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941B1 -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마스크 - Google Patents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941B1
KR100697941B1 KR1020050053183A KR20050053183A KR100697941B1 KR 100697941 B1 KR100697941 B1 KR 100697941B1 KR 1020050053183 A KR1020050053183 A KR 1020050053183A KR 20050053183 A KR20050053183 A KR 20050053183A KR 100697941 B1 KR100697941 B1 KR 100697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smetic composition
sustained release
aqueous cosmetic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371A (ko
Inventor
손성길
이인호
박현석
박수진
최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5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941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시 냉감 또는 온감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는 다수의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다수의 열조절 입자 중 일부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을 마스크 등에 적용하여 피부에 사용시 지속적으로 소정기간 이상 피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온열감 부여에 따른 혈액순환 및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율을 향상시키거나 냉열감 부여에 다른 피부진정, 모공 축소 등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흡열, 발열, 피복층, 서방성, 비수계, 화장료, 마스크

Description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 마스크{Nom aqueous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mal controlling material having sustained release properties and a mask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열조절 입자로서 질산 암모늄을 사용한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냉감 지속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는 열조절 입자로서 자일리톨과 에리트리톨을 사용한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온감 지속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열조절 입자로서 염화칼슘을 사용한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온감 지속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열조절 입자로서 제올라이트를 사용한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온감 지속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발열 열조절 입자와 흡열 열조절 입자를 동시에 사용한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온냉감 지속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시 냉감 또는 온감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 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화장료)이라 함은 사람의 신체에 도포, 산포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하여 신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 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료의 목적을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에멀젼형, 에멀젼형, 로션형, 크림형, 왁스형, 스프레이형, 시트형, 패취형 등 매우 다양한 제형들이 연구되어 제품화 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제품의 사용시 온감을 주어 유효 성분의 피부나 모발 내 침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냉감을 주어 확장된 모공을 수렴 시키거나 피부의 진정 효과를 갖는 제품들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염화암모늄이나 질산 암모늄은 물과 흡열반응을 일으킨다. 또한, 다양한 폴리올류, 염화칼슘, 산화칼슘, 아세트산나트륨 과포화 용액, 석고, 제올라이트, 철 등은 물 또는 산소와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들 물질을 비수계 화장료에 포함시키면, 사용시 흡열 또는 발열하여 열을 조절하므로서 피부에 냉감이나 온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사용시 순간적으로 모두 흡열(발열)반응을 끝내므로, 열조절의 지속시간이 매우 짧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97652호에는 멘톨 성분을 당피복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향미 발현성과 지속성이 우수한 츄잉검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발명은 발명의 목적이 향미의 지속성 향상에 있고, 그 산업분 야 또한 화장표 분야와는 상이하며, 사용된 멘톨류의 물질은 실제적인 냉각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청량감에 의한 쿨링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피부 온도를 낮춤에 다른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에 사용시 지속적으로 소정기간 이상 피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온열감 부여에 따른 혈액순환 및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율을 향상시키거나 냉열감 부여에 다른 피부진정, 모공 축소 등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피부에 사용시 온감과 냉감 또는 냉감과 온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냄으로서 온감과 냉감 부여의 기능을 같이 갖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시 냉감 또는 온감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는 다수의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다수의 열조절 입자 중 일부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시 온감과 냉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하 는 다수의 발열 열조절 입자 