), 이 지지층(1)에 함침 또는 피복되어 있는 반응시스템(미도시), 보호포장(3), 수분유도관(5), 및 알루미늄 파우치(7)를 구비한다.
지지층(1)은 반응시스템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편성포 또는 제직포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층(1)은 의료용 부목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를 갖는 한 층의 편성포 또는 제직포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복수 개의 얇은 편성포 또는 제직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복수 층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지지층(1)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층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개 ~ 10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층(1)으로서는 편성포 또는 제직포 이외에 부직포도 사용될 수 있다. 지지층(1)을 이루어는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리섬유,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섬유, 등의 천연 및 인조섬유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시스템은 지지층(1)에 함침 또는 피복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 반응시스템은 밀봉된 상태로 실질적으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보호포장(3)은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된 지지층(1)을 감싸서 이를 보호하며 또는 시술시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포장(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1)의 상부면 및 하부면 만을 덮고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지지층(1)의 상부면, 하부면, 및 양 측면을 모두 덮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보호포장(1)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천연섬유 또는 인조섬유로 이루어진 얇은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적당한 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층인 것이 지지층으로 주입된 물에 의하여 보호포장이 물에 젖지 않기 때문에 시술편리성이 좋고, 또한 환자피부에 수분이 접촉하지 않으므로 피부감염, 피부손상 및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분유도관(5)은 지지층(1)과 보호포장(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1)의 내부에 묻힌(embedded) 상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수분유도관(5)은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호포장(3) 또는 지지층(1)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수분유 도관(5)은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수분이 지지층(1) 내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파우치(7)는 상기한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되어 있는 지지층(1), 보호포장(3), 및 수분유도관(5)을 모두 수납하여 이를 밀봉한다. 알루미늄 파우치(7)는 중심의 알루미늄박층의 양면이 고분자수지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된 반응시스템 등을 대기중의 수분 및 공기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한다.
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100)은 소정 사이즈로 미리 재단되어 있는 프리-컷 타잎의 부목(splint) 또는 의료용도에 적합한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펼쳐진 평면상태로 알루미늄 파우치(7)에 의하여 밀봉되어 롤상으로 감겨져 있는 롤 타잎의 부목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100)의 알루미늄 파우치(7)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응시스템(미도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되어 있는 지지층(1), 지지층(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덮고 있는 보호포장(3), 및 지지층(1)에 묻힌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수분유도관(5)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지지층(1) 내에 묻혀 있는 수분유도관(5)의 주입구를 통하여 반응시스템을 수경화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주입하면 배출구(9)를 통하여 물이 지지층(1)내에 균일하게 스며드는 상황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알루미늄 파우치(7)를 개봉한 후 보호포장(3)으로 덮혀 있는 지지층(1) 내에 묻혀 있는 수분유도관(5)의 주입구를 통하여 반응시스템을 수경화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주입한다. 이때 물을 주입하는 조작은 시린지, 관장기, 또는 병원에서 주사기 대신에 사용되는 자동주입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배출구(9)를 통하여 적당량의 물만이 수경화성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되어 있는 지지층(1)내에 균일하게 스며들어 반응시스템의 수경화반응을 균일하게 개시하게 된다. 