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09B1 -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09B1
KR101162209B1 KR1020060001883A KR20060001883A KR101162209B1 KR 101162209 B1 KR101162209 B1 KR 101162209B1 KR 1020060001883 A KR1020060001883 A KR 1020060001883A KR 20060001883 A KR20060001883 A KR 20060001883A KR 101162209 B1 KR101162209 B1 KR 101162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change
viewer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125A (ko
Inventor
신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50Tape automated bonding [TAB] connectors, i.e. film carri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수신단말기에서 방송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시청자로부터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명령받는 단계,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하는 단계,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완료되면 제 1 채널의 방송신호 출력을 중단하고 제 2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단말기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에도 채널 변경 전의 채널 방송을 계속 시청할 수 있으며, 특히 채널 변경을 실패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채널 변경 전의 채널 방송을 계속 시청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는 방송을 중단없이 계속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방송, 채널변경, TV, 단말기

Description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changing broadcast channel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변경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변경 방법의 실행시 디스플레이부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송수신단말기 100: 튜너부
200: 신호처리부 300: 방송출력부
400: 입력부 500: 제어부
본 발명은 방송수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수신단말기에서 방송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청자가 방송수신단말기를 통해 예컨대 TV와 같은 방송매체를 시청하는 도중에 제 1 채널(예를 들면, MBC)에서 제 2 채널(예컨대, KBS)로 채널을 변경하면, 제 2 채널의 수신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채널이 변경되어 제 2 채널의 방송 화면이 출력되지만, 제 2 채널의 수신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제 2 채널의 수신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될 때까지 제 2 채널의 방송 화면이 출력되지 않고 블루화면이 계속 출력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채널 변경시 제 2 채널의 수신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시청자는 제 2 채널의 수신감도가 일정수준 이상이 될 때까지 블루화면을 계속 시청해야 하거나 또는 제 2 채널이 수신되지 않음을 인지하고 다시 제 1 채널(또는 제 3의 채널)로 채널 변경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디지털 TV와 같은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는 채널 변경되는 제 2 채널의 수신감도가 양호하더라도 제 2 채널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디코딩 등에 소정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시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블루 화면을 시청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방송시청시 채널 변경에 발생될 수 있는 시간낭비 등으로 인해 불편함과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 계, 시청자로부터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명령받는 단계,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하는 단계,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완료되면 제 1 채널의 방송신호 출력을 중단하고 제 2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단말기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방송출력부, 시청자로부터의 임의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튜너부, 상기 신호처리부, 상기 방송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 1 채널의 방송신호 수신 중에 시청자로부터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명령받으면, 상기 제어부는 제 1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면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하고,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완료되면 제 1 채널의 방송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 2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튜너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상기 방송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수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단말기(10)는 튜너부(100), 신호처리부(200), 방송출력부(300), 입력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튜너부(100)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다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는 상기 신호처리부(200)로 보내지고, 상기 신호처리부(200)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방송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신호처리되어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방송신호는 상기 방송출력부(300)으로 보내진다. 상기 방송출력부(300)는 디스플레이부(330) 및 스피커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방송신호를 시청자의 시청을 위해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400)는 시청자가 상기 방송수신단말기(10)에 채널 변경 및/또는 볼륨조절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튜너부(100), 상기 신호처리부(200), 상기 방송출력부(300), 및 상기 입력부(400)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방송수신단말기(10)가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변경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변경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변경 방법의 실행시 디스플레이부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시청자가 상기 방송수신단말기를 통해 제 1 채널(예컨대, MBC)의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 2 채널(예컨대, KBS)의 방송으로의 채널 변경을 명령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설명한다.
먼저, 방송수신단말기(10)가 제 1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도중에 시청자가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명령하면, 상기 튜너부(100)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한다[S10, S20, S30]. 즉, 상기 튜너부(100)는 제 2 채널을 튜닝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튜닝된 제 2 채널의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튜너부(100)는 제 1 채널 방송신호를 계속 상기 신호처리부(200)로 제공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상기 방송수신단말기(10)를 통해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하는 도중에도 계속 제 1 채널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방송수신단말기(10)가 채널 변경을 준비하고 있음을 예컨대 화면 상에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현재 채널 변경 절차 중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3-1) 및 (3-2) 참조).
그 다음, 상기 제어부(500)는 제 2 채널의 방송신호의 수신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었는지 등을 체크함으로써 제 2 채널로의 채널 준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
판단 결과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제어부(500)는 비로소 제 1 채널의 방송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 2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 하도록 제어한다[S50]. 따라서, 시청자는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동안에도 제 1 채널의 방송을 충분히 시청한 다음에 제 2 채널의 방송을 곧바로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방송수신단말기(10)가 채널 변경을 완료하였음을 예컨대 화면 상에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현재 채널 변경 수행 (또는 완료)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3-3) 참조).
그러나, 판단 결과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소정 시간 동안에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500)는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절차를 중단하고 제 1 채널의 방송신호를 계속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60, S70]. 따라서, 시청자는 제 2 채널의 방송신호의 수신감도 등의 이유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제 1 채널의 방송의 시청을 중단없이 계속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방송수신단말기가 채널 변경을 실패하였음을 예컨대 화면 상에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현재 채널 변경 실패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3-4) 참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에도 채널 변경 전의 채널 방송을 계속 시청할 수 있으며, 특히 채널 변경을 실패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채널 변경 전의 채널 방송을 계속 시청할 수 있으므로시청자는 방송을 중단없이 계속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a) 제 1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시청자로부터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명령받는 단계;
    c)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하는 단계;
    d)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완료되면 제 1 채널의 방송신호 출력을 중단하고 제 2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단말기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하고 있음을 시청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기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완료되면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수행함을 시청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기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소정 시간 동안 완료되지 않으면,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실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기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소정 시간 동안 완료되지 않으면,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실패하였음을 시청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기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6. 다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방송출력부;
    시청자로부터의 임의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튜너부, 상기 신호처리부, 상기 방송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 1 채널의 방송신호 수신 중에 시청자로부터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명령받으면, 상기 제어부는 제 1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면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하고,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완료되면 제 1 채널의 방송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 2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튜너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상기 방송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수신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부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준비하고 있음을 시청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부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완료되면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수행함을 시청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소정 시간 동안 완료되지 않으면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부는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 준비가 소정 시간 동안 완료되지 않으면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실패하였음을 시청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기.
KR1020060001883A 2006-01-06 2006-01-06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KR101162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883A KR101162209B1 (ko) 2006-01-06 2006-01-06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883A KR101162209B1 (ko) 2006-01-06 2006-01-06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125A KR20070074125A (ko) 2007-07-12
KR101162209B1 true KR101162209B1 (ko) 2012-07-04

