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98B1 -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98B1
KR100698298B1 KR1020050011315A KR20050011315A KR100698298B1 KR 100698298 B1 KR100698298 B1 KR 100698298B1 KR 1020050011315 A KR1020050011315 A KR 1020050011315A KR 20050011315 A KR20050011315 A KR 20050011315A KR 100698298 B1 KR100698298 B1 KR 10069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signal
im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100A (ko
Inventor
이인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음성간 동기를 맞추기에 적당하도록 한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과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된 영상과 음성신호의 동기신호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에 대하여 일정시간 딜레이시켜 출력하는 영상/음성 처리부와;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에 있어서는 영상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을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 음성, 동기

Description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tching video/audio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송국 20 : 수신부
21, 31 : 영상처리부 23, 33 : 음성처리부
30 : 영상/음성 처리부 35 : 동기 검출 비교부
37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스피커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음 성간 동기를 맞추기에 적당하도록 한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대중매체로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꾸면 모든 요소(영상,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다루기 때문에 컴퓨터 데이터의 압축에서처럼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컬러 티브이 방송 이후 스테레오 음향, 리모트컨트롤 장치, 자막방송, 데이터방송 등이 일부 디지털 기술을 수용하게 되었고, 90년대 들어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이 더욱 급속히 확산되어 방송분야도 티브이의 고화질화와 다기능화를 실현시킬 영상기기로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를 추구하게 되었다.
디지털 티브이(이하, DTV)의 경우 지금의 채널 하나에 HDTV급의 하나의 프로그램을, SDTV급 세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로 신호를 전달하고 가공하므로 훨씬 더 깨끗한 화면을 즐길 수 있다. 전파가 장애물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화면 겹침(고스트)현상도 자체적으로 해결이 가능하고, HDTV 채널에서는 영화관에서만 즐기던 현실감 넘치는 화면과 입체음향을 가정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된다.
국내 방송 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 시험방송을 거쳐 수도권 지역은 2002년 본방송을 실시하고 있으며, 광역시는 2004년에 예정되어 있고, 2010년까지 DTV 방송 전환을 모두 완료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하나의 티브이에 DVD 플레이어나, 셋탑박스(STB)를 연결하여 진정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는 방송원(예를 들면, 방송국(10))으로부터 티브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와, 수신부(20)에서 수신된 티브이 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부(40)와 스피커(50)로 영상 및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음성 처리부(30)와, 영상/음성 처리부(3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와, 영상/음성 처리부(30)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신부(20)와 영상/음성 처리부(30)는 각각 영상 처리부(21)(31)와 음성 처리부(23)(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수신부(20)에서는 수신된 티브이 신호에서 영상과 음성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과 음성신호에 대하여 내부의 음성 딜레이 소자(영상 인핸서(enhancer))(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영상과 음성신호의 동기를 맞춰서 영상/음성 처리부(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영상/음성 처리부(30)에서는 수신부(20)에서 출력된 영상과 음성신호 각각을 디스플레이부(40)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50)에서 음성 출력할 수 있도록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종래 영상기기에서는 특히 영상기기의 영상이 고화질화됨에 따라 음성에 비하여 영상원(source)의 딜레이가 심해진다.
이때 일반적으로 영상기기 자체의 수신부(20)에서는 음성 딜레이 소자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40)와 스피커(50)에서 영상과 음성 동기를 맞추어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딜레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음성딜레이는 영상기기 자체의 음성 딜레이 소자를 사용하는데, 음성 딜레이 소자는 음성 신호에 대하여 내부 메모리를 이용하여 딜레이를 시키게 된다.
즉 최근의 영상기기는 대화면화함은 물론 고화질화함에 따라 화질딜레이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화질향상을 위하여 2frame의 신호를 메모리에 두고 처리하는 경우 약 10ms의 딜레이가 발생한다(50Hz 영상원의 경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음성 딜레이 소자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영상기기에 있어서는 영상기기 내부에는 음성 딜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성의 동기를 맞추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단지 수신부에서 수행하고 있을 뿐인 것으로 실제로 영상/음성 처리부(30)의 영상처리부(31) 및 음성 처리부(33)에서의 영상 딜레이에 대하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영상기기에 있어서는 영상이 점차로 고화질화함에 따라 수신부에서만 영상과 음성의 동기를 맞추는 것은 점차로 그 한계에 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실제로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영상과 음성 간 출력 동기가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 로서, 방송국에서 전송된 티브이 신호에서 영상과 음성의 동기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영상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음성간 동기를 맞추기에 적당하도록 한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과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된 영상과 음성신호의 동기신호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에 대하여 일정시간 딜레이시켜 출력하는 영상/음성 처리부와;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는 상기 영상과 음성신호의 동기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 검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는 상기 동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성 딜레이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에서의 내부 회로 간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음성의 동기신호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하여 영상 신호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 펄스를 카운트하고 음성신호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영상 및 음성 신호의 동기를 비교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영상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음성신호를 소정시간 딜레이 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한 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한 1차 음성 딜레이를 수행하고,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후에 2차 음성 딜레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 및 영상/음성 일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수신부(20)와, 영상/음성 처리부(30), 영상 출력부인 디스플레이부(40) 및 음성 출력부인 스피커(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신부(20)는 방송원(예를 들면, 방송국(10))으로부터 티브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티브이 신호에서 영상과 음성신호를 분리하며, 분리된 영상과 음성신호에 대하여 내부의 음성 딜레이 소자(영상 인핸서(enhancer))(도시하지 않음) 를 통해 1차로 영상과 음성신호의 동기를 맞춰서 영상/음성 처리부(30)로 출력한다.
