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035B1 -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실디티올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실디티올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035B1
KR100697035B1 KR1020050017478A KR20050017478A KR100697035B1 KR 100697035 B1 KR100697035 B1 KR 100697035B1 KR 1020050017478 A KR1020050017478 A KR 1020050017478A KR 20050017478 A KR20050017478 A KR 20050017478A KR 100697035 B1 KR100697035 B1 KR 10069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apto
mercaptomethyl
methyl
butanamide
propan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349A (ko
Inventor
크리스티앙 블라이세
제라드 말레
미쉘 필리프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06004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5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5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5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6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with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yl groups bound to 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에서 환원제로서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시티올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성 과정의 제 1 단계에서 사용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카르복시티올, 모발, 재형상, 환원용 조성물

Description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실디티올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조성물{A Composition to Permanently Reshape the Hair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dithiol}
본 발명은 환원제로서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시디티올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성 (permanently reshape) 과정의 1 단계에서 사용되는 환원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퍼머형 모발의 재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이들 카르복시디티올을 사용한다.
퍼머형 모발의 재형성에 대한 보통의 기술은 환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케라틴 디설파이드 결합 (시스틴)을 끊는 제 1 단계 및 바람직하게는 모발을 린스한 후에, 모발에 원하는 형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컬러 (curler)또는 그의 등가물로 장력하에 미리 놓거나,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어떤 형태로 정해졌거나 또는 곧게 되었던 머리에, 고정액 (fixing solution)이라고 불리는 산화용 조성물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디설파이드 본드들을 재형성시키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모발의 웨이빙 또는 디컬링 (decurling), 백콤빙 (backcombing) 또는 스트레이팅 (straightening)을 가능케 한다.
퍼머넌트 웨이빙 작업의 제 1 단계 동안에 통상 사용되는 환원용 조성물들은 설피트 (sulfite), 비설피트 (bisulfite) 및 바람직하게는 티올을 환원제로서 포함한다. 이들 최근의 환원제 중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것들은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아민, 티오락트산, 시스테인 및 글리세롤 모노티오글리코네이트이다. 티오글리콜산은 알칼리성 pH에서 특별히 암모늄 티오글리코네이트의 경우 케라틴 디설파이드 결합을 환원시키는 데 특히 효과가 있으며, 퍼머넌트 웨이빙에서 아주 흔히 사용되는 제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티오글리콜산은 강한 충분한 컬링(curling)을 얻기 위하여 충분히 염기성인 매질 (실제는 pH 8.5 또는 그 이상)에서 사용되어야만 되어야 한다. 단점으로서는, 티오글리콜산-알칼리성 pH의 결합은 악취의 제거 (mask)에 다소 효과적인 방향물을 사용하여 없애야 하는 불쾌한 냄새를 가지며, 또한 모발 섬유에 손상을 일으킨다.
설피트 및 비설피트는 일반적으로 티올, 특히 티오글리콜산 이전에 사용되어 왔다. 티오과 달리, 이들은 산성 pH에서 일반적으로 4와 6사이에서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얻어진 컬링의 세기는 훨씬 더 낮고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시스테인 (cysteine)은 티오글리콜산보다 훨씬 더 약한 냄새를 풍기지만, 얻어진 컬링의 정도는 역시 아주 낮고 매우 불만족스럽다. 더욱이, 시스테인은 알칼리 pH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글리세롤 모노티오글리코네이트는 또한 아주 불쾌한 냄새를 가진다. 대조 적으로, 그것은 중성 근처의 pH에서 사용되지만, 그 성능은 티오글리콜산보다 상당히 낮다.
시스테아민은 보다 넓은 pH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것은 대개 티오글리콜산 만큼 효과가 있지만, 그것은 또한 모발 섬유를 크게 손상시킨다.
