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467B1 -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467B1
KR100695467B1 KR1020040062818A KR20040062818A KR100695467B1 KR 100695467 B1 KR100695467 B1 KR 100695467B1 KR 1020040062818 A KR1020040062818 A KR 1020040062818A KR 20040062818 A KR20040062818 A KR 20040062818A KR 100695467 B1 KR100695467 B1 KR 10069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information
usability
site
eval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216A (ko
Inventor
재성 안
Original Assignee
재성 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성 안 filed Critical 재성 안
Priority to KR102004006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4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사용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성 평가 항목에 따라 사용성 평가 값 정보를 전송하는 응용 서버 및 사이트 제작 및 사용성 평가의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이트의 구성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트의 정보에 따라 사용성 평가 기준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기준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성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성 평가 값 정보에 따라 사이트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사용성 평가 서버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성 평가 기준은 사이트 목적 평가 정보,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 사이트 혼동 평가 정보, 광고 평가 정보, 사이트 구조 평가 정보, 컨텐츠 기능 및 디자인 평가 정보, 간결함 평가 정보, 시각적 안정감 평가 정보, 우선순위 평가 정보, 가독성 있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 평가 정보, 정체성 표면 평가 정보, 의사전달 평가 정보 및 신뢰감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로써, 웹 사용성을 바탕으로 사이트가 얼마만큼의 이익을 낼 수 있는지 수치화해서 보여줄 수 있고, 기존의 사이트를 사용성 있는 사이트로 만듦으로서 사용자의 접근과 행동유발을 증대시켜 경영상의 이익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철저히 수치화된 자사의 경영 이익 보고서와 경쟁사의 웹사이트 분석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웹 사용성,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서버, 사용성 평가 기준, 사용성 평가

Description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Method of estimating web usability and System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사용성 평가 시스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기 다른 웹사이트 사용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사이트들간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응용서버 200 : 사용성 평가 서버
210 : 입출력모듈 220 : 사이트 특화 진단 모듈
230 : 사용성 평가 항목 생성 및 정렬 모듈
240 : 사용성 판단 모듈 250 : 사용성 평가 기준 D/B
본 발명은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웹사이트의 단편적인 접속에 관련된 정보가 아닌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이해하기 쉽도록 해주는 웹 사용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미국 온라인 조사기관인 닐슨/넷레이팅스(Nilsen/NetRatings)에서 발표한 전세계 국가별 온라인 인구 현황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인터넷을 자주 이용하는 활동적인 네티즌 수가 세계 4위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인터넷상의 불편한 요소를 해결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위한 노력보다는 시각적인 디자인으로 사용자의 방문을 유도하려는 사이트들이 많고, 각종 웹사이트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평가기준이나 개선법 등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하고 보기 불편한 사이트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웹 사용성이란 웹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얼마나 편리하고 쉽게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가를 말한다. 정보화 사회에서 인터넷이 개인과 기업의 비즈니스측면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 웹상에서도 사용성이 요구되게 되었다. 즉, 웹 사용성은 사용자의 요구와 비즈니스적인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켜 시켜주는 열쇠라 할 수 있다. 지금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세계 중요 20여개국의 인터넷 사용자수는 약 3억명에 달한다고 한다. 인터넷이 불과 10여년 동안에 발달되고 확산된 미디어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이러한 발달과 확산의 속도는 상당히 빠른 것이며 인터넷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인터넷 사용자 수가 많아질수록 단순히 방문자수로 성공하는 사이트를 가늠할 것이 아니라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서로의 목적을 얼마나 훌륭히 달성하고 있는가를 기준 으로 사이트의 성공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이해하기 쉽도록 해주는 웹 사용성이 사이트 제작 전반에 걸쳐 고려되어야 한다. 즉, 제작자가 웹을 자유로움과 창조성만을 가지고 사이트를 디자인한다면 그곳에 아무리 좋은 컨텐츠가 들어있고, 즐거운 기능을 담았다 할지라도 사용성의 문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기회조차 갖지 못하는 사이트가 될 것이다. 또한, 웹에 있는 많은 사이트들 사이에서 경쟁력이 떨어져 도태될 것이며 이것은 비즈니스의 실패를 뜻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일반적인 성향의 분석에 통해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사이트의 수익성을 수치화 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행동유발을 증대시켜 웹사이트의 경영상의 이익을 높일 수 있으며, 철처히 수치화된 자사의 경영 보고서와 웹사이트 분석자료를 얻을 수 있고, 사용자들이 웹 사이트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사용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사용성 평가 기준이 저장된 사용성 평가 기준 데이터베이스, 응용 서버 또는 웹 서버로부터의 사용성 평가 요청 정보에 따라 웹사이트가 목적하는 바가 무엇이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관련한 특화를 진단하여 사용성 평가 항목 생성을 제어하는 사이트 특화 진단 모듈, 상기 사이트 특화 진단 모듈의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성 평가 기준으로부터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 및 정렬하기 위한 사용성 평가 항목 생성 및 정렬 모듈,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을 포함한 출력 데이터의 출력 및 상기 사용성 평가 값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의 입력을 담당하는 입출력 모듈, 상기 사용성 평가 값 정보에 따라 사용성을 판독 평가하는 사용성 판단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이트 특화 진단 모듈은 상기 웹사이트가 목적하는 바가 무엇이며,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는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관련한 특화를 진단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은 사이트 목적 평가 정보,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 사이트 혼동 평가 정보, 사이트 구조 평가 정보, 컨텐츠 기능 및 디자인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은 광고 평가 정보, 간결함 평가 정보, 시각적 안정감 평가 정보, 우선순위 평가 정보, 가독성 있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 평가 정보, 정체성 표현 평가 정보, 의사전달 평가 정보 및 신뢰감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웹 서버 또는 사용자 응용 서버로부터 사용성 평가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요청 사이트가 목적하는 바가 무엇이며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특화하는 제1단계, 상기 사이트의 진단 결과에 따라 사용성 평가 기준으로부터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을 평가자 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평가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4단계, 상기 평가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값에 따라 사용성을 평가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요청 사이트로부터 경쟁관계에 있는 경쟁 사이트의 사용성 평가를 상기 생성된 사용성 평가 항목에 따라 평가하는 제6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요청사이트와 상기 경쟁 사이트의 사용성 평가 결과에 따라 우위 요소를 도출하여 평가에 반영하는 제7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은 사이트 목적 평가 정보,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 사이트 혼동 평가 정보, 사이트 구조 평가 정보, 컨텐츠 기능 및 디자인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은 광고 평가 정보, 간결함 평가 정보, 시각적 안정감 평가 정보, 우선순위 평가 정보, 가독성 있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 평가 정보, 정체성 표현 평가 정보, 의사전달 평가 정보 및 신뢰감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 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웹사이트는 그 문화의 반영으로 각 사이트마다 각 나라의 문화와 관습의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웹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평가 기준과 함께 상대적이고 관념적인 사용성의 평가 기준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웹이라는 미디어가 가진 특성과 효과 때문이다. 웹은 현실 세계와 달리, 클릭 하나의 거리를 두고 수많은 경쟁 사이트가 존재한다. 사용자는 한번의 검색으로 여러 페이지에 걸친 비슷한 검색 결과를 찾을 수 있다.
