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247B1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247B1
KR102402247B1 KR1020180006238A KR20180006238A KR102402247B1 KR 102402247 B1 KR102402247 B1 KR 102402247B1 KR 1020180006238 A KR1020180006238 A KR 1020180006238A KR 20180006238 A KR20180006238 A KR 20180006238A KR 102402247 B1 KR102402247 B1 KR 10240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hronization signal
image
inpu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875A (ko
Inventor
장경훈
이광연
최병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247B1/ko
Priority to US16/111,111 priority patent/US10699666B2/en
Publication of KR2019008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09G2340/0471Vertical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영상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은,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갖는 영상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영상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입력 영상 클록을 이용하여 입력 동기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입력 동기 신호로부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 클록의 기준값만큼 지연시키는 단계와, 지연시킨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하강 영역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단계와, 수직 프론트 포치가 가변된 출력 동기 신호를 최종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DISPLAY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 등의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외부 영상 생성 장치와 연결되어 그로부터 인가되는 다양한 크기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는 동기 신호와 그 동기 신호의 타임에 정확히 맞추어 들어오는 디지털로 변환된 원본 영상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 내부의 영상 저장 메모리에 일단 저장한다. 그런 다음,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크기와 초당 표시할 수 있는 영상 개수의 비율에 따라 내부적으로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 동기 신호에 맞추어서 영상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읽어내어 최종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해준다.
한편, 외부 영상 생성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게임 등의 영상인 경우에는 게임 화면에 적합한 세밀하고 복잡한 영상 표현을 위하여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화면의 비율이 고정된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이를 수신하여 처리해야할 경우 이전 화면을 반복적으로 재생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화면의 떨림이나 부자연스러운 느낌의 영상이 제공되는 문제로 연결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시에도 화면 떨림이나 부자연스러운 느낌 없는 안정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거나 구조 변경 없이 외부에서 입력된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효과적으로 보정 및 신호 처리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고정된 포치 타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적인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입력 영상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 및 입력 수평 동기 신호를 감지하는 동기 신호 감지부; 상기 입력 영상 신호,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감지된 입력 동기 신호로부터 상기 영상 영역과 동기 신호 간의 편차 정보를 추출하는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출력 클록 기준값을 생성하는 출력 클록 생성부; 및 상기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 장치가 허용하는 영상 크기와 초당 영상 프레임 수에 대응되도록, 출력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프런트 포치가 가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출력 클록 기준값만큼 지연시킨 초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하강 엣지를 추적하는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와, 상기 초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카운터의 초기화 시점을 지연시키는 출력 동기 신호 카운트 지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싱크와 수직 백 포치의 라인 수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는, 상기 상기 입력 영상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입력 영상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영역과 관련된 정보와 상기 영상 영역과 동기 신호 간의 편차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초기화 신호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 클록 기준값 만큼 지연시켜서 생성된 지연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출력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와 비교한 결과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는 0 값을 갖고 상기 지연 수직 동기 신호는 1 값을 갖는 영역을 검출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가 확장 가변되면, 상기 수직 카운터의 초기화 시점이 확장되어 수직 프런트 포치의 라인 수가 증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수평 동기 신호의 화소수의 총합이 정해진 값이 되는 시점에 수평 카운터 값을 초기화하는 수평 동기 카운터와, 상기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초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수직 카운터 값을 초기화하는 수직 동기 카운터를 포함하는 출력 동기 신호 카운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카운터 값과 상기 수평 카운터 값은 상기 출력 수직 동기 신호 카운트 지연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될 영상의 영상 신호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추출된 영상 신호가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 및 영상 표시 장치 내부에서 사용될 기준 클럭값을 생성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제공하는 기준 클럭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신호는 상기 수직 프런트 포치가 가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의 타임에 맞추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추출된 편차 정보에 기초하여 수직 프런트포치 영역의 가변 여부를 달리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인 수의 총합이 정해진 값이 되는 고정 