많은 다른 연구들이 이들 환원제의 단점을 보상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규의 환원용 화합물 또는 화합물계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티올화합물은 거의 제안되지 못하였다. 2개의 디티올화합물, 즉 디티오트레이톨 (dithiothreitol, DTT)과 2,5-디메르캅토아디프산(2,5-dimercaptoadipic acid)이 과거에 아주 집중적으로 연구되었으나, 이들은 모발을 퍼머형으로 재형상화하는 데로 발전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DTT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와 디메르캅토아디프산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보다 최근에는 유럽출원 EP-A-0721772에 티오글리콜산보다 효과가 낮은 것으로 보이는 2,3-디메르캅토숙신산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미합중국 특허 No. 5350572에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디메르캅토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제안되었다. 이들 화합물은 비교적 효과적이지만 장기간 보존하기가 어렵다.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출원인은 매우 놀랍게도, 환원용 조성물을 생성할 있는 신규한 카테고리의 디카르복시디티올 물질을 발견하였다. 상기 물질은 종래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강하고 장기간 유지되는 컬링(curling)을 제공하면서 모발의 손상이 적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에서 환원제로서 하기 일반식 (I)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시디티올 및/또는 이들의 유기 및 미네랄염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과정의 제 1 단계에 사용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05011223154-pat00001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또는 CH(CH3) 라디칼을 나타내며 ;
R은
a) OR1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1은 수소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 라디칼은 1 또는 2 개의 히드록실 라디칼로 치환된 것이거나, 또는
b) NR2R3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 라디칼은 히드록실,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및 디메틸아미노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라디칼로 치환된 것이거나, 또는
c) NH-E-COR4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E는
2가(divalent)-(CH2)p-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p는 1 내지 3 사이의 정수이거나, 또는
-CH(R5)-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5는 선형 또는 분지된 C1-C5의 저급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 라디칼은 히드록실, 아미노 구아니디노, 메틸티오 및 CONH2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라디칼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4
히드록시 라디칼 또는 OR6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6는 수소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이고,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 라디칼은 1 또는 2 개의 히드록실 라디칼로 치환된 것이거나, 또는
NR7R8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이고,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 라디칼은 히드록실,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및 디메틸아미노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개 라디칼로 치환된 것이거나,
또는
d)
Figure 112005011223154-pat00002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9는 상기의 R4라디칼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R'은 수소원자, 메틸 라디칼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이 수소원자을 나타내는 경우에 A 및 B는 함께 시클로펜탄 고리를 형성한다.
용어 "퍼머형 재형상"은 모발의 퍼머형 컬링 (curling) (퍼머형 웨이빙), 언컬링 (uncurling) 또는 스트레이트닝 (straightening)을 의미한다.
식 (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참고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JP 05301855
-Tetrahedron Letters 1972, 25, 2549-52
-Pesticide Science 1978, 9 (1), 1-6
-Journal of the U.S. Chemical Society 1955, 77, 6632-3
일반식 (I)을 갖는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부타노산,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에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펜타노산,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펜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프로판산,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프로판산,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메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에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부타노산,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에틸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헥사노산,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에틸)-N,N-디메틸-헥산아미드,
-1-[(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프롤린,
-1-[(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피페콜린산,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루신,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아기닌,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라이신,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글라이신,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글루타민,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트레오닌,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4,히드록시프롤린,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메티오닌.
다음의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부타노산,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펜타노산,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펜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프로판산,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프로판산,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메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에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부타노산,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헥사노산,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헥산아미드,
본 발명에 따른 환원용 조성물에서, 일반식(Ⅰ)를 갖는 환원제(들)은 일반적으로 환원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pH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이다.