이동성을 지닌 인터넷에서 사용자의 방문을 지속시키고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행동의 유발을 위해서는 그 사이트가 사용자에게 쉽게 느껴질 것과, 충실한 정보가 기본이다. 그것은 사이트 내의 적절한 네비게이션을 통해서 이루어낼 수 있고, 보기 편한 구조를 통해서 이루어낼 수 있다. 사용성의 요소는 한두 가지가 아니기 때문에 그 사이트가 사용자에게 편리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사용성의 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관리, 편집 및 이를 판단, 비교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평가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는 개인이나 기업으로부터 웹사이 트 제작 및 사용성 평가의 의뢰 정보가 입력되면(S10), 사이트에 맞는 특화를 진단한다(S12). 사이트의 특성이 파악된 후 사이트의 구성요소 정보를 추출한다(S14). 상기와 같이 특화된 사이트의 정보에 따라 사용성 평가 기준 항목을 작성한다(S16). 만일 신규의 사이트를 제작할 경우에는 상기의 평가 기준 항목에 따라 사이트 제작 시작에서 종료까지의 스케쥴을 정한다(S20). 이후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사이트를 제작한다(S22). 이후, 제작된 사이트를 특성에 맞게 상정된 평가 기준항목을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한다(S24). 또한, 만일 기존의 사이트에 관한 평가일 경우에는 사이트 특성에 맞게 상정된 기준들로 그 사이트의 평가를 실시한다. 물론 평가후, 평가된 정보에 따라 사이트의 수정 및 갱신을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시스템과 이의 동작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사용성 평가 시스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성 평가 시스템은 사용성 평가를 의뢰하고, 웹사이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웹 서버(10)와 사용성 평가 항목에 따라 사용성 평가 값 정보를 전송하는 응용 서버(100)와, 사용성 평가 기준에 따라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하고, 사용성 평가값 정보에 따라 사이트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사용성 평가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서버(200)는 사용성 평가 항목을 포함한 출력 데이터의 출력 및 사용성 평가값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의 입력을 담당하는 입출력 모듈(210)과, 사용성 평가 요청 정보에 따라 웹사이트에 관련한 특화를 진단하여 사용성 평가 항목 생성을 제어하는 사이트 특화 진단 모듈(220)과, 사용성 평가 기준으로부터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 또는 정렬하기 위한 사용성 평가 항목 생성 및 정렬 모듈(230)과, 사용성 평가 값 정보에 따라 사용성을 판독 평가하는 사용성 판단 모듈(240)과 외부로부터 다양한 사용성 평가 기준이 저장된 사용성 평가 기준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사용성 평가 기준은 입출력 모듈을 통한 별도의 입력 과정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과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웹 서버는 사용성 평가 서버에 사용성 평가를 요청한다(S100). 이는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관리자가 웹 서버 또는 자신들의 응용 서버를 통해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성 평가 서버는 사용성 웹 서버를 통해 의뢰된 사용성 평가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웹 서버에 사이트 특화 정보를 요청한다(S102). 특화 정보 요청에 따라 웹 서버는 사이트 특화 정보를 사용성 평가 서버에 전송한다(S104). 상기의 사이트 특화 정보에 따라 사용성 평가 서버는 사이트 특화를 진단한다(S108). 상기에서 사이트 특화 정보는 웹사이트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로써, 웹사이트가 목적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지칭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가 인터넷 쇼핑사이트인지, 기업의 홍보 사이트인지, 교육 사이트인 지, 검색 사이트인지, 포탈 사이트인지, 이메일 전용사이트인지, 문화예술전용사이트인지와 같이 사이트가 목적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인터넷 쇼핑사이트, 기업의 홍보 사이트, 교육 사이트, 검색 사이트 등 각 사이트들은 그 특성에 따라 필요한 요소들이 다르므로 목적에 맞추어 필요 항목을 상정한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쇼핑사이트에는 상품의 정보와 더불어, 그 상품을 사용자가 찾기 쉽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어 놓아야 할 것이며, 결제의 용이함과, 사이트의 높은 신뢰도를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사이트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도록 하고, 정확한 정보와 잦은 갱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검색 사이트에서는 검색창의 위치와 크기, 배너의 수 등이 진단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렇듯 사이트의 목적에 따라 중요도의 우선순위가 달라지므로, 사이트의 특성파악으로 그 목적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가려낸다.
사이트 특화 진단(사이트의 목적을 판단)을 한 다음, 사이트 특화에 따른 사이트 정보를 수집한다(S108). 즉 사이트의 목적에 맞추어 사이트를 평가한다. 이는 사이트에 관한 총괄적인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이트 분석을 통해 사이트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사이트의 갱신을 위한 경우, 기준의 사이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움이 될만한 요소와 방해가 되고 있는 요소를 자료에 추가해 감으로써 사이트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사이트에 대한 분석은 사이트 개개에 관한 HTML의 분석이나, 사이트를 구성하는 프로그램 언어들(ASP, CGI, XML, JAVA 등등)을 분석함을 지칭한다.
상술한 정보들을 통해 사용성 평가 기준을 설정한다(S110). 상기의 평가 기 준에 따라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하고 정렬한다(S112). 이후, 상기의 사용성 평가 항목에 관한 정보를 외부의 응용 서버에 전송한다(S114). 상술한 사용성 평가 항목에 관한 정보는 사이트에 따라 100 내지 200여 개에 이르기까지 그 수가 많다. 예를 들어, 이 사이트는 어느 정도의 여백을 두는 것이 좋은지 강조해야 할 부분은 어디인지,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배제하는 것이 좋은 사이트인지 등의 평가 기준 항목을 만든다. 상기의 사용성 평가 항목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기존 사이트에 관한 것일 경우, 기존 사이트가 어느 정도 수준의 사용성 있는 요소들로 경영상의 수익을 거두고 있었는지 웹 사용성을 바탕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상술한 사용성의 평가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뿐만 아니라 신규 사이트의 제작에 관할 경우 사용성 평가 항목에 따라 어떤 절차로 사이트를 구축해갈 것인지, 사이트의 제작 시작에서 종료까지의 스케줄을 계획하는 계획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성 평가 항목 정보를 전송 받은 응용 서버는 이를 디스플레이 한 다음(S116), 응용 서버는 사용자로부터의 평가값을 입력받는다(S118). 상기의 입력받은 평가값에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성 평가 서버에 전송한다(S120). 예를 들어 쇼핑몰 사이트에 관한 평가 정보를 소정의 응용 서버가 디스플레이 하면 사용자는 상기의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사이트를 살펴본다. 이후, 해당 항목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가중치는 0 내지 100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함으로써 부여할 수 있고, 해당 항목에 관해 상, 중, 하의 값을 입력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인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별도의 체크 모듈을 통해 사용자들이 웹사이트를 사용함에 관해 평가 값에 해당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체크할 수도 있다. 이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를 관찰하고 실제 사용에 있어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사용자가 그 사이트의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이용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지는 않은지, 만약 있다면 어떤 것인지, 잘못 사용하거나 모르고 지나치는 부분은 없는지를 체크한다.