영상/음성 처리부(30)는 수신부(20)에서 출력된 영상과 음성신호 각각을 디스플레이부(40)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50)에서 음성 출력할 수 있도록 디코딩하여 출력하는데 이때, 방송원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음성 딜레이 시간을 현장경험(Field Test)에 따라 고려하여 2차로 음성을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스피커(5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0)는 영상/음성 처리부(30)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50)는 영상/음성 처리부(30)에서 처리된 음성을 출력한다.
수신부(20)는 티브이 신호에서 영상과 음성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과 음성신호를 영상 처리부(21)와 음성 처리부(23)를 통해 영상/음성 처리부(30)로 출력하는데, 이때 내부의 음성 딜레이 소자(음성 인핸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동기를 맞춘 후 출력한다.
그리고 영상/음성 처리부(30)는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는 영상 처리부(31)와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 처리부(33)와, 영상처리부(3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음성처리부(3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동기를 검출 및 비교하여, 영상신호의 딜레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음성 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동기 검출 비교부(35)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 영상/음성 처리부(30)에 동기 검출 비교부(35)로부터 영상 및 음성 동기 신호를 받아 음성 딜레이 시간을 제어부(37)에서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부(37)는 음성 딜레이를 위해 별도로 구성하거나 영상/음성 처리부(30)내의 회로간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그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제어부(37)는 기본적으로 방송원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 동기신호에 대하여 음성 딜레이 정보를 갖고 그에 따라 음성 딜레이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은 영상기기의 수신부에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한다(S10).
이어서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하여 1차 동기를 맞추어 영상/음성 처리부로 출력한다(S20).
수신부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하여 디코딩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의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로 분리하여 수평/수직 동기 신호 펄스를 카운트한다. 또한, 음성 신호의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여 동기신호를 각각 검출한다(S30).
검출된 영상 및 음성 신호의 동기를 비교한다(S40).
그리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음성신호에 대한 영상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계 산하고 그에 따라 2차로 음성신호를 소정시간 딜레이 시켜 영상과 음성에 대한 2차 동기를 맞추어 각각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로 출력한다(S5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에 있어서는 방송신호의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신호에 대한 동기를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의 바로 전단에서 다시 한번 맞춰줌으로서 영상기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에 대한 일치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과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된 영상과 음성신호의 동기신호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에 대하여 일정시간 딜레이시켜 출력하는 영상/음성 처리부와;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로 분리하여 수평/수직 동기 신호 펄스를 카운트하고 음성 신호의 동기신호와 비교 카운트하는 동기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는 상기 동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성 딜레이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에서의 내부 회로간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6.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하여 영상 신호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 펄스를 카운트하고 음성신호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영상 및 음성 신호의 동기를 비교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영상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음성신호를 소정시간 딜레이 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한 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한 1차 음 성 딜레이를 수행하고,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후에 2차 음성 딜레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KR1020050011315A 2005-02-07 2005-02-07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KR10069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315A KR100698298B1 (ko) 2005-02-07 2005-02-07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315A KR100698298B1 (ko) 2005-02-07 2005-02-07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100A KR20060090100A (ko) 2006-08-10
KR100698298B1 true KR100698298B1 (ko) 2007-03-22

Family

ID=3757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315A KR100698298B1 (ko) 2005-02-07 2005-02-07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98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u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100A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894B1 (ko)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8054382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 common broadcast signal among multiple television units
KR10240224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JP2004523983A (ja) デジタルテレビ信号受信用のダイバーシティ合成器
US20120057804A1 (en) Quality adjusting apparatus and image quality adjusting method
KR20120074700A (ko) 오디오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립싱크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959033B1 (ko) 클로즈드 캡셔닝 삽입을 위한 보조 신호 동기화
KR100698298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EP1889488B1 (en) Audio-video processing system
CN108605156B (zh) 用于音频检测的方法和对应设备
CN114189737A (zh) 一种数字电视快速切台方法及数字电视
KR20060090099A (ko)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음성 일치 방법
JP201104804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62395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채널 전환 방법
KR100698211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0320458B1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오에스디 표시장치
US20070296862A1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US20120038823A1 (en) Display system
KR100672320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영상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162209B1 (ko)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KR200327934Y1 (ko) 방송 신호 수신기의 클램핑 신호 발생 장치
KR20050072952A (ko) 최다 시청 채널의 자동선국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최다 시청 채널 자동선국 방법
JP2010213178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KR20080082099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080064637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영상 제어 장치 및 영상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