및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하는 다수의 흡열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흡열 열조절 입자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시 냉감과 온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하는 다수의 흡열 열조절 입자 및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다수의 발열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발열 열조절 입자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시 냉감 또는 온감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로서,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는 다수의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다수의 열조절 입자 중 일부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서방성 피복층'이라는 용어는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열조절 입자가 물 또는 산소와 접촉하는 시점을 늦출 수 있는 피복층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피복층'이라는 용어는 전술한 서방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열조절 입자 표면에 형성된 막으로서, 고상 또는 액상의 막은 물론 캡슐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열 조절 입자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므로서 실질적으로 피부에 냉감이나 온감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된 입자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는 물질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물질들을 입자화하여 비수계 화장료에 첨가하면, 사용시 순간적으로 모두 흡열(발열)반응을 끝내므로 열조절의 지속시간이 매우 짧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열조절 입자 일부의 표면에 물 또는 산소와의 접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서방성 피복층을 형성하면, 서방성 피복층이 열조절 입자와 물 또는 산소와의 접촉 개시시점을 늦춤으로서 피부에 지속적인 냉감이나 온감을 부여할 수 있어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시,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되지 않는 열조절 입자가 먼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피부에 냉감 또는 온감을 부여하며,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열조절 입자는 사용 초기에는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피복층 내부의 열조절 입자가 물 또는 산소와 접촉하여 반응하므로서 열조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조절 입자로서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하는 흡열 열조절 입자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 열조절 입자만을 각각 함유하여 화장료에 냉감이나 온감만을 각각 부여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이 선택적으로 흡열 열조절 입자와 발열 열조절 입자에 서방성 피복층을 형성하므로서, 온감과 냉감 또는 냉감과 온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먼저, 온감과 냉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다수의 발열 열조절 입자 및 물 또는 산 소와 반응하여 흡열하는 다수의 흡열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흡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시,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되지 않는 발열 열조절 입자가 먼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므로 피부에는 온감을 먼저 부여하게 되며,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흡열 열조절 입자는 피복층에 의해 사용 초기에는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피복층 내부의 흡열 열조절 입자가 물 또는 산소와 접촉하여 반응하므로서 냉감을 부여하게 된다. 온감을 보다 지속적으로 부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발열 열조절 입자 중 일부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발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의 두께가 흡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냉감이 온감보다 후에 발현하게 해야만 할 것이다.
반대로, 냉감과 온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하는 다수의 흡열 열조절 입자 및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다수의 발열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발열 열조절 입자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시,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되지 않는 흡열 열조절 입자가 먼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므로 피부에는 냉감을 먼저 부여하게 되며,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발열 열조절 입자는 피복층에 의해 사용 초기에는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피복층 내부의 발열 열조절 입자가 물 또는 산소와 접촉하여 반응하므로서 온감을 부여하게 된다. 냉감을 보다 지속적으로 부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흡열 열조절 입자 중 일부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흡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의 두께가 발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온감이 냉감보다 후에 발현하게 해야만 할 것이다.