pH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모노에타놀아민, 디에타놀아민, 트리에타놀아민, 1,3-프로판디아민, 알칼리성 또는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또는 비카르보네이트 (bicarbonate), 구아니딘 카르보네이트, 알칼리성 히드록시드 등의 유기탄산염과 같은 알칼리제에 의해 조절되며, 또는 예를 들면 염산, 아세트산, 락트산, 옥살산또는 보르산 (boric acid)과 같은 산성화제에 의해 조절되며, 또는 통상적인 완충제, 예를 들면 보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TRIS-완충제 (트리(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기본 완충제)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원 조성물은 티오글리콜산 또는 티오락트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및 아미드 유도체, 특히 글리세롤 모노티오글리콜레이트, 시스테아민 및 N-아세틸-시스테아민 또는 N-프로피오닐-시스테아민과 같은 이의 아실화된 (C1-C4)-유도체, 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티오말산, 판테테인 (pantheteine), 2,3-디메르캅토숙신산, 알칼리 메탈 또는 알칼라인-토금속 설피트 또는 비설피트, 유럽특허출원 제EP-A-354835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N-(메르캅토알킬)-ω-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 유럽특허출원 제EP-A-368763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N-모노 또는 N,N-디알킬메르캅토-4-부티르아미드, 유럽특허출원 제EP-A-43200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아미노메르캅토알킬아미드, 유럽특허출원 제EP-A-46534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N-(메르캅토알킬)숙시나므산 및 N-(메르캅토알킬)숙신이미드 유도체, 유럽특허출원 제EP-A-51428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알킬아미노메르캅토알킬아미드, 프랑스 특허출원 제FR-A-267944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2-하이드록시프로필티오글 리콜레이트와 (2-하이드록시-1-메틸)에틸 티오글리콜레이트의 아제오트로픽 (azeotropic) 혼합물, 프랑스 특허출원 제FR-A-269248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메르캅토알킬아미노아미드, 유럽특허출원 제EP-A-653202호에 개시된 N-메르캅토알킬알칸디아미드 뿐만 아니라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제특허 PCT/US01/4312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포름아미딘 설핀산 유도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알려진 환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환원 조성물은 최소한 하나의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성 타입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들의 가능한 예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벤젠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퀀터너리 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옥시에틸렌 알킬 페놀,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다른 비이온성 하이드록시프로필에테르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경우, 환원용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최대한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로 포함된다.
또한, 모발의 화장품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거나 모발의 손상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기 위해, 환원용 조성물은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성 특성을 가진 처리제 (treat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제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프랑스 특허출원 제FR2598613호 및 제FR2470596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직쇄 또는 원형 의 실리콘 뿐만 아니라 이의 혼합물이 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디메틸실록산, 프랑스 특허출원 제FR253573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쿼터나이즈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미합중국 특허 제4,749,73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알콕시카르보닐알킬 모이어티 (moiety)에 의해 변형된 아미노알킬 모이어티를 가진 폴리오가노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옥시알킬 코폴리머, 즉 디메티콘 코폴리올과 같은 폴리오가노실록산, 스테아록시 말단 그룹 (스테아록시-디메티콘)을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알킬암모늄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또는 폴리디메틸실론산 및 프랑스 특허 제2197352호에 개시된 폴리알킬 베타인 코폴리머, 프랑스 특허 제FR1530369호 및 유헙특허출원 제EP29578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메르캅토 또는 메르캅토알킬 그룹에 의해 오가노-변형된 폴리실록산 뿐만 아니라 스테아록시트리메틸실란과 같은 실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용 조성물은, 프랑스 특허 No 79.32078 (FR 2472382) 및 80.26421 (FR 2495931)의 조성물에 사용된 양이온 중합체 또는 룩셈부르크 특허 No 83703의 조성물에 사용된 이오닌(ionene) 타입의 양이온 중합체, 리신(lysine) 또는 아르기닌(arginine)과 같은 염기성 아미노산 (basic amino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또는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과 같은 산성 아미노산, 펩타이드 및 이의 유도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왁스, 팽윤제(swelling agent) 및 침투제 (penetrating agent), 또는 환원제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SiO2/PDMS 혼합물(폴리디메틸실록세인), 디메틸리소소비톨 (dimethylisosorbitol), 요소 및 이의 유 도체, 피롤리돈, N-알킬-피롤리돈, 티아모르포리논 (thiamorpholinone),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propyleneglycol monomethylether),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dipropyleneglycol monomethylether),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ethyleneglycol monoethylether)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glycol monoethylether)와 같은 알킬렌글리콜 (alkyleneglycol) 또는 디알킬렌글리콜 (dialkyleneglycol) 알킬 에테르, 1,2-프로판디올(propanediol), 1,3-프로판디올 및 1,2-부탄디올, 2-이미다졸리디논(imidazolidinone)같은 C3-C6 알카인디올 (alkanediol)와 같은 최소한 하나의 다른 처리 유효성분 및 지방질 알콜, 라노린 (lanoline) 유도체, 판토텐 산(panthothenic acid)와 같은 활성제, 모발 손실 방지제, 비듬 방지제, 농화제 (thickener), 현탁제, 금속 이온 봉쇄제 (sequestering agent), 불투명화제, 염료, 햇볕차단제 및 방향제 및 보존제와같은 다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 1의 카르보옥시디티올 (carboxydithiol)은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매질에 놓여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부형제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C1-C6 저알콜로 만들어진 하이드로알콜(hydroalcoholics) 용액이며, 상기 C1-C6 저알콜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최대 20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용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수성의 형태이다. 즉 농화 (thickened)된 또는 그렇지 않은 로션, 농화된 또는 그렇지 않은 크림 또는 겔(gel)이다.
