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598B1 -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봉 - Google Patents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598B1
KR100696598B1 KR1020050068646A KR20050068646A KR100696598B1 KR 100696598 B1 KR100696598 B1 KR 100696598B1 KR 1020050068646 A KR1020050068646 A KR 1020050068646A KR 20050068646 A KR20050068646 A KR 20050068646A KR 100696598 B1 KR100696598 B1 KR 100696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composition
weight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948A (ko
Inventor
김진섭
Original Assignee
김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0135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965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섭 filed Critical 김진섭
Priority to KR102005006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598B1/ko
Priority to TW094141721A priority patent/TWI352597B/zh
Priority to CN2005800176366A priority patent/CN1960741B/zh
Priority to PCT/KR2005/004022 priority patent/WO2006059853A1/en
Priority to DE112005001235T priority patent/DE112005001235T5/de
Priority to JP2007514932A priority patent/JP4694564B2/ja
Priority to US11/628,275 priority patent/US7595066B2/en
Publication of KR2007001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 농축액 20-40중량%, 보조생약제 0-20중량%, 수지 0-20중량% 및 원적외선 방사 분말 30-60중량%를 포함하는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피부자극용 압봉, 패치제 및 시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자극용 압봉 등의 경우, 아픈 자리나 경혈에 간단하게 붙이기만 하면, 침, 뜸, 원적외선과 음이온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쑥뜸, 바이오세라믹, 압봉, 쑥농축액, 수지

Description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봉{COMPOSITION HAVING EFFECT OF MOXIBUSTION AND PRESS PELLET US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용 압봉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용 압봉을 정량 토출기로 사출 성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돌기부 20 : 접착부재
30 : 약재원료 공급부 32 : 약재공급장치
34 : 분사노즐 36 : 토출구
본 발명은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에 관한 것이다.
동양의학의 한 분야인 경락치료의 침과 뜸의 자극요법은 수 천년간 임상체험을 통하여 오장육부와 머리, 사지와 연결된 경락 상의 경혈이 질병의 반응점이면서 치료점이 된다는 사실이 구체적으로 체계화되었고 이 경혈들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와 예방방법에 관한 연구가 거듭되면서 각종 자극기구와 방법이 발달하여 왔다.
그 중의 대표적인 침의 금속 자입 자극방법과 뜸요법의 쑥 유효성분을 이용한 열자극 요법이 근간을 이루게 되어 경혈요법은 곧 침뜸 치료법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한의학의 대표적인 치료법 중 하나인 뜸은 쑥을 태워서 쑥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를 이용하는 시술방법이다.
종래의 뜸은 쑥 또는 쑥과 한약재를 배합하여 태우는데, 뜸의 효능은 단순히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자극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며 쑥 또는 배합된 한약재에서 방출되는 유효성분을 환부나 경혈의 피부에 침투시켜서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쑥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환경오염이나 과열에 의한 화상, 흉터 때문에 그 효능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에게 기피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뜸의 대중화, 뜸의 세계화에 있어서 한계성이 있어 왔다.
뜸도 쑥 또는 각종 생약제를 피부나 경혈 위에 놓고 태워서 화상을 입히던 열요법에서 간단한 일회용 간접뜸과 각종기구를 이용한 화상을 입지 않는 가열기구로 발달하고 있다. 또한 화학열을 이용하는 쪽으로도 발달하였다.
