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587B1 -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587B1
KR100697587B1 KR1020050075103A KR20050075103A KR100697587B1 KR 100697587 B1 KR100697587 B1 KR 100697587B1 KR 1020050075103 A KR1020050075103 A KR 1020050075103A KR 20050075103 A KR20050075103 A KR 20050075103A KR 100697587 B1 KR100697587 B1 KR 100697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channel
controlling
contro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810A (ko
Inventor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유)종로과학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로과학상사 filed Critical (유)종로과학상사
Priority to KR102005007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5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9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각종 시험장치를 동시에 제어하고 채널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제어하고자 하는 다수 시험장치들의 전체 수에 해당하는 다수의 CPU; 각 시험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기; 다채널 운영시 각 시험장치의 채널 신호들의 동기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제어기; 각 시험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함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함수발생기; 각 시험장치에 부착되어 시험장치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서보장치로부터 피드백되어 전송되는 채널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서보 피드백 증폭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하중 신호를 측정하며 내부에 로드 앰프(load amp)를 포함하고 있고 각 CPU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중측정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길이변위 신호를 측정하며 내부에 차동정전용량형 앰프(elongation amp)를 포함하고 있고 각 CPU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신율측정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하중과 길이변위 이외의 변위량을 측정하며 각 CPU에 대응하여 두개씩 설치되어 필요한 사양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개의 옵션부; 상기 제어장치에 필요한 특정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 상기 제어장치가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 상기 제어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의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와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와 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해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과 통신을 담당하는 입출력보드; 상기 제어장치가 특정 데 이터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 각 시험장치의 각 출력신호 레벨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한 자동이득제어기; 각 채널신호를 온/오프 제어하는 오버 리미터; 상기 제어장치를 전체적으로 운용하는 소프트웨어, 각 시험장치를 운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해당 시험장치의 운전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 처리 모드기로 이루어지는 전용 시스템 소프트웨어; 유압제어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유압전력제어시스템; 상기 제어장치에게 안정적인 전압과 주파수 전원을 갖는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각종 시험장치의 제어부의 삼각파형을 스윕 제어(Sweep Controll)하기 위한 스윕 발생기; 및 각종 시험장치의 제어부에 필요한 임의의 주파수를 생성해주기 위한 프로그램 파형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채널, 제어장치, 피드백 제어, 시험장치.

Description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A multi-channel full digital feedback control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CPU 20: 호스트 컴퓨터
30: 원격제어기 40: 위상제어기
50: 인터페이스장치 60: 함수발생기
70: 서보 피드백 증폭기 80: 서보장치
90: 하중측정기 100: 신율측정기
110: 옵션부 120: 롬
130: 램 140: I/O 보드
150: 표시장치 160: 자동이득제어기
170: OVER LIMITER 180: 전용 시스템 소프트웨어
190: 유압전력제어시스템 200: 무정전전원장치
삭제
210: 랙 220: 스윕 발생기
230: 프로그램 파형제어기 1000: 제어장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기술로서는 일본의 주식회사 사기노미야 제작소가 한국에 출원하여 공개되어 있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4-66007호(2004. 7. 23 공개) "하중 부하 시험기"가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도요타 자동차 주식회사와 주식회사 사기노미야 제작소가 공동으로 한국에 출원하여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제10-1997-2291호(1997. 1. 24 공개 ) "조향 시스템 시험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제어대상인 시험장치를 하중을 포함한 다수의 채널신호를 제어대상으로부터 피드백받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관한 앞의 문헌들에 의하여 개시된 것처럼 종래에도 다양한 시험장치가 개발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들 시험장치들은 완전한 디지털 시험장치가 아니었고, 설사 디지털 시험장치라고 할지라도 하중을 포함한 다양한 채널 신호를 동 시에 사용하고 있지 못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제어 및 계측이 불가능하였다. 특히 각 시험장치의 채널신호들을 피드백 받아 동시에 계측 및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해줄 수 있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 발명의 기본 구성 >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각종 시험장치를 동시에 제어하고 채널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는,
다수의 각종 시험장치를 동시에 제어하고 채널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있어서,
적어도 제어하고자 하는 다수 시험장치들의 전체 수에 해당하는 다수의 CPU;
각 시험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기;
다채널 운영시 각 시험장치의 채널 신호들의 동기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 상제어기;
각 시험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함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함수발생기;
각 시험장치에 부착되어 시험장치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서보장치로부터 피드백되어 전송되는 채널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서보 피드백 증폭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하중 신호를 측정하며 내부에 로드 앰프(load amp)를 포함하고 있고 각 CPU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중측정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길이변위 신호를 측정하며 내부에 차동정전용량형 앰프(elongation amp)를 포함하고 있고 각 CPU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신율측정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하중과 길이변위 이외의 변위량을 측정하며 각 CPU에 대응하여 두개씩 설치되어 필요한 사양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개의 옵션부;
상기 제어장치에 필요한 특정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
상기 제어장치가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