Family

ID=3850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883A KR101162209B1 (ko) 2006-01-06 2006-01-06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923A (ja) 2001-07-19 2003-04-04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用プログラム
JP2005203834A (ja) 2004-01-13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923A (ja) 2001-07-19 2003-04-04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用プログラム
JP2005203834A (ja) 2004-01-13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125A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098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levision Channel Control
US1196286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tuning a second tuner in anticipation of a channel surfing activity
KR20080029088A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선호 채널 제공 방법
JP2007110391A (ja) 放送受信機
KR101162209B1 (ko)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KR200601362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방송처리 장치
KR200700003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방송처리 장치
KR20060091577A (ko)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영상신호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793777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JP4266905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86383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별 시청환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07594B1 (ko) 픽처 인 픽처 모드에서의 프로그램 등급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KR10040797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시간 설정 방법
KR101041816B1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예약 프로그램 제공 방법
KR100672517B1 (ko) 캡션 기능을 갖는 디지털 티브이
KR10037943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보정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58721A (ko) 영상표시기기의 긴급경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39373A (ko) 키신호 입력시간에 따라 방송 채널을 전환하는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0131A (ko) 텔레비전의 자동 온 제어 방법
KR20090075243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 방법
JP200608694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90029906A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00057948A (ko) 텔레비전의 오디오 음질 제어방법
KR20100056835A (ko) 방송 수신기에서의 영상 출력 절환 방법
KR20100042700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전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