시점에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제2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초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초기화 시점을 가변시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은,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갖는 영상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영상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입력 영상 클록을 이용하여 입력 동기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 동기 신호로부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 클록의 기준값만큼 지연시키는 단계; 지연시킨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하강 영역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단계; 및 수직 프론트 포치가 가변된 출력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싱크와 수직 백 포치의 라인 수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 프론트 포치가 가변된 출력 동기 신호의 타임에 대응되도록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영상 처리 방법에 의하면, 외부 영상 생성 장치에서 수직 동기가 가변 하며 들어오는 입력 영상을 영상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도, 화면 떨림이나 찢어짐 없이 자연스러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면의 지연도 최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영상 신호 처리를 위해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거나 구조 변경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포이 타임을 가변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고정된 포치 타임을 사용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
도 1a는 수평 동기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b는 수직 동기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을 처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예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영상 생성 장치에서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포함된 경우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일반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시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시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 블록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출력 동기 신호 카운트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 블록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에서 복수의 동작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에서 생성된 지연 수직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수형 동기 신호 카운트와 수직 동기 신호 카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시 영상을 처리를 위해 수직 프런트 포치를 가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시 최종 출력 수직 동기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수평 동기 신호를 보인 것이고, 도 1b는 수직 동기 신호를 보인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펄스 타이밍과 실제 영상 영역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 타이밍은, 수평 프런트 포치, 수평 싱크, 수평 백포치의 영역과 실제 영상 영역을 포함한다. 영상 영역 수평 동기 신호는 수평 백 포치와 수평 프런트 포치의 영역을 제외하고 실제 영상 영역에 맞추어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펄스 타이밍을 갖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1 라인의 픽셀들에 데이터를 기입하는데 필요한 1 수평 기간을 정하게 되는 신호이다. 즉,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펄스의 주기는 1 수평 기간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1 프레임(Frame) 기간을 정하게 되는 신호이다.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의 주기는 1 프레임 기간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 기간을 주기로 한 주파수를 디스플레이 프레임 레이트(Display Frame Rate)로 명명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수직 동기 신호(Vsync)(200)는 수직 프런트 포치(201), 실제 영상 영역(202), 수직 백포치(203), 수직 싱크(204)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포치 타임에서 수직 동기 신호의 카운터값을 초기화하여, 실제 영상 영역 수직 동기 신호(205)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수직 백포치(203), 수직 프런트 포치(201)은 디스플레이 포치 타임(Display Porch Time)으로 명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포치 타임(Display Porch Time)은 1 프레임 기간에서 실제 영상 영역(202)을 제외한 구간 또는 영역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을 처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예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로부터의 방송 신호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c의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써,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c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된 구성들을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70) 또는 제어부(170) 내의 영상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2는 영상 생성 장치에서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포함된 경우 종래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일반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의 (a)를 참조하면, 영상 생성 장치에서 수직 동기 신호가 가변되는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예로서, 화면 1은 초당 16프레임 비트를 갖도록 생성되고, 화면 2에서는 초당 20프레임 비트를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즉, 화면 1에서 보다 화면 2에서 수직 동기 신호의 간격이 길어진, 가변된 수직 동기 신호를 갖는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반적인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화면 2가 표시될 수직 동기 신호 순서임에도 아직 화면 2의 영상 정보 모두가 메모리에 저장 되지 않았기 때문 화면 2를 재생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가변된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 1을 반복하여 재생하게 되고, 이는 시청자로 하여금 화면의 떨림이나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외부 영상 생성 장치의 중앙처리장치(CPU)나 화면처리장치(GPU)에 의해 수직 동기 신호가 가변 되어 들어오는 입력 영상을 영상 표시 장치에 나타낼 때, 영상 생성 장치의 의도에 맞는 세밀하고 정확한 화면 표시를 가능하며, 도중에 화면 떨림이나 찢어짐 없이 자연스러운 영상을 화면 지연을 최소화하면서 제공해줄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하였다.
