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19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199B1
KR100697199B1 KR1020040016456A KR20040016456A KR100697199B1 KR 100697199 B1 KR100697199 B1 KR 100697199B1 KR 1020040016456 A KR1020040016456 A KR 1020040016456A KR 20040016456 A KR20040016456 A KR 20040016456A KR 100697199 B1 KR100697199 B1 KR 10069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upper frame
air conditioner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801A (ko
Inventor
진순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1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상부 프레임과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 그릴이 배치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공기가 토출구 유닛을 통해 실내로 분산 토출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실내 입체 냉/난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탑 커버,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그릴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작동 정지중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확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베이스 60: 캐비닛
70: 토출구 유닛 70a: 전면 토출구
70b: 좌측면 토출구 70c: 우측면 토출구
72: 탑 커버 74: 상부 프레임
75a: 전방 좌측 걸이부 75b: 전방 우측 걸이부
75c: 걸이홈 76: 하부 프레임
77: 사각 프레임부 77a: 롤러
77b: 종동 암나사 77c: 지지발
77d: 고리부 77e: 다리부
78: 차폐부 78a: 후방 좌측 걸이부
78b: 후방 우측 걸이부 78c: 걸이홈
79: 그릴 80: 송풍기
82: 오리피스 84: 송풍팬
86: 송풍모터 88: 모터 마운터
90: 열교환기 91: 좌측 열교환부
92: 우측 열교환부 100: 토출구 유닛 가이드
104: 격자부재 106: 토출구 유닛 승강용 모터
108: 구동 수나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면이 개방되어 실내를 신속하고 입체적으로 공조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4)과, 상기 캐비닛(4)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과 양측에 전면 중앙 토출구(6)와 전면 좌,우 토출구(8)가 각각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10)과, 상기 베이스(2)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의 중앙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4)의 전면 하부와의 사이에 전면 좌,우 흡입구(12)를 형성하는 전면 하부 패널(14)과,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12)를 보호하도록 상기 베이스(2)의 상측에 배치된 좌,우 흡입 그릴(16)과,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6) 및 전면 좌,우 토출구(8)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기(18)와, 상기 송풍기(1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가열/냉각되도록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과 상기 캐비닛(4)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 열교환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에는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6) 내측을 보호함과 아울러 전면 중앙 토출구(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복수개의 그릴(7)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면 좌,우 토출구(8) 내측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전면 좌,우 토출구(8)를 개폐하는 베인(9)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송풍기(18)는 상기 좌,우 흡입구(12)와 근접하도록 상기 캐비닛(4)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열교환기(20)의 하단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20)의 표면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드레인 팬(22)이 장착되며, 상기 드레인 팬(2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연장되는 드레인 호스(24)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기(18)의 구동시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20)에 의해 냉각/가열된 후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6) 및 전면 좌,우 토출구(8)를 통해 실내기의 상부 전방을 향해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12)와 토출구(6,8)가 실내기의 전면측에만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하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상부로만 토출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입체 냉/난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6)에는 그릴(7)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 토출구(8)에는 베인(9)이 별도로 각각 설치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보다 효율적인 실내 입체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전면 토출구과 좌측면 토출구와 우측면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사각 프레임부와, 상기 사각 프레임부의 배면에 구비된 차폐부로 구성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전면 토출구과 좌측면 토출구와 우측면 토출구에 배치된 그릴을 포함하는 토출구 유닛을 갖는다.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그릴이 걸림되는 걸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전면 토출구와 좌측면 토출구와 우측면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과 좌측면 토출구과 우측면 토출구에 걸쳐 배치되도록 사각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측을 벌린 후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그릴을 포함하는 토출구 유닛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토출구에 배치된 그릴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어 종동 암나사를 지지하는 지지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는 탑 커버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롤러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그릴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통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에 구비된 종동 암나사와; 상기 종동 암나사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종동 암나사와 치합되는 구동 수나사와; 상기 구동 수나사의 이탈을 막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의 전면과 좌,우 양측면 각각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토출구에 배치된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격자부재가 장착된 토출구 유닛 가이드와, 상기 구동 수나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격자부재에 장착된 토출구 유닛 승강용 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작동 정지중일 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와, 상기 베이스(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공기 흡입구(60a,60b)가 각각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60)과, 상기 캐비닛(60)의 상면을 통해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6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삼면에 토출구(70a,70b,70c)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70)은 하강시 상기 캐비닛(60)의 상면을 막고, 상승시 상기 캐비닛(60)의 상면으로 토출된 공기가 전면 및 좌,우측면을 통해 입체적으로 토출되도록 상면 및 배면이 막힘된다.