상기 제어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의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와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와 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해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과 통신을 담당하는 입출력보드;
상기 제어장치가 특정 데이터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
각 시험장치의 각 출력신호 레벨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한 자동이득제어기;
각 채널신호를 온/오프 제어하는 오버 리미터;
상기 제어장치를 전체적으로 운용하는 소프트웨어, 각 시험장치를 운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해당 시험장치의 운전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 처리 모드기로 이루어지는 전용 시스템 소프트웨어;
유압제어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유압전력제어시스템;
상기 제어장치에게 안정적인 전압과 주파수 전원을 갖는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각종 시험장치의 제어부의 삼각파형을 스윕 제어(Sweep Controll)하기 위한 스윕 발생기; 및
각종 시험장치의 제어부에 필요한 임의의 주파수를 생성해주기 위한 프로그램 파형 제어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RS-232C, GPIB 및 USB 가운데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상기 채널신호는 하중, 길이, 토오크, 각도, 회전, 압력, 부압, 온도, 습도, 가스 농도 및 진공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상기 각 시험장치는 각종 금속, 플라스틱, 복합재, 콘크리트 구조재, 목재, 암석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의 피로 시험과 진동시험 등을 수행하는 장 치 가운데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각 채널마다 함수발생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고 다수개의 채널 신호를 동시에 동기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상기 제어장치에서는 0.00001Hz ~ 1000Hz 사이의 정형파형, 삼각파형, 구형파형, 하이퍼볼릭-사인파형, 램프파형을 포함한 각 파형의 주파수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상기 제어장치로 0.00001Hz ~ 1,000Hz 사이의 삼각파형을 스윕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필요시 임의의 주파수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상기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써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각 시험장치의 제어 및 계측을 수행하고, 옵션으로 상기 원격 제어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상기 입출력보드는 타이머, 계수기 및 직병렬 인터페이스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상기 유압전력제어시스템은 유압제어장치의 제어장치로서 내부에는 각종 안전과 경보를 위한 장치 및 비상 정지 회로를 내장하고 있고, 상기 무정전전원장치는 정전시 기계의 안전 및 데이터 보존을 위하여 최소 3분 이상의 정전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0)는 적어도 제어하고자 하는 채널수에 해당하는 다수의 CPU(10), 호스트 컴퓨터(프린터, 모니터 포함)(20), 각종 시험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기(30), 각 시험장치 및 제어장치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제어기(40), 상기 제어장치와 컴퓨터의 디지털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50), 각 시험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함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r)(60), 다수의 서보장치(8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서보 피드백 증폭기(70), 및 다수의 시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서보장치(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각 시험장치로부터 본 제어장치(1000)로 다수의 채널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채널신호의 예로서는 하중, 길이, 토오크, 각도, 회전, 압력, 부압, 온도, 습도, 가스 농도, 진공도 등을 들 수 있다.
본 제어장치(1000)는 다수개의 하중측정기(90)를 구비하고 있다. 하중측정기는 채널신호 가운데 하중을 측정한다. 그리고 채널신호 가운데 길이변위는 신율측정기(Elongation)(100)로 측정하고, 기타 채널신호들은 각 CPU(10)마다 두개씩 설치되는 다수개의 옵션부(110)가 측정한다.
본 제어장치(1000)는 또한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120),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130), 호스트 컴퓨터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하는 입출력보드(140), 제어장치의 출력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150), 각 시험장치의 출력신호 레벨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한 자동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r)(160), 각 채널마다 온/오프 기능을 부여하는 오버 리미터(170),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운용하고, 각 시험장치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소프트웨어(180), 유압제어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유압전력제어시스템(Power Control System)(190), 제어장치에게 안정적인 전압과 주파수 전원을 갖는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정전전원장치(200) 및 본 제어장치의 표시장치인 콘솔과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격납하기 위한 랙(210)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스템 소프트웨어(180)에는 시험장치 운전용 소프트웨어, 시험장치 운전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 처리 모드기가 포함된다. 예로서 시험장치가 재료 시험장치인 경우는 각종 금속, 플라스틱, 복합재, 콘크리트 구조재, 목재, 암석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의 피로 시험과 진동시험 등에 관한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어 이들 시험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0)는 또한 각종 시험장치의 제어부의 삼각파형을 스윕 제어(Sweep Controll)하기 위한 스윕 발생기(220)와 각종 시험장치의 제어부에 필요한 임의의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형 제어기(230)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0)는 CPU(10)를 풀 디지털 신호처리기로 채용하므로 신속한 제어 및 응답이 가능하여 종래보다 정밀도가 강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CPU(10)는 다기능 다채널 제어기로서 최대 4개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각종 센서는 최대 16채널까지 계측 및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각종 센서의 계측 및 제어에 있어서 제어 및 계측 대상으로 하중과 길이변위는 표준 사양이며 옵션으로 토오크, 각도, 회전, 압력, 부압, 온도, 습도, 가스농도 및 진공도 등의 계측 및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0)는 각 채널마다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60)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4개의 서보 피드백 증폭기(7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서는 광범위한 범위의 주파수 제어가 가능하다. 예로서0.00001Hz ~ 1,000Hz 사이의 정형파형, 삼각파형, 구형파형, 하이퍼볼릭-사인파형, 램프파형 등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소프트웨어(180)를 써서 호스트 컴퓨터(20)로 각 시험장치의 제어 및 계측이 가능하고 옵션으로는 원격 제어기(3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바람직한 1 실시예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 CPU 보드에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해 최대 네개의 액츄에이터 및 16개 채널의 계측 및 제어가 가능하다. 이때 16개 채널 가운데 하중과 길이변위는 표준이다. 롬(120)과 램(130)은 각각 32KB, 제어장치와 호스트 컴퓨터의 디지털 통신 방식으로는 RS-232C, USB 또는 GPIB 통신방식을 사용한다.