모발 언컬링(hair uncurling) 또는 스트레이트닝(straightening) 과정을 위하여 조성물들을 사용할 때, 모발을 가능한한 곧게 유지하기 위하여, 환원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농화된 크림이다. 이러한 크림은 예를 들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glycol stearate), 자동-유화가능 왁스(auto-emulsifiable wax) 또는 지방질 알콜로 구성된 베이스을 사용하여 "중(heavy)" 에멀젼(emulsion) 형태로 만들어진다.
카르복시비닐(carboxyvinyl) 중합체(polymer) 또는 공중합체(copolymer) 같은, 어떤 농화제 (thickener)를 포함하는 액체 또는 겔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노출 시간 동안 스무드 포지션 (smooth position)에서 모발를 달라붙게 하여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용 조성물은 또한 발열성 타입 조성물일 수 있다, 말하자면, 모발상에 처리될 때, 특정의 열 상승을 일으키며, 퍼머넌트 웨이빙 (permanent waving) 또는 언컬링 (uncurling)의 제 1 단계에 있는 사용자에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소한 하나의 식(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환원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발을 퍼머형으로 재형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용 조성물을 모발상에 처리하여 케라틴 디설파이드 (keratin disulfide) 결합을 환원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을 재형성시키기 위하여, 산화용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하거나 모발을 대기 산소와 접촉시켜 산화-고정하는 단계.
모발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세팅(setting)된다.
퍼머형 웨이빙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컬러 (curler)가 사용되며, 환원용 조성물은 모발 세팅 수단 전에 또는 후에 처리되고, 산화-고정 조성물은 환원용 조성물 다음에 처리되며, 린스 (rinse)하거나 또는 중간 조성물을 가하는 중간 단계 또는 연속되는 단계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젖은 모발에 처리되며, 상기 모발은 직경 2 내지 30mm의 둥근 컬러(curler)로 미리 감싸다다. 조성물은 모발롤링 (rolling) 과정이 진행될 때 또한 처리될 수 있다. 그 다음 환원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5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분으로 구성되는 기간동안 작용하도록 남겨진다. 그 다음, 완전하게 린스하여야 한다. 그 다음, 산화용 조성물을 감싼 모발에 처리하고, 상기 산화용 조성물은 2 내지 10분의 적용 시간 동안에 케라틴 디설파이드 결합을 다시 형성시킨다. 컬러를 제거한 다음에, 모발을 완전히 린스한다.
일단 환원용 조성물을 처리하면, 처리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 시간 동안에 30 내지 60℃사이의 온도에서 모발을 열처리 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이 단계는 헬멧 모발 건조기(helment hair drier), 모발 건조기(hair drier), 적외선 방사 건조기(infrared radiation drier) 및 다른 통상적인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온도 범위가 60 내지 220℃인,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20℃인 가열 아이론(iron)이 가열수단 및 모발 세팅 수단으로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 아이론은 환원용 조성물을 처리하 단계와 고정 단계 사이에 사용된다.
모발의 언컬링 또는 스트레이트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원용 조성물은 모발 위에 처리하여야 한다. 그 다음, 모발은 기계적인 재형상 과정을 거치며, 넓은 이를 가진 빗, 빗의 등 또는 손 등을 사용한 스무딩 과정(smoothing operation)에 의해 새로운 모양으로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5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분의 처리 시간 후에, 모발은 다시 한번 스무딩 과정을 거쳐야하며, 그 다음 주의깊게 린스하고, 본 명세서의 앞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산화용 조성물을 처리하고 약 2 내지 10분동안 반응시킨 후 모발을 완전히 린스한다.
산화용 조성물은 퍼머형 모발의 재형성을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어떤 산화용 조성물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산화 수소 (hydrogen peroxide), 알카린브로메이트 (alkaline bromates), 퍼솔트 (persalt), 폴리티오네이트(polythionate) 및 알카린브로메이트 및 퍼솔트로 만들어진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제이다. 과산화 수소 농도는 1 내지 20 볼륨(volume)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이고, 알카린브로메이트 농도는 2 내지 12%이며, 퍼솔트의 농도는 0.1 내지 15 중량%로 산화용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다.