이러한 뜸과 관련하여 일부의 발전된 기술에서는 쑥과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열가공하지 않고 추출한 엑기스 또는 유효성분을 함유한 로션 형태로 제조하여 피부에 도포하고 전열 등을 가하여 뜸 효과를 꾀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쑥뜸은 담배를 태워야 끽연 효과가 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쑥과 한약재 등이 연소할 때 생기는 열과 유효성분의 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더라도, 쑥의 유효성분에 의한 효과를 조금 볼 수 있을 뿐, 진정한 쑥 뜸 효과를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발열체를 붙여서 무연뜸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조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 지속효과도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침은 돌침, 뼈침에서 금속침으로 발전하여 최근에는 피부에 자입을 하여 상처와 감염의 위험을 주지 않는 금속 돌기 형태로 가공한 압봉으로 발달하였다. 나아가, 전자침, 레이저침으로 광선, 전기, 자기 등의 복잡한 고가장비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고가의 장비로 인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쉽고 간단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담이 적으면서도, 침과 뜸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방법 또는 기구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양 의학의 경혈요법에서 자극용으로 사용하는 침과 뜸의 기능을 결합하여 상호 보완적인 상승효과를 내 면서 침의 단점인 자입의 통증과 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감염의 위험을 없게 하고, 뜸의 단점인 열통과 화상, 연기 등의 문제를 없도록 하는 등, 침, 뜸에 대한 공포와 거부감, 불편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쑥농축액 20-40중량%, 보조생약제 0-20중량%, 수지 0-20중량% 및 원적외선 방사 분말 30-60중량%를 포함하는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쑥을 절단하거나 분말로 하여 쑥 10kg당 쌀 식초 1.5ℓ를 섞어서 솥에서 문화, 중화, 무화의 열 조절로 각각 가공한 후 쑥 중량비 물을 약 7-10배로 열탕추출하고 나서 쑥의 유효성분:수분의 중량비가 5-7:3-5가 되도록 농축시키는 단계; 보조생약제를 포제하여 탕액으로 한 후 유효성분 함량이 총 탕액 대비 20~30중량부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수지를 70%의 주정으로 용해시킨 후 침전 정제하여 주정: 수지 유효성분의 중량비가 5-9:1-5의 팅크로 하고, 꿀에 정제수를 가하여 꿀 희석액 중 수분함량이 30~50중량부가 되게 한 희석 꿀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수용성으로 만드는 단계;및 상기에서 제조된 쑥농축액, 보조생약제, 수지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원적외선 방사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쑥의 유효성분,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생약제,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지 및 원적외선 방사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 의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쑥의 유효성분,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생약제,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지 및 원적외선 방사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로 외부가 코팅되어 있는 돌기부;및 상기 돌기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용 압봉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치제 및 시트제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쑥농축액 20-40중량%, 보조생약제 0-20중량%, 수지 0-20중량% 및 원적외선 방사 분말 30-60중량%를 포함하는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과 이와 같은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쑥을 절단하거나 분말로 하여 쑥 10kg당 쌀 식초 1.5ℓ를 섞어서 솥에서 문화, 중화, 무화의 열 조절로 각각 가공한 후 쑥 중량비 물을 약 7-10배로 열탕추출하고 나서 쑥의 유효성분:수분의 중량비가 5-7:3-5가 되도록 농축시키는 단계; 보조생약제를 포제하여 탕액으로 한 후 유효성분 함량이 총 탕액 대비 20~30중량부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수지를 70%의 주정으로 용해시킨 후 침전 정제하여 주정: 수지 유효성분의 중량비가 5-9:1-5의 팅크로 하고, 꿀에 정제수를 가하여 꿀 희석액 중 수분함량이 30~50중량부가 되게 한 희석 꿀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수용성으로 만드는 단계;및 상기에서 제조된 쑥농축액, 보조생약제, 수지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원적외선 방사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쑥농축액이 사용되는데, 이 때, 쑥은 황해쑥 또는 약쑥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나, 그 중에서도 한국산 쑥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화 사자발쑥이다.
이와 같은 쑥농축액은 쑥뜸의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어야 하므로, 한의학에 의한 법제 가공방법에 의하여 각각 제조된 초탄추출액, 초황추출액 및 초초추출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쑥농축액의 경우에는, 약쑥을 절단하거나 분말로 하여 한약 가공법인 포제 방법으로 쑥 10kg당 쌀 식초 1.5ℓ를 섞어서 솥에서 문화(文火), 중화(中火), 무화(武火)등의 열 조절로 가공한 후 쑥 중량 대비 물을 약 7-10배로 열탕 추출하여 정제하면 쑥의 유효성분이 건물로 약 7~8%가 되며 이를 수분함량이 약 25-50%,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30%가 되도록 가열 농축시켜 제조한다. 이와 같이 하면, 쑥농축액이 고점도의 풀 상태로 되어 타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서는 쑥 농축액 이외에도 보조생약제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보조생약제는 백지, 위령선 및 천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생약제로서 백지, 위령선, 천궁과 같은 생약제를 포제하여 탕액으로 한 후 유효성분 함량이 총 탕액대비 약 20~30중량부가 되도록 정제농축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우 보조생약제로서, 백지, 위령선, 천궁 등을 포함함으로써, 쑥뜸 효과와 더불어, 혹은 쑥뜸 효과와 상승작용을 하여, 혈액순환 개선, 진정, 진통, 신경통, 타박상, 관절염, 새살이 잘 돋게 하는 등의 효능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수지를 포함하는데, 상기 수지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그 중에서도 유향, 송진, 몰약, 용뇌, 장뇌, 박하뇌 및 고추팅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이 바람직하다.
