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70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70B1
KR100698270B1 KR1020050037499A KR20050037499A KR100698270B1 KR 100698270 B1 KR100698270 B1 KR 100698270B1 KR 1020050037499 A KR1020050037499 A KR 1020050037499A KR 20050037499 A KR20050037499 A KR 20050037499A KR 100698270 B1 KR100698270 B1 KR 100698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washing water
dishwasher
injection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148A (ko
Inventor
홍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3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과 상기 랙을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식 지지부 및 상기 회전식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기세척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식기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 회전식랙, 분사암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터브 110 : 구동부
106 : 랙 120 : 연결관
130 : 지지부재 135 : 연결부재
140 : 회전식 지지부 141 : 회전부재
150 : 분사장치 154 : 분사암
155 : 분사노즐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 효율이 높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식기 세척기는 터브(1), 상/하측 분사암(4,5), 상/하측 랙(6,7), 그리고 구동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터브(1)의 내부에는 식기들이 세척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1)의 내측 상하부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측 및 하측 분사암(4,5)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분사암들에서 분사된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되는 식기들은 상측 및 하측 랙(6,7)에 수용된다.
한편, 분사암들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는 구동부(10)에 의하여 펌핑되는데, 상기 구동부(10)는 섬프와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다. 상기 섬프에는 세척수가 저장되고,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펌프에 의하여 펌핑되어 상측 및 하측 안내관(2,3)을 따라서 상기 분사암(4,5)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식기세척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식기를 세척하기 위하여 터브(1)내의 랙(5,6)에 세척할 식기를 얹어 놓은 후 도어를 닫으면, 구동부(10)의 펌프(미도시)가 구동되어 섬프(미도시)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측 안내관 및 하측 안내관(2,3)으로 토출한다.
이때, 상측 안내관(2)으로 토출된 세척수는 상부 분사암(4)을 회전시키면서 분사되어 상측 랙(6)에 놓여 있는 식기를 세척하고, 하측 안내관(3)으로 토출된 세 척수는 하부 분사암(5)을 회전시키면서 분사되어 하측 랙(7)에 놓여 있는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식기에 분사된 세척수는 섬프에 저장되고, 다시 펌프에 의하여 전술한 경로를 통하여 상부 및 하부 분사암(4,5)를 통하여 분사된다.
이와 같은 세척수의 순환에 의한 세척 사이클이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 사이클이 종료하게 되면 배수펌프에 의하여 세척수와 오물을 배수시키면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식기 세척기에서는 상측 및 하측 랙 각각의 하부에 분사암이 설치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랙들의 아랫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각 분사암에서 세척수가 적절한 압력과 유량으로 분사되기 위하여 노즐의 개수가 한정되고, 세척수의 분사 각도 또한 한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랙들의 아랫 부분에서도 세척수가 분사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하여 세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식기 세척기에서는 세척수가 상측 방향으로만 분사되기 때문에, 각각의 랙의 측면 부분으로는 충분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없었다. 그리고, 상측으로 분사된 세척수의 자유낙하에 의하여 각각의 랙의 윗 부분으로도 세척수가 도달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세척수가 충분한 압력 및 유량으로 도달되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랙의 위 부분을 세척할 수 없기 때문에 세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사암의 개수, 노즐의 개수와 분사 방향을 다양하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세척기의 크기가 매우 커질 수 있다. 또한, 세척수가 충분한 압력 및 유량으로 분사되기 위하여 큰 용량의 펌프가 사용되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전력 손실이 세척수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 효율이 높은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과, 상기 랙을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식 지지부 및 상기 회전식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지지부는 상기 분사장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랙이 연결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랙은 상기 지지부재에 매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과 연결되도록 터브 내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될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연결관과 연통되는 분사암 및 상기 분사암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세척수가 방사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단면을 소정 각도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다수개의 개소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개소 중 특정 개소에 구비된 분사노즐에서 선택적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차단장치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암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회전장치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회전장치와 일체로 회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랙의 상하좌우 면에 골고루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척할 식기가 적은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으로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랙(106)을 회 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터브(101)내에 회전식 지지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지지부(140)는 회전부재(141)와, 상기 랙이 연결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랙을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사장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41)에서 연장되어, 상기 랙이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41)는 휠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141)는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터브 내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부재(141)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개소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 회전부재(141)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개소에 지지부재(130)의 양단이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130)의 일단은 일측 회전부재(141)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타측 회전부재(141)에 의하여 지지되어 터브(101) 중앙부를 가로질러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에는 랙이 매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회전부재 상에 몇 개 구비되는가에 따라서 터브(101) 내에 구비될 수 있는 랙의 수가 달라진다. 이러한 랙의 수는 세척 가능한 식기의 양, 터브의 공간 등을 고려하면 4개가 바람직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랙(106)은 수용되는 식기의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이 변동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무게 중심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랙의 수평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랙은 좌우 대칭인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랙(106)의 상단 부분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지지부재(130)와 다수개의 연결부재(135)를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의 형태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기를 보다 용이하게 랙에 수용시키기 위해서 상기 랙의 상단 부분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개의 연결부재(135)의 일단은 고리 형상으로 하여 상기 랙과 연결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5)와 지지부재(130)는 상기 랙(106)의 무게 중심이 한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랙이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135)와 지지부재(130)의 연결은 회전이 가능하지 않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141)가 회전을 하면 상기 지지부재(130)도 회전을 하는데, 이에 따라서 상기 랙도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재(135) 타단은 도넛 형상으로 내주면에는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결합하는 상기 지지부재(1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연결은 스플라인 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130)가 