이후, 사용성 평가값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은 사용성 평가 서버는 이를 판독한 다음(S122), 판독값에 따라 사용성을 평가하고(S124), 평가된 사용성 평가 결과 정보를 웹 서버에 전송한다(S126). 앞서 언급한 가중치에 따라 각각의 사용성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값을 정렬하고, 이러한 값들을 합하거나 나누어 사용성을 판독 및 평가한다. 예들 들어, 만일 앞서 언급한 항목의 가중치가 0 내지 100일 경우, 각각의 항목에 관한 값들을 하나의 테이블로 작성하고,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항목 데이터를 테이블에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각각의 평균을 통해 그 점수가 100 내지 90일 경우에는 사용성이 매우 우수함으로 평가하고, 89 내지 60일 경우에는 사용성이 양호함으로 평가하고, 59 내지 40일 경우에는 사용성이 나쁨으로 평가하고, 39 내지 0일 경우에는 사용성이 매우 나쁨으로 평가한다.
이하, 사용성 평가 기준 및 이에 따라 생성된 사용성 평가 항목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성 평가 기준은 사이트 목적 평가 정보,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 사이트 혼동 평가 정보, 광고 평가 정보, 사이트 구조 평가 정보, 컨텐츠 기능 및 디자인 평가 정보, 간결함 평가 정보, 시각적 안정감 평가 정보, 우선순위 평가 정보, 가독성 있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 평가 정보, 정체성 표면 평가 정보, 의사전달 평가 정보 및 신뢰감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사이트 목적 평가 정보에 관해서 설명하면, 먼저,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가 가장 먼저 알 수 있어야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 사이트인가 라는 것이다. 따라서, 사이트의 목적이 확인되어야 사용자는 사이트에 더 머물 것인지 떠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품구매'나 '정보검색'등의 행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이트의 목적을 평가한다. 이러한 사이트 목적 평가 정보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사이트를 보고 그 사이트의 운영자를 알 수 있는가?" 및 "사용자 대상이 뚜렷한가?"에 관한 평가 기준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는 기업 사이트라면 사이트의 기업명을 알 수 있어야 하고, 개인 사이트인지, 비영리 사이트인지, 공기업의 사이트인지, 사이트의 운영목적을 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이트의 운영 목적에 맞는 사용자 대상을 염두하여 제작되고 운영되는 사이트여야 한다.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에 관해서 설명하면, 먼저 모니터의 정보를 읽기는 쉬운 작업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많은 내용을 읽지 않고서도 사이트의 내용을 파악 할 수 있도록 컨텐츠가 균형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는 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에 있어서는, "검색 사이트의 경우, 첫 페이지에 분야별의 목차가 정리되어 있는가?", "중요한 정보는 사용자가 모니터를 스크롤 하지 않아도 볼 수 있는 곳에 위치되어 있는가?", "불필요한 여백은 없는가?", "라벨을 읽 고 어떤 컨텐츠인지 예측할 수 있는가?", "컨텐츠 필터링이 잘 되어 있는가?", "불필요하게 긴 문장이 존재하지 않는가?", "무의미한 환영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가?", "사용자의 스크롤을 고려하였는가?" 및 "헤드라인은 최소의 핵심 언어로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가?"에 관한 평가 기준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는 홈페이지에는 마우스를 스크롤 하지 않아도 보여지는 범위 내로 분야별 목차가 나타나 있어야 하고, 사용자의 시선의 흐름인 Z형[좌상-우상-좌하-우하]과 텍스트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사용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컨텐츠가 많은 경우 라벨을 사용하여 정리해야 하므로 라벨만 읽어도 내용의 짐작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하고, 사이트 내에 있는 필요 이상의 정보는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웹에서 글을 읽는 것은 종이 문서를 읽는 것 보다 불편하고 느리게 읽혀지므로 문장의 길이는 짧은 편이 좋고, 원고량도 종이 문서의 50%정도로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환영 메시지 자체는 사용자에게 무의미한 전달이므로 표시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사이트 내의 모든 페이지는 3화면 분을 넘지 않아야 한다.
사이트 혼동 평가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제작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 혼란스러움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사용자에게 혼동을 주는 요소 중에는 사이트 제작시,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하는 신중을 기한다면 충분히 방지 할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이트 혼동 평가 정보에 있어서, "링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링크처럼 디자인된 요소는 없는가?", "링크에 보충설명이 존재하는가", "네비게이션의 아이콘 사용 빈도가 적당한가?", "각각의 링크는 차별화 되어 있는가", "같은 장소로 이동하는 중복된 링크가 없는가 ?", "링크의 반응은 사용자의 예측과 일치하는가?", "링크의 색에는 규칙이 있는가?", "폼의 크기는 입력 내용의 길이에 비례하는가?", "색상이 가진 속성을 적절히 이용하였는가?", "명도의 차이를 활용하고 있는가?", "타스크와 링크의 구분이 명확한가?", "컨텐츠의 표현중 애매하거나 불명확한 것은 없는가?", "같은 의미의 한글/영문의 중복 표기는 없는가?", "메타포가 전하는 의미는 명확한가?", "사이트 맵과 실제 사이트 내의 컨텐츠명, 정보 구조가 일치하는가?", "상부 페이지(Top Page)에는 그곳이 상부 페이지라는 표현이 존재하는가", "네비게이션을 통한 페이지 이동이 가능한가?", "네비게이션은 일반적 위치에 존재하는가?", "네비게이션의 색상은 배경색과 대비되는가?", "URL은 외우기 쉽고 심플한가?", "예전의 URL을 지원하고 있는가?", "홈페이지, 즉 최상부 페이지는 페이지 내에 유일한 존재인가?", "홈페이지, 상부 페이지, 홈으로 등의 같은 의미의 표현을 함께 사용하고 있는가?", "애매한 표현이나 전문 용어의 사용을 피했는가?", "지나치게 세분화하지 않았는가?", "잘못된 표현은 없는가?", "새창 열기는 적절한가?"