이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시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70)(또는, 제어부(170) 및 저장부(14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성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 또는 제어부(170) 내의 영상처리부는, 동기 신호 감지부(210),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 기준 클럭 생성부(240), 영상 처리부(250), 출력 클럭 생성부(260), 및 영상 저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감지부(210)는 영상 입력과 함께, 디지털 입력 수직 동기 신호(10)와 디지털 입력 수평 동기 신호(20)의 입력 유무를, 내부의 입력 영상 클럭(40)을 이용하여 감지한다. 또한, 상기 동기 신호 감지부(210)는 감지된 디지털 입력 수직 동기 신호(10) 및 디지털 입력 수평 동기 신호(20)가 안정화된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는 디지털 입력 수직 동기 신호(10), 디지털 입력 수평 동기 신호(20), 및 입력 영상 클럭(40)으로부터 동기 신호 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라 추출된 입력 수직 동기 신호(225)를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는, 디지털 입력 수직 동기 신호(10)와 디지털 입력 수평 동기 신호(20) 각각에 대해서, 내부의 입력 영상 클럭(40)을 이용하여 동기 신호의 길이, 주기, 안정성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는, 디지털 입력 영상 신호(30)의 실제 영상 영역 부분을 추출하기 위한 길이 정보 및 동기 신호 중 실제 영상 영역과 동기 신호간의 편차 정보를 더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는, 입력 영상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입력 영상 클럭(40)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영역과 관련된 정보와 상기 영상 영역과 동기 신호 간의 편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영상 클럭(40)은 외부 영상 생성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출력 클럭 생성부(260)에서 생성된 출력 클럭의 기준값을 기초로 보정된 수평 동기 신호(70) 및 수직 동기 신호(80)를 생성하고, 이를 영상 저장부(270)에 제공한다.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동기 신호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지속적으로 추적한다.
또한, 다른 예에서, 상기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원본 입력 수직 동기 신호(10)와 동기 신호의 추적 정보를 통해 만들어진 실제 비디오 영역에 대한 수직 동기 신호, 즉 포치 타임이 가변된 수직 동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 상황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수직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영상에 대한 동기 신호의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6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또한,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실제 영상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가 허용하는 영상의 크기와 초당 영상 개수에 맞춘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가변하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출력 동기 신호를 보정하고, 매 출력 동기 신호를 입력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초기화 한다.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정보, 예를 들어 영상 영역과 관련된 정보 및 영상 영역과 동기 신호 간의 편차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 장치가 허용하는 영상 크기와 초당 영상 프레임 수에 대응되도록, 출력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프런트 포치가 가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에, 상기 출력 수평 동기 신호는 수직 프런트 포치 타임만 가변 또는 확장되고, 수직 싱크와 수직 백 포치 타임은 기정해진 고정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에서는, 수직 프런트 포치 타임 대신 수직 백 포치 타임만 가변 또는 확장될 수도 있다.
기준 클럭 생성부(240)는 영상 표시 장치 내부에서 사용될 기준 클럭값(60)을 생성하여 영상 처리부(250)와 영상 저장부(270)에 제공한다.
영상 처리부(250)는 디지털 입력 영상 신호(30)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실제 영상 신호(50)를 추출하여 영상 저장부(27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250)는 디지털 입력 수직 동기 신호(10) 및 디지털 입력 수평 동기 신호(20)와 동일 시간에 인가되는 디지털 입력 영상 신호(30) 중에서 실제 영상 부분만을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50)는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로부터 획득된 입력 신호의 크기와 편차 정보를 디지털 입력 영상 신호(30)에 적용하여 실제 영상 영역을 식별하고(구분하고), 이를 내부의 기준 클럭과 내부 영상 정보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저장부(27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게끔 한다.
영상 저장부(270)는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저장한다. 이후, 해당 동기 신호의 시간에 일치되는 시점에 영상 저장부(270)에 저장된 영상이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동기 신호의 시간에 일치되게끔, 영상 저장부(270)에 저장된 디지털 출력 수직 동기 신호 및 디지털 출력 수평 동기 신호(280)와 디지털 출력 영상 신호(290)가 출력된다.