계속해서 보호포장(3)을 벗겨낸 후 지지층(1)을 환자의 상처부위에 댄 후 이 상처부위의 형상에 맞게 지지층(1)을 성형하고 일반적인 탄성 붕대로 감으면 시술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를 이용하여 시술하면, 종래와 같이 의료용 붕대를 물에 담근 후 여분의 물을 양손으로 짜내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수경화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만을 수분유도관(5)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함으로써 적정량의 수분만이 의료용 붕대의 내부로부터 균일하게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는 경화 완료후의 부목의 강도의 균일성이 우수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되었던 수경화촉매,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약품을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시키지 않고 시술시 수분유도관(5)에 주입되는 물에 용해시켜서 의료용 붕대제품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의료용 붕대제품(100)의 장기보관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본 구현예에 사용되는 수분유도관(5)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수분유도관(5)은 측면부에 주입된 물이 지지층(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9)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배출구(9)는 주입구측 말단부와 대향하는 반대측 말단부에도 구비될 수 있으나, 지지층(1)의 내부로 물이 균일하게 스며들게 하기 위해서는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9)는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은 보빈; 및 상기 보빈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으로서, 상기 보빈은 수분이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수분 유동통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캐스팅 테이프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 사용되는 보빈(110)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보빈(110)상에는 캐스팅 테이프(미도시)가 감겨져 있으며, 이와 같이 캐스팅 테이프로 감겨진 보빈이 도 1에 도시된 알루미늄 파우치와 같은 밀봉용기에 수납된 것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보빈(110)은 수분이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수분 유동통로를 포함한다. 이 수분 유동통로는 보빈(110)의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유동통로(10)와, 제1 유동통로(10)와 연통되어 있으며 보빈(110)의 반지름 방향으로 보빈(110)의 측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유동통로(12)를 포함한다. 제2 유동통로(12)는 보빈(110)의 측면부에 제1 유동통로(10)를 통하여 흘러온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4)를 구비한다.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된 물은 보빈(110)상에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미도시)의 수경화성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되어 있는 지지층(미도시)내에 균일하게 스며들어 반응시스템의 수경화반응을 균일하게 개시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 사용되는 보빈(110)을 절단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빈(110)의 수분 유동통로를 구성하는 제1 유동통로(10), 제2 유동통로(12), 및 배출구(14)의 연통관계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캐스팅 테이프를 구성하는 지지층(미도시), 및 이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미도시)은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의 경우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구현예에 따른 붕대제품은 캐스팅 테이프로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통상적으로 지지층은 3층 이하, 바람직하게는 1층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알루미늄 파우치와 같은 밀봉용기를 개봉한 후 보빈(110)의 제1 유동 통로(10)를 통하여 반응시스템을 수경화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주입한다. 이때 물을 주입하는 조작은 시린지, 관장기, 또는 자동주입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입된 물은 제2 유동통로(12) 및 배출구(14)를 통하여 보빈(110)에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된 물은 보빈(110)상에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의 수경화성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되어 있는 지지층내에 균일하게 스며들어 반응시스템의 수경화반응을 균일하게 개시하게 된다. 계속해서 환자의 상처부위상의 스토키넷(stockinet)의 한 층 또는 두 층을 벗겨내고 경우에 따라서는 압력이 집중되는 곳 또는 뼈가 돌출된 부위에 부가적인 패팅을 댄다. 그리고 그 위에 상처부위의 형상에 맞게 캐스팅 테이프를 나선상으로 잘 감고 캐스팅 테이프의 표면을 잘 문질러서 캐스팅 테이프의 감겨진 층들이 잘 붙도록 하면 시술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이용하면, 종래와 같이 의료용 붕대를 물에 담근 후 여분의 물을 양손으로 짜낸 후 시술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경화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만을 수분 유동통로(10, 12)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함으로써 적정량의 수분만이 보빈에 감겨진 안쪽 층의 캐스팅 테이프로부터 바깥층의 캐스팅 테이프로 균일하게 스며들게 한 후 시술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사용하면, 붕대제품을 다량의 물에 담근 후 짜내는 과정이 필요없으며 또한 캐스팅 테이프의 내부에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된 후에 이를 풀어서 시술하기 때문에 접착성 및 풀림성의 상충하는 특성이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시술이 간편하 고 편리하다. 또한, 캐스팅 테이프의 내부로부터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된 상태에서 시술하기 때문에 경화완료후의 의료용 캐스트의 강도의 균일성이 우수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되었던 수경화촉매,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약품을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시키지 않고 사용시 물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물에 용해시켜서 의료용 붕대제품 내부로 공급하면 되므로 의료용 붕대제품의 장기보관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은, 보빈; 상기 보빈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 및 상기 보빈 및 캐스팅 테이프를 밀봉하는 밀봉용기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으로서, 상기 캐스팅 테이프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 및 상기 밀봉용기를 관통하여 상기 캐스팅 테이프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수분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120)의 밀봉된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빈(미도시), 및 상기 보빈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미도시)를 밀봉하는 밀봉용기(24)가 도시되어 있다. 