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313B1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313B1
KR100698313B1 KR1020050084103A KR20050084103A KR100698313B1 KR 100698313 B1 KR100698313 B1 KR 100698313B1 KR 1020050084103 A KR1020050084103 A KR 1020050084103A KR 20050084103 A KR20050084103 A KR 20050084103A KR 100698313 B1 KR100698313 B1 KR 10069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exhaust port
gu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381A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3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projector)에 관한 것으로, 전동으로 배기구를 개폐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생성된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 소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소자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렌즈부,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프로젝터, 전동, 도어, 배기구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도 1은 일반적인 단판식 프로젝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프로젝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중 도어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중 도어의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중 이동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배기구
200: 도어 300; 이동부 어셈블리
350: 승강장치
본 발명은 프로젝터(projector)에 관한 것으로, 전동으로 배기구를 개폐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경량화, 경박화뿐만 아니라 대화면으로 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프로젝터는 100인치 이상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투과형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반사형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패널,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패널 등의 마이크로 소자(Micro device)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스크린상에 투사하여 화면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사용되는 마이크로 소자의 개수에 따라 단판식, 2판식, 3판식 프로젝터로 분류된다.
여기서, 단판식 프로젝터는 광으로부터 색을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하나의 마이크로 소자에 조명하는 방식이고, 2판식 프로젝터는 광으로부터 색을 공간 및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2개의 마이크로 소자에 조명하는 방식이며, 3판식 프로젝터는 광으로부터 색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3개의 마이크로 소자에 조명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단판식 프로젝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프로젝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판식 프로젝터는 광원(2), 컬러 휠(3), 라이트 터널(4), 조명렌즈들(5, 6), 마이크로 소자(7), 프리즘(8), 투사렌즈 유닛(1) 등으로 구성된다.
단판식 프로젝터에서, 광원(2)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컬러드럼(3)을 통해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으로 분리되고, 각 광들은 라이트 터널(4)을 거치면서 균일한 휘도를 가지며, 다시 조명렌즈들(5, 6) 및 프리즘(8)을 거쳐 마이크로 소자(7)로 입사된다.
입사된 광은 마이크로 소자(7)를 통해 영상신호를 가지게 되고, 다시 프리즘(8) 및 투사렌즈 유닛(1)을 거쳐 스크린에 투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존의 프로젝터들은 외부로 광을 확대 출사하기 위한 투사렌즈 유닛(1)과 마이크로 소자(7)가 나란히 배열되고, 광원(2)으로부터 광을 전달하는 다수의 렌즈들(4, 5, 6) 및 컬러드럼(3)은 투사렌즈 유닛(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기존 프로젝터의 광학계는 광학 소자들이 "ㄷ" 형태로 배열되므로, 전체적으로 프로젝터의 두께가 두껍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의 모양을 가지며, 투사렌즈가 위치하는 프로젝터 전면의 면적에 비해 상/하면의 면적이 더 넓은 외관을 이루고 있다.
또한, 프로젝터의 배기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구를 통해 프로젝터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으로 배기구를 개폐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생성된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 소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소자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렌즈부,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배기구를 열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배기구를 닫을 때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guide bracket), 상기 도어와 결합하는 가이드 바(guide bar), 상기 가이드 바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 상기 도어가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배기구의 개폐 초기에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 홈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승강홈, 상기 가이드 바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분과 경사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승강홈 그리고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승강홈과 제 2 승강홈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는 다수개의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핀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핀을 고정하는 롤러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 브라켓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핀을 회전축으로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웜 기어, 상기 가이드 바에 형성되는 랙. 상기 웜 기어와 랙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배기구를 완전히 닫았는지 파악하는 제 1 센서 그리고 상기 도어가 상기 배기구를 완전히 개방했는지 파악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센서와 접촉하여 상기 센서를 작동시키는 트리거(trigge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구는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하우징(100), 조명부, 마이크로 소자, 도어(200), 이동부 어셈블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프로젝터의 외관을 형성하고, 조명부, 마이크로 소자, 투사렌즈부 등 구성요소들이 내장된다.
