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619B1 -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619B1
KR100697619B1 KR1020070012812A KR20070012812A KR100697619B1 KR 100697619 B1 KR100697619 B1 KR 100697619B1 KR 1020070012812 A KR1020070012812 A KR 1020070012812A KR 20070012812 A KR20070012812 A KR 20070012812A KR 100697619 B1 KR100697619 B1 KR 10069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holes
base plate
fix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수양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양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수양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1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도어의 개폐에 따라 인장되거나 이완되는 접지밴드가 스프링텐션기구에 의해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한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프레임(20)의 상측 코너부 천장에 엘형보조프레임(22)을 용접하고, 체결공(24a)(24b)이 형성된 행거볼트고정부재(24)(25)를 본체프레임(20)과 엘형보조프레임(22)의 내측수직면에 평행하게 용접하며, 행거볼트(26)(27)의 상단을 행거볼트고정부재(24)(25)에 형성된 체결공(24a)(24b)으로 삽입하여 제1너트(28a)(28b)에 의해 고정하고, 베이스플레이트(30)의 코너부에 형성된 체결구멍(32)(34)으로 행거볼트(26)(27)의 하단을 삽입하여 제2너트(35a)(35b)에 의해 행거볼트(26)(27)에 매달린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30)를 수평하게 설치하며, 공회전롤러(40)(42)(44)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고정숄더볼트(50)(52)(54)를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복수의 롤러고정구멍(36a)(36b)(36c)으로 삽입하여 제3너트(37)에 의해 고정하고,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롤러고정구멍(36a)(36b)(36c) 사이의 편측으로 복수의 가이드장공(38a)(38b)을 평행하게 형성하며, 가이드장공(38a)(38b)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숄더볼트(56)(58)의 상단을 무빙앵글(60)에 형성된 관통구멍(62)으로 삽입하여 제4너트(66)에 의해 결합하고, 슬라이드숄더볼트(56)(58)의 하단에는 텐션롤러(46)(48)를 설치하며, 베이스플레이트(30)의 상면에 용접된 샤프트가이드용꺾쇠(39)에 형성된 안내구멍(39a)으로 삽입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샤프트(70)를 무빙앵글(60)에 수평하게 용접하고, 슬라이드샤프 트(70)에 삽입된 리턴스프링(72)의 양단을 샤트프가이드용꺾쇠(39)와 무빙앵글(60)의 사이에서 예압을 갖고 반발하도록 설치하며, 공회전롤러(40)(42)(44)와 텐션롤러(46)(48)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긴 접지밴드(80)의 일측단은 행거볼트고정부재(24)에 수직으로 용접된 접지선연결판(82)에 고정하고, 접지밴드(80)의 타측단은 리벳(84)에 의해 배전반도어(86)에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배전반,도어,접지,밴드,스프링,롤러,텐션,가이드,샤프트

Description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Earth apparatus of switchboard door for apartment complexes}
도 1은 종래 배전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배전반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6의 상태로부터 배전반도어가 개방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배전반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9는 도8의 상태로부터 배전반도어가 개방된 것을 보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배전반도어가 개방되기 전 상태의 리턴스프링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배전반도어가 개방된 후의 리턴스프링 상태를 보인 단 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본체프레임 22 : 엘형보조프레임
24,25 : 행거볼트고정부재 24a,24b : 체결공
26,27 : 행거볼트 28a,28b : 제1너트
30 : 베이스플레이트 32,34 : 체결구멍
35a,35b : 제2너트 36a,36b,36c : 롤러고정구멍
37 : 제3너트 38a,38b : 가이드장공
39 : 샤프트가이드용꺾쇠 39a : 안내구멍
40,42,44 : 공회전롤러 46,48 : 텐션롤러
50,52,54 : 고정숄더볼트 56,58 : 슬라이드숄더볼트
60 : 무빙앵글 62 : 관통구멍
66 : 제4너트 70 : 슬라이드샤프트
72 : 리턴스프링 80 : 접지밴드
82 : 접지선연결판 84 : 리벳
86 : 배전반도어
본 발명은 배전반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설된 전류가 배전반본체의 접 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하는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모선에 접속되어 있는 접지밴드가 배전반도어의 개폐에 따라 인장되거나 이완될 때 스프링 텐션기구에 의해 항상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한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配電盤, distributing board)은 발전소, 변전소, 건축물등에 사용되는 전기장치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을 위한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수납하여 관리하는 장치로, 주회로용(主回路用) 배전반과 제어용(制御用) 배전반이 있다.