에 관한 평가 기준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는 링크 예측을 돕기 위해서 링크 옆에 링크에 대한 내용의 발췌와 요약, 보충설명을 써두면 사용자가 더 쉽게 링크에 대한 컨텐츠를 예측할 수 있고, 링크는 컨텐츠의 핵심 두세단어의 조합으로 만들고, 표현의 중복이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같은 장소로의 링크를 여러군데 만들어 두면 사용자는 같은 링크인지 다른 링크인지 확신을 갖지 못하게 되고, 만일 링크를 클릭 했더니 갑자기 페이지가 넘어간다든지 자동적으로 신규 윈도우가 표시되거나 팝업 윈도우가 나타나 사용자를 놀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에게 가장 많이 학 습 되어있는 파란색과 보라색 링크 색상을 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홈페이지에서 정해진 링크 색을 통일되게 모든 페이지에 적용시켜야 한다. 또한, 활기찬 이미지를 나타내고 싶은 경우에는 빨강색, 신뢰감을 강조할 때는 파란색, 안정된 이미지를 전하기 위해서는 파스텔 색상을 사용하는 것 등이 도움이 되기 때문이고, 작거나 큰 공간은 명도의 차이를 활용하면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강조를 위해 청색 밑줄이나 적색 밑줄을 사용할 경우 링크로 오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같은 내용의 반복을 피하고,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메타포는 특정한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해서는 안되며, 의미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명확히 알 수 있는 경우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부페이지에 상부 페이지라는 표현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지금 보고 있는 페이지가 상부페이지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글로벌 네비게이션은 화면상부에 가로로, 로컬 네비게이션은 화면 좌측에 세로로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사이트상의 여러 이유로 파일을 이동시켰다하더라도 이전 URL을 기억하고 찾아오는 사용자를 위해 최소 2년은 예전의 URL을 접속할 수 없는 링크로 만들지 않아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홈페이지, 상부 페이지의 중복 사용은 사용자의 혼동을 유발하고, 홈페이지, 상부페이지, 홈으로 등의 표현이 같은 사이트 내에 모두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그곳이 모두 같은 곳을 가리키고 있는지 각각 다른 페이지를 말하는 것이지 혼란스러워하기 때문에 어느 한가지로 일관되어 표현해야 한다. 그리고 단일 품목 카테고리나 단일품목 세부항목 처리를 피하여야 한다. 표면에 있어서 홈페이지와 웹사이트라는 표현을 같 은 의미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광고 평가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면, 광고의 게재는 특히 주의해야할 사항, 대부분의 사용자는 광고를 사이트의 방해 요소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웹의 사용성을 최대한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광고 평가 정보에 있어서, "광고는 광고처럼 보이고 있는가, 링크로 보이는 광고가 존재하지 않는가?", "타사의 광고가 자사 사이트 TOP PAGE의 중심 컨텐츠 보다 작은가?", "타사의 광고가 너무 눈에 뛰지 않는가?", "타사의 광고가 너무 눈에 뛰지 않는가?". "배너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지는 않는가?"에 관한 평가 기준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때, 자사의 광고와 구별 되도록 하고, 다른 회사의 광고는 페이지 주변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트 구조 평가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면, 사이트의 구조가 혼란스럽다면 사용자가 정보를 찾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를 시각화하여 보여주고, 사이트의 모든 정보를 공간의 구조에 맞춰야 한다. 즉, 정보의 구조가 나쁘다는 것은 사용성이 낮은 사이트임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를 평가한다. 따라서, 사이트 구조 평가 정보에 있어서, "시각적 계층화를 이루고 있는가?", "홈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는 구분되는가?", "카테고리의 단계가 적당한가?", "페이지 내의 모든 요소가 관련 깊은 항목별로 그룹화 되어 있는가?", "상부 페이지에는 사이트 맵이 있는가?", "상부 페이지나 상부 페이지의 네비게이션만으로도 사이트 내의 정보 제공 구성을 추측 할 수 있는가?", "우선순위가 높은 타스크는 상부 페이지에서 한번의 클릭으로 이동 가능한가?", "프레임 구조는 적절한 사용인가?", "사 이트 조작의 우선순위를 쉽게 알 수 있는가?",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항목이나 클릭을 요하는 요소등 사용자에게 지워진 임무가 과도하지 않는가?", "검색 사이트의 경우, 가로로 긴 검색창을 가지고 있는가?", "쇼핑 사이트의 경우, 사용자의 쇼핑 동선을 고려하였는가?", "쇼핑사이트의 경우, 색인 페이지가 존재하는가?", "모든 페이지에 일관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는가?", "레이아웃은 간결한 구성인가?", "통일성 있는 레이아웃인가?", "검색 기능이 있는 스크린 상단에는 텍스트 입력이 있는가?"에 관한 평가 기준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는, 지금 보고 있는 것이 서브 페이지인지 홈페이지인지 시각적으로 구분 될 수 있어야 하고, 모든 카테고리는 1~4번 정도의 클릭으로 세부 내용에 접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주어진 정보와 관계성을 고려해 그룹화 함으로서 사용자가 페이지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사이트 내에서 다루고 있는 컨텐츠의 구조를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프레임 구조는 사용자 환경에 따라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URL주소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고 있고, 출력시 페이지 전제의 출력이 불가능하기도 하다. 또한, 사용자가 사이트의 어느 부분부터 둘러보아야 하는지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할 만한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어야 한다. 사용자가 입력하여야 할 사항은 최대 5개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검색창이 가로로 길면 사용자는 검색하고 싶은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적을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나 서비스, 상품 등을 「가나다 순」,「알파벳 순」,「장르별」,「목적별」,「시간별」,「연령별」로 구분하는 색인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자주 찾는 컨텐츠나 기능을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하고, 사용빈도가 낮은 요소를 그룹화하여 간결하게 정리하고 배치 하고, 지나친 통일성은 지양 해야하지만 페이지의 각 요소들의 주변 관련성을 고려해 레이아웃 하여야 한다. 또한 스크린 상단에는 텍스트 입력을 자제해야 한다.