입출력보드(140)는 타이머, 계수기, 직병렬 인터페이스장치를 구비하고 있 다. 표시장치(150)로는 모니터가 사용되며 예로서 ±10V×20 Output를 만족시키는 모니터면 충분하다.
부하 및 스트로크 범위로는 100%, 50%, 20% 및 10%(auto range)의 네 가지 범위를 생각할 수 있다. 계수기는 0~999,999,999의 계수가 가능한 정도면 된다. 이때 리셋 기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GC(160)는 자동이득제어기로서 출력 레벨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한다. 그리고 오버 리미터(170)는 각 채널마다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입력전력으로서는 교류 220볼트, 60헬츠, 단상 300VA 정도면 만족스럽다.
이때 선택사양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먼저 호스트 컴퓨터(20)의 선택사양은 인텔사의 P4 2.4G, 17인치 엘씨디 모니터, A4 용지를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면 만족스럽다.
유압전력제어시스템(190)은 유압제어장치의 제어장치로서 내부에는 각종 안전과 경보를 위한 장치 및 비상 정지 회로가 내장된다.
무정전전원장치(200)는 정전시 기계의 안전 및 데이터 보존에 필요하며 최소 3분 이상의 정전을 커버할 수 있는 용량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격제어기(30)를 이용하여 각 시험장치 측의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상제어기(40)는 다 채널 사용시 이들을 일정한 동기로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며, 입력된 채널신호들을 정현파, 삼각파, 구형파, 하이퍼볼릭 정현파 등으로 저장하며 입력된 채널신호들의 주파수를 각 채널신호들의 위상 각으로 제어 하는 것이 특징이다.
랙(210)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0)의 콘솔과 기타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기 위한 랙으로서 19인치 또는 기타 크기의 콘솔을 선택하여 격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0)는 풀 디지털 신호처리기인 CPU(10)를 채용하므로 신속한 제어 및 응답이 가능하여 종래보다 정밀도가 강화된다.
본 발명의 CPU(10)는 다기능 다채널 제어기로서 최대 4개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각종 센서는 최대 16채널까지 계측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0)는 각 채널마다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60)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4개의 채널신호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서는 광범위한 범위의 주파수 제어가 가능하다. 예로서 0.00001Hz ~ 1,000Hz 사이의 정형파형, 삼각파형, 구형파형, 하이퍼볼릭-사인파형, 램프파형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180)를 써서 호스트 컴퓨터(20)로 각 시험장치의 제어 및 계측이 가능하고 옵션으로는 원격 제어기(30)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다수의 각종 시험장치를 동시에 제어하고 채널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있어서,
    적어도 제어하고자 하는 다수 시험장치들의 전체 수에 해당하는 다수의 CPU;
    각 시험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기;
    다채널 운영시 각 시험장치의 채널 신호들의 동기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제어기;
    각 시험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함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함수발생기;
    각 시험장치에 부착되어 시험장치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서보장치로부터 피드백되어 전송되는 채널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서보 피드백 증폭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하중 신호를 측정하며 내부에 로드 앰프(load amp)를 포함하고 있고 각 CPU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중측정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길이변위 신호를 측정하며 내부에 차동정전용량형 앰프(elongation amp)를 포함하고 있고 각 CPU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신율측정기;
    상기 채널 신호들 가운데 하중과 길이변위 이외의 변위량을 측정하며 각 CPU에 대응하여 두개씩 설치되어 필요한 사양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개의 옵션부;
    상기 제어장치에 필요한 특정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
    상기 제어장치가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
    상기 제어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의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와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와 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해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과 통신을 담당하는 입출력보드;
    상기 제어장치가 특정 데이터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
    각 시험장치의 각 출력신호 레벨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한 자동이득제어기;
    각 채널신호를 온/오프 제어하는 오버 리미터;
    상기 제어장치를 전체적으로 운용하는 소프트웨어, 각 시험장치를 운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해당 시험장치의 운전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 처리 모드기로 이루어지는 전용 시스템 소프트웨어;
    유압제어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유압전력제어시스템;