수지성분으로서의 유향, 몰약 등은 물에는 잘 녹지 않아 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흡수율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지 성분의 흡수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70%의 주정으로 용해시킨 후 침전 정제하여 5-50% 팅크,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10% 팅크로 한 후 꿀에 정제수를 가하여 꿀 희석액 중 수분함량이 30~50중량부가 되게 한 희석 꿀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수용성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와 같이 수지성분이 포함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우 통기혈, 소염, 진통, 새살이 나는 등의 세포기능 활성화 및 백혈구 증가 등의 면역력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수지를 10% 팅크로 하는 경우, 알콜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이후 압봉 제조시에 알콜 성분의 증발로 인하여 압봉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또한 원적외선 방사 분말을 포함하는데, 상기 원적외선 방사 분말로서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이라면 크게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며, 특히, 음이온의 효능도 함께 볼 수 있는 것이라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적외선 방사 분말로서 바이오세라믹스, 토르말린, 귀양석, 맥반석, 일라이트, 흑운모, 게르마늄 및 모나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물질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바이오세라믹 또는 귀양석 등의 광물을 1000메쉬 이상 나노분자로 분 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들 물질의 표면적을 최대로 높여, 뜸효과, 원적외선, 음이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분자에 가까운 미크론 단위의 극미세 광물 또는 바이오세라믹 분말의 활발한 분자활동에 의하여 체온에서 원적외선, 음이온 등의 에너지가 다량 방출되어 쑥을 태우는 열을 대신하여 생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서, 1000메쉬 이상 나노분자로 분쇄하여 표면적을 최대로 높인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사용함으로써, 고점도의 쑥 농축액과 위령선액, 수용화시킨 유향수지를 혼합하여 고농도의 겔 상태로 정량 토출기로 점적하여 구형 또는 원추형의 압봉 돌기부로 형성시켰을 때, 표면 장력이 약해져 수축 변형이 되지 않고 건조시에 함유된 알콜이 수분과 같이 빨리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압봉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을 하지 않아도 목적으로 하는 뜸과 침의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쑥의 유효성분,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생약제,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지 및 원적외선 방사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쑥의 유효성분,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생약제,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지 및 원적외선 방사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로 외부가 코팅되어 있는 돌기부;및 상기 돌기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용 압봉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한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각종 유효물질 또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사 물질 등을 포함하거나, 그와 같은 물질들로 코팅된 경우라면 특별 히 제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나, 그 중에서도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본 발명에 의한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자극용 압봉의 돌기부는 쑥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의학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재질로 이루어진 압봉(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형성된 압봉)에 쑥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원추형, 압정형, 반구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 자극용 압봉에서 접착 부재 상에 위치하는 돌기부는 도 1a 내지 도 1e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는, 1점형, 3점형, 다점형, 물결무늬, 태극무늬 또는 마름모꼴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에서의 접착물질은 시트제나 패치제에 사용가능한 일반적인 접착제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조성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피부의 넓은 면적에 적용시켜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용매함량 30%이하로 고농축한 겔 또는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한 분말 등의 형태로 총 접착물질 대비 0.5~1중량부 정도 혼합하면, 압봉의 효과와 접착제에 혼합된 유효성분의 2중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용 