산화용 조성물의 pH는 일반적으로 2 내지 10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화용 조성물은 즉시 또는 나중에 처리될 수 잇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발의 스무딩 (smoothing)은 60 내지 22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가열 아이론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실시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키트, 보다 상세하게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을 위하여, 제 1 구획에 환원용 조성물로 상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식 (I)의 최소한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환원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제 2 구획에 산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조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산화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알칼린브로메이트, 퍼솔트, 폴리티오네이트 (polythionates) 및 알칼린브로메이트 및 퍼솔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산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하기 일반식 (II)를 갖는 신규한 화합물인 카르복시디티올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의 일반식 (II)를 갖는 카르복시디티올 또는 상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의 미네랄 또는 유기염:
Figure 112005011223154-pa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또는 CH(CH3)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은 수소원자,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은
a) OR'1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1은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 라디칼은 A' 및 B'가 CH2 이고 R'1이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1 또는 2 개의 히드록실 라디칼로 치환된 것이거나; 또는
b) NR'2R'3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 라디칼은 A' 및 B'가 CH2 이고 R'2 및 R'3이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그리고 R'''이 메틸라디칼이 아닌 경우를 제외하고는 히드록실,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및 디메틸아미노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라디칼로 치환된 것이거나; 또는
c) A' 및 B'가 CH2 이고 R'''이 에틸 라디칼인 경우에 OH라디칼을 나타낸다.
일반식 (II)의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에틸부타노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펜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메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에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에틸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에틸)-N,N-디메틸-헥산아미드.
하기의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펜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메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에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 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헥산아미드.
일반식 (II)의 신규한 화합물은 상기 참고문헌에서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거나, 이하에 기재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5011223154-pat00004
상기 디브로모화된 (dibrominated) 유도체 1, 23을 티오아세트산의 포타슘염과 반응시키고, 그 다음, 가수분해를 바람직하게는 염기 매질에서 실시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 4, 56을 수득한다.
1의 디브로모화된 유도체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며 또는 상응하는 히드록시 유도체로부터 통상의 과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2의 디브로모화된 유도체는 식 R'1-OH의 일차 알코올를 사용하여 통상의 경우처럼, 예를 들어, 황산과 같은 강산의 촉매량 (catalytic amount)의 존재하에서 에스테르화를 통하여 제조된다.
3의 디브로모화된 유도체는 식 1의 디브로모화된 유도체를 식 HNR'2R'3의 아민과 반응시키며, 상기 반응은 카르복실산을 아미드로 전화하는 데 사용되는 전통적인 조건, 예를 들어, 카르로닐디이미다졸의 존재하에서 실시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식 3의 상기 디브로모화된 유도체는 에스테르를 아미드로 전환시키는 데 사용되는 전통적인 조건에서 식 2의 디브로모화된 유도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구현예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명확히 파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프로파노산의 제조
8.35 g 86% 포타쉬 (potash) (0.128 mol)을 포함하는 120 ㎤ 물에 용해한 31.5 g의 3-브로모-2-(브로모메틸)-프로파노산 (0.128 mol) 용액에 19.5 ㎤ 티오아세트산 (0.274 mol)을 교반하에서 방울방울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160 ㎤ 물에 용해한 17.9 g의 86% 포타쉬 (potash) (0.274 mol)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액을 8 시간동안 리플럭스하며 가열하였다.
0℃로 냉가시킨 후, 35% 염산 용액으로 pH=1로 산성화하고, 상기 반응액을 4x200 ㎤ 에틸아세티에트로 추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유기상를 pH 약 3 내지 4의 물로 씻어 주고, 다시 200 ㎤의 포화된 암모늄 클로리드 용액으로 씻어 주었다.
상기 유기상을 소듐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29 g의 3-(아세틸티오)-2-[(아세틸티오)메틸]-프로파노산을 엷은 황색오일 형태로 얻었다.
NMR 스펙트럼 및 MS은 예상되는 구조와 상응하였다.
다음을 불활성 대기 (아르곤) 하에서 실시하였다.