    상기 제어장치에게 안정적인 전압과 주파수 전원을 갖는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각종 시험장치의 제어부의 삼각파형을 스윕 제어(Sweep Controll)하기 위한 스윕 발생기; 및
    각종 시험장치의 제어부에 필요한 임의의 주파수를 생성해주기 위한 프로그램 파형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RS-232C, USB 및 GPIB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신호는 하중, 길이, 토오크, 각도, 회전, 압력, 부압, 온도, 습도, 가스 농도 및 진공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험장치는 각종 금속, 플라스틱, 복합재, 콘크리트 구조재, 목재, 암석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의 피로 시험과 진동시험 등을 수행하는 장치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각 채널마다 함수발생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고 다수개의 채널신호를 동시에 동기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서는 0.00001Hz ~ 1,000Hz 사이의 정형파형, 삼각파형, 구형파형, 하이퍼볼릭-사인파형, 램프파형을 포함한 각 파형의 주파수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써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각 시험장치의 제어 및 계측을 수행하고, 옵션으로 상기 원격 제어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보드는 타이머, 계수기 및 직병렬 인터페이스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전력제어시스템은 유압제어장치의 제어장치로서 내부에는 각종 안전과 경보를 위한 장치 및 비상 정지 회로를 내장하고 있고, 상기 무정전전원장치는 정전시 기계의 안전 및 데이터 보존을 위하여 최소 3분 이상의 정전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 제어되는 삼각파형의 주파수는 0.00001Hz ~ 1,000Hz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를 격납하기 위한 랙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KR1020050075103A 2005-08-17 2005-08-17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KR100697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103A KR100697587B1 (ko) 2005-08-17 2005-08-17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103A KR100697587B1 (ko) 2005-08-17 2005-08-17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674U Division KR200401127Y1 (ko) 2005-08-17 2005-08-17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810A KR20070020810A (ko) 2007-02-22
KR100697587B1 true KR100697587B1 (ko) 2007-03-22

Family

ID=4156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103A KR100697587B1 (ko) 2005-08-17 2005-08-17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19B1 (ko) * 2006-06-07 2008-06-09 울산과학대학 산학협력단 하중/압력/길이를 동시에 측정가능한 범용 데이터이력기록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895A (ko) * 1996-05-30 1997-12-10 정재연 Pc 제어를 이용한 유압펌프 자동 성능측정 시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895A (ko) * 1996-05-30 1997-12-10 정재연 Pc 제어를 이용한 유압펌프 자동 성능측정 시험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7589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810A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3346C (zh) 用于平衡ct台架机构的系统和方法
JP2009192363A (ja) 振動試験装置
EP1536419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mpensating for resonance in a data storage system
CN111208318A (zh) 一种加速度传感器检定系统及方法
KR100697587B1 (ko)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JP5207963B2 (ja) 電子機器、電気機械機器および機械機器用の音響信号試験
CN100408987C (zh) 用来校准称量装置的方法和装置
KR200401127Y1 (ko) 다채널 디지털 피드백 제어장치
KR101050772B1 (ko) 진동 변위센서의 시험장치와 그 시험방법
CN110553908B (zh) 材料试验机
KR101691639B1 (ko) 피코 암페어 미터 신뢰성 평가 장치 및 평가 방법
US2704452A (en) Federn
JP6880671B2 (ja) ダイナミックバーンイン装置及びそのための制御装置
JPH07108997A (ja) 航空機の自動試験装置
KR100219392B1 (ko) 기능 검사가 가능한 범용 계측기
Hegger et al. A New Apparatus for Installing Distributed Optical Sensors onto Uniaxial Compression Test Specimens to Measure Full-Field Strain Responses
KR20200069000A (ko) Ac 스트레인 게이지 앰프의 주파수 응답특성 시험장치
JP2964315B2 (ja) 粘弾性体の非線形弾性率の測定装置
Stamatescu et al. PC-based system for level transducer interfacing
US20080184806A1 (en) Device for Measuring Perforation Resistance
Ramprasad et al. Design and Realization of Closed Loop Amplitude Control Automated Accelerometer Calibration System
JP2005147882A (ja) 試験装置
Dizdar et al. Establishment of continuous force calibration system at TUBITAK UME force laboratory in Turkey
GB2127550A (en) Tilt-independent tensioned wire straight edge
KR100486023B1 (ko) 인버터 시스템의 피드백 기판(pcb)의 자기진단 구현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