상기 조명부는 광원, 조명렌즈군, 컬러 휠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조명부를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광원은 빛을 발생하는 램프와 빛을 집속하는 리플렉터(reflector)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빛은 조명렌즈군 중에서 빛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렌즈군(ex, 라이트 터널, FEL 렌즈)로 진행된다. 휘도가 균 일해진 빛은 RGB 필터로 이루어져 색을 분리하는 컬러 휠로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 휠과 빛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렌즈군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빛은 빛을 분산 및 집속하는 컨덴싱 렌즈를 거치게 된다.
상기 컨덴싱 렌즈를 거친 빛은 마이크로 소자로 진행되어, 영상으로 생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 소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패널,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패널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투사렌즈부는 마이크로 소자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외부(ex, 스크린)로 투사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일측에 배기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110)로 조명부, 마이크로 소자 등을 냉각한 공기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110)의 위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어느 일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배기되는 공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구(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할 때, 힌지(hinge)에 의하여 개폐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200)가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하면, 손상의 위험 및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도 5에는 상기 도어(200)가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도어(200)의 외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과 평면을 이루지 않고, 단차가 지게 되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를 열 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배기구(110)를 닫을 때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110)를 개방할 때, 상기 하우징(100) 내부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기구(110)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110)를 닫을 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기구(110)를 닫는다.
여기서, 상기 도어(200)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은 평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0)는 상기 하우징(100)을 정면에서 봤을 때, 상기 하우징(100)의 우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를 개방하기 위하여 좌측으로 이동되며, 닫기 위하여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배기구(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방향이 달라진다.
한편,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300)는 상기 도어(200)를 전동으로 개폐한다. 즉,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300)는 프로젝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200)를 이동시켜 상기 배기구(110)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가 작동할 때, 조명부, 마이크로 소자 등을 냉각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배기구(110)를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를 이동시킨다.
도 6에는 상기 하우징(100), 이동부 어셈블리(300) 그리고 도어(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상기 도어(200)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이동부 어셈블리(30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3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300)는 가이드 브라켓(310), 가이드 바(320), 가이드 레일(330) 그리고 구동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200)의 양측면, 즉 상기 도어(200)가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상기 도어(200)의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과 상기 가이드 바(320)가 각각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20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홈(3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은 상기 도어(200)의 이동경로를 형성 및 상기 도어(2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은 조명부 등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배기구(110)로 이동하도록 중앙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311)은 상기 도어(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 즉, 상기 배기구(110)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면과 수평을 이룬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311)과 상기 도어(200)의 결합 구조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바(320)는 상기 도어(20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320)는 상기 가이드 레일(3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바(320)와 상기 도어(200)의 결합 구조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330)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바(32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30)도 상기 가이드 홈(311)과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200)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330)과 상기 가이드 바(32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 바(32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30)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30)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330)은 상기 배기구(110)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340)는 상기 가이드 바(320)를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 바(320)와 결합된 상기 도어(200)가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40)는 모터(341)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부(340)가 상기 가이드 바(320)와 상기 도어(200)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살펴본다.