출력 클럭 생성부(260)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10)를 지연시키기 위한 출력 클록 기준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클록 기준값을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시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영상 표시 장치(100)에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포함한 입력 영상이 수신되면, 입력 영상 클럭을 이용하여 입력 동기 신호의 수신을 감지한다(S10).
다음, 입력 동기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 정보를 추출하여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한다(S20). 그런 다음,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 클록 기준값만큼 지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S30). 이 후,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하강 영역을 지속적으로 추적한다(S40). 그러면, 최종적으로 수직 프런트 포치만 가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가 생성된다(S50).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싱크의 라인 수와 수직 백 포치의 라인 수는 기정해진 값을 유지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수직 프런트 포치만 가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가 생성되면, 그 출력 동기 신호의 타임에 대응되도록 출력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 하는 수직 동기를 갖는 비디오 영상 입력의 동기 신호에 맞추어서 최종 영상 출력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지연 없이 한 장 영상 분의 비디오 데이터 저장 공간 만을 이용하므로, 부하의 부담없이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입력 영상에 대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력 영상이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화면의 떨림이나 찢어짐 등의 부자연스러움 없이 안정적인 출력 영상이 제공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는 도 1b의 좌측에 도시된 수직 동기 신호(200)에서 수직 프런트 포치(201), 수직 백 포치(203), 수직 싱크(204) 등의 동기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도 1b의 우측에 도시된 영상 영역 수직 동기 신호(205)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영상 영역 수직 동기 신호(205)가 도 3의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로 전달된다.
도 5는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 내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영상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입력받은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231), 출력 동기 신호 카운트 생성부(233), 출력 수직 동기 신호 카운트 지연부(234),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231)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출력 클록 기준값만큼 지연시킨 초기화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 클럭 생성부(260)에서 생성된 출력 클록 기준값 만큼 지연시켜서 생성된 지연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출력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와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입력 수직 동기 신호는 '0 값을 갖고 지연 수직 동기 신호는 1 값을 갖는 영역을 검출하여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동기 신호 카운트 생성부(233)는 수직 카운터 값과 수평 카운터 값을 생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a를 참조하면, 출력 동기 신호 카운트 생성부(233)는 초기화 신호(232)를 기초로 수평 카운터 값을 생성하는 수평 동기 카운터(233a)와 수직 카운터 값을 생성하는 수직 동기 카운터(23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에서, 수평 동기 카운터(233a)는 수평 동기 신호의 화소수의 총합이 정해진 값이 되는 시점에 수평 카운터 값을 초기화한다. 여기에서, 정해진 값은 수평 동기 신호의 프런트 포치, 백 포치, 싱크의 화소수의 총합이 최대값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수직 동기 카운터(233b)는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231)에서 생성된 초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수직 카운터 값을 초기화한다. 따라서, 입력 수직 동기 신호가 확장 가변되면, 수직 동기 카운터(233b)의 카운터 초기화 시점도 확장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출력 수직 동기 신호 카운트 지연부(234)는 초기화 신호(232)와 수직 및 수평 카운터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카운터의 초기화 시점을 지연시킨다. 그에 따라, 생성된 지연 수직 카운터 값과 고정된 수평 카운터 값을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5)에 제공한다.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5)는 수직 카운터의 초기화 시점이 확장됨에 따라, 수직 프런트 포치의 라인 수가 증가된 최종 출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231)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에서 인가된 입력 수직 동기 신호(b)를 출력 클록(a) 만큼 지연시켜서 지연 수직 동기 신호(c)를 생성한다. 그리고,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231)는 원본 입력 수직 동기 신호(b)와 지연 수직 동기 신호(c)를 출력 클록(a)을 기준으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 원본 수직 동기 신호(b)는 ‘0’의 값을 가지고 지연 수직 동기 신호(c)는 ‘1’의 값을 가지는 영역을 갖는 초기화 신호(d)로 생성한다.