반 시간 동안 아르곤으로 기체를 제거한 600 ㎖의 10% 포타슘 히드로겐 카르보네이트 용액 (w/w)을 상기에서 얻은 29 g의 3-(아세틸티오)-2-[(아세틸티오)메틸]-프로파노산에 참가하였다.
반응액을 5 시간동안 리플럭스하였다.
대기 온도로 냉각한 후, 반응액을 교반하에서 pH 1.2로 35% 염산 용액 (60 ㎤)을 사용하여 산성화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3x200 ㎤ 에틸아세티에트로 추출하고 그 다음, 유기상을 200 ㎤의 포화된 수성 암모늄 클로리드 용액으로 씻어 주었다.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 후에, 감압증발하였다.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헵탄으로 냉-결정화하여 15 g의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칠)-프로파노산을 백색결정으로 수득하였으며, 녹는점 (DSC)은 56.4℃이었다.
아이도메트리를 사용한 SH 도싱 (dosing)은 98%이 표제화합물을 나타내었다.
NMR 스펙트럼 (1H400Mhz, NMR 13C 100Mhz) 및 MS는 예상되는 구조와 상응하였다.
실시예 2: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환원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르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환원 조성물을 다음의 화합물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프로파노산: 12.0 g
-20% 암모니아 qs pH 8.5
-미네럴제거된 물 qs 100 g
세트 컬러 (set curlers)상에서 사전에 말 (roll up)은 젖은 모발에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약 15 분간 반응시키고 그다음, 상기 모발을 모발 건조기로 5 분간 건조하고 물로 완전히 린스하였다.
그 다음, 다음의 산화용 조성물을 처리하였다:
-과산화수소 (200 vol.): 4,8 g
-시트르산: qs pH 3
-미네럴제거된 물 qs 100 g
산화용 조성물을 5분간 반응시키고, 그 다음, 물로 완전히 린스하였다. 컬러 (curler)를 제거하고, 모발을 후드에서 건조시켰다. 그 결과, 모발의 컬링 (curling)이 탄력적이고 역동적이었다.
그 결과, 모발의 컬링 (curling)이 탄력적이고 역동적이었다.

Claims (24)

  1.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에서 환원제로서 하기 일반식 (I)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시디티올 또는 이의 유기 및 미네랄염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과정의 제 1 단계에서 사용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Figure 112006088499637-pat00005
    상기 화학식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또는 CH(CH3)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은
    a) OR1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1은 수소원자,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 또는 1 또는 2 개의 히드록실 라디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이며, 또는
    b) NR2R3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 또는 히드록실,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및 디메틸아미노 라디칼 중에서 1 또는 2개의 라디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이며, 또는
    c) NH-E-COR4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E는
    -2가-(CH2)p-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p는 1 내지 3 사이의 정수이거나, 또는
    -CH(R5)-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5는 선형 또는 분지된 C1-C5의 저급 알킬 라디칼, 또는 히드록실, 아미노 구아니디노, 메틸티오 및 CONH2 라디칼 중 어느하나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저급 알킬 라디칼이며,
    상기 R4
    히드록시 라디칼 또는 OR6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6는 수소원자,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 또는 1 또는 2 개의 히드록실 라디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이며, 또는
    NR7R8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 또는 히드록실,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및 디메틸아미노 라디칼 중 1 또는 2개 라디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이며,
    또는
    d)
    Figure 112006088499637-pat00006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9는 상기의 R4라디칼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R'은 수소원자, 메틸 라디칼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이 수소원자을 나타내는 경우에 A 및 B는 함께 시클로펜탄 고리를 형성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의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디티올은 다음의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부타노산,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에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펜타노산,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펜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프로판산,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프로판산,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메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에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부타노산,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에틸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헥사노산,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에틸)-N,N-디메틸-헥산아미드,
    -1-[(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프롤린,
    -1-[(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피페콜린산,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루신,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아기닌,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라이신,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글라이신,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글루타민,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트레오닌,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4,히드록시프롤린,
    -N-[2-(메르캅토메틸)-3-메르캅토프로파노일]-L-메티오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의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디티올은 다음의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부타노산,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펜타노산,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펜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프로판산,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프로판산,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메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에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부타노산,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헥사노산,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헥산아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의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디티올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30 