상기 구동부(340)에는 웜 기어(341)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바(320)에는 랙(3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웜 기어(341)는 모터(341)의 축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웜 기어(341)와 랙(342)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340)의 동력을 상기 가이드 바(320)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34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바(320)의 랙(342)은 상기 가이드 바(320)에 여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상기 가이드 바(320)의 내부방향의 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343)은 도시된 바에 따르면 4개가 구비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가 도어(200)는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할 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300)는 상기 배기구(110)의 개폐 초기에 상기 도어(2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장치(350)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에 형성되는 제 1 승강홈(351), 상기 가이드 바(320)에 형성되는 제 2 승강홈(352), 상기 도어(200)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승강홈(351)과 제 2 승강홈(352)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되는 다수개의 핀(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350)의 설명과 함께, 상기 가이드 홈(311)과 상기 도어(200)의 결합관계,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과 상기 도어(200)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1 승강홈(351)은 상기 가이드 홈(311)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홈(311)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승강홈(351)은 상기 도어(200)가 상기 배기구(110)를 완전히 닫았을 때, 상기 가이드 홈(311)이 삽입되는 핀(210)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가이드 홈(311)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311)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핀(210)이 상기 제 1 승강홈(351)을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승강홈(351)은 상기 가이드 홈(311)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승강홈(352)은 상기 가이드 바(320)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200)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에 평행한 부분과 경사진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가 상기 배기구(110)를 개방하기 위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때, 제 2 승강홈(352)의 경사진 부분은 평행한 부분의 좌측에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승강홈(352)의 경사진 부분은 평행한 부분의 우측에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2 승강홈(352)의 경사진 부분은 평행한 부분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 2 승강홈(352)은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2 승강홈(352)은 두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200)가 상기 배기구(110)를 개폐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방향의 상기 가이드 바(320)의 양 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도어(2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도어(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핀(210)과 상기 도어(20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도어(200)에는 롤러 브라켓(220)이 결합되고, 상기 롤러 브라켓(220)에 상기 핀(2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브라켓(22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방향의 상기 도어(200)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핀(210)은 상기 일측이 상기 롤러 브라켓(220)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승강홈(351)과 제 2 승강홈(35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이동을 살펴보면, 상기 배기구(110)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제 2 승강홈(352)에 삽입되는 핀(210)은 상기 제 2 승강홈(352)의 좌측 부분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승강홈(351)에 삽입되는 핀(210)은 상기 제 1 승강홈(351)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기구(110)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340)가 상기 가이드 바(3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승강홈(352)에 삽입된 핀(210)은 상기 제 2 승강홈(352)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홈(352)의 경사진 부분을 타고 상기 하우징(100) 내부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승강홈(351)에 삽입된 핀(210)은 상기 제 1 승강홈(351)을 타고 내려와 상기 가이드 홈(311)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핀(210)이 이동되므로, 상기 핀(210)에 결합된 상기 도어(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구동부(340)가 상기 가이드 바(320)를 계속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홈(352)에 삽입된 핀(210)은 상기 제 2 승강홈(352)의 경사진 부분의 끝단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320)와 같이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승강홈(351)에 삽입된 핀(210)은 상기 가이드 홈(311)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11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기구(110)를 닫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340)가 상기 가이드 바(3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승강홈(352)에 삽입된 핀(210)은 상기 가 이드 바(320)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홈(311) 삽입된 핀(210)은 상기 가이드 홈(311)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된 핀(210)이 상기 제 1 승강홈(35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 2 승강홈(352)에 삽입된 핀(210)은 상기 제 2 승강홈(352)의 경사진 부분을 타고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승강홈(351)에 삽입된 핀(210)은 상기 제 1 승강홈(351)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0)가 이동될 때,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기 위하여 롤러(230)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230)는 상기 롤러 브라켓(2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핀(210)을 회전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230)는 상기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에 안착되어 상기 도어(200)가 원활히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200)가 좌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도어(200)의 좌측에 구비되는 롤러(230)는 안착되는 곳이 없어져, 상기 도어(200)가 기울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230)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36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60)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고,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0)의 좌측에 결합 및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도어(2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371, 37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371, 372)는 상기 도어(200)가 상기 배기구(110)를 완전히 닫았는지 파악하는 제 1 센서(371) 그리고 상기 도어(200)가 상기 배기구(110)를 완전히 개방했는지 파악하는 제 2 센서(3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여기서, 상기 센서(371, 372)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에 결합되고,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 센서(371)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의 오른쪽에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372)는 가이드 브라켓(310)의 왼쪽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어(200)에는 센서(371, 372)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200)의 위치를 알려주는 트리거(240)가 형성된다. 상기 트리거(240)는 상기 도어(20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11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센서(371)와 접촉하고, 상기 배기구(110)가 열렸을 때 상기 제 2 센서(372)와 접촉한다.