즉, 상기 토출구 유닛(70)은 전면 토출구(70a)와 좌측면 토출구(70b)와 우측면 토출구(70c)가 각각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0)는 상기 캐비닛(60)이 올려져 장착되는 베이스 인스톨부(52)와, 후술하는 열교환기(9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52) 중앙에 돌출 형성된 드레인팬부(54)와, 상기 공기조화기가 실내의 벽이나 기타 가구 등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52)의 가장자리에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52)의 둘레보다 돌출 되도록 장착된 이격부재(56)로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팬부(54)에는 수거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54a)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60)은 좌측 공기 흡입구(60a)가 하부에 형성된 좌측 캐비닛(61)과, 우측 공기 흡입구(60b)가 하부에 형성된 우측 캐비닛(62)과, 상기 좌측 캐비닛(61)과 좌측 캐비닛(62)의 전면 하부에 배치된 전면 하부 패널(63)과, 상기 좌측 캐비닛(61)과 우측 캐비닛(62)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 전면 상부 패널(64)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캐비닛(61)은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60a)의 내측을 보호하도록 좌측 흡입그릴(61a)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좌측 캐비닛(61)은 상부에 좌측 토출구(61b)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토출구(61b)의 내측을 보호하기 위한 좌측 토출그릴(61c)이 장착된다.
상기 우측 캐비닛(62)에는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60b)의 내측을 보호하도록 우측 흡입그릴(62a)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우측 캐비닛(62)은 상부에 우측 토출구(62b)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 토출구(62b)의 내측을 보호하기 위한 우측 토출그릴(62c)이 장착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64)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64a)(64b)가 장착되고, 상기 전면 상부 패널(64)의 후방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주 피시비(64c)와 보조 피시비(66d)가 상기 좌측 캐비닛(61)과 우측 캐비닛(62)의 전면부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토출구 유닛(7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72)와, 상기 탑 커버(72) 하측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74)과, 상기 상부 프레임(74)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74)과의 사이 중 삼면이 개방된 하부 프레임(76)과, 상기 상부 프레임(74)과 하부 프레임(76) 사이의 개방면에 배치된 그릴(79)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74)은 상기 그릴(79)의 전방이 걸림되는 전방 걸이부(75a,75b)가 하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방 걸이부(75a,75b)는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전면 좌측에 위치하는 전방 좌측 걸이부(75a)와,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전면 우측에 위치하는 전방 우측 걸이부(75b)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 좌측 걸이부(75a) 및 전방 우측 걸이부(75b)의 각각에는 상기 그릴(79)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복수개의 걸림홈(75c)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74)은 상기 탑 커버(72)의 저면부에 접착재로 부착되거나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74)은 상기 전방 걸이부(75a,75b)의 하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76)의 상면부에 접착재로 부착되거나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76)은 사각 프레임부(77)와, 상기 사각 프레임부(77)의 배면측에 세움된 차폐부(78)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 프레임부(77)는 상기 토출구 유닛(70)에는 그 승강을 돕도록 전면 및 배면에 롤러(77a)가 장착된다.
상기 사각 프레임부(77)에는 후술하는 구동 수나사에 의해 승강되는 종동 암나사(77b)를 지지하는 지지발(77c)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발(77c)은 상기 종동 암나사(77b)의 둘레가 고정되는 고리부(77d)와, 상기 고리부(77c)의 둘레에서 상기 사각 프레임(77)의 내둘레면를 향해 연장된 4개의 다리부(77e)로 구성된다.
상기 차폐부(78)의 배면에는 상기 그릴(79)의 후방이 걸림되는 후방 걸이부(78a,78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후방 걸이부(78a,78b)는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배면 좌측에 위치하는후방 좌측 걸이부(78a)와,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배면 우측에 위치하는 후방 우측 걸이부(78b)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 좌측 걸이부(78a) 및 후방 우측 걸이부(78b)의 각각에는 상기 그릴(79)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복수개의 걸림홈(78c)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76)은 상기 차폐부(78) 또는 후방 걸이부(78a,78b)의 상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74)의 저면부에 접착재로 부착되거나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그릴(79)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그릴(79)은 사각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측을 벌린 후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74)의 전방 좌측 걸이 부(75a) 및 전방 우측 걸이부(75b)에 형성된 걸림홈(75c)과, 상기 하부 프레임(76)의 후방 좌측 걸이부(78a) 및 후방 우측 걸이부(78b)에 형성된 걸림홈(78c)에 끼움되어 걸림된다.