압봉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정한 크기로 가공한 접착부재의 접착면에 무게 2~5mg, 직경 1~2mm, 높이 1~1.5mm로, 1점 형, 3점형, 다점형 등으로 동시 정량 토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약제의 용매를 농축시켜 광물분과 혼합한 후 용매함량을 10% 이하로 조절하여 금형에서의 압봉 형태 또는 과립 환 형태로 제조 건조하여 접착부재 상에 붙이거나, 용매를 가하여 농도를 묽게 하여 적정농도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 기타로 제조한 압봉 또는 환 등에 도포, 건조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용 압봉을 사용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서 압봉의 쑥 등 뜸 효과를 내는 조성물이 피부로 배출되는 수분에 녹아서 삼투압에 의해 압봉에 눌려 확장된 피부공으로 흡수되어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압봉을 피부에 붙이게 되면, 피부막이 50%이상 확장되어 모공이 넓어지고 피하조직이 압박되어 압침의 자극으로 피하조직에 물리적인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후 피부에서 발산된 수분이 밀폐된 압봉에 잘 흡수된다. 생약제의 유효성분이 용해되어 확장된 피부막으로 삼투압에 의하여 신속히 흡수되어 압침 효과와 동시에 뜸효과, 원적외선, 음이온의 상승 작용으로 인하여 가열을 하지 않아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치제 및 시트제를 제공하며, 이와 같은 패치제 및 시트제는 일반적인 패치제 및 시트제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다만 하나의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피부자극용 압봉의 제조
쑥농축액 38%, 위령선 추출액 6%, 유향 팅크 18%, 귀양석 분말 38%를 혼합하여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배합은 용매의 함량이 약 30% 정도로 정량토출기의 토출구 직경 2mm에서 1.5mg정도를 접착부재인 반창고 접착면에 접촉되도록 토출하면 직경 2mm, 높이 1.2mm정도의 구형으로 된다. 이 제품은 건조 후에도 원 형태를 유지하며 피부가 약한 곳이나 어린이에게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실시예 2 :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피부 자극용 압봉의 제조
쑥농축액 38%, 천궁 추출액 5%, 유향 팅크 13%, 용뇌 1%, 장뇌(또는 박하뇌) 1%, 고추 팅크 1%, 바이오세라믹분 41%를 혼합하여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배합은 용매의 함량이 약 25%로서 직경 2mm의 정량 토출구를 통해 접착부재인 반창고의 접착면에 접촉시켜 토출시키면서 서서히 토출구를 위로 떼면 무게 약 1.5mg, 직경 2mm, 높이 1.5~1.7mm 정도의 원추 침형 압봉이 되며 토출과 동시에 가열 건조 시스템에 의하여 약 60℃에서 3분 정도면 건조되어 즉시 포장할 수 있다. 박하, 고추 팅크 등이 배합된 이 제품은 자극 침투력이 높아 민감도가 약한 부 위나 성인에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 자극용으로 적당하다.
실시예 3 : 압봉의 제조
쑥농축액 30%(수분 50% 함유), 백지 농축액 7%, 위령선 농축액 3%, 유향 또는 몰약 엑기스 10중량%, 바이오 세라믹 25중량%, 천연광물분 25%를 혼합하면, 죽 상태의 식물성분의 점착력이 있는 고농축액이 되며, 이를 정량토출기를 통해 접착부재인 반창고 접착면에 토출시켜 압봉을 형성시켜 건조하였다.
실험예 1 : 임상실험
실험 대상으로 2004년 12월 1일부터 2005년 4월 30일까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자극용 압봉으로 시술받은 102명 중 결과가 확인된 96명을 선정하였다.
피실험자의 연령으로는 20대: 9명, 30대: 21명, 40대:45명, 50대: 8명, 60대 이상: 13명이었고, 성별로는 남자 38명, 여자 58명이었다. 피실험자의 직업으로는 가정주부: 41명, 공무원: 18명, 운전기사: 12명, 회사원 10명, 무직 8명, 기타 7명이었다.
피실험자들에게 아픈 곳이나 경혈을 소독 솜으로 닦고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압봉을 붙였다. 좁은 자리는 1개, 넓은 곳은 압통점이나 경혈에 3cm이상 거리에 필요한 만큼 3~5개를 더 붙였다. 가려우면 즉시 떼어내고, 2일 이상 떨어질 때까지 붙였다. 떼어낸 자리에 잔유물을 깨끗이 닦아낸 후 다시 붙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병명 환자수 증상소실 호전 미확인
족근통 8 5 2 1
좌골신경통 13 8 1 4
관절통 26 19 5 2
좌섬요통 11 8 1 2
위염 10 5 3 2
고혈압 7 1 3 3
신경쇠약 13 8 2 3
월경통 6 5 1 1
성장통 2 1 . 1
실험예 2
상복부의 창만증과 동통, 오심, 요통 및 소화불량증 등을 호소하는 36세의 여자 은행원에 대하여 X선 투시 결과, 위하수로 진단되었다. 양문 천추 기해혈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압봉을 3일에 한번씩 붙여준 결과 1개월 뒤 위하수가 치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다가 허리를 삐끗하여 전후로 굴신을 할 수 없는 급성 요부염좌의 증세를 보이는 45세의 남자 경비원에게 응급치료를 한 다음에 통증을 호소하는 아시혈과 주변의 압통점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압봉을 붙인 결과 2일 후에 요통이 경감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3일 후에는 요통이 거의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현훈, 두통, 불면증, 건망, 성신경 쇠약 등으로 4년이 경과된 36세 남자 공무원에 대하여 신경쇠약으로 진단하여 조해 신궐 신문 등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압봉을 붙이고 3일마다 압봉을 교체하면서 3개월간 관찰한 결과, 현훈과 성신경쇠약을 제외한 모든 증상이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혈압이 180/100mmHg로 고혈압을 앓고 있는 55세 남자 기계공에 대하여 내관 심수 격수 