컨텐츠 기능 및 디자인 평가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는 사용자들이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이유는 컨텐츠 때문이다. 즉, 유용한 컨텐츠를 적절한 기능과 디자인으로 표현해 주었는지를 평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컨텐츠 기능 및 디자인 평가 정보에 있어서, "화면에 보이는 컨텐츠의 양은 적절한가?", "사이트의 컨텐츠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컨텐츠인가", "하이퍼텍스트 링크의 사용이 적절한가?", "링크에는 URL을 사용하였는가?", "외부 사이트로부터의 방문을 고려하였는가?", "상부 페이지이외의 장소에는「상부 페이지로 가기」라는 링크를 두고 있는가?", "각종 기능의 사용을 통일하였는가?", "네비게이션은 눈에 띄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가?", "네비게이션은 각 페이지의 동일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가?", "긴 문서에는 프린트 버전이 제공되고 있는가?", "네비게이션이 일정한 규칙을 따르고 있는가?", "적절한 네비게이션을 사용하였는가?", "네비게이션의 내용을 알기 쉽게 했는가?", "적절한 링크가 설치되어 있는가?", "화상링크는 화상을 만들어 사용자가 참조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가?", "지난 정보는 링크를 만들어 사용자가 참조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가?", "사진이나 그래픽에는 알기 쉬운 설명이 있는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인가?", "홈페이지에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였는가?", "애니메이션 화상의 실행을 사용자가 선택 할 수 있는가?", "전문 용어의 설명이나 FAQ 페이지가 있다는 것을 상부 페이지에서 알 수 있는가?", "정보는 이해하기 쉽도록 기술되어 있는가?", "표현의 룰이 존재하는가?", "갱신된 데 이터에는 최종 갱신일이 표시되어 있는가?", "사용자 중심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가?", "사이트를 알려주는 정보의 제시 이전에 사용자 등록을 요구하고 있지는 않는가?", "단일 품목 카테고리가 있는가?", "명령어는 의무적인 경우에만 사용하고 있는가?", "라벨 카테고리는 사용자가 예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가?", "컨텐츠 표현은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되어 있는가?", "외부로의 링크를 제한하고 있는가?", "컨텐츠 그룹화는 제대로 되었는가?", "스프링식 컨트롤을 적절한가?", "자동적으로 재생되는 플래쉬 무비나 BGM이 있는가?", "시스템으로 보완이 가능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넘기고 있지 않은가?", "검색창이 있는 사이트라면 검색창이 링크로써가 아닌 홈페이지에 존재하고 있는가?"에 관한 평가 기준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는, 하이퍼텍스트 링크의 밑선을 "이곳을 클릭" 또는 "클릭"이라는 부분을 두는 것보다 해당부분에 표시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모든 링크에 URL을 두는 것보다 연결되는 페이지를 기준으로 URL을 사용하고, 다른 사이트를 통해 우리사이트로 들어온 사용자를 위해 모든 페이지에 URL을 적어두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언제든지 원래의 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다는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기능사용을 통일하되, 즉, 위를 향하고 있는 화살표가 홈페이지로의 이동인지, 구분하여 일관되게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홈페이지에서 학습한 사용자의 수고가 헛되지 않도록 서브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네비게이션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고, 날짜 순, 가나다 순, 알파벳순의 일정한 규칙에 의해 배열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페이지의 흐름을 이해하기 쉬운 네비게이션이어야 한다. 즉, 타스크나 정보의 분류는 글로벌 네비게이션을 쓰는 것이 좋고, 순서를 나타내는 네비게이션은 스텝 네비게이션을, 페이지 내의 이동은 로컬 네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홈페이지에는 정보의 목차를 두고 자세한 설명은 서브 페이지에 링크해 두는 것이 좋다. 뿐만 아니라, 화상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대체 텍스트를 마련하고, 홈페이지에는 중요한 요소가 많으므로 사용자의 관심을 뺏는 애니메이션의 사용은 부적절하다. 또한, 대체 수단을 마련해 실행 여부를 사용자에게 맡기는 것이 효과적이고, 서술형보다는 간단,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쓰여져 있어야 한다. 뉴스 또는 최신 정보 항목에는 날짜를 표기하고 당일 게재된 항목에는 시각을 표기하여야 하고, 소비자 정보라는 표현 대신 소비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을 때 무엇을 찾을지 생각해 표현해야 한다. 또한, 라벨과 카테고리의 내용은 사용자가 그것을 클릭한 후에 나타나는 내용이 사용자의 예상을 빗나가는 것이 여서는 안된다.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영어와 한자의 표현을 줄이고, 어려운 내용에는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둔다. 외부로의 링크는 저렴한 비용으로 가치있는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좋은 요소이자 사용자를 위한 운영자 측의 의무이기도 하다. 또한, 컨텐츠의 배열 순서는 전적으로 사용자를 위한 기준에 따르고, 날씨 및 시간, 주제, 대상, 혼합형 등의 기준을 적절히 사용하여야 한다. 중요 링크에 스프링식 컨트롤을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의 마우스가 닿지 않는 곳은 내용을 알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주어진 조작이나 입력 작업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자동 전환으로 사용자측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판단한다.
간결함 평가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최대한 빠른 시간에 목적 달성을 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는 간결함이 기본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를 평 가하기 위해서는 "검색창은 심플한가?", "검색창 옆에는 「검색」버튼이나「SHEARCH」버튼이 있는가?", "검색 결과가 '0'이더라도 표시 해 주고 있는가?", "컨텐츠의 강조를 위해 감탄 부호(!)를 사용하지는 않는가?", "사이트에 사용된 약어는 표준화된 것으로 일반적인 사용자가 알 수 있는 것인가?", "사용자가 선택해야 할 메뉴의 항목수가 5개를 넘지 않는가?"와 같은 판단 정보가 필요하다.
시각적 안정감 평가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들은 사이트 내의 컨텐츠를 읽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므로 제작자들에게는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사이트를 관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시각적 안정감의 평가는 "한자와 영문의 크기가 적당한가?", "가독성을 고려하였는가?", "색이 있는 글자나 긁은 글자 이태리체등의 사용은 강조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한다?", "영문의 대문자로만 구성된 표기는 없는가?", "사이트의 제작은 일반적인 해상도(800*600)를 고려하였는가?", "리퀴드 레이아웃 디자인을 고려하였는가?", "포인트를 여러군데 두지 않았는가?", "명도의 차이를 활용하였는가"에 관한 정보를 평가하여야 한다. 이는 한자와 영문은 한글과 같은 폰트로 지정했을 경우 가독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사이즈와 굵기로 조절하여야 하고, 표기 스타일 '폰트 사이즈'의 고정을 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영문의 대문자만을 사용해 쓰여진 글은 가독성이 떨어진다. 사용자의 이용 환경을 최대한 고려한 디자인이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눈에 띄는 디자인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집중이 분산되어 어느 것도 강조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명도의 차이를 활용하면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진다.