도 6a와 도 8을 참조하면, 수평 동기 신호 카운트(233a)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동기 신호 정보인 수평 프런트 포치(801) 화소 수, 수평 싱크(802) 화소 수, 수평 백 포치(803) 화소 수, 실제 영상 영역(804)의 화소 수의 총합이 최대값(805)이 되었을 때, 카운트를 0으로 초기화(806) 한다. 그 후, 다시 반복되는 카운트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 8에서, 수평 카운트(b)는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 되지 않고 계속 반복하게 된다.
또, 도 6a와 도 9를 참조하면, 수직 동기 신호 카운트(233b)에서는, 수직 카운터(b)가 수평 카운터 최대값(a)을 추적하다 한 줄(line) 화소 수의 최대 값이 발생할 때마다 수직 카운터를 1씩 카운트한다(증가시킨다). 수직 카운터 값도 정해진 동기 신호 정보인 수직 프런트 포치(VFP) 줄 수, 수직 싱크(VS) 줄 수, 수직 백 포치(VBP) 줄 수, 실제 영상 영역(RS)의 줄 수의 총합이 최대값(807)이 되었을 때 카운트를 0으로 초기화(808)한다. 그 후, 다시 반복되는 카운트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가변 입력 동기 신호에 대한 보정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트의 초기화 되는 지점이 미리 정해둔 동기 신호 정보의 총 합의 최대값이 되는 시점이 아니라,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231)에서 검출 또는 생성된 초기화 신호(a)에 의하여 수직 카운트가 초기화된다.
도 10의 제1위치(901)는 입력 동기 신호가 가변 되지 않은 경우(정상 입력)의 초기화 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반면, 도 10의 제2위치(902)는 입력 동기 신호가 확장 가변 되어 초기화 시점이 밀리게 되고, 이렇게 초기화 시점이 확장된 수직 카운트(c)에 의해 출력 수직 동기 신호(d)의 수직 프런트 포치 줄 수가 증가된 펄스 타이밍이 최종 출력 한다. 그에 따라, 원래의 수직 프런트 포치 영역(VFP)(1010)에 인접된 추가 확장 영역(EVFP)(1020)을 갖게 된다.
한편,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0)에서 복수의 동작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도 수직 동기 신호는 고정된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감지되었으나, 감지된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추적하여 포치 타임을 변경하지 않고, 고정된 프레임 수, 예를 들어 초당 60 프레임 수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영상의 세밀한 표현을 위해 의도적으로 생성된 것이 아니라, 비의도적인 경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까지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추적하여 포치 타임이 계속 가변된 출력 동기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가 수신되면, 동기 신호 정보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편차 정보에 기초하여 수직 프런트 포치 영역의 가변 여부를 달리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동작 모드는 수직 프런트 포치 영역이 정해진 값으로 유지되는 동작 모드이고, 제2 동작 모드는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감지되면 수직 프런트 포치 영역이 가변된 값을 갖도록 보정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또, 상기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제1동작 모드에서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인 수의 총합이 정해진 값이 되는 고정 시점에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초기화시키고, 제2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초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초기화 시점을 가변시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을 생성 및/또는 적용할 수 있다.
예로서, 도 6b를 참조하면,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 자유 동작 모드(610)가 아니라 입력 수직 동기 신호 추적 모드(620)를 수행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입력 수직 동기 신호 추적 모드(620)가 수행되면, 전술한 수직 동기 하강 엣지 검출부(231)의 동작에 따라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초기화 신호가 생성된다.