백회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압봉을 붙여준 결과, 3일 후 130/92mmHg로 혈압이 하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개월 이후에는 120~130/80~88mmHg로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체온 38.4℃, 발열과 두통, 비색, 목이 아프고 오한으로 지절통을 호소하는 17세 남자 학생의 경우, 유행성 감기로 진단되어, 대추 어제 풍부 폐수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압봉을 붙여준 결과, 하루 만에 체온이 정상으로 되고 다른 증상도 소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생리통을 앓고 있는 28세 여자 대학원생에게 중극 관원과 복직근 하부의 부사 유도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압봉을 붙여주고, 생리기간 중 격일로 갈아붙이게 한 결과, 2개월 후 통증이 거의 없을 정도로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초등학교부터 야뇨증을 앓고 있는 14세 남자 학생의 경우 발육과 영양은 정상이지만 마른 체형으로 평소에 하복부는 냉감으로 소변을 자주 보면서 소변볼 때 아랫배가 뻐근하게 아프다고 하여, 수분 관원 중극과 좌우 복직근 하단부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압봉을 붙여준 결과, 2주일 후, 거의 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눈 옆 관자놀이(태양혈)가 아프고 머리 왼쪽이 아프면서 혈압은 130/85mmHg으로 변비와 피로 및 불면증을 호소하는 51세 가정주부의 경우 편두통으로 진단되어 족임읍과 협계 흉쇄유돌근 하부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압봉을 붙여 주고 잠을 충분히 자고 과로를 금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5일 후에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0
우측 견관절 주위염으로 팔을 들어올릴 수 없고, 손이 저리고 팔꿈치 바깥쪽이 아파서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라고 하는 56세 여자 환자에게, 협척혈에 사혈을 하고 상완요골근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압봉을 붙여주었다. 1주일 후, 견관절 주위염이 거의 치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쑥, 보조생약제 및 수지가 피부에 침투하여 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쑥의 경우, 문화, 중화, 무화로 가열하여 농축한 엑기스를 모두 포함하므로, 무연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의 쑥 뜸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보조생약제 및 수지를 더 추가함으로써, 쑥 뜸효과 이외에 소염, 항균, 진통 작용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자극용 압봉의 경우, 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므로, 압봉이 피부 경혈을 압박, 자극을 주어 압침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바이오세라믹 또는 광물 분말을 포함하므로, 별도의 발열체를 부착하지 않아도 뜸의 효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피부자극용 압봉에 의하는 경우,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경혈이나 아픈 자리에 붙이기만 하면, 침, 뜸,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일석사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쑥을 절단하거나 분말로 하여 쑥 10kg당 쌀 식초 1.5ℓ를 섞어서 솥에서 문화, 중화, 무화의 열 조절로 각각 가공한 후 쑥 중량비 물을 약 7-10배로 열탕추출하고 나서 쑥의 유효성분:수분의 중량비가 5-7:3-5가 되도록 농축시키는 단계;
    백지, 위령선 및 천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보조생약제를 포제하여 탕액으로 한 후 유효성분 함량이 총 탕액 대비 20~30 중량부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유향, 송진, 몰약, 용뇌, 장뇌, 박하뇌 및 고추팅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수지를 70%의 주정으로 용해시킨 후 침전 정제하여 주정: 수지 유효성분의 중량비가 5-9:1-5의 팅크로 하고, 꿀에 정제수를 가하여 꿀 희석액 중 수분함량이 30~50중량부가 되게 한 희석 꿀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수용성으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에서 제조된 쑥농축액, 보조생약제 농축액, 수용성화된 수지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바이오세라믹스, 토르말린, 귀양석, 맥반석, 일라이트, 흑운모, 게르마늄 및 모나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제 6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로 외부가 코팅되어 있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용 압봉.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원추형, 압정형, 반구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피부 자극용 압봉.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 상에 1 이상의 돌기부가 1점형, 3점형, 다점형, 물결무늬, 태극무늬 또는 마름모꼴로 형성되는 피부 자극용 압봉.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에 포함된 접착물질이 제 6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의 일부 또는 전부와 접착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인 피부 자극용 압봉.