상기 회전부재(141)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한 바퀴 공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부재 자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바퀴 자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측 회전부재(141)가 동일한 회전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이 양측 회전부재에 동일하게 전달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의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다른 한쪽의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구동력은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구동부(110)의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벨트나 체인 등을 연결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게 할 수 있으며, 기어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41)는 별도의 구동 수단을 통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의 자전을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이 연결되는 회전부재(141)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 내측에 별도의 구동 수단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30)가 양측 회전부재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일측의 회전부재(141)와 연결되지만 타단은 타측의 가이드 홈(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회전부재(141)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가이드 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지지부재(130)의 일단이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이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회전하는 회전 반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설명한 랙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따라서 터브(10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시키는 도어(미도시)의 설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에 도어가 형성되는 프론트 도어 형식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는, 상기 터브의 측면에 상기 회전부재(141)가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터브(101)의 상 측면에 도어가 형성되는 탑 도어 형식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는, 상기 터브의 측면,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회전부재가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1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사장치는 분사노즐(155)과 분사암(1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암(154)은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봉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형봉 또는 사각봉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분사암의 일단은 상기 회전식 지지부(140)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재(141)의 회전 중심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분사암의 타단은 타측 회전부재(141)의 중심부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암(154)의 지지수단은 상기 분사암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재(141)와 연동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에서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암(154)이 나사 결합이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분사암은 상기 회전부재(141)가 회전시에 일체로 회전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장치(150)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155)이 포함되는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장치(150)의 분사암(154) 외주면 상에 상기 분사장치(15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상기 분사암(154)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분사노즐의 개수는 상기 랙(106)의 폭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에서 세척수를 방사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장치(150)의 단면을 소정 각도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다수개의 개소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사암(154)이 사각봉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4개의 면에 각각 분사노즐이 일렬로 형성되어 한 쪽면에 구비된 분사노즐들이 각각 한쪽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따라서 4개의 분사 방향으로 상기 랙의 일측면을 향하여 세척수가 방사 형태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암이 육각봉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6개의 면에 각각 분사노즐이 일렬로 형성되어, 6개의 분사 방향으로 세척수가 방사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분사암이 원형봉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세척할 식기가 적은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랙(106)에만 식기가 수용되어 세척하여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모든 분사노즐(155)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사되게 되면, 세척수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가 수용되어 있는 랙 방향으로만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장치(150)에는 선택적으로 분사노즐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 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 수단(미도시)은 연결관(120)과 분사암 내부의 분사노즐연결관(미도시) 사이에 온/오프 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연결관은 세척수의 분사 방향에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분사노즐연결관은 일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55)들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관과 연결관 사이에 세척수 유입을 차단하면, 어느 한쪽 방향으로 세척수 분사를 차단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연결관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관에만 세척수를 유입시키면,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분사장치(150)와 달리 상기 회전식 지지부(140)의 중심부에 각각 분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분사암이 양 회전부재의 중심부에 동시에 지지되지 않고, 두 개의 분사암(154)이 상기 회전식 지지부(140)의 중심부 양 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터브(101)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된 회전부재(141)의 중심부에 각각 분사암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연결관(120)이 양 분사장치에 연결되어야 하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분사장치와 동일하나, 분사장치를 상기 회전부재에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분사장치 보다 용이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사암을 상기 회전식 지지부(140) 중심부에 각각 구비 하면 상기 랙(105)의 상부 또는 하부 중심부에 세척수가 분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는 각 분사암의 타단 즉, 터브 중앙 부분으로 돌출된 끝단의 형상을 원뿔 형상 등으로 하고, 경사면에 분사노즐을 구비하면 세척수가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랙의 중앙부분에도 세척수가 충분히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설명의 편의상 4개의 랙이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구동부(110)의 작동에 의하여 세척수가 연결관(120) 및 분사암(154)으로 유입된 후 분사노즐(155)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사된다. 여기서 세척수의 분사방향은 전술하다시피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분사암의 외주면상 어느 위치에 구비되는 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랙(106)이 4개가 구비된 경우에서는 세척수의 분사방향이 상하좌우 4개의 방향으로 되도록 분사노즐을 상기 분사암의 외주면상 4개의 선상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기세척기의 세척 사이클 또는 헹굼 사이클시 소정의 시간을 두고 상기 랙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사암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랙을 90°간격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4번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랙의 상하좌우 면에 대하여 각각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암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랙을 연속적으로 저속 회전시키면서 세척행정 및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랙(106)의 회전과 분사장치(150)의 회전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사장치가 회전부재(14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랙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분사장치도 상기 랙의 회전 각도 만큼 회전이 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분사암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분사노즐을 통해서 어느 하나의 랙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랙의 회전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될 것이다.