중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pH는 4 내지 1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pH는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1,3-프로판디아민, 알카린 또는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또는 비카르보네이트, 유기 카르보네이트, 구아니딘 카르보네이트 및 알칼린 히드록시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칼리제, 또는 염산, 아세트산, 락트산, 옥살산 또는 보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성화제, 또는 보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TRIS-완충제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오글리콜산, 티오락트산, 글리세롤 모노티오글리콜레이트, 시스테아민, N-아세틸-시스테아민, N-프로피오닐-시스테아민, 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티오말산, 판테테인(panthetein), 2,3-디메트캅토숙신산, 알카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 설피트 또는 비설피트, N-(메르캅토알킬)-ω-히드록시알킬아미드, N-모노 또는 N,N-디알킬메트캅토-4-부티르아미드, 아미노메르캅토-알킬아미트, N-(메르캅토알킬)숙신아므산 유도체 및 N-(메르캅토알킬)숙시신이미드 유도체, 알킬아미노메르캅토알킬아미드, 2-히드록시프로필 티오글라이코네이트 및 (2-히드로식-1-메틸)에틸 티오글라이코레이트로 제조된 아제오트로픽 혼합물, 메르캅토알킬아미노아미드, N-메르캅토-알킬알칸디아미드 및 포름아미딘 설핀산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환원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1-C10)알킬설페이트, (C1-C10)알킬벤젠설페이트, (C1-C10)알킬에테르설페이트, (C1-C10)알킬설포네이트, 4차 암모늄염, (C1-C10)알킬베타인 (alkylbetaines), 옥시에틸렌 (C1-C10)) 알킬페놀,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최대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 및 저급 C1-C6알코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글리세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성 형태인 농화 (thicken)되거나 또는 되지않은 로션, 농화되거나 또는 되지않은 크림, 또는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12.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방법:
    케라틴 디설피드 결합을 환원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항의 환원용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하는 단계 및 산화제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하거나 또는 대기 중의 산소에 접촉시켜 상기 결합을 재형상 시키는 산화-고정 단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용 조성물은 5 내지 60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알칼린브로메이트, 퍼솔트, 폴리티오네이트 및 알칼린브로메이트 및 퍼솔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방법.
  15. 제 12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환원용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하는 단계 및 고정 단계 사이에, 60 내지 220℃의 온도에서 가열 아이론(iron)으로 모발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방법.
  16.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환원용 조성물을 제 1 구획에 포함하고 제 2 구획에 산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키트.
  17. 다음의 일반식 (II)를 갖는 카르복시디티올 또는 상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의 미네랄 또는 유기염:
    Figure 112006088499637-pat00007
    상기 화학식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또는 CH(CH3)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은 수소원자,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은
    a) OR'1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1은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 또는 1 또는 2 개의 히드록실 라디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단, 상기 A' 및 B'가 CH2 이고 R'1이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인 화합물을 제외함)이거나; 또는
    b) NR'2R'3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 또는 히드록실,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및 디메틸아미노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라디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5 알킬 라디칼(단, A' 및 B'가 CH2 이고 R'2 및 R'3이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그리고 R'''이 메틸라디칼인 화합물을 제외함)이거나; 또는
    c) A' 및 B'가 CH2 이고 R'''이 에틸 라디칼인 경우에 OH라디칼을 나타낸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디티올은 다음의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르복시디티올: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에틸부타노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펜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메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에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메틸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에틸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글리세롤부타노에이트,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메틸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에틸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헥사노에이트,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헥산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에틸)-N,N-디메틸-헥산아미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디티올은 다음의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르복시디티올: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펜탄아미드,
    -5-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펜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로시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부탄아미드,
    -4-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N-디메틸-부탄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메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에틸 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1,2-프로판디올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글리세롤프로파노에이트,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2-디메틸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2-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부타노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에틸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1,2-프로판디올부타노에이트,
    -2,2-비스(메르캅토메틸)-N-메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부탄아미드,
    -2,2-비스(메르캅토메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3-메르캅토-2-(1-메르캅토에틸)-N-(2-히드록시에틸)-부탄아미드,
    -6-메르캅토-2-(메르캅토메틸)-N-(2-히드록시프로필)-헥산아미드.