피부에 온감을 부여하면 혈액순환이나 유효성분의 피부침투 및 오염물 제거를 촉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반대로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면 피부진정, 모공축소, 주름개선, 태양광 노출에 의한 피부화상의 진정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므로, 온감과 냉감 부여에 따른 기능은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냉감과 온감 또는 온감과 냉감을 순차적으로 부여하면 화장료의 사용 목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가 세정, 보습, 영양, 자외선 차단, 노화방지, 미백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먼저 온감을 부여하여 유효성분의 흡수를 돕게 하고, 나중에 냉감을 부여하여 모공을 축소시키고 피부를 진정하게 하면, 화장료 사용의 목적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냉감을 제공하는 흡열 열조절 입자는 물 또는 산소와 반응(수화반응을 포함한다)하여 흡열하는 염화암모늄, 질산 암모늄이나,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온감을 제공하는 발열 열조절 입자는 물 또는 산소와 반응(수화반응을 포함한다)하여 발열하는 염화칼슘, 산화칼슘, 아세트산나트륨, 석고, 제올라이트, 철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열조절 입자의 서방성 피복층은 소수성 오일 또는 실리콘과 같은 물질된 소수성 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지방 알코올, 당, 알긴산유도체, 젤라틴, 키토산, 멜라닌, 카라기난, 아라비아고무, 카 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타아크릴산폴리머, 폴리비닐알콜, 콜라겐, 대두 단백 및 왁스와 같은 물질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열조절 입자의 평균입도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동일한 중량의 열조절 입자를 화장료에 첨가시, 평균입도가 작으면 보다 일시적이고 순간적인 냉감이나 온감을 얻게 되며, 평균입도가 크면 지속적인 냉감이나 온감을 얻게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평균입도가 0.001㎛ 내지 1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0㎛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입도가 0.001㎛ 이하인 열조절 입자는 제조 또는 서방성 피복층을 형성하기가 어려우며, 10,000㎛ 이상이 되면 화장품의 미관이나 제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서방성 피복층의 두께 역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데, 0.0001 내지 1,500㎛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0.0001㎛ 미만이면 코팅에 따른 서방성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두께가 1,500㎛를 초과하면 수분의 투과가 어렵고 수분이 투과하여 열조절 입자와 반응하더라도 그 열전달이 피복층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준비한 열조절 입자들(코팅된 입자들과 코팅되지 않은 입자들)은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에 예를 들어 0.5 내지 50중량%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 으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종이, 패치 등의 다양한 시트상의 기재로 된 마스크에 함침, 침적 등의 방법을 통해 실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비율로 원료 1, 2에 3을 분산 투입하여 완전히 분산 시킨 후, 원료 4, 5, 6을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45도로 가온하면서 투명상이 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가온을 중지하고 원료 7, 8, 9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30분간 400rpm의 통상의 일반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원료 10 내지 15를 투입한 다음 150rpm의 저속으로 20분 정도 교반하여 제조를 완료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용한 질산 암모늄의 평균입도와 그 코팅층의 두께는 각각 전술한 범위 내에 있었으며, 코팅시간을 각각 5분, 10분, 20분, 30분, 1시간으로 달리하여 형성된 코팅층의 두께가 다르도록 조절하였다. 코팅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피복 질산 암모늄을 각각 20%씩 동량으로 하여 혼합한 후 화장품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3.0중량%를 투입하였고, 코팅하지 않은 질산 암모늄을 2중량% 투입하였다.
Figure 112005032675765-pat00001
실시예 6 내지 10 및 비교예 3
표 2과 같은 조성 비율로 화장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32675765-pat00002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4
표 3과 같은 조성 비율로 화장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32675765-pat00003
실시예 16 내지 20 및 비교예 5
표 4와 같은 조성 비율로 화장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32675765-pat00004
실시예 21 내지 25 및 비교예 6
표 5와 같은 조성 비율로 화장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32675765-pat00005
질산암모늄 코팅 제품의 시간별 냉감 지속 효과 시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물에 대하여 냉감 물질인 질산암모늄 코팅 제품의 시간별 냉감 지속 효과 시험를 시험 하였다.
시험 방법 :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물 90g을 온도계가 장착된 비이커에 넣고, 섭씨 25도의 항온조에 넣고 100rpm의 저속으로 교반하면서 온도가 섭씨 25도로 평형이 되도록 한 후, 물과의 반응을 위하여 10g의 섭씨 25도로 맞추어진 물을 이 비이커에 넣은 후, 15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300초, 600초, 900초, 1200초, 1800초 경시후의 온도를 확인하여 냉감 물질인 질산암모늄 코팅 제품의 시간별 냉감 지속 효과를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표시하였다.
자일리톨(50중량%) + 에리트리톨(50중량%) 코팅 제품의 시간별 냉감 지속 효과 시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6 내지 10 및 비교예 3의 조성물에 대하여 냉감물질인 자일리톨(50중량%) + 에리트리톨(50중량%) 코팅 제품의 시간별 냉감 지속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방법 : 상기 실시예 6 내지 10 및 비교예 3의 조성물 90g을 온도계가 장착된 비이커에 넣고, 섭씨 25도의 항온조에 넣고 100rpm의 저속으로 교반하면서 온도가 섭씨 25도로 평형이 되도록 한 후, 물과의 반응을 위하여 10g의 섭씨 25도로 맞추어진 물을 이 비이커에 넣은 후, 15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300초, 600초, 900초, 1200초, 1800초 경시후의 온도를 확인하여 냉감 물질인 자일리톨(50중량%) + 에리트리톨(50중량%) 코팅 제품의 시간별 냉감 지속 효과를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표시하였다.