즉, 상기 그릴(79)은 그 각각이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삼면에 걸쳐 배치되므로,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전면 토출구(70a)와 좌측면 토출구(70b)와 우측면 토출구(70c)를 함께 보호함과 아울러 그 각각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킨다.
또한, 상기 캐비닛(60)의 내측에는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60a) 및 우측 공기 흡입구(60b)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전면 토출구(70a)와 좌측면 토출구(70b)와 우측면 토출구(70c)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송풍기(80)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8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9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80)는 상기 열교환기(9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60)의 상면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90)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송풍유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82)와, 상기 오리피스(82)의 내측에 위치되는 송풍팬(84)과, 상기 송풍팬(84)에 회전축이 축설된 송풍모터(86)와, 상기 송풍모터(86)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마운터(88)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90)는 상기 좌측 캐비닛(61)의 옆에 하측으로 갈수록 캐비닛(60)의 내측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좌측 열교환부(91)와, 상기 우측 캐비닛(62)의 옆에 하측으로 갈수록 캐비닛(60)의 내측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우측 열교환부(92)와, 상기 좌측 열교환부(91)와 우측 열교환부(92)의 전면 사 이를 막도록 상기 좌측 열교환부(91)와 우측 열교환부(92)의 전면에 장착된 전면 커버(93)와, 상기 좌측 열교환부(91)와 우측 열교환부(92)의 배면 사이를 막도록 상기 좌측 열교환부(91)와 우측 열교환부(92)의 배면에 장착된 배면 커버(94)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열교환부(91)와 우측 열교환부(92) 중 어느 하나에는 실외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90a)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송풍기(80)의 상측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승강시 상기 토출구 유닛(70)을 안내하는 토출구 유닛 가이드(100)가 장착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100)는 상기 캐비닛(60)의 상단에 하향 걸림될 수 있도록 ‘ㄱ’단면 형상의 걸이부(102)가 상단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100)는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소정 높이를 갖고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송풍기(80)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확보시키는 격자부재(104)가 장착된다.
상기 격자부재(104)의 중앙에는 토출구 유닛 승강용 모터(106)가 장착되고, 상기 격자부재(104)의 중앙 상면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용 모터(106)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종동 암나사(77b)와 치합되는 구동 수나사(108)가 장착된다.
참조부호 69는 상기 드레인 호스(54a) 및 냉매배관(90a)이 상기 캐비닛(60)을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다.
참조부호 109는 상기 구동 수나사(108)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격자부재(104) 에 고정된 홀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가 운전 조작되면,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용 모터(106)는 구동되어 상기 구동 수나사(108)를 회전시키고, 상기 종동 암나사(77b)는 상기 구동 수나사(108)에 의해 상승되며, 상기 토출구 유닛(70)은 상기 종동 암나사(77b)와 함께 상승되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이 개방된다.
즉, 상기 종동 암나사(77b)를 지지하는 지지발(77c) 및 하부 프레임(76)은 상기 종동 암나사(77b)와 함께 상승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74)과 그릴(79)과 탑 커버(72)는 상기 하부 프레임(76)과 함께 상승되며, 상기 전면 토출구(70a)와 좌측면 토출구(70b)와 우측면 토출구(70c)는 개방된다.
한편, 상기 롤러(77a)는 상기 하부 프레임(76)의 상승시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100)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상승을 돕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토출구 유닛(70)의 상승과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90)와 냉매 배관(90a)으로 연결된 실외기에 장착된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송풍기(80)의 송풍모터(86)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 상기 열교환기(90)의 좌측 열교환부(91) 및 우측 열교환부(92)에는 냉매가 통과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기(90)의 좌측 열교환부(91) 및 우측 열교환부(92) 주변의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80)의 송풍모터(86) 구동시 상기 송풍팬(84)은 회전되 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상기 캐비닛(60)의 좌측 공기 흡입구(60a)와 우측 공기 흡입구(60b)를 통해 캐비닛(60)의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열교환기(90)의 좌측 열교환부(91) 및 우측 열교환부(92)를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상기 송풍기(80)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60)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다.