다른 예로, 상기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0)는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라도, 오류 발생 등의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에는 자유 동작 모드(610)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류 발생 등의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0)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70)에서 오류 발생 신호를 노티해줌으로써, 가변된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추적을 제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출력 수직 동기 신호 지연부(234)는 출력 동기 신호 카운트 생성부(233)에서 초기화 신호에 의해 생성된 수직 동기 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 클록 기준의 값만큼 지연 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을 참조하면,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한 후 출력 클록 기준으로 지연 화소 값만큼 지연시켜서 생성된 초기화 신호(b)를 지연 시키면, 지연 초기화 신호(c)가 생성된다. 지연 초기화 신호(c)는 지연값(1130)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연 초기화 신호(c)를 기초로 하여 수직 동기 신호가 지연 된다. 그에 따라, 지연 수직 동기 신호(d)가 획득된다.
지연 수직 동기 신호(d)는 원래의 수직 프런치 포치 영역(R1)(1110) 외에, 지연 초기화 신호(c)의 지연값(1130)만큼 확장 가변된 추가 확장 영역(R2)(1120)을 갖는다.
여기에서, 지연 화소 값은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가진 영상 입력에 대하여, 영상 표시 장치가 입력 신호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이를 내부 메모리에서 읽어 나갈 때까지의 처리 시간만큼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지연값(1130)은 화면 찢어짐 없는 자연스러운 영상 생성 보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5의 출력 동기 신호 생성부(235)는 출력 동기 신호 카운트 생성부(233)에서 발생 시킨 수평 동기 카운터 값과 출력 수직 동기 카운트 지연부(234)에서 생성한 지연 수직 동기 카운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하강 영역을 지속적으로 추적 및 보정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지연 값만큼 보정된 최종 출력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게 된다(1201, 1202).
이를, 고정 수직 동기 신호 간격(c)과 비교해보면, 영상 생성 장치의 수직 동기 신호(a)의 한 장면(화면 1, 화면 2,?)마다 전부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읽어들어오는 시간 때문에, 화면 재생이 지연되며(화면 0, 화면 1, .), 화면 2에서 가변 확장된 수직 동기 신호 때문에 화면 1이 반복 재생됨에 따라 화면 떨림 등의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화면 2가 20ms가 아니라 고정된 16ms로 재생되기 때문에 화면 찢어짐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움도 감지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가변된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별개의 독립된 영상 보정 장치가 상기한 도 3의 구조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변 하는 수직 동기를 갖는 입력 영상의 동기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 영상 동기 신호를 만들면 수평 동기 신호 줄로 이루어진 수직 프런트 포치 줄 수만 가변되고, 그 외에 수평 프런트 포치 화소 수, 수평 싱크 화소 수, 수평 백포치 화소 수, 실제 영상 화소 수, 수직 싱크 화소 줄 수, 실제 영상 줄 수는 항상 일정하게 인가 된다. 그에 따라, 가변하는 수직 동기 신호를 갖는 영상 입력의 동기 신호에 맞추어서, 영상 지연 없이 자연스러운 최종 영상 출력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보정 방법은 외부 영상 생성 장치에서 수직 동기가 가변 하며 들어오는 입력 영상을 영상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도, 화면 떨림이나 찢어짐 없이 자연스러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면의 지연도 최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영상 신호 처리를 위해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거나 구조 변경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포이 타임을 가변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고정된 포치 타임을 사용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영상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 및 입력 수평 동기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감지된 입력 동기 신호로부터 상기 영상 영역과 동기 신호 간의 편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출력 클록 기준값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 장치가 허용하는 영상 크기와 초당 영상 프레임 수에 대응되도록, 출력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프런트 포치가 가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출력 클록 기준값 만큼 지연시킨 초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하강 엣지를 추적하고,
    상기 초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카운터의 초기화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싱크와 수직 백 포치의 라인 수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입력 영상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영역과 관련된 정보와 상기 영상 영역과 동기 신호 간의 편차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신호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 클록 기준값 만큼 지연시켜서 생성된 지연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와 비교한 결과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는 0 값을 갖고 상기 지연 수직 동기 신호는 1 값을 갖는 영역을 검출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가 확장 가변되면, 상기 수직 카운터의 초기화 시점이 확장되어 수직 프런트 포치의 라인 수가 증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평 동기 신호의 화소수의 총합이 정해진 값이 되는 시점에 수평 카운터 값을 초기화하고,
    상기 초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수직 카운터 값을 초기화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될 영상의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영상 표시 장치 내부에서 사용될 기준 클럭값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제공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추출된 편차 정보에 기초하여 수직 프런트포치 영역의 가변 여부를 달리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인 수의 총합이 정해진 값이 되는 고정 시점에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초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초기화 시점을 가변시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1.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갖는 영상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영상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입력 영상 클록을 이용하여 입력 동기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 동기 신호로부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 클록의 기준값만큼 지연시키는 단계;