그리고, 배전반의 형식에는 개방형과 폐쇄형이 있는데, 개방형은 반의 뒷면을 보면 전기배선이나 스위치의 단자 등이 노출되어 보이는 것이고, 폐쇄형은 도장(塗裝)한 철판상자 속에 모두 넣어져 있는 것인데, 외부에서 보이는 것은 최소한의 계기(計器), 조작버튼 등이다. 개방형의 경우는 유닛(unit)의 치수가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변전소 등의 규모에 따라서 유닛의 수를 정한다.
한편, 첨부도면 도1은 종래 배전반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배전반(2)은 힌지(5)에 의해 본체(3)에 결합되어 있는 도어(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위와 같은 본체(3)에는 차단기(주로 고압 진공차단기 또는 저압 기중 차단기)(6),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 및 변성기(Voltage Transformer; VT)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설치되고, 도어(4)에는 전류계(7), 전압계(8), 보호 계전기(9), 표시등 및 스위치 등의 여러 전기 기기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3)에 설치되는 각 기기들과 도어(4)에 설치되는 각 기기들은 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선을 통해 항상 전기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전반(2)의 본체(3)에는 전기의 흐름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누전현상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공사법규에 따라 별도의 접지구조가 구비되어야 하는 바, 일반적으로 배전반(2)의 본체(3) 일측에는 별도의 접지모선(Earth bus bar)(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대지와 접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배전반(2)에서 본체(3)의 경우는 접지모선(10)을 통해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도어(4)의 경우 별도의 접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도어(4) 개폐시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전반도어에서 누전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누설된 전류가 본체의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프레임의 상측 코너부 천장에 엘형보조프레임을 용접하고, 체결공이 형성된 행거볼트고정부재를 본체프레임과 엘형보조프레임의 내측수직면에 평행하게 용접하며, 행거볼트의 상단을 행거볼트고정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삽입하여 제1너트에 의해 고정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코너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으로 행거볼트의 하단을 삽입하여 제2너트에 의해 행거볼 트에 매달린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하게 설치하며, 공회전롤러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고정숄더볼트를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롤러고정구멍으로 삽입하여 제3너트에 의해 고정하고,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롤러고정구멍 사이의 편측으로 복수의 가이드장공을 평행하게 형성하며, 가이드장공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숄더볼트의 상단을 무빙앵글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삽입하여 제4너트에 의해 결합하고, 슬라이드숄더볼트의 하단에는 텐션롤러를 설치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용접된 샤프트가이드용꺾쇠에 형성된 안내구멍으로 삽입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샤프트를 무빙앵글에 수평하게 용접하고, 슬라이드샤프트에 삽입된 리턴스프링의 양단을 샤트프가이드용꺾쇠와 무빙앵글의 사이에서 예압을 갖고 반발하도록 설치하며, 공회전롤러와 텐션롤러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긴 접지밴드의 일측단은 행거볼트고정부재에 수직으로 용접된 접지선연결판에 고정하고, 접지밴드의 타측단은 리벳에 의해 배전반도어에 고정하여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20)의 상측 코너부 천장에 엘형보조프레임(22)을 용접하고, 체결공(24a)(24b)이 형성된 행거볼트고정부재(24)(25)를 본체프레임(20)과 엘형보조프레임(22)의 내측수직면에 평행하게 용접하며, 행거볼트(26)(27)의 상단을 행거볼트고정부재(24)(25)에 형성된 체결공(24a)(24b)으로 삽입하여 제1너트(28a)(28b)에 의해 고정하고, 베이스플레이 트(30)의 코너부에 형성된 체결구멍(32)(34)으로 행거볼트(26)(27)의 하단을 삽입하여 제2너트(35a)(35b)에 의해 행거볼트(26)(27)에 매달린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30)를 수평하게 설치한다.
또한, 공회전롤러(40)(42)(44)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고정숄더볼트(50)(52)(54)를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복수의 롤러고정구멍(36a)(36b) (36c)으로 삽입하여 제3너트(37)에 의해 고정하고,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롤러고정구멍(36a)(36b)(36c) 사이의 편측으로 복수의 가이드장공(38a)(38b)을 평행하게 형성하며, 가이드장공(38a)(38b)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숄더볼트(56)(58)의 상단을 무빙앵글(60)에 형성된 관통구멍(62)으로 삽입하여 제4너트(66)에 의해 결합하고, 슬라이드숄더볼트(56)(58)의 하단에는 텐션롤러(46)(48)를 설치한다.