염화칼슘 코팅 제품의 시간별 온감 지속 효과 시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에 대하여 온감물질인 염화칼슘 코팅 제품의 시간별 온감 지속 효과 시험를 시험 하였다.
시험 방법 : 상기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4의 조성물 90g을 온도계가 장착된 비이커에 넣고, 섭씨 25도의 항온조에 넣고 100rpm의 저속으로 교반하면서 온도가 섭씨 25도로 평형이 되도록 한 후, 물과의 반응을 위하여 10g의 섭씨 25도로 맞추어진 물을 이 비이커에 넣은 후, 15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300초, 600초, 900초, 1200초, 1800초 경시후의 온도를 확인하여 온감 물질인 염화칼슘 코팅 제품의 시간별 온감 지속 효과를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표시하였다.
제올라이트 코팅 제품의 시간별 온감 지속 효과 시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6 내지 20 및 비교예 5의 조성물에 대하여 온감물질인 염화칼슘 코팅 제품의 시간별 온감 지속 효과 시험를 시험 하였다.
시험 방법 : 상기 실시예 16 내지 20 및 비교예 5의 조성물 90g을 온도계가 장착된 비이커에 넣고, 섭씨 25도의 항온조에 넣고 100rpm의 저속으로 교반하면서 온도가 섭씨 25도로 평형이 되도록 한 후, 물과의 반응을 위하여 10g의 섭씨 25도로 맞추어진 물을 이 비이커에 넣은 후, 15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300초, 600초, 900초, 1200초, 1800초 경시후의 온도를 확인하여 온감 물질인 제올라이트 코팅 제품의 시간별 온감 지속 효과를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표시하였다.
온냉감 화장품의 온냉감 효과 시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21 내지 25 및 비교예 6의 온감과 냉감을 동시에 나타내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코팅되지 않은 염화칼슘과 코팅된 질산 암모늄에 의한 시간별 온냉감 효과를 시험 하였다.
시험 방법 : 상기 실시예 21 내지 25 및 비교예 6의 조성물 90g을 온도계가 장착된 비이커에 넣고, 섭씨 25도의 항온조에 넣고 100rpm의 저속으로 교반하면서 온도가 섭씨 25도로 평형이 되도록 한 후, 물과의 반응을 위하여 10g의 섭씨 25도로 맞추어진 물을 이 비이커에 넣은 후, 15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300초, 600초, 900초, 1200초, 1800초, 2400초 경시후의 온도를 확인하여 코팅되지 않은 염화칼슘과 코팅된 질산 암모늄을 함유하는 온감과 냉감을 나타내는 화장품 조성물의 효과를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표시하였다.
상기 시험에 따른 결과 값을 표 6에 표시하였다.
Figure 112005032675765-pat00006
도 1 내지 5 및 표 6의 결과를 참조하면,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는 실시예의 화장료는 그렇지 않은 화장료에 비하여 그 지속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온감과 냉감을 동시에 갖는 화장품 조성물 또한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을 마스크 등에 적용하여 피부에 사용시 지속적으로 소정기간 이상 피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온열감 부여에 따른 혈액순환 및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율을 향상시키거나 냉열감 부여에 다른 피부진정, 모공 축소 등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으로 흡열 열조절 입자와 발열 열조절 입자에 서방성 피복층을 형성하면, 온감과 냉감 또는 냉감과 온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내게 할 수 있게 되므로서, 화장료의 사용 목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피부에 사용시 냉감 또는 온감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는 다수의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다수의 열조절 입자 중 일부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2. 피부에 사용시 온감과 냉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다수의 발열 열조절 입자 및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하는 다수의 흡열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흡열 열조절 입자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3. 피부에 사용시 냉감과 온감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흡열하는 다수의 흡열 열조절 입자 및 물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다수의 발열 열조절 입자를 함유하되, 상기 발열 열조절 입자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조절 입자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조절 입자의 평균입경은 10 내지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피복층의 두께는 0.0001 내지 1,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열조절 입자는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자일리톨 및 에리트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열조절 입자는 염화칼슘, 산화칼슘, 아세트산나트륨, 석고, 제올라이트 및 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 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피복층은 소수성 오일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피복층은 지방 알코올, 당, 알긴산유도체, 젤라틴, 키토산, 멜라닌, 카라기난, 아라비아고무, 카 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타아크릴산폴리머, 폴리비닐알콜, 콜라겐, 대두 단백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열 열조절 입자 중 일부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고, 발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의 두께가 흡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흡열 열조절 입자 중 일부는 그 표면에 서방성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고, 흡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의 두께가 발열 열조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13.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b) 상기 서방성 열조절 화장료 조성물이 실장된 시트상의 기재
    로 구성된 마스크.