한편, 상기 도어(200)가 상기 배기구(110)를 닫을 때,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도어(200)가 부딪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젝터는 버퍼 어셈블리(400)(buffer assembly)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버퍼 어셈블리(400)는 상기 가이드 바(320)와 접촉하는 스톱퍼(410), 상기 스톱퍼(410)를 항상 상기 배기구(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미는 탄성부재(420)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410)와 탄성부재(420)를 결합하는 결합 보스(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 보스(4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420)는 양단이 연장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20)는 상기 결합 보스(430)에 코일부분이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스톱퍼(4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410)는 바(bar)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보스(4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스톱퍼(410)는 상기 결합 보스(43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탄성부재(420)에 의하여 일단이 상기 배기구(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410)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바(320)의 일단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버퍼 어셈블리(4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 바(320)가 상기 배기구(110)를 닫기 위하여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바(320)의 끝단이 상기 스톱퍼(410)의 일단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바(320)와 상기 스톱퍼(410)는 보다 천천히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버퍼 어셈블리(400)가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센서(371)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310)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센서(371)는 상기 가이드 바(320)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20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배기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므로, 배기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전동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상면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생성된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 소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소자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렌즈부;
    상기 배기구를 열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배기구를 닫을 때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도어;및
    상기 도어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도어와 결합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가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배기구의 개폐 초기에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 홈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승강홈;
    상기 가이드 바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 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분과 경사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승강홈; 그리고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승강홈과 제 2 승강홈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는 다수개의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핀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핀을 고정하는 롤러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 브라켓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핀을 회전축으로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웜 기어;
    상기 가이드 바에 형성되는 랙;
    상기 웜 기어와 랙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배기구를 완전히 닫았는지 파악하는 제 1 센서; 그리고
    상기 도어가 상기 배기구를 완전히 개방했는지 파악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4.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센서와 접촉하여 상기 센서를 작동시키는 트리거 (trigge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5. 삭제
KR1020050084103A 2005-09-09 2005-09-09 프로젝터 KR10069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103A KR100698313B1 (ko) 2005-09-09 2005-09-09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103A KR100698313B1 (ko) 2005-09-09 2005-09-09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81A KR20070029381A (ko) 2007-03-14
KR100698313B1 true KR100698313B1 (ko) 2007-03-23

Family

ID=3810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103A KR100698313B1 (ko) 2005-09-09 2005-09-09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3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291A (ja) 1998-10-30 2000-05-16 Nec Corp 排気ガイドおよびこの排気ガイド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KR20010078407A (ko) * 1998-07-03 2001-08-20 가나이 쓰도무 광학 장치
KR20030080971A (ko) * 2002-04-09 200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씨디 프로젝터의 배기 방향 절환장치
JP2005115202A (ja) 2003-10-10 2005-04-28 Canon Inc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KR20050077944A (ko) * 2004-01-30 2005-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흡/배기구 개폐구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407A (ko) * 1998-07-03 2001-08-20 가나이 쓰도무 광학 장치
JP2000137291A (ja) 1998-10-30 2000-05-16 Nec Corp 排気ガイドおよびこの排気ガイド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KR20030080971A (ko) * 2002-04-09 200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씨디 프로젝터의 배기 방향 절환장치
JP2005115202A (ja) 2003-10-10 2005-04-28 Canon Inc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KR20050077944A (ko) * 2004-01-30 2005-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흡/배기구 개폐구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81A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843B1 (ko) 박형 프로젝터의 파워 온/오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3664065B2 (ja)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7147349B2 (en) Light source and projector
US9075294B2 (en) Projector with a lens cover that is smaller in the open state than in the closed state
KR20050037085A (ko) 광터널, 균일광 조명장치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터
JP2005024735A (ja) 光源装置
CN101153944B (zh) 投影型显示装置
US20110063580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8038302B2 (en) Projector including an image projecting device and an interior cooling device
KR100698159B1 (ko) 프로젝터
JP2002352604A (ja) 光源装置、ランプユニット及びプロジェクタ
KR100698313B1 (ko) 프로젝터
EP1675410A2 (en) Method of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lamp bulb, optical unit,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and projection television apparatus
JP4900644B2 (ja) プロジェクタ
KR100672506B1 (ko) 프로젝터의 투사 장치
US20120099087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JP2005352187A (ja) プロジェクタ
CN107966873B (zh) 光源装置及投影机
JP2005227389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JP4018459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US20070058239A1 (en) Projection lens unit
JP2003241305A (ja) プロジェクタ
JP2004012973A (ja) 投射型表示装置
JP4055420B2 (ja) 光源装置およびこの光源装置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
WO2007074898A1 (ja) 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