또, 베이스플레이트(30)의 상면에 용접된 샤프트가이드용꺾쇠(39)에 형성된 안내구멍(39a)으로 삽입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샤프트(70)를 무빙앵글(60)에 수평하게 용접하고, 슬라이드샤프트(70)에 삽입된 리턴스프링(72)의 양단을 샤트프가이드용꺾쇠(39)와 무빙앵글(60)의 사이에서 예압을 갖고 반발하도록 설치하며, 공회전롤러(40)(42)(44)와 텐션롤러(46)(48)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긴 접지밴드(80)의 일측단은 행거볼트고정부재(24)에 수직으로 용접된 접지선연결판(82)에 고정하고, 접지밴드(80)의 타측단은 리벳(84)에 의해 배전반도어(86)에 고정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가이드장공(38a)(38b)의 가장자리로 리브(38c)(38d)를 돌출형성하여 무빙앵글(60)와 베이스플레이트(30)의 미끄럼접촉면적을 줄이도록 하여 움직임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공회전롤러(40)(42)(44)와 텐션롤러(46)(48)는 중공형 구조이며, 상하단에 플랜지(40a)(40b)를 두어 접지밴드(8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며, 고정숄더볼트(50)(52)(54)와 슬라이드숄더볼트(56)(58)에 각각 결합되는 공회전롤러(40)(42)(44)와 텐션롤러(46)(48)는 헐거움끼움되도록 하여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접지선연결판(82)에 고정되는 접지밴드(80)의 일측단은 리벳(85)에 의해 접지모선(87)과 함께 고정하며, 접지밴드(80)가 인장력을 받을 때 고정부위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벳(84)(85)에 의해 접지선연결판(82)과 배전반도어(86)에 접지밴드(80)의 양단을 각각 고정할 때 사각와셔(88a)(88b)를 개입한 상태에서 결합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9는 배전반본체를 나타낸 것이며, 59는 와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도어(86)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되면, 배전반도어(86)에 타측단이 고정된 접지밴드(80)가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접지밴드(80)의 일측단은 움직이지 못하도록 접지선연결판(8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밴드(80)의 타측단이 배전반도어(86)에 의해 인장력을 받아 풀리게 되면, 무빙앵글(60)에 고정된 슬라이드숄더볼트(56)(58)가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가이드장공(38a)(38b)을 따라 직선운동된다.
이때 무빙앵글(60)에 용접된 슬라이드샤프트(70)가 베이스플레이트(30)에 용 접되어 있는 샤프트가이드용꺾쇠(39)에 형성된 안내구멍(39a)을 따라 직선운동되면서 동시에 무빙앵글(60)과 샤프트가이드용꺾쇠(39)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리턴스프링(72)이 압축되어 접지밴드(80)는 팽팽함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공회전롤러(40)(42)(44)와 텐션롤러(46)(48)에 감겨 있는 접지밴드(80)는 공회전롤러(40)(42)(44)와 텐션롤러(46)(48)를 따라 운동되며, 공회전롤러(40)(42)(44)와 텐션롤러(46)(48)는 접지밴드(8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여 접지밴드(8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접지선연결판(82)에 의해 접지밴드(80)의 일측단은 접지모선(87)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접지밴드(80)의 타측단은 여전히 배전반도어(86)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배전반도어(86)에서 발생된 누설전류는 접지밴드(80)를 통해 접지모선(87)으로 흘러 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배전반도어(86)를 닫게 되면, 접지밴드(80)가 이완되는데, 이때 리턴스프링(72)이 갖고 있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턴스프링(72)이 신장하여 무빙앵글(60)를 밀게 되고, 무빙앵글(60)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숄더볼트(56)(58)가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가이드장공(38a)(38b)을 따라 직선운동되면서 공회전롤러(40)(42)(44)로부터 텐션롤러(46)(48)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접지밴드(80)에 장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30)의 상면에 용접되어 있는 샤프트가이드용꺾쇠(39)의 안내구멍(39a)에 미끄럼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샤프트(70)는 리턴스프링(72)이 옆 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무빙앵글(60)이 뒤틀림을 방지하여 슬라이드숄더볼트(56)(58)가 가이드장공(38a)(38b)에서 원활하게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전반 본체와 배전반도어를 연결시키는 접지수단인 접지밴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반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설된 전류가 접지밴드와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가게 함으로써,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도어의 개폐시 인장되거나 이완되는 접지밴드를 텐션기구인 리턴스프링과 무빙앵글 및 텐션롤러 등에 의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밴드를 기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프레임(20)의 상측 코너부 천장에 엘형보조프레임(22)을 용접하고, 체결공(24a)(24b)이 형성된 