밀봉용기(24)의 상부면에는 이 밀봉용기(24)를 관통하여 캐스팅 테이프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수분유도관(26)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밀봉용기 (24)의 하부면에도 수분유도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수분유도관(26)은 밀봉용기(24)의 바깥으로 노출된 말단부가 탈착가능한 밀봉수단, 예를 들면 캡(28)으로 밀봉되어 있는 주입구를 형성한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120)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밀봉용기(24)의 내부에는 실린더 형상의 보빈(20), 및 보빈(20)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22)를 밀봉되어 있으며, 밀봉용기(24)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수분유도관(26)이 캐스팅 테이프(22)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수분유도관(26)의 측면부 또는 상기 주입구측 말단부를 대향하는 반대측 말단부에는 주입된 물이 캐스팅 테이프(22)의 지지층 내부로 배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28)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캐스팅 테이프를 구성하는 지지층, 및 이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의 경우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또 다른 구현예의 붕대제품은 캐스팅 테이프로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통상적으로 지지층은 3층 이하, 바람직하게는 1층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캡(28)을 열고 수분유도관(26)의 주입구를 통하여 반응시스템을 수경화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주입한다. 이때 물을 주입하는 조작은 시린지, 관장기, 또는 자동주입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입된 물은 배출구(28)를 통하여 보빈(20)에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22)의 지지층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된 물은 보빈(20)상에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의 수경화성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되어 있는 지지층 내에 균일하게 스며들어 반응시스템의 수경화반응을 균일하게 개시하게 된다. 계속해서 환자의 상처부위상의 스토키넷(stockinet)의 한 층 또는 두 층을 벗겨내고 경우에 따라서는 압력이 집중되는 곳 또는 뼈가 돌출된 부위에 부가적인 패팅을 댄다. 그리고 그 위에 상처부위의 형상에 맞게 캐스팅 테이프를 나선상으로 잘 감고 캐스팅 테이프의 표면을 잘 문질러서 캐스팅 테이프의 감겨진 층들이 잘 붙도록 하면 시술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이용하면, 종래와 같이 의료용 붕대를 물에 담근 후 여분의 물을 양손으로 짜낸 후 시술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경화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만을 수분유도관(26)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함으로써 적정량의 수분만이 보빈(20)에 감겨진 안쪽층의 캐스팅 테이프로부터 바깥층의 캐스팅 테이프로 균일하게 스며들게 한 후 시술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사용하면, 붕대제품을 다량의 물에 담근 후 짜내는 과정이 필요없으며 또한 캐스팅 테이프의 내부에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된 후에 이를 풀어서 시술하기 때문에 접착성 및 풀림성의 상충하는 특성이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시술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또한, 캐스팅 테이프의 내부로부터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된 상태에서 시술하기 때문에 경화완료후의 의료용 캐스트의 강도의 균일성이 우수하다. 또한 통 상적으로 상기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되었던 수경화촉매,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약품을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시키지 않고 사용시 물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물에 용해시켜서 의료용 붕대제품 내부로 공급하면 되므로 의료용 붕대제품의 장기보관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에서 반응시스템은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상태로 밀봉되어 있는데, 이는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경화성 반응시스템의 전형적인 조성물의 예는 수분과 접촉하는 경우에서 중합반응을 일으켜 폴리우레탄을 형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올 화합물, 및 이들의 저장상태에서의 중합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사용가능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올 화합물, 안정제 등 수경화성 반응시스템의 종류, 조제방법, 등에 관한 상세한 것은 미국특허 4,411,262호, 미국특허 4,502,479호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반응시스템의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143LK, 다우케미칼사) 210.3g,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오리네이트-80, 화인케미칼) 50g,
평균분자량 2,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2000, 미원유화) 105g,
평균분자량 3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3000, 미원유화) 372g, 및
인산(안정제) 0.3g.