상기 캐비닛(60)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격자부재(104)를 통과하고, 상기 토출구 유닛(70)의 전면 토출구(70a)와 좌측면 토출구(70b)와 우측면 토출구(70c)로 분산되며,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부측 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입체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가 운전 정지 조작되면,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와 상기 송풍기(80)의 송풍모터(86)는 구동 정지되고,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용 모터(106)는 상기 토출구 유닛(70) 상승시와 반대방향으로 역구동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용 모터(106)의 역구동시 상기 구동 수나사(108)는 상기 토출구 유닛(70) 상승시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고, 상기 종동 암나사(77b)는 상기 구동 수나사(108)에 의해 하강되며, 상기 토출구 유닛(70)은 상기 종동 암나사(77b)와 함께 하강되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6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캐비닛(60)의 상면을 밀폐한다.
즉, 상기 종동 암나사(77b)를 지지하는 지지발(77c) 및 하부 프레임(76)은 상기 종동 암나사(77b)와 함께 하강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74)과 그릴(79)과 상기 탑 커버(72)는 상기 하부 프레임(76)과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전면 토출구(70a)와 좌측면 토출구(70b)와 우측면 토출구(70c)는 상기 캐비닛(60)의 상부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며, 상기 탑 커버(72)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막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상부 프레임과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 그릴이 배치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공기가 토출구 유닛을 통해 실내로 분산 토출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실내 입체 냉/난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탑 커버가 배치되어 미관이 미려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 프레임에 그릴이 걸림되는 걸이부가 하향 돌출되어, 그릴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 프레임에 롤러가 장착되어, 토출구 유닛의 승강이 원활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 프레임에 종동 암나사를 지지하는 지지발이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이 승강됨에 따라 상부 프레임 및 그릴이 승강되게 되므로, 토출구 유닛이 안정감 있게 승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그릴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 토출구와 좌측면 토출구와 우측면 토출구를 보호함과 아울러 토출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그릴이 토출구 유닛의 삼면에 걸쳐 배치되므로, 상기 토출구 유닛의 전면 토출구와 좌측면 토출구와 우측면 토출구를 함께 보호함과 아울러 그 각각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전면 토출구과 좌측면 토출구와 우측면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사각 프레임부와, 상기 사각 프레임부의 배면에 구비된 차폐부로 구성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전면 토출구과 좌측면 토출구와 우측면 토출구에 배치된 그릴을 포함하는 토출구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그릴이 걸림되는 걸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전면 토출구와 좌측면 토출구와 우측면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과 좌측면 토출구과 우측면 토출구에 걸쳐 배치되도록 사각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측을 벌린 후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그릴을 포함하는 토출구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토출구에 배치된 그릴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어 종동 암나사를 지지하는 지지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는 탑 커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통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에 구비된 종동 암나사와;
    상기 종동 암나사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종동 암나사와 치합되는 구동 수나사와;
    상기 구동 수나사의 이탈을 막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유닛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의 전면과 좌,우 양측면 각각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토출구에 배치된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격자부재가 장착된 토출구 유닛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나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격자부재에 장착된 토출구 유닛 승강용 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16456A 2004-03-11 2004-03-11 공기조화기 KR10069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456A KR100697199B1 (ko) 2004-03-11 2004-03-1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456A KR100697199B1 (ko) 2004-03-11 2004-03-1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801A KR20050091801A (ko) 2005-09-15
KR100697199B1 true KR100697199B1 (ko) 2007-03-21

Family

ID=3727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456A KR100697199B1 (ko) 2004-03-11 2004-03-1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1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556A (ja) * 1983-10-28 1985-05-30 名越 聖治 コンクリート廃液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用骨材の製造方法
JPH03204524A (ja) * 1989-12-29 1991-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吸込グリル
KR20030078321A (ko) * 2002-03-29 2003-10-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556A (ja) * 1983-10-28 1985-05-30 名越 聖治 コンクリート廃液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用骨材の製造方法
JPH03204524A (ja) * 1989-12-29 1991-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吸込グリル
KR20030078321A (ko) * 2002-03-29 2003-10-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3204524 *
1020030078321 *
6009655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801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960B1 (ko) 공기조화기
KR100629331B1 (ko) 공기조화기
KR100697199B1 (ko) 공기조화기
KR10068818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0074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299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KR100600744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 승강구조
KR1007589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9852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45960B1 (ko) 디퓨져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8861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0B1 (ko) 디퓨져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05754B1 (ko) 공기조화기
KR100794354B1 (ko) 공기조화기
KR10068818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05758B1 (ko) 공기조화기용 토출구 유닛의 승강기구
KR100794352B1 (ko) 공기조화기
KR101105755B1 (ko) 공기조화기
KR101176488B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용 조립체
KR100784768B1 (ko) 공기조화기
KR1010725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94353B1 (ko) 공기조화기
KR10051762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299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