  12. 제 6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포함하며, 족근통, 좌골신경통, 관절통, 좌섬요통, 위염, 고혈압, 신경쇠약, 월경통, 성장통, 위하수, 급성요부염좌, 유행성 감기, 야뇨증, 편두통 및 견관절 주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는 패치제.
  13. 제 6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포함하며, 족근통, 좌골신경통, 관절통, 좌섬요통, 위염, 고혈압, 신경쇠약, 월경통, 성장통, 위하수, 급성요부염좌, 유행성 감기, 야뇨증, 편두통 및 견관절 주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는 시트제.
KR1020050068646A 2004-11-30 2005-07-27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봉 KR10069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646A KR100696598B1 (ko) 2005-07-27 2005-07-27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봉
TW094141721A TWI352597B (en) 2004-11-30 2005-11-28 Composition having effect of moxibustion and press
CN2005800176366A CN1960741B (zh) 2004-11-30 2005-11-28 具有灸疗作用的组合物及使用该组合物的压丸
PCT/KR2005/004022 WO2006059853A1 (en) 2004-11-30 2005-11-28 Composition having effect of moxibustion and press pellet using the same
DE112005001235T DE112005001235T5 (de) 2004-11-30 2005-11-28 Zusammensetzung mit Moxibustions-Effekt und komprimiertes Pellet, das dieselbe verwendet
JP2007514932A JP4694564B2 (ja) 2004-11-30 2005-11-28 灸効果を持つ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圧鋒
US11/628,275 US7595066B2 (en) 2004-11-30 2005-11-28 Composition having effect of moxibustion and press pelle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646A KR100696598B1 (ko) 2005-07-27 2005-07-27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948A KR20070013948A (ko) 2007-01-31
KR100696598B1 true KR100696598B1 (ko) 2007-03-19

Family

ID=3801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646A KR100696598B1 (ko) 2004-11-30 2005-07-27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73B1 (ko) * 2007-12-13 2009-11-16 케이제이아이 공업주식회사 희토류 광물이 포함된 피부 접착형 패치
KR200460107Y1 (ko) * 2009-06-23 2012-05-04 이수일 파스에 내재된 t침
CN111685999A (zh) * 2020-06-11 2020-09-22 珠海易衡慧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纸无菌无粘合剂艾灸耗材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60Y1 (ko) * 2002-07-09 2002-10-18 김선의 뜸용 단위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60Y1 (ko) * 2002-07-09 2002-10-18 김선의 뜸용 단위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948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4564B2 (ja) 灸効果を持つ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圧鋒
CN101214286B (zh) 一种有效治疗风湿性疼痛病的中药白酒制剂
CN101254246B (zh) 一种外用治疗烧烫伤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1168023B (zh) 一种治疗腰间盘突出的膏药
CN107184782A (zh) 外用中药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696598B1 (ko) 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봉
CN102961483B (zh) 一种治疗腰腿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579982A (zh) 治疗妇科盆腔炎症局部穴位外敷贴剂及制备方法
KR10056465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찜질용 패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찜질 파스
CN111166813A (zh) 一种治疗腰椎病的中药及其应用
CN102949680A (zh) 一种治疗颈椎病的药酒及其制备方法
CN104127831A (zh) 一种治疗感邪型产后身痛的中药及制备方法
CN100386100C (zh) 一种治疗外创伤和手术刀口伤无疤痕的药物
CN111658716A (zh) 一种水凝胶磁疗中药贴膏及其制备方法
CN105125798A (zh) 一种膏药及其制备方法
CN104971286A (zh) 一种治疗肩腰腿不适症的中药组合物
CN100506255C (zh) 一种尖尾风根祛风通络止痛药物
CN112023015B (zh) 一种止痛穴位贴及其制备方法
CN102343081A (zh) 一种治疗疼痛病纯中药制剂的灸具及治疗疼痛病的纯中药制剂
CN101940652A (zh) 治疗牛皮癣、各种顽癣、瘙痒症的中药擦剂
CN105560537A (zh) 一种治疗骨性关节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343622A (zh) 泥灸中药组合物
CN103933359A (zh) 用于祛除瘢痕疙瘩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0360158C (zh) 一种活血通络的中药制剂
CN110064014A (zh) 一种通络止痛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241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731

Effective date: 20181105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