상기한 본원 발명의 의료용 붕대제품을 사용하는 데 주입되는 물은 물 이외에 상기 반응시스템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의 수경화촉매, 0.1 내지 5중량%의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의 소독제, 및/또는 0.1 내지 5중량%의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수경화촉매, 및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사용방법에 대하여는 상기한 특허문헌을 참조하면 된다. 소독제는 의료용 붕대제품을 시술에 앞서서 소독하기 위한 것이다. 소독제는 반응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독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성광제약에서 공급되는 염화벤잘코늄액, 염산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액 등을 들 수 있다. 항균제는 경화후의 캐스트 또는 부목에 환자가 착용하는 동안 적어도 약 2주 내지 약 3개월 동안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피부감염을 방지하는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가능한 항균제로서는 반응시스템의 경화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항균제로서는 유기 항균제와 무기 항균제가 있다. 유기 항균제는 일시적으로는 항균력이 무기 항균제에 비해 높으나 항균력 지속성은 매우 짧으며, 내성균을 발생시킬 우려와 함께 급성독성이 높기 때문에 인체 안전성에 문제점이 야기할 수 있으므로, 무기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항균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주로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실리카겔 등과 같은 무기물에 항균작용을 하는 금속이온인 은, 아연, 구리 등을 치환시켜 만든 제품을 들 수 있다. 무기 항균제는 일시적인 항균력은 유기 항균제보다는 낮지만 인체 안전성이 높고, 내성균이 나타 나지 않으며, 항균지속기간도 거의 반영구적인 특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 종래와 같이 의료용 붕대를 물에 담근 후 여분의 물을 양손으로 짜낸 후 시술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경화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만을 상기 수분유도관 또는 수분 유동통로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함으로써 적정량의 수분만이 의료용 붕대의 내부로부터 균일하게 스며들게 한 후 시술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붕대제품을 사용하면, 붕대제품을 다량의 물에 담근 후 짜내는 과정이 필요없으며 또한 의료용 붕대제품의 내부에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된 후에 이를 풀어서 시술하거나 또는 밀봉용기로부터 꺼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접착성 및 풀림성의 상충하는 특성이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2) 의료용 붕대제품의 내부로부터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된 상태에서 시술하기 때문에 경화완료후의 의료용 캐스트 또는 의료용 부목의 강도의 균일성이 우수하다.
(3) 통상적으로 상기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되었던 수경화촉매,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약품을 수경화 반응시스템내에 포함시키지 않고 사용시 물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물에 용해시켜서 의료용 붕대제품 내부로 공급하면 되므로 의료용 붕대제품의 장기보관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21)

  1.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
    상기 반응시스템으로 함침 또는 피복된 지지층을 감싸서 이를 보호하는 보호포장; 및
    상기 지지층과 상기 보호포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층의 내부에 묻힌(embedded)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포장 또는 상기 지지층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수분유도관을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도관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도관의 측면부 또는 상기 주입구측 말단부의 반대측 말단부에는 주입된 물이 상기 지지층 내부로 배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복수 개의 편성포 또는 제직포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스템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은 중심의 알루미늄박층의 양면이 고분자수지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알루미늄 파우치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은 소정 사이즈로 미리 재단되어 있는 프리-컷 타잎의 부목(splint) 또는 의료용도에 적합한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펼쳐진 평면상태로 상기 알루미늄 파우치에 의하여 밀봉되어 롤상으로 감겨져 있는 롤 타잎의 부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8. 보빈; 및 상기 보빈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으로서,
    상기 보빈은 수분이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수분 유동통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캐스팅 테이프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 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유동통로는 상기 보빈의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유동통로와, 상기 제1 유동통로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의 반지름 방향으로 상기 캐스팅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상기 보빈의 측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유동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편성포 또는 제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스템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은 중심의 알루미늄박층의 양면이 고분자수지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알루미늄 파우치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3. 보빈; 상기 보빈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감겨져 있는 캐스팅 테이프; 및 상기 보빈 및 캐스팅 테이프를 밀봉하는 밀봉용기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으로서,
    상기 캐스팅 테이프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함침 또는 피복된 반응시스템으로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는 경화하여 강성(rigid)의 자기유지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시스템; 및
    상기 밀봉용기를 관통하여 상기 캐스팅 테이프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수분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도관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도관은 상기 밀봉용기의 바깥으로 노출된 말단부가 탈착가능한 밀봉수단으로 밀봉되어 있는 주입구를 형성하며, 또한 그 측면부 또는 상기 주입구측 말단부의 반대측 말단부에는 주입된 물이 상기 지지층 내부로 배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편성포 또는 제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스템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붕대제품은 항균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제품.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료용 붕대제품의 수분유도관 또는 수분 유동통로의 주입구에 상기 반응시스템의 경화반응을 개시하기 위하여 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용 붕대를 환자의 상처부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붕대제품의 사용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물을 주입하는 단계는 시린지, 관장기, 또는 자동주입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의 사용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되는 물은 상기 반응시스템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의 수경화촉매, 0.1 내지 5중량%의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의 소독제, 0.1 내지 5중량%의 항균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붕대의 사용방법.