  2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의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디키올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21. 제 5항에 있어서, pH는 6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2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환원용 조성물.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용 조성물은 15내지 45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방법.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환원용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하는 단계 및 고정 단계사이에,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가열 아이론으로 모발에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 방법.
KR1020050017478A 2004-03-02 2005-03-02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실디티올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조성물 KR100697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50418 2004-03-02
FR0450418A FR2867069B1 (fr) 2004-03-02 2004-03-02 Composition de de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contenant au moins un carboxydithi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349A KR20060043349A (ko) 2006-05-15
KR100697035B1 true KR100697035B1 (ko) 2007-03-20

Family

ID=3474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478A KR100697035B1 (ko) 2004-03-02 2005-03-02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실디티올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70835B1 (ko)
JP (2) JP4174482B2 (ko)
KR (1) KR100697035B1 (ko)
AT (1) ATE485079T1 (ko)
DE (1) DE602005024198D1 (ko)
FR (1) FR2867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8420B1 (fr) * 2004-04-06 2006-06-16 Oreal Utilisation de dimercaptoamides pour la deformation permanente des fibres keratiniques
FR2910247B1 (fr) * 2006-12-22 2009-02-27 Oreal Procede de deformation permanente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etape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reductrice faiblement concentree et une etape intermediaire de sechage
FR2910274B1 (fr) * 2006-12-22 2009-04-03 Oreal Procede de deformation permanente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etape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reductrice faiblement concentree et une etape intermediaire de sechage
WO2016111310A1 (ja) * 2015-01-06 2016-07-14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新規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508A (ja) * 1988-11-28 1990-06-05 Shiseido Co Ltd ふけ防止用化粧料
JP2926168B2 (ja) * 1992-04-23 1999-07-28 参天製薬株式会社 含硫黄化合物
FR2760359B1 (fr) * 1997-03-04 2000-01-07 Oreal Procede de traitement d'un substrat kerati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349A (ko) 2006-05-15
EP1570835B1 (fr) 2010-10-20
FR2867069B1 (fr) 2006-07-07
JP2008094830A (ja) 2008-04-24
DE602005024198D1 (de) 2010-12-02
JP4174482B2 (ja) 2008-10-29
ATE485079T1 (de) 2010-11-15
EP1570835A1 (fr) 2005-09-07
FR2867069A1 (fr) 2005-09-09
JP2005281303A (ja)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7805B2 (ja) 美容用組成物およびパーマネント処理方法
JP2872392B2 (ja) アミノメルカプトアルキルアミドまたはその塩を還元剤とする髪の永続変形用還元組成物
US20080138309A1 (en) Use Of Aminodithiol As A Reducing Agent For Hair Perming
JPH04243860A (ja) 還元剤としてコハク酸誘導体を含む毛髪のパーマネント変形用化粧組成物
US20090194121A1 (en) Hair shaping kit and process comprising at least one amine chosen from tertiary amines
EP0577473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réductrice pour la dé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à base d'un mercaptoalkylamino-amide et procédé de dé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JP4153497B2 (ja) 少なくとも一のジカルボキシジチオールを含む毛髪のパーマネントリシェイプ用組成物
JP4841161B2 (ja) ケラチン線維の永久矯正へのジメルカプトアミドの使用
KR100697035B1 (ko) 최소한 하나의 카르복실디티올을 포함하는 퍼머형 모발의 재형상용 조성물
JP2000507272A (ja) N―分枝鎖アルキル置換メルカプトアセトアミドに基づく毛髪のパーマネント加工剤及び加工法、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10772814B2 (en) Hot reshaping process
US20050201964A1 (en) Composition to permanently reshape the hair containing at least one dicarboxydithiol
US7875268B2 (en) Dimercaptoamides,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as reducing agents, and processes for permanently reshaping keratin fibers therewith
US20050002886A1 (en) Dithiols comprising at least one amide functional group and their use in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hair
US20050208007A1 (en) Composition to permanently reshape the hair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dithiol
JP2004331663A (ja) アミド官能基を含むジチオール及びその毛髪型の変更における使用
FR2668929A1 (fr) Composition cosmetique reductrice pour la de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a base d'un amino-mercaptoalkylamide et procede de de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FR2669329A1 (fr) Amino-mercapto-alkylamid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reductrice dans la de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