우선순위 평가 정보에 관해 설명하면, 사이트에는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할 정보나 강조해야할 요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검색 결과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제공 하고 있는가?", "로고는 눈에 띄는 곳에 배치하였는가?", "로고로 착각 될 소지가 있는 다른 요소가 존재하는가?", "기업이나 단체의 사이트인 경우, 사이트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고는 정식 로고를 사용하고 있는가?", "메타포는 남용되고 있지 않는가?", "상품 사이트의 겨우 상품의 가격이 강조되고 있는가?"에 관한 정보를 평가한다. 이는 사이트명, 회사명, 로고마크는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야 하고, 광고 등의 로고 사용은 회사로고와 혼동될 우려가 있으므로 회사 로고 이외의 요소는 피하는 것이 좋고, TV 또는 인쇄매체에서 사용되는 로고가 있다면 크기 색, 디자인이 일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가독성 있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 평가 정보에 관해 설명하면, 웹에서는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곧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웹의 사용성을 위해서는 가독성 있고 정확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화상이 나타나는 시간이 짧은가?", "상부 페이지가 표시되는 시간을 고려할 때 용량이 큰 화상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가?", "화상은 컨텐츠 이해를 위해 필요한 화상인가?", "상부 페이지에는 되도록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픽이 장식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는가?", "화상의 크기는 적절한가?", "워터마크 그래픽이 있는가?", "화면 전체가 꺼졌다 켜지는 (명멸, 점멸)화면이 존재하는가?", "꼭 필요한 프레임인가?", "동일한 행위에 대한 반응 시간이 일정한가?", "소정의 화면 사이즈에서 좌우 스크롤이 필요하지는 않는가?"를 평가하여야 한다. 이는 앞서 언급한 질문처럼 그래픽은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고, 화상이 너무 크면 용량의 문제로 로딩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프레임은 해상도에 구애를 받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인지 고려한 후에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좌우 스크롤은 사용자가 스크롤바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저하하기 때문이다.
정체성 표면 평가 정보에 관해 살펴보면, 웹 상에는 수많은 사이트가 존재하고 그 사이트들은 여러 정보와 서비스들을 제공, 사이트에 아이덴티티가 부족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가 사이트에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없게 되고, 자사의 사이트만이 가진 특성과 차별화된 요소를 명확히 하여, 사용자가 사이트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기업 사이트의 경우 회사 정보가 소개되어 있는가?", "지면 광고나 TV를 통해서 구축되어온 기업 이미지가 사이트에 반영되어 있는가?", "아이덴티티가 반영되어 있는 사이트인가?", "기업이나 사이트의 활동을 정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고 있는가?", "회사소개, 투자자 홍보, 보도실, 채용과 기타 회사에 대한 정보와 같은 기업 정보는 눈에 띄는 장소에 묶어 두었는가?"에 관한 정보를 평가하여야 한다. 이는, 회사 정보, 회사 연혁, 채용 정보, 기업 이념 등이 잘 소개되어 있어야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트를 보고 그 기업을 연상할 수 있도록 사이트 외적인 기업 이미지 요소와 사이트간의 통일성을 유지 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사이트는 독창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브랜드 이미지가 잘 알려진 기업이거나 그런 상품이 있는 사이트인 경우, 사이트에도 기업 이미지를 반영시켜 방문한 사용자가 한눈에 그 사이트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등록 사용자에게 최신 기업 정보나 사이트의 갱신 정보를 메일로 알리거나 새로운 컨텐츠로의 링크를 눈에 띄게 제시하여야 웹이 사용성이 증대된다.
의사전달 평가 정보에 관해 살펴보면, 사이트의 기본적인 사항과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사항은 사실적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이에, "타이틀 문구에는 회사명이나 브랜드 등의 구체적인 정보가 내포되어 있는가?",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들에게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가?", "사용자의 등록이 요청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개인 정보 입력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는가?", "날짜 표기는 통일성 있는가?", "「돌아가기」버튼은 어떤 장소로의 이동인지 표시해 주고 있는가?"에 관해 평가하여야 한다. 여기서, 날짜 표기는04/05/09 또는 2004년 5월9일 등으로 전체적으로 통일 되게 표기되었는지를 평가한다.
신뢰감 평가 정보에 관해 살펴보면, 기간이 지난 행사나 판매나 끝난 상품 소개 등 기한이 지났음에도 갱신되지 않은 정보와 불명확한 정보는 사이트의 신뢰도와 직결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설득력 있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가?", "각 요소는 심플하고, 멋있게 디자인되어 있는가?", "상부 페이지에 너무 오래된 정보가 남아 있지 않은가?", "정보는 최신 정보로 갱신되어 있는가?", "사용자가 문의 등의 이유로 운영자에게 연락 할 수 있는 수단은 제시되어 있는가?", "문의를 위한 페이지에는 질문의 분류 항목에 있는가?", "사용자의 운영 방침을 알 수 있는 링크가 상부 페이지에 마련되어 있는가?", "개인 정보 방침이 명확한가?", "개인 보호정책 링크를 웹사이트에 포함 시켰는가?", "사용자가 사이트의 비즈니스 모델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사이트의 활동을 알리고 있는가?", "사용 중, 에러 발생시 대처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가?", "공사 중이거나 만료된 페이지가 존재하는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가?", "FAQ에서 나타난 사이트의 결함을 보완하 고 있는가?"에 관해 평가하여야 한다. 이때, 전문적인 문제 해결처리로 사이트의 품위를 높이고 사용자와의 신뢰 관계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유행이나 흐름에 뒤쳐지지 않는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어야 하고, 운영자와 직접 연락이 가능한 연락처나 정보 페이지를 링크해 두어야 하고, 사이트의 이용에 관한 규정, 금지사항, 주의 등을 알리기 위한 링크가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제작자의 관리에 의해 사용자의 정보가 보호되어야 하고, 공사 중인 페이지는 페이지 작성을 게을리 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또한, 사용자의 글쓰기 페이지와 FAQ페이지가 있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성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사이트의 특화에 따른 정보에 따라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한다. 즉, 상술한 평가 정보들 중 사이트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각기 착출한 다음, 이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사이트가 검색 사이트일 경우에는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중 최상위 평가항목 "검색 사이트의 경우, 첫 페이지에 분야별의 목차가 정리되어 있는가?"와 같은 항목은 가중치가 부여되어 사용성 평가 항목 중의 하나로써 생성된다. 또한, 나머지 항목들에는 그 가중치에 따라 각기 다양한 항목들이 생성된다. 이때 상술한 가중치의 부여는 이미 저장된 값을 기준으로 사이트의 특화 정보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트의 유용성을 수치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이트의 특성에 맞게 하기의 표와 같은 22개의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한다. 이후, 사용성 평가 항목을 사용자 응용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로부터 각 항목에 관한 소정의 수치값을 입력받는다. 이후 개개의 응용 서버로부터 전송된 수치값의 평균을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평균값을 다시 한번 응용 서버 전체의 평균을 내어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수치화하여 나타낸다.