또한, 상기 랙(106)의 회전이 정지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150)가 일정 각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을 반복함으로 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인 세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세척할 식기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예를 들어 하나의 랙에만 식기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단 수단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면, 식기가 담겨있는 랙 방향으로만 세척수를 분사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세척수를 더욱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세척수가 렉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세척 효율이 높아 진다.
둘째, 식기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일정한 분사노즐에서만 세척수를 분사되기 때문에 세척수의 절감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식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상기 랙을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식 지지부;
    상기 회전식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 및
    식기가 수용되어 있는 랙 방향으로만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장치에 구비되는 차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기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연결관과 연통되는 분사암; 및
    상기 분사암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분사노즐에서 선택적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삭제
  9. 제 1항, 제 5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회전식 지지부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회전식 지지부와 일체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식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상기 랙을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식 지지부;
    상기 회전식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기세척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식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상기 랙을 지지하고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식 지지부;
    상기 회전식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기세척기.
KR1020050037499A 2005-05-04 2005-05-04 식기세척기 KR100698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99A KR100698270B1 (ko) 2005-05-04 2005-05-0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99A KR100698270B1 (ko) 2005-05-04 2005-05-0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148A KR20060115148A (ko) 2006-11-08
KR100698270B1 true KR100698270B1 (ko) 2007-03-22

Family

ID=3765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499A KR100698270B1 (ko) 2005-05-04 2005-05-0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331A (ja) * 1997-12-12 1999-06-29 Iyota Seisakusho:Kk 箸洗浄機
KR20000008079A (ko) * 1998-07-10 2000-02-07 권순국 흡수성 바이오휠터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331A (ja) * 1997-12-12 1999-06-29 Iyota Seisakusho:Kk 箸洗浄機
KR20000008079A (ko) * 1998-07-10 2000-02-07 권순국 흡수성 바이오휠터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과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1169331
200008079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148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293B1 (ko) 식기 세척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1054221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구조
US20170135548A1 (en) Spray Arm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JP2011224232A (ja) 食器洗い機
KR101300919B1 (ko) 식기 세척기
US9801523B2 (en) Spray device assembly for dishwasher appliance
KR101978988B1 (ko) 개량된 순환와류 형성구조를 갖는 담금형 식기 세척장치
CN103620105B (zh) 滚筒式洗衣机
KR100698326B1 (ko) 식기세척기 및 세척방법
KR101155344B1 (ko) 식기 세척기
KR100698270B1 (ko) 식기세척기
KR100698269B1 (ko) 식기세척기
US11051673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fluid circulation assembly of a dishwasher appliance
KR100698327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방법
CN107874726B (zh) 一种洗碗机侧部喷淋装置及洗碗机
KR101591608B1 (ko) 식기세척기용 분사구조
KR20070113639A (ko) 식기 세척기
KR20050122359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CN214259249U (zh) 一种具有双喷射水路的洗碗机
JP2010264160A (ja) 食器洗い機
CN114424920B (zh) 一种安装脉冲式喷淋臂的洗碗机
KR19990076356A (ko) 상하교번 세척용 식기세척기
KR900007534Y1 (ko) 식기 세척기의 물 분사장치
KR950009984B1 (ko) 식기세척기의 보조아암구조
KR0165040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