    지연시킨 입력 수직 동기 신호의 하강 영역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단계; 및
    수직 프론트 포치가 가변된 출력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싱크와 수직 백 포치의 라인 수는 기정해진 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06238A 2018-01-17 2018-01-17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KR10240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38A KR102402247B1 (ko) 2018-01-17 2018-01-17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US16/111,111 US10699666B2 (en) 2018-01-17 2018-08-23 Display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38A KR102402247B1 (ko) 2018-01-17 2018-01-17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875A KR20190087875A (ko) 2019-07-25
KR102402247B1 true KR102402247B1 (ko) 2022-05-26

Family

ID=6721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238A KR102402247B1 (ko) 2018-01-17 2018-01-17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99666B2 (ko)
KR (1) KR102402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665A1 (ko) * 2022-10-20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동기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4859A1 (ja) * 2019-10-01 2021-04-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装置
JP2021190868A (ja) * 2020-05-29 2021-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同期装置、映像同期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2662B1 (ko) * 2020-09-14 202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3596348B (zh) * 2021-04-29 2023-11-03 青岛信芯微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设备
CN113781949B (zh) * 2021-09-26 2023-10-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显示驱动芯片、显示屏模组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9846B2 (ja) * 1993-12-22 1998-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同期タイミング回路
KR100222868B1 (ko) * 1996-12-10 1999-10-01 이형도 칼라 텔레비젼의 프론트 포치 및 백 포치 기간 조정 회로
US6664977B1 (en) * 1999-02-19 2003-1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allows an image display device on which pixels are fixed in number to display every video signal
JP4017335B2 (ja) * 2000-10-25 2007-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の有効期間検出回路
JP2006235129A (ja) * 2005-02-23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KR101086436B1 (ko) * 2007-04-03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포치 레벨 제어를 통한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5261032B2 (ja) * 2008-06-05 2013-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20120206461A1 (en) * 2011-02-10 2012-08-16 David Wyat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elf-refreshing display device coupled to a graphics controller
US9036084B2 (en) * 2013-04-11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 display of video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665A1 (ko) * 2022-10-20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동기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21186A1 (en) 2019-07-18
US10699666B2 (en) 2020-06-30
KR20190087875A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24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KR100897170B1 (ko) 알파 블렌딩 시스템 및 그 방법
US7975285B2 (en) Broadcast receiver and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AU2005203113B2 (en) Vide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1853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PIP image
US9319566B2 (en) Display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aption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150855A (ja) 受信システム
US8593575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for shortened-delay processing of a video signal and video processing method
US200800491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ous control of image signal and audio signal in image apparatus
US82384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KR20150037372A (ko) 영상표시장치, 컨텐츠 동기화 서버 및 그 동작방법
JP5221745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1501163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reproducing characteristics determination method
KR102024437B1 (ko)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11963A1 (en) Equipment For Audio-Video Processing System
US7321403B2 (en) Video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20090322949A1 (en) Video signal processor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3348489A (ja) 放送受信機
JP2009077042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US20110051004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KR10042312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출력 타이밍 조절방법
US20100166382A1 (en) Video and audio reproduction system, distribution device, and synchronization adjustment method
US20060132504A1 (en) Content comb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45299B1 (ko) 디지털티브이의화면동기장치및방법
US20070296862A1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