KR1020060022894A 2006-03-11 2006-03-11 수분 유도관을 구비한 의료용 붕대 제품 및 그 사용방법 KR10069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894A KR100698579B1 (ko) 2006-03-11 2006-03-11 수분 유도관을 구비한 의료용 붕대 제품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894A KR100698579B1 (ko) 2006-03-11 2006-03-11 수분 유도관을 구비한 의료용 붕대 제품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579B1 true KR100698579B1 (ko) 2007-03-21

Family

ID=4156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894A KR100698579B1 (ko) 2006-03-11 2006-03-11 수분 유도관을 구비한 의료용 붕대 제품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94B1 (ko) 2006-09-18 2008-01-30 비엘테크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부목 및 그 제조방법
JP2021511840A (ja) * 2018-01-09 2021-05-13 ジョイント イノベ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エルエルシー 自己硬化性整形外科用副子及びその適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640Y1 (ko) 2003-06-19 2003-09-17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부목
KR20040088089A (ko) * 2003-04-08 2004-10-16 이영찬 3중 수분경화 내부 직물재로 구성된 의료용 부목
US20050182345A1 (en) 2004-02-13 2005-08-18 Beta Holdings, Inc. Integrated orthopedic bandag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089A (ko) * 2003-04-08 2004-10-16 이영찬 3중 수분경화 내부 직물재로 구성된 의료용 부목
KR200326640Y1 (ko) 2003-06-19 2003-09-17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부목
US20050182345A1 (en) 2004-02-13 2005-08-18 Beta Holdings, Inc. Integrated orthopedic bandag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50081471A (ko) * 2004-02-13 2005-08-19 베타 홀딩스, 인크. 통합형 정형외과용 붕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94B1 (ko) 2006-09-18 2008-01-30 비엘테크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부목 및 그 제조방법
JP2021511840A (ja) * 2018-01-09 2021-05-13 ジョイント イノベ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エルエルシー 自己硬化性整形外科用副子及びその適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54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й повязки
JP6688733B2 (ja) コンフォーマルカバーを含む外傷性創傷ドレッシングシステム
US5480377A (en) Wound dressing having a roll configuration
US4770299A (en) Roll form medical bandaging product
CN1705463B (zh) 敷料产品及其成型方法
US4899738A (en) Roll form medical bandaging product
CA2109981C (en) Wound dressing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deep wounds
RU2628061C2 (ru) Система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CA2186781A1 (en) Medical articles
JPH06285145A (ja) ヒドロゲルガーゼ
JP4875631B2 (ja) 低密度医療用包帯基材、医療用包帯及び医療用包帯製品
CA2447259A1 (en) Knitted substrate for use in medical bandaging product, bandaging produc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EP3096726B1 (en) Traumatic wound dressing system with wrap
CA2081132C (en) Rope-shaped wound dressing
KR100698579B1 (ko) 수분 유도관을 구비한 의료용 붕대 제품 및 그 사용방법
AU2003251976B2 (en) Knitted substrate with high and low tenacity yarns for use in bandaging product, bandaging product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4141898B2 (ja) 創傷保護剤の製造方法
US9427489B2 (en) Spray foam splint
KR200485980Y1 (ko) 정형외과용 부목 키트
MXPA06011061A (es) Producto de vendaje medico en forma de rollo, material de vendaje medico, metodo para construir el mismo y metodo de vendaje.
JP3099435U (ja) 創傷保護絆創膏
WO2005046512A3 (en) Medical bandage product and substrate with para-aramid fiber reinforcement
KR100499016B1 (ko) 3중 수분경화 내부 직물재로 구성된 의료용 부목
JP2004016760A (ja) 薬剤内包型貼付剤
US20060200058A1 (en) Knitted substrate with high and low tenacity yarns for use in bandaging product, bandaging product and method of form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