행거볼트고정부재(24)(25)를 본체프레임(20)과 엘형보조프레임(22)의 내측수직면에 평행하게 용접하며, 행거볼트(26)(27)의 상단을 행거볼트고정부재(24)(25)에 형성된 체결공(24a)(24b)으로 삽입하여 제1너트(28a)(28b)에 의해 고정하고, 베이스플레이트(30)의 코너부에 형성된 체결구멍(32)(34)으로 행거볼트(26)(27)의 하단을 삽입하여 제2너트(35a)(35b)에 의해 행거볼트(26)(27)에 매달린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30)를 수평하게 설치하며, 공회전롤러(40)(42)(44)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고정숄더볼트(50)(52)(54)를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복수의 롤러고정구멍(36a)(36b)(36c)으로 삽입하여 제3너트(37)에 의해 고정하고, 베이스플레이트(30)에 형성된 롤러고정구멍(36a)(36b)(36c) 사이의 편측으로 복수의 가이드장공(38a)(38b)을 평행하게 형성하며, 가이드장공(38a)(38b)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숄더볼트(56)(58)의 상단을 무빙앵글(60)에 형성된 관통구멍(62)으로 삽입하여 제4너트(66)에 의해 결합하고, 슬라이드숄더볼트(56)(58)의 하단에는 텐션롤러(46)(48)를 설치하며, 베이스플레이트(30)의 상면에 용접된 샤프트가이드용꺾쇠(39)에 형성된 안내구멍(39a)으로 삽입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샤프트(70)를 무빙앵글(60)에 수평하게 용접하고, 슬라이드샤프트(70)에 삽입된 리턴스프링(72)의 양단을 샤트프가이드용꺾쇠(39)와 무빙앵글(60)의 사이에서 예압을 갖고 반발하도록 설치하며, 공회전롤러(40)(42)(44)와 텐션롤러(46)(48)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 긴 접지밴드(80)의 일측단은 행거볼트고정부재(24)에 수직으로 용접된 접지선연결판(82)에 고정하고, 접지밴드(80)의 타측단은 리벳(84)에 의해 배전반도어(86)에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KR1020070012812A 2007-02-07 2007-02-07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KR10069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12A KR100697619B1 (ko) 2007-02-07 2007-02-07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12A KR100697619B1 (ko) 2007-02-07 2007-02-07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619B1 true KR100697619B1 (ko) 2007-03-22

Family

ID=4156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812A KR100697619B1 (ko) 2007-02-07 2007-02-07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6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61B1 (ko) 2007-12-14 2008-04-08 김정숙 전주용 배전선 접지구조
KR101033637B1 (ko) 2011-03-18 2011-05-1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 접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58A (ko) * 2003-10-23 2003-11-10 김춘성 오물제거용 롤크리너 점착테이프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58A (ko) * 2003-10-23 2003-11-10 김춘성 오물제거용 롤크리너 점착테이프 및 그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8655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61B1 (ko) 2007-12-14 2008-04-08 김정숙 전주용 배전선 접지구조
KR101033637B1 (ko) 2011-03-18 2011-05-1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 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509B1 (ko) 고압 배전반
KR200485290Y1 (ko) 배전반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1336968B1 (ko) 다적재 멀티 배전반
US7544907B1 (en) Special provisions for network protector retrofits
KR100697619B1 (ko) 건축단지용 배전반도어의 접지장치
RU55513U1 (ru) Шкаф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0641031B1 (ko) 전력장치용 배전반
RU121660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608116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KR100643184B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KR100742292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접지구조
KR101039309B1 (ko) 공간절약 및 작업자 안전을 위한 도어 개량형 수배전반
RU113614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638229B1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KR101033637B1 (ko) 배전선 접지장치
CN211508290U (zh) 一种便于安装的高低压开关柜
CN221080635U (zh) 一种新型固定柜
CN211088830U (zh) 一种ggd低压开关柜
KR200398670Y1 (ko) 멀티타입 배선용 차단기 받침대를 갖는 분전반
JP4145386B2 (ja) 配電盤
KR101173959B1 (ko) 계기용 변압 변류기 교체형 가스절연개폐장치
CN211829924U (zh) 一种开关柜快速解锁装置
CN214379442U (zh) 一种用于低压开关柜的柜架结构
CN202550376U (zh) 户内交流金属铠装开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