사용성 평가 항목 응용서버
A B C D E
1 사이트의 운영목적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81.8 70.6 606. 85.0 72.4
2 사이트 정보는 균형을 이루고 있는가 78.6 33.3 58.3 27.8 46.6
3 문장의 길이는 적당한가 86.4 83.3 86.4 62.5 77.1
4 여백을 활용하고 있는가 66.7 66.7
5 타스크와 링크의 구분이 명확하다 100 50 100 100 90
6 라벨을 일고 컨텐츠의 예측이 가능하다 100 75 100 62.5 77.5
7 정보의 위치는 우선 순위를 고려하였는가 77.8 61.1 77.8 65.6 62.2
8 네비게이션 91.7 100 9 100 76.1
9 중복된 표현은 없는가 100 25 100 100 85
10 광고·선전 100 100 100 100 100
11 콘텐츠는 시각적 계층화를 이루고 있다 50 25 100 100 65
12 사이트의 정보 정렬 방식을 쉽게 알 수 있다 100 50 37.5
13 홈페이지와 서브페이지를 구분 할 수 있다 100 100 100 100 100
14 사용자에게 주어진 임무의 양이 적당하다 100 100 50 60
15 레이아웃 디자인 100 50 66.7
16 정보는 이해하기 쉽도록 기술되어 있다 100 100 100 50 85
17 기다리는 시간이 길지 않은가
18 링크 100 100 100 10 82
19 로고
20 해상도가 고려되었는가
21 검색 50 100 75
22 신뢰도 25 25 20
평균 82.0 66.7 76.5 56.7 70.3
전체 평균 70.44
상기의 표와 같이 각각의 A, B, C, D, E 응용 서버에 22개의 항목 정보를 전송한 다음, 상기와 같은 결과 값을 입력받고 이를 표와 같이 정리한 다음 각각의 응용 서버에 해당하는 값의 평균을 낸다. 상기 표에서는 A 응용 서버의 평균은 82.0이고, B 응용 서버의 평균은 66.7이고, C 응용 서버의 평균은 76.5이고, D 응용 서버의 평균은 56.7이고, E 응용 서버의 평균은 70.3임을 알 수 있다. 이후 전 체 응용 서버의 값을 평균을 내어 웹사이트의 사용성은 70.44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평가 값을 통해 상기에서 설명한 사용성의 판단 기준으로 사용한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술한 단일의 웹사이트에 관한 사용성 평가에 한정되지 않고, 경쟁 사이트간의 비교 우위를 분석함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기 다른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하고 이를 통해 사이트들간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 보면, 경쟁 사이트와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먼저 의뢰 사이트로부터 경쟁 사이트와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S200) 각 사이트에 맞는 특화를 진단한다(S202). 사이트의 특성이 파악된 후 각 사이트의 구성요소 정보를 추출한다(S204). 의뢰 사이트의 경영성과를 진단하고, 경쟁 사이트의 성과를 분석, 진단한다(S206). 이후, 각 사이트들의 사용성 평가 기준에 따라 우위 요소를 도출한 후(S208), 사용성 판단(S210) 및 비교를 실시하여 각 사이트의 우위를 비교한다(S212).
상기에서 의뢰 사이트의 경영성과는 의뢰된 사이트가 어느 정도 수준의 사용성이 있는 요소들로 경영상의 수익을 거두고 있었는지 웹 사용성을 바탕으로 평가함을 지칭한다. 한편, 경쟁 사이트의 경영성과는 의뢰사이트와 경쟁 우위관계에 있는 사이트를 선정한 다음 경쟁 사이트의 지금까지의 성과, 혹은 작년도 성과를 기술면과 내용면, 다양성의 진전, 사용자수, 사용 환경면에서 평가하고, 그래프화하여 나타낸다.
이후, 경쟁이 되는 사이트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항목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하고 사이트의 구성 요소별, 각 페이지별의 사용성 분석을 바탕으로 사용성 요소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또한, 그 사이트 내의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요소나 불필요한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자료를 수집한다. 이후, 경쟁 사이트의 유용성 평가 우위에 있는 요소가 의뢰 사이트에는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양 사이트간의 사용상 불필요한 요소나 방해가 되는 요소를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사이트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의뢰 사이트가 구축해야할 사용성 특화 방안을 고찰하고, 사이트가 보완해야 할 부분과 강화해야할 부분을 정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쟁력 있는 사이트들끼리의 우위를 효과적으로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앞서 설명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웹 사용성을 바탕으로 한 사이트의 구축 및 개선이라면 테스트와 가이드라인을 통해 그 사이트가 얼마만큼의 이익을 낼 수 있는지 수치화해서 보여줄 수 있다. 사용성 테스트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성향의 분석에서 나온 기준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수익성도 수치화해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또 사이트 제작시 일어날 수 있는 웹사이트의 오류를 찾아내어, 사용성 있는 사이트로 만듦으로서 사용자의 접근과 행동유발을 증대 시켜 경영상의 이익을 높인다. 흔히, 사용성 테스트 등은 그것이 웹사이트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온라인(On-Line)을 통한 경영 정보를 실시하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온라인 경영정보는 웹사이트의 사용성 검토 결과를 토대로한 경영 컨설팅으로 기업의 확실한 사업모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시킬 수 있다. 기업 측면에서는 추상적인 경영이익을 기대하는 것이 아닌 철저히 수치화된 자사의 경영 이익 보고서와 경쟁사의 웹사이트 분석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웹 사용성 비즈니스는 사용자의 편리함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사이트 제작이 원칙이다. 하지만 이것은 사용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결과적으로는 사용성 증대로 사용자들이 웹사이트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웹 사용성을 바탕으로 한 사이트의 구축 및 개선이라면 테스트와 가이드라인을 통해 그 사이트가 얼마만큼의 이익을 낼 수 있는지 수치화해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성 테스트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성향의 분석에서 나온 기준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수익성도 수치화해서 나타낼 수 있고, 사이트 제작시 일어날 수 있는 웹사이트의 오류를 찾아내어, 사용성 있는 사이트로 만듦으로서 사용자의 접근과 행동유발을 증대시켜 경영상의 이익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을 통한 경영 정보를 실시하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온라인 경영정보는 웹사이트의 사용성 검토 결과를 토대로한 경영 컨설팅으로 기업의 확실한 사업모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시킬 수 있으며, 기업 측면에서는 추상적인 경영이익을 기대하는 것이 아닌 철저히 수치화된 자사의 경영 이익 보고서와 경쟁사의 웹사이트 분석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웹 사용성 비즈니스는 사용자의 편리함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결과적으로는 사용성 증대로 사용자들이 웹사이트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다양한 사용성 평가 기준이 저장된 사용성 평가 기준 데이터베이스;
    응용 서버 또는 웹 서버로부터의 사용성 평가 요청 정보에 따라 웹사이트가 목적하는 바가 무엇이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관련한 특화를 진단하여 사용성 평가 항목 생성을 제어하는 사이트 특화 진단 모듈;
    상기 사이트 특화 진단 모듈의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성 평가 기준으로부터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 및 정렬하기 위한 사용성 평가 항목 생성 및 정렬 모듈;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을 포함한 출력 데이터의 출력 및 상기 사용성 평가 값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의 입력을 담당하는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사용성 평가 값 정보에 따라 사용성을 판독 평가하는 사용성 판단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 평가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은 사이트 목적 평가 정보,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 사이트 혼동 평가 정보, 사이트 구조 평가 정보, 컨텐츠 기능 및 디자인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은 광고 평가 정보, 간결함 평가 정보, 시각적 안정감 평가 정보, 우선순위 평가 정보, 가독성 있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 평가 정보, 정체성 표현 평가 정보, 의사전달 평가 정보 및 신뢰감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시스템.