KR1020050053183A 2005-06-20 2005-06-20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마스크 KR100697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83A KR100697941B1 (ko) 2005-06-20 2005-06-20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83A KR100697941B1 (ko) 2005-06-20 2005-06-20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371A KR20060133371A (ko) 2006-12-26
KR100697941B1 true KR100697941B1 (ko) 2007-03-20

Family

ID=3781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183A KR100697941B1 (ko) 2005-06-20 2005-06-20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36A (ko) 2019-03-06 2020-09-1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쿨링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333A (ja) 1998-02-09 1999-08-24 Shiseido Co Ltd 温熱化粧料
KR20010027020A (ko) * 1999-09-10 2001-04-06 안용찬 반코팅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비수계 발열화장료
KR20010027018A (ko) * 1999-09-10 2001-04-06 안용찬 활성제올라이트를 함유한 비수계 발열화장료
KR20050046025A (ko) * 2003-11-13 2005-05-18 이경록 자가 발열 피부 활성 화장료 분말 조성물
KR20060043289A (ko) * 2004-02-28 2006-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냉열 팩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333A (ja) 1998-02-09 1999-08-24 Shiseido Co Ltd 温熱化粧料
KR20010027020A (ko) * 1999-09-10 2001-04-06 안용찬 반코팅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비수계 발열화장료
KR20010027018A (ko) * 1999-09-10 2001-04-06 안용찬 활성제올라이트를 함유한 비수계 발열화장료
KR20050046025A (ko) * 2003-11-13 2005-05-18 이경록 자가 발열 피부 활성 화장료 분말 조성물
KR20060043289A (ko) * 2004-02-28 2006-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냉열 팩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36A (ko) 2019-03-06 2020-09-1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쿨링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371A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079B1 (ko) 냉각용 첩부 시트
US9173826B2 (en) Porous, dissolvable solid substrate and surface resident coating comprising a zync pyrithione
US20110132387A1 (en) Porous, Dissolvable Solid Substrate And Surface Resident Coating Comprising A Skin Treatment Active
JP2015525767A5 (ko)
WO2007132972A1 (en) Macro-sized lipid capsule emulsion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4132455A1 (en) Structured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s
CA2660722A1 (en) Stabilized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KR101677257B1 (ko) 마이크로 캡슐화한 상전이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97941B1 (ko) 서방성 열조절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마스크
US20050058613A1 (en) Single-use moisturizing product
KR101859674B1 (ko)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AU2016252229A1 (en) Vegetable butter composition
KR20160031568A (ko) 수용성 패치타입 고체향수 및 그 제조방법
CN111343963B (zh) 生理清凉活性成分的用途以及包含此类活性成分的组合物
TWI776879B (zh) 身體化妝料
JP2007277150A (ja) フィルム状芳香化粧料
JP2599130B2 (ja) シート状パツク材
JPS6140645B2 (ko)
TWI644658B (zh) Cooling patch
KR100709609B1 (ko) 덧 발림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JPS6033084B2 (ja) W/o型のスチツク化粧料
TWI791506B (zh) 身體化妝料
CA2678521C (en) Depilatory composition
CN109199912A (zh) 一种玫瑰唇膏及其制备方法
JPH047188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