  5. 웹 서버 또는 사용자 응용 서버로부터 사용성 평가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요청 사이트가 목적하는 바가 무엇이며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특화하는 제1단계;
    상기 사이트의 진단 결과에 따라 사용성 평가 기준으로부터 사용성 평가 항목을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을 평가자 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평가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4단계; 및
    상기 평가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값에 따라 사용성을 평가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사이트로부터 경쟁관계에 있는 경쟁 사이트의 사용성 평가를 상기 생성된 사용성 평가 항목에 따라 평가하는 제6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사이트와 상기 경쟁 사이트의 사용성 평가 결과에 따라 우위 요소를 도출하여 평가에 반영하는 제7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
  8. 삭제
  9. 제 5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은 사이트 목적 평가 정보, 정보의 균형 평가 정보, 사이트 혼동 평가 정보, 사이트 구조 평가 정보, 컨텐츠 기능 및 디자인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
  10. 제 5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성 평가 항목은 광고 평가 정보, 간결함 평가 정보, 시각적 안정감 평가 정보, 우선순위 평가 정보, 가독성 있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 평가 정보, 정체성 표현 평가 정보, 의사전달 평가 정보 및 신뢰감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
KR1020040062818A 2004-08-10 2004-08-10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KR10069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818A KR100695467B1 (ko) 2004-08-10 2004-08-10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818A KR100695467B1 (ko) 2004-08-10 2004-08-10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216A KR20060014216A (ko) 2006-02-15
KR100695467B1 true KR100695467B1 (ko) 2007-03-15

Family

ID=3712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818A KR100695467B1 (ko) 2004-08-10 2004-08-10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46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43B1 (ko) 2009-12-10 2011-02-25 주식회사 임프레스씨앤씨 온라인을 통한 웹사이트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웹사이트 평가 시상 서비스 운영방법
WO2011050091A3 (en) * 2009-10-20 2011-07-28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omalies in web analytics data
US8359313B2 (en) 2009-10-20 2013-01-22 Google Inc. Extensible custom variables for tracking user traffic
US8412719B1 (en) 2009-09-02 2013-04-02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ing a multidimensional dataset
US8549019B2 (en) 2009-05-26 2013-10-01 Google Inc. Dynamically generating aggregate tables
US8554699B2 (en) 2009-10-20 2013-10-08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omalies in time series data
US8751544B2 (en) 2009-09-02 2014-06-10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ivoting a multidimensional dataset
US9305105B2 (en) 2009-05-26 2016-04-0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alytics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388B1 (ko) * 2006-08-11 2008-04-17 주식회사 케익소프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40084855A (ko) 2022-12-07 2024-06-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성분석 기반의 고령친화제품의 사용성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362A (ko) * 2000-04-20 2000-07-05 강영복 인터넷 사이트 평가 및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362A (ko) * 2000-04-20 2000-07-05 강영복 인터넷 사이트 평가 및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5105B2 (en) 2009-05-26 2016-04-0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alytics data
US8549019B2 (en) 2009-05-26 2013-10-01 Google Inc. Dynamically generating aggregate tables
US8412719B1 (en) 2009-09-02 2013-04-02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ing a multidimensional dataset
US8751544B2 (en) 2009-09-02 2014-06-10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ivoting a multidimensional dataset
US8543591B2 (en) 2009-09-02 2013-09-24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sharing dataset segmentation schemes
US8583584B2 (en) 2009-10-20 2013-11-12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web analytics data for detecting anomalies
US8359313B2 (en) 2009-10-20 2013-01-22 Google Inc. Extensible custom variables for tracking user traffic
US8554699B2 (en) 2009-10-20 2013-10-08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omalies in time series data
US8682816B2 (en) 2009-10-20 2014-03-25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omalies in time series data
WO2011050091A3 (en) * 2009-10-20 2011-07-28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omalies in web analytics data
US8972332B2 (en) 2009-10-20 2015-03-03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omalies in web analytics data
WO2011071326A3 (ko) * 2009-12-10 2011-10-27 주식회사 임프레스씨앤씨 온라인을 통한 웹사이트 평가 시상 서비스 운영방법
KR101016743B1 (ko) 2009-12-10 2011-02-25 주식회사 임프레스씨앤씨 온라인을 통한 웹사이트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웹사이트 평가 시상 서비스 운영방법
WO2011071326A2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임프레스씨앤씨 온라인을 통한 웹사이트 평가 시상 서비스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216A (ko)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ura et al. THE INFLUENCE OF CULTURE IN WEBSITE DESIGN AND USERS’PERCEPTIONS: THREE SYSTEMATIC REVIEWS
Petre et al. Usability beyond the website: an empirically-grounded e-commerce evaluation instrument for the total customer experience
Egger From interactions to transactions: designing the trust experience for business-to-consumer electronic commerce
JP4538284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端末、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RU2427912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изуаль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ей на web-страниц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дикатора
US996544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sentiment from a text
JP4150415B2 (ja) ドキュメントデータ表示処理方法、ドキュメントデータ表示処理システム及びドキュメントデータ表示処理用の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US20080133500A1 (en) Website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tool
Abeysekera How best to communicate intangible resources on websites to inform corporate‐growth reputation of small entrepreneurial businesses
Kitkowska et al. Psychological effects and their role in online privacy interactions: A review
KR100695467B1 (ko)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Leporini et al. Criteria for usability of accessible web sites
Khawaja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y websites in the United States
Król et al. Local government website usability on mobile devices: test results and recommendations
Liauw Content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with Dynamic Online Content: A Case Study
KR20210131021A (ko)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Zhang et al. Content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US corporate homepages
KR100886449B1 (ko) 텝브라우징을 이용한 웹브라우저 상의 광고방법과 검색결과출력방법 및 상기 광고방법을 실시하는 광고시스템
Dawson et al. Social and cultural obstacles to the (B2C) e-commerce experience
Chudnovska UX Design Project of B2B Website for Enics
Pal et al. Content Analysis of Asian National Library Websites
Niemi A Usability Evaluation of Airline Websites in Northern Europe: a Comparative Study of Finnair, SAS Scandinavian Airlines, Norwegian Air Shuttle, and Icelandair Group
Mohammadbeigi et al. Identifying components of international social cataloging sites to present criteria for native model
Aube et al. Enhancing the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Zoo Praha Website
Viehland et al. Web homepage